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466A -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466A
KR20200056466A KR1020207013223A KR20207013223A KR20200056466A KR 20200056466 A KR20200056466 A KR 20200056466A KR 1020207013223 A KR1020207013223 A KR 1020207013223A KR 20207013223 A KR20207013223 A KR 20207013223A KR 20200056466 A KR20200056466 A KR 2020005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erminal
voltage
inpu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930B1 (ko
Inventor
류장 천
Original Assignee
엑셀세쿠 데이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셀세쿠 데이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엑셀세쿠 데이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7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ceiving antennas, e.g. rec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50Charging of capacitors, supercapacitors, ultra-capacitors or double laye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속하고,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를 공개했으며, 상기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는, 안테나(01), 정류 모듈(02), 에너지 저장 모듈(03) 및 전류 조절 모듈(04)을 포함하고, 안테나(01)는 공급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정류 모듈(02)은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제2 전압은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고, 전류 조절 모듈(04)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며, 제2 전압이 전자기장의 약화로 인해 약해지는 추세이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외부 방전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따라서, 큰 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사용함과 동시에 NFC 장치가 필드에 들어가는 순간에 에너지 저장 모듈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획득하여 NFC 필드에서 과부하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NFC 장치가 정상적인 통신을 진행하여, NFC 카드 리더기에 의해 인식되어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속하고, 특히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에서, 안테나는 수신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정류 모듈은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제2 전압은 에너지 저장 모듈을 직접 충전하고,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의 전압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모듈은 외부 방전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기존의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에서, 에너지 저장 모듈의 용량이 작을 경우, 양호한 필터링 효과를 제공할 수 없고, 시스템 부하가 큰 경우, 에너지 저장 모듈은 큰 순간 출력을 제공할 수 없어, 시스템 작동이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필드 내에 NFC장치가 없는 경우, NFC카드 리더기는 전력 소비가 줄도록 간헐적 쿼리 상태일 수 있고, RF필드는 있다가 없다가 하고, 작은 에너지 저장 모듈은 장시간 전력공급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다음 RF필드가 구축되기 전에 전기량이 소진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모듈의 용량이 크면, NFC장치를 필드 내에 배치하는 순간, 에너지 저장 모듈은 필드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얻게 되어, NFC 카드 리더기의 필드 부하가 너무 커져, NFC장치의 정상적인 통신에 영향을 미치고, 심지어 NFC 장치가 NFC 카드 리더기에 의해 인식되지 않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는 에너지 저장 모듈의 용량이 클 때 정상적인 NFC통신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의 경우 에너지 저장 모듈의 용량이 클 때 정상적인 NFC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에 있어서, 상기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는 안테나, 정류 모듈, 에너지 저장 모듈 및 전류 조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의 제1 급전단은 상기 정류 모듈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의 제2 급전단은 상기 정류 모듈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류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1 입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2 입출력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의 입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는 공급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류 모듈은 상기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을 충전하고,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전압이 전자기장의 약화로 인해 약해지는 추세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은 외부 방전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제2 전압이 전류 조절 모듈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류 조절 모듈이 충전 전류를 조절하므로, 큰 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을 사용함과 동시에 NFC 장치가 필드에 들어가는 순간에 에너지 저장 모듈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획득하여 NFC필드에서 과부하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NFC 장치가 정상적인 통신을 진행하여, NFC 카드 리더기에 의해 인식되어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할 것이며, 자명한 것은, 이하에서 설명에 사용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 당업자에게 있어, 창조적인 노동이 없이,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의 모듈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의 모듈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 구조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보여줬고,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는 안테나(01), 정류 모듈(02), 에너지 저장 모듈(03) 및 전류 조절 모듈(04)을 포함하고,
안테나(01)의 제1 급전단은 정류 모듈(02)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고, 안테나(01)의 제2 급전단은 정류 모듈(02)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정류 모듈(02)의 출력단은 전류 조절 모듈(04)의 제1 입출력단에 연결되고, 전류 조절 모듈(04)의 제2 입출력단은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입출력단에 연결된다.
