KR101849881B1 -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881B1
KR101849881B1 KR1020170098587A KR20170098587A KR101849881B1 KR 101849881 B1 KR101849881 B1 KR 101849881B1 KR 1020170098587 A KR1020170098587 A KR 1020170098587A KR 20170098587 A KR20170098587 A KR 20170098587A KR 101849881 B1 KR101849881 B1 KR 10184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sericite powder
powder layer
buri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운
Original Assignee
한미르친환경방제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르친환경방제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르친환경방제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30Landfill technologies aiming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매몰 처리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매몰부, 상기 매몰부의 내면 및 바닥면을 덮어 침출수의 흡수를 차단시키는 비닐지, 상기 매몰부의 바닥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코코아블럭층 및 제 1견운모분말층,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 위에 설치되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환기 유도공간을 확보시키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2코코아블럭층,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매몰부로 매몰된 가축사체가 올려지는 제 2견운모분말층, 상기 제 1, 2견운모분말층에 끝단이 삽입되며 선단은 수직으로 절곡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매몰부 입구 외부로 노출 구성되는 제 1, 2유동관, 상기 제 2견운모분말층 위에 매몰된 가축사체를 덮어 상기 매몰부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모래 및 상기 모래의 표면에 덮혀지는 비닐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Burial disposal apparatus for livestock killed}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순환층을 형성하고, 또한 약품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매몰된 가축을 악취 발생없이 신속하게 부패시킬 수 있도록 한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전염병에 감염되어 죽거나 감염이 의심되어 살처분한 가축 사체에 대해서 각 국가는 자국 환경에 적합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주로 혐기성 분해, 정제, 퇴비화, 매몰 등으로 살처분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내 여건상 살처분 가축 사체에 대해 신속히 매몰에 의한 처리방법이 주류를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축을 살처분한 뒤 매몰 처분한 지역에서는 현재 침출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땅속에 스며들기 때문에 가축 매몰지에는 침출수로 인해 그 토양 오염이 매우 심각한데 장기간에 걸친 침출수의 유출로 주변 토양 까지 오염시키는 등 2차적 오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고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으며 침출수 처리를 위한 약품처리 후에의 처리물도 또 다른 처리를 거쳐야 하므로 비용과 처리 시설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지속적인 침출수로 인해 처리기간도 장기간이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가축전염병으로 살처분한 가축 사체의 매몰 시 잘못된 매몰방법 및주변 환경인자의 불충분한 고려 등으로 인하여 악취발생 및 토양이나 지하수 오염과 같은 2차 환경피해를 유발하고 있고, 이는 사회적인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축 사체를 땅 속에 매몰할 경우, 지상 밖에서 방치할 경우보다 공기 순환의 부족으로 사체 분해속도가 훨씬 더딘 편인데, 분해가 천천히 진행될 경우,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악취 및 가스가 계속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처분 가축의 매몰 시 사용하는 생석회의 경우, 주로 살균작용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동물 사체의 분해속도를 방해할 뿐 아니라 매몰지역의 토양을 강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키기에 토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죽어 악취와 침출수가 대량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032605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염병에 의해 폐사 또는 살처분된 가축이 담겨지도록 상부면상에 뚜껑이 형성되어 매립되는 매몰통, 상기 매몰통의 상부면상으로 삽입되어 바닥면까지 연장되면서 외주면상에 가스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흡입공이 형성된 연통 및 상기 매립통의 바닥면상에 상기 연통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측면에 통과공이 뚫린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침출수의 배출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지 모르나, 여전히 공기 순환의 부족으로 인한 사체 분해속도가 더딜 수 밖에 없어 사체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동안 계속적으로 악취 및 가스가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032605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순환층을 형성하고, 또한 약품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매몰된 가축을 신속하게 분해시켜 악취 및 가스 발생을 최대한 억제토록 한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매몰 처리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매몰부, 상기 매몰부의 내면 및 바닥면을 덮어 침출수의 흡수를 차단시키는 비닐지, 상기 매몰부의 바닥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코코아블럭층 및 제 1견운모분말층,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 위에 설치되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환기 유도공간을 확보시키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2코코아블럭층,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매몰부로 매몰된 가축사체가 올려지는 제 2견운모분말층, 상기 제 1, 2견운모분말층에 끝단이 삽입되며 선단은 수직으로 절곡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매몰부 입구 외부로 노출 구성되는 제 1, 2유동관, 상기 제 2견운모분말층 위에 매몰된 가축사체를 덮어 상기 매몰부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모래 및 상기 모래의 표면에 덮혀지는 비닐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레트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을 받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기울어짐을 보강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매몰부의 바닥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환기 유도공간을 형성하여 매몰된 가축 사체를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분해시키도록 함으로서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가스의 배출시간을 줄여 환경 오염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외부에서 분해촉진제를 매몰지 내부로 투입할 수 있어 가축사체의 분해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파레트의 구조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는 가축 사체를 땅 속에 매몰한 후, 매몰된 사체를 신속하게 분해시켜 악취 및 가스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이다.