상술한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에서, 안테나(01)는 공급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정류 모듈(02)은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제2 전압은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고, 전류 조절 모듈(04)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고, 제2 전압이 전자기장의 약화로 인해 약해지는 추세이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외부 방전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제2 전압이 전자기장의 약화로 인해 약해지는 추세이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외부 방전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전압 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외부 방전을 통해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의 외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제2 전압이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류 조절 모듈(04)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므로, 큰 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사용함과 동시에 NFC 장치가 필드에 들어가는 순간에 에너지 저장 모듈(03)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획득하여 NFC 필드에서 과부하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NFC 장치가 정상적인 통신을 진행하여, NFC 카드 리더기에 의해 인식되어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는 두 가지 실현방식이 있다.
제1 실현방식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전류 조절 모듈(04)은 제1 전류 제한 모듈(041) 및 일방향 도통 모듈(042)을 포함하고,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의 입력단 및 일방향 도통 모듈(042)의 출력단은 전류 조절 모듈(04)의 제1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의 출력단 및 일방향 도통 모듈(042)의 입력단은 전류 조절 모듈(04)의 제2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2 전압은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고, 전류 조절 모듈(04)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며,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전압 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방전하며, 구체적으로,
제2 전압은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고,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고,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전압 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일방향 도통 모듈(042)을 통해 방전한다.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 시,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이 충전 전류를 조절하므로, 큰 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사용함과 동시에 NFC 장치가 필드에 들어가는 순간에 에너지 저장 모듈(03)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획득하여 NFC 필드에서 과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 구조를 보여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보여줬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은 제1 전기 저항(R1)이다.
제1 전기 저항(R1)의 제1 단 및 제1 전기 저항(R1)의 제2 단은 각각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의 입력단 및 제1 전류 제한 모듈(041)의 출력단이다.
일방향 도통 모듈(042)은 제1 다이오드(D1)이다.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및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각각 일방향 도통 모듈(042)의 입력단 및 일방향 도통 모듈(042)의 출력단이다.
정류 모듈(02)은 제2 다이오드(D2), 제3 다이오드(D3), 제4 다이오드(D4) 및 제5 다이오드(D5)를 포함한다.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와 제4 다이오드(D4)의 캐소드는 정류 모듈(02)의 제1 입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3 다이오드(D3)의 애노드와 제5 다이오드(D5)의 캐소드는 정류 모듈(02)의 제2 입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와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는 정류 모듈(02)의 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와 제5 다이오드(D5)의 애노드는 전원 접지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제1 커패시터(C1)이다.
제1 커패시터(C1)의 제1 단은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입출력단이고, 제1 커패시터(C1)의 제2 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작동 원리를 결합하여 도 3에 도시된 회로를 추가로 설명한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안테나(01)는 공급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2 다이오드(D2) 내지 제5 다이오드(D5)는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제2 전압은 제1 전기 저항(R1)을 통해 제1 커패시터(C1)를 충전하고, 제1 전기 저항(R1)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므로(제1 전기 저항(R1)은 전류 제한 저항으로서 작용하므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킨다), 제2 전압이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보다 낮으면, 제1 커패시터(C1)는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방전함으로써,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이 보장되도록 한다.
상술한 실현방식은 두 가지 단점이 있다.
1) 제1 커패시터(C1)를 충전할 때, 제1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제1 전기 저항(R1)을 흐르는 충전 전류는 점점 작아져, 충전 속도가 느려진다.
2) 제1 커패시터(C1)가 외부로 방전할 때, 제1 다이오드(D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전력 공급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술한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제2 실현방식을 제공한다.
제2 실현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전류 조절 모듈(04)은 제2 전류 제한 모듈(043), 스위칭 제어 모듈(044)및 스위칭 모듈(045)을 포함하고,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의 입력단, 스위칭 모듈(045)의 제1 입출력단과 스위칭 제어 모듈(044)의 입력단은 전류 조절 모듈(04)의 제1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스위칭 모듈(045)의 제2 입출력단은 전류 조절 모듈(04)의 제2 입출력단이고, 스위칭 제어 모듈(044)의 출력단은 스위칭 모듈(045)의 제어단에 연결되고,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의 출력단은 스위칭 모듈(045)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제2 전압은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고, 전류 조절 모듈(04)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2 전압은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을 통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하고, 스위칭 제어 모듈(044)은 제어 전압을 출력하고, 스위칭 모듈(045)은 제어 전압이 전압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스위칭 모듈(045)은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직접 충전하도록 충전 통로를 스위칭 하고,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전압 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전류 조절 모듈(04)을 통해 방전하고, 구체적으로, 제2 전압이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전압 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스위칭 모듈(045)을 통해 직접 외부로 방전한다.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충전 시,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므로, 큰 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03)을 사용 시 NFC 장치가 필드에 들어가는 순간에 에너지 저장 모듈(03)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획득하여 NFC 필드에서 과부하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NFC 장치가 정상적인 통신을 진행하여, NFC 카드 리더기에 의해 인식되어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 구조를 보여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보여줬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은 제2 전기 저항(R2)이다.
제2 전기 저항(R2)의 제1 단 및 제2 전기 저항(R2)의 제2 단은 각각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의 입력단 및 제2 전류 제한 모듈(043)의 출력단이다.
스위칭 제어 모듈(044)은 제3 전기 저항(R3)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제3 전기 저항(R3)의 제1 단은 스위칭 제어 모듈(044)의 입력단이고, 제3 전기 저항(R3)의 제2 단과 제2 커패시터(C2)의 제1 단은 스위칭 제어 모듈(044)의 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2 커패시터(C2)의 제2 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된다.
스위칭 모듈(045)은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이다.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전원단(VCC) 및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제1 입출력단(B1)은 스위칭 모듈(045)의 제1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입력단(B0)은 스위칭 모듈(045)의 입력단이고,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로직 제어단(S)은 스위칭 모듈(045)의 제어단이고,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제2 입출력단(A)는 스위칭 모듈(045)의 제2 입출력단이고,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접지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된다.
정류 모듈(02)은 제2 다이오드(D2), 제3 다이오드(D3), 제4 다이오드(D4) 및 제5 다이오드(D5)를 포함한다.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와 제4 다이오드(D4)의 캐소드는 정류 모듈(02)의 제1 입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3 다이오드(D3)의 애노드와 제5 다이오드(D5)의 캐소드는 정류 모듈(02)의 제2 입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와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는 정류 모듈(02)의 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와 제5 다이오드(D5)의 애노드는 전원 접지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 모듈(03)은 제1 커패시터(C1)이다.
제1 커패시터(C1)의 제1 단은 에너지 저장 모듈(03)의 입출력단이고, 제1 커패시터(C1)의 제2 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작동 원리를 결합하여 도 5에 도시된 회로를 추가로 설명한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안테나(01)는 공급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2 다이오드(D2) 내지 제5 다이오드(D5)는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이때 제2 커패시터(C2) 상의 전압은 전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입력단(B0)은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제2 입출력단(A)에 연결되고, 제2 전압은 제2 전기 저항(R2)을 통해 제1 커패시터(C1)를 충전하고, 제2 커패시터(C2) 상의 전압이 전압 임계값을 초과하면,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은 충전 통로를 스위칭하고,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제1 입출력단(B1)은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의 제2 입출력단(A)에 연결되어, 제2 전압이 제1 커패시터(C1)를 직접 충전하도록 하여, 충전 속도를 높이고, 제2 전압이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보다 낮으면, 제1 커패시터(C1)는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U1)을 통해 방전함으로써,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함과 동시에, 추가 압력 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균등한 대체,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안테나, 정류 모듈, 에너지 저장 모듈 및 전류 조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의 제1 급전단은 상기 정류 모듈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의 제2 급전단은 상기 정류 모듈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류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1 입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2 