상기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는 크게 지면에 함몰 형성되며 가축 사체를 묻을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매몰부(10), 상기 매몰부(10)의 내면 및 바닥면에 덮혀지는 비닐지(20), 상기 비닐지(20)로 덮혀진 상기 매몰부(10)에 적층되는 제 1 내지 제 4코코아블럭층(30, 32, 34, 36), 제 1 내지 제 3견운모층(40, 42, 44, 46), 파레트(50) 및 제 1 내지 제 4유공관(70, 72, 74, 7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비닐지(20)는 상기 매몰부(1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며 가축 사체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침출수가 상기 매몰부로 스며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코코아블럭층(30, 32, 34, 36)은 가축 사체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흡수함과 더불어 악취를 탈취시키게 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견운모층(40, 42. 44. 46)은 가축 사체의 분해가 촉진될 수 있도록 미생물의 번식을 활성화시키고 더불어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4코코아블럭층(30, 32, 34, 36)과 제 1 내지 제 4견운모층(40, 42, 44, 46)은 서로 번갈아가며 매몰부(10)에 적층되어 지는 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1코코아블럭층(30)은 매몰부(10)의 바닥면에 덮혀지고, 상기 제 1코코아블럭층(30) 위에 제 1견운모분말층(40)이 덮혀지고,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 위에는 파레트(50)를 설치한 후, 상기 파레트(50) 위에 다시 제 2코코아블럭층(32) 및 제 2견운모분말층(42)을 순차적으로 덮은 다음, 상기 제 2견운모분말층(42) 위에 가축 사체가 매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량의 가축사체가 매몰되고 나면, 다시 그 위에 제 3코코아블럭층(34) 및 제 3견운모분말층(44)을 순차적으로 덮어준 후, 다시 두 번째 가축 사체를 매몰한 다음, 상기 두 번째로 매몰된 가축 사체 위에 제 4견운모분말층(46)을 덮은 다음, 상기 제 4견운모분말층(46) 위에 제 4코코아블럭층(36)을 순차적으로 덮은 다음, 매몰부의 입구까지 모래(80)를 충진시켜 매몰부(10)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내지 제 4코코아블럭층(30, 32, 34, 36) 및 제 1 내지 제 3견운모분말층(40, 42, 44, 46)을 통해 가축 사체는 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탈취 효과를 통해 악취의 외부유출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과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32) 사이에는 환기 유도공간(60)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 유도공간(60)은 매몰부의 내부로 공기가 원할히 순환하도록 유도하여 사체의 분해속도를 높혀 악취 및 가스 발생 시간을 줄여줌으로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공간이다.
상기 환기 유도공간(60)은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과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32) 사이에 형성되는 특성상, 위쪽에 매립되는 가축사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의 순환은 가능하면서도 무게는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파레트(50) 구조를 채택하였다.
도 2는 환기 유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파레트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ㄷ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파레트(50)는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32)의 하면과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의 상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32)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52), 상기 각 수직프레임(52)을 연결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52)으로 전해지는 하중에 의해 수직프레임(52)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54)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파레트(50) 구조를 통해 환기 유도공간(60)은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제 2코코아블럭층(32)에서 전해지는 하중은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견운모분말층(40, 42, 44, 46)에는 제 1 내지 제 4유동관(70, 72, 74, 76)이 내설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유동관(70, 72, 74, 76)의 선단은 수직으로 절곡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매몰부(10)의 입구를 폐쇄하는 모래(80)를 관통하여 매몰부(10) 입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4유동관(70, 72, 74, 76)은 가축 사체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악취를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상기 가축 사체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약품인 분해촉진제를 신속하게 투입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4유동관(70, 72, 74, 76)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78)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구멍(78)으로 분해 촉진제가 통과하며 제 1 내지 제 4견운모분말층(40, 42, 44, 46)을 통해 가축 사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살처분 가축매몰 처리장치는 지면에 일정 깊이의 매몰부(10)를 형성한 후, 상기 매몰부(10)의 내면을 비닐지(20)로 감싸도록 한 다음, 상기 매몰부(10)의 바닥면으로 제 1코코아블럭층(30) 및 제 1견운모분말층(4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 위에 일정 높이의 환기 유도공간(60)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 및 수평프레임(52, 54)으로 이루어진 파레트(50)를 올려놓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에는 제 1유동관(70)의 끝단을 삽입한 후, 수직으로 절곡된 제 1유동관(70)의 선단은 매몰부(10) 입구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다음, 상기 파레트(50) 위에 다시 제 2코코아분말층(32) 및 제 2견운모분말층(4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상기 제 2견운모분말층(42)에 제 2유동관(72)을 삽입한 후, 수직으로 절곡된 제 2유동관(72)의 선단은 매몰부(10) 입구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 2견운모분말층(42)의 위에 살처분된 가축 사체를 매몰한 후, 다시 제 3코코아분말층(34) 및 제 3견운모분말층(44)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상기 제 3견운모분말층(34)에 제 3유동관(74)을 삽입한 후, 수직으로 절곡된 제 3유동관(74)의 선단은 매몰부(10) 입구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 3견운모분말층(44)의 위에 살처분된 가축 사체를 매몰한 후, 다시 제 4코코아분말층(36) 및 제 4견운모분말층(46)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상기 제 4견운모분말층(46)에 제 4유동관(76)을 삽입한 후, 수직으로 절곡된 제 4유동관(76)의 선단은 매몰부(10) 입구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 4견운모분말층(46) 위로 모래(80)를 부어 매몰부(10)의 입구를 폐쇄한 후, 상기 모래(10) 위를 다시 비닐지(90)로 덮어줌으로서 살처분된 가축사체의 매몰작업이 완료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매몰부 20: 비닐지