입출력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의 입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는 공급된 전자기장 에너지를 제1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류 모듈은 상기 제1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전압을 얻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을 충전하고,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전압이 전자기장의 약화로 인해 약해지는 추세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은 외부 방전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회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은 제1 전류 제한 모듈 및 일방향 도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의 입력단과 상기 일방향 도통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1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일방향 도통 모듈의 입력단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2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을 충전하고,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며, 제2 전압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의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은 상기 일방향 도통 모듈을 통해 방전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은 제1 전기 저항이고,
    상기 제1 전기 저항의 제1 단 및 상기 제1 전기 저항의 제2 단은 각각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제1 전류 제한 모듈의 출력단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도통 모듈은 제1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각각 상기 일방향 도통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일방향 도통 모듈의 출력단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은 제2 전류 제한 모듈, 스위칭 제어 모듈 및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류 제한 모듈의 입력단,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1 입출력단 및 상기 스위칭 제어 모듈의 입력단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1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2 입출력단은 상기 전류 조절 모듈의 제2 입출력단이고, 상기 스위칭 제어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어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류 제한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모듈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2 전류 제한 모듈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을 충전하고, 상기 전압 검출 모듈은 검출 대상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은 검출 대상 전압이 전압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을 직접 충전하도록 충전 통로를 스위칭하고,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의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은 상기 스위칭 모듈을 통해 직접 외부로 방전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 제한 모듈은 제2 전기 저항이고,
    상기 제2 전기 저항의 제1 단 및 상기 제2 전기 저항의 제2 단은 각각 상기 제2 전류 제한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전류 제한 모듈의 출력단인,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모듈은 제3 전기 저항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기 저항의 제1 단은 상기 스위칭 제어 모듈의 입력단이고, 상기 제3 전기 저항의 제2 단과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1 단은 상기 스위칭 제어 모듈의 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2 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이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의 전원단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의 제1 입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1 입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의 입력단은 상기 스위칭 모듈의 입력단이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의 로직 제어단은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어단이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의 제2 입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2 입출력단이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 스위치의 접지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모듈은 제2 다이오드, 제3 다이오드, 제4 다이오드 및 제5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제4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상기 정류 모듈의 제1 입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 및 상기 제5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상기 정류 모듈의 제2 입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상기 정류 모듈의 출력단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제5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전원 접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은 제1 커패시터이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 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모듈의 입출력단이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단은 전원 접지에 연결되는,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KR1020207013223A 2017-11-24 2018-08-01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KR102185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90203.1A CN107872101B (zh) 2017-11-24 2017-11-24 一种nfc天线取电装置
CN201711190203.1 2017-11-24
PCT/CN2018/098064 WO2019100744A1 (zh) 2017-11-24 2018-08-01 一种nfc天线取电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466A true KR20200056466A (ko) 2020-05-22
KR102185930B1 KR102185930B1 (ko) 2020-12-02

Family

ID=6175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223A KR102185930B1 (ko) 2017-11-24 2018-08-01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26333B2 (ko)