30, 32, 34, 36: 제 1 내지 제 4코코아블럭층
40, 42, 44, 46: 제 1 내지 제 4견운모분말층
50: 파레트 52: 수직프레임
54: 수평프레임 60: 환기 유도공간
70, 72, 74, 76: 제 1 내지 제 4유동관
80: 모래

Claims (2)

  1. 살처분 가축매몰 처리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매몰부(10);
    상기 매몰부(10)의 내면 및 바닥면을 덮어 침출수의 흡수를 차단시키는 비닐지(20);
    상기 매몰부(10)의 바닥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코코아블럭층(30) 및 제 1견운모분말층(40);
    상기 제 1견운모분말층(40) 위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환기 유도공간(60)을 사이에 두고 덮혀지는 제 2코코아블럭층(32)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32)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매몰부(10)로 매몰된 가축사체가 올려지는 제 2견운모분말층(42) ;
    상기 제 2견운모분말층(42) 위에 가축사체를 매몰한 상태에서 상기 가축사체 위에 덮혀지는 제 3코코아블럭층(34);
    상기 제 3코코아블럭층(34)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3견운모분말층(44);
    상기 제 3견운모분말층(44)의 위에 가축사체를 매몰한 상태에서 상기 가축사체 위에 덮혀지는 제 4코코아블럭층(36);
    상기 제 4코코아블럭층(36)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4견운모분말층(46);
    상기 제 1 내지 제 4견운모분말층(40, 42, 44, 46)에 끝단이 삽입되며 그 선단은 수직으로 절곡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매몰부(10) 입구 외부로 노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4유동관(70, 72, 74, 76) ;
    상기 제 4견운모분말층(46)의 위에 매몰된 가축사체를 덮어 상기 매몰부(10)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모래(80) 및 ;
    상기 모래(80)의 표면에 덮혀지는 비닐지(90)로 구성하며;
    상기 환기유도공간(60)에는 가축사체의 무게를 지탱하면서도 상기 환기유도공간(60)으로의 공기 순환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파레트가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5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코코아블럭층(32)을 받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52);
    상기 수직프레임(52) 사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52)의 기울어짐을 보강하는 수평프레임(5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2. 삭제
KR1020170098587A 2017-08-03 2017-08-03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KR10184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87A KR101849881B1 (ko) 2017-08-03 2017-08-03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87A KR101849881B1 (ko) 2017-08-03 2017-08-03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881B1 true KR101849881B1 (ko) 2018-04-17

Family

ID=6208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587A KR101849881B1 (ko) 2017-08-03 2017-08-03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8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91B1 (ko) * 2019-08-14 2019-10-25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KR102150919B1 (ko) * 2020-02-25 2020-09-03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91B1 (ko) * 2019-08-14 2019-10-25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KR102150919B1 (ko) * 2020-02-25 2020-09-03 정응식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460B1 (ko) 가축사체 처리장치
KR101766277B1 (ko) 살처분 매몰지의 환원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비료 제조방법
KR101737414B1 (ko) 고온 호기발효가 촉진되는 매몰형 사축 소멸장치
KR101849881B1 (ko)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KR20110015039A (ko) 가축 살처분 매립방법
KR100825677B1 (ko) 전염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87165B1 (ko) 폐사축 처리기 및 처리방법
CN112517599A (zh) 一种医疗废物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NZ580870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a freight container
KR101554671B1 (ko) 살처분 가축의 사체를 이용한 액비원료 제조장치
KR102091168B1 (ko) 미생물을 활용한 살처분 폐사가축 통합처리장치
KR101461848B1 (ko) 살처분 가축의 매몰 처리장치
KR101577014B1 (ko) 살처분 가축 사체의 자원화를 위한 친환경 액비제조방법
KR101590570B1 (ko) 살처분 가축 사체처리장치
KR20180130833A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150919B1 (ko)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JP2000072579A (ja) 畜産動物の排泄物処理装置
KR101284742B1 (ko) 매립지 침출액의 순환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590571B1 (ko) 탈취기 일체형 살처분 가축 사체처리장치
KR10251428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가축사체 저장탱크
CN205832233U (zh) 医疗废物及生物废物的臭氧消毒处理装置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JP2022078355A (ja) 有機物を含む処理対象物の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装置及びその脱臭方法
JP2005058633A (ja) 簡易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