EP (1) EP3713044B1 (ko)
JP (1) JP6884281B2 (ko)
KR (1) KR102185930B1 (ko)
CN (1) CN107872101B (ko)
WO (1) WO20191007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501A (ko) * 2020-06-24 2021-12-31 코나아이 (주) 스마트 카드
WO2022050683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전원 센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2101B (zh) * 2017-11-24 2019-11-15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nfc天线取电装置
EP3772155B1 (en) * 2019-07-30 2021-09-01 Infineon Technologies AG Power supply circuit that sources energy from an nfc antenna
CN112949805A (zh) * 2019-12-11 2021-06-11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Nfc卡设备供电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EP3890196B1 (en) * 2020-04-03 2023-06-21 Nxp B.V.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CN113194525B (zh) * 2021-04-26 2022-10-25 Tcl通讯(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nfc芯片的供电控制方法及供电控制装置
CN113206911A (zh) * 2021-04-28 2021-08-03 深圳市立健达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nfc无源取电发光手机壳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699A (ko) * 2012-03-30 2013-10-10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 하베스팅용 자기공진 송수신 시스템
KR20140060180A (ko) * 2012-11-09 2014-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US20150280455A1 (en) * 2014-03-31 2015-10-01 Abb Technology A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3299A (en) * 1987-06-01 1989-06-27 Power-Tech Systems Corporation Universal battery charging system and a method
JPH05191928A (ja) * 1992-01-14 1993-07-30 Toshiba Corp 電源回路
CN1052120C (zh) * 1994-03-24 2000-05-03 奥普康有限公司 用于具有电池端子的电池驱动设备的电源
GB9405904D0 (en) * 1994-03-24 1994-05-11 Connor Richard K O Solar powered supply adaptor for smoke alarm
JP4198629B2 (ja) * 2004-04-16 2008-12-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源バックアップユニット
JP2012221854A (ja) * 2011-04-12 2012-11-12 Sanyo Electric Co Ltd 出力コネクタを備えるバッテリパック
US9178569B2 (en) 2011-11-28 2015-11-03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wireless charging, tracking and monitoring of equipments
JP5836898B2 (ja) * 2012-08-01 2015-12-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5998025B2 (ja) * 2012-11-28 2016-09-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2047963B1 (ko) * 2013-05-02 2019-1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3699929B (zh) * 2014-01-08 2017-01-04 卓捷创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开关信号控制的整流与限幅电路与无源射频标签
JP6376919B2 (ja) * 2014-09-22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6345137B2 (ja) * 2015-03-09 2018-06-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ファインシステムズ 充電装置
JP6764764B2 (ja) * 2016-11-08 2020-10-07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受電制御回路、電子機器
CN107872101B (zh) 2017-11-24 2019-11-15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nfc天线取电装置
CN207573093U (zh) * 2017-11-24 2018-07-03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nfc天线取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699A (ko) * 2012-03-30 2013-10-10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 하베스팅용 자기공진 송수신 시스템
KR20140060180A (ko) * 2012-11-09 2014-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US20150280455A1 (en) * 2014-03-31 2015-10-01 Abb Technology A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501A (ko) * 2020-06-24 2021-12-31 코나아이 (주) 스마트 카드
WO2022050683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전원 센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2101B (zh) 2019-11-15
US10826333B2 (en) 2020-11-03
EP3713044A4 (en) 2020-12-30
JP6884281B2 (ja) 2021-06-09
CN107872101A (zh) 2018-04-03
EP3713044B1 (en) 2022-02-16
KR102185930B1 (ko) 2020-12-02
US20200280217A1 (en) 2020-09-03
WO2019100744A1 (zh) 2019-05-31
EP3713044A1 (en) 2020-09-23
JP2021503873A (ja)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930B1 (ko)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CN103607009B (zh) 一种带自动保护功能的充放电电路
CN115498883A (zh) 一种基于辅助绕组为开关电源控制电路供电的电路
CN105207347A (zh) 一种不间断供电的多输出电源
CN106329020A (zh) 一种锂电池防钝化电路
CN109066952B (zh) 一种低自耗电控制电路、太阳能控制器、太阳能发电系统
CN101478231B (zh) 一种具有保持时间功能的稳压电路
CN102104335A (zh) 电源三端稳压器
CN214205335U (zh) 开关电源的电压调整电路及电源系统
CN111082546B (zh) 低功率启动并有电压监视功能的数控能量收集管理电路
CN104716832A (zh) 一种开关稳压电源
CN112803526A (zh) 一种机器人的充电控制电路
CN111048055A (zh) 显示器及显示器待机功耗控制方法
CN204349801U (zh) 开关电源电路
CN203218990U (zh) 一种ct取电电路
CN217563383U (zh) 一种低功耗待机电路
CN212873311U (zh) 基于ncp785a线性稳压器的超低功耗供电电路
CN109450071A (zh) 一种供电切换电路
CN212061818U (zh) 显示器
CN111146875B (zh) 低功率启动并有电压监视功能的自关断能量收集电路
CN111130221B (zh) 低电流启动并有电压监视功能的微能量收集管理系统
CN211151607U (zh) 一种防止备用电源误导通的电路
CN219351543U (zh) 一种辅助源供电电路及开关电源
CN211580261U (zh) 一种单火开关装置
CN213693214U (zh) 电子钱包供电电路和电子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