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190A -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 Google Patents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190A
KR20200056190A KR1020180140197A KR20180140197A KR20200056190A KR 20200056190 A KR20200056190 A KR 20200056190A KR 1020180140197 A KR1020180140197 A KR 1020180140197A KR 20180140197 A KR20180140197 A KR 20180140197A KR 20200056190 A KR20200056190 A KR 2020005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dy
coupled
assembly
blad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호
Original Assignee
조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호 filed Critical 조은호
Priority to KR102018014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6190A/ko
Publication of KR2020005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3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롤러몸체에 다수의 칼날이 결합된 형태의 칼날조립체를 통해 육류 및 해산물의 칼집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칼날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브라켓부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칼날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날조립체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태의 홈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각각 독립적으로 끼워져 삽입홈의 형상을 따라 롤러봄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칼날판과, 상기 롤러몸체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칼날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칼집형성기구{Assembly typ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롤러몸체에 다수의 칼날이 결합된 형태의 칼날조립체를 통해 육류 및 해산물의 칼집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칼날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및 오징어와 같은 해산물의 경우, 요리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칼집을 형성하는 이유는 칼집을 통해 노출되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양념이 잘 배어들도록 하거나 익히는 데 있어서 좀 더 효율적이고 식감을 부드럽게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대로 얻기 위해서는 육류나 해산물에 칼집이 일정한 간격과 깊이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고기의 양이 많을 경우 칼집을 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연육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계장치는 칼집형성 과정이 간편한 이점은 있으나, 기계장치의 크기가 크고 무거운데다가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규모가 큰 전문식당이나 정육점과 같은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실정이었다.
특히 캠핑과 같은 여행을 갈 때 칼집이 형성된 육류를 미리 준비하지 못했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칼집을 내야 하는데, 숙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칼집을 일정하게 형성하지 못하여 제대로 된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칼집을 내는 과정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의도치 않게 육류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57751호(생고기의 칼집 성형장치)에 받침대에 형성된 안착홈으로 안착되는 도마와, 상기 도마 일측부의 받침대 양측으로 입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양측의 지지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양단부로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공간부를 결합하여 강성탄성부재로 탄지되는 유동틀과, 상기 유동틀을 회전시켜 도마 위의 생고기를 압지하도록 한 다음 유동틀을 직선상으로 이동시켜 도마 위의 생고기를 절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동틀의 유동수단과, 상기 유동틀의 후측부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고정볼트들에 의해 고정되고 손잡이를 고정하고 있는 커터고정틀과, 상기 커터고정틀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커터와, 상기 커터의 상측부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고정볼트로 커터고정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덮개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작두의 절단방식으로 칼집을 내는 구조여서 고기가 올려지는 도마 및 받침대가 자체가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설치규모가 커지고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21145호(육류 칼집내기용 칼)에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 공간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칼날과,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노브와, 상기 노브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칼날을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칼날의 결합공과 상기 노브의 결합공을 끼움 결합하는 칼날 및 노브 정렬봉과, 상기 노브에 결합되어 있으며 칼날들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칼날 고정 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리어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들 및 노브를 고정하고 있는 칼날 및 노브 정렬봉이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리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커터칼 형태로 상부에서 누르는 힘과 전진하는 힘에 의해 칼집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단순히 다수의 칼날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육류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로 하며 한 번에 형성하는 칼집면적이 제한적이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칼집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롤러방식의 칼집형성기구를 통해 비숙련자도 간편한 동작만으로 칼집을 내고자 하는 육류 및 해산물에 일정한 간격으로 칼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캠핑이나 출장요리에도 활용할 수 있는 조립형 칼집 형성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회전동작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롤러부분과 칼날부분을 별도의 재질로 각각 제작하여 하나의 칼날조립체로 결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조립형 칼집형성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칼날조립체의 결합구조를 견고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한 조립형 칼집형성기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브라켓부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칼날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날조립체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태의 홈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각각 독립적으로 끼워져 삽입홈의 형상을 따라 롤러봄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칼날판과, 상기 롤러몸체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칼날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적용되고, 칼날판과 고정링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의 양단부에는 고정링의 크기에 맞게 단턱부가 형성되어, 고정링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에 끼워지는 칼날판의 양단부 일정높이에는 고정링의 두께만큼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단턱부에 끼워진 고정링이 절개홈 안쪽을 지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브라켓부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칼날조립체로 이루어지며,상기 칼날조립체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태의 홈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각각 독립적으로 끼워져 삽입홈의 형상을 따라 롤러봄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칼날판과, 상기 롤러몸체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칼날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단위조립체를 복수로 구비하여 축방향으로 더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조립체의 연결은 마주보는 롤러몸체에 각각 연결축과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과 연결구멍의 결합위치는 적어도 2군데 이상으로 구성하여 연결된 단위조립체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롤러방식의 칼집형성기구를 통해 비숙련자도 간단한 동작만으로 칼집을 내고자 하는 육류 및 해산물에 일정한 간격으로 칼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캠핑이나 출장요리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분과 칼날부분이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하나의 칼날조립체로 결합됨으로써, 칼날조립체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칼날부분의 교체가 필요할 때 손상된 부분의 칼날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적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조립체의 결합구조를 견고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형 칼집형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형 칼집형성기구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칼날조립체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칼날조립체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칼날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칼날조립체가 단위조립체의 연결에 의해 구성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서 단위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칼날조립체가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3실시예의 칼날조립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립형 칼집형성기구는 크게 지지프레임(10)과 칼날조립체(20)로 이루어지는 기술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일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브라켓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조립체(20)는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칼집을 내고자 하는 음식물의 위를 지나면서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칼날조립체(20)는 브라켓부(12)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롤러몸체(100)와 칼날판(300)이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 조립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롤러몸체(100)와 칼날판(300)이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칼날조립체(20)로 결합될 경우, 칼날조립체(20)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칼날부분의 교체가 필요할 때 손상된 부분의 칼날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적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칼날조립체(20)의 구조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부(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몸체(100)와, 상기 롤러몸체(100)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태의 홈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삽입홈(200)과, 상기 삽입홈(200)에 각각 독립적으로 끼워져 삽입홈(200)의 형상을 따라 롤러봄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칼날판(300)과, 상기 롤러몸체(10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칼날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러몸체(1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브라켓부(12) 내측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축결합되는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부(12)와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 및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지만 결합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삽입홈(200)은 칼날판(300)이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롤러몸체(100)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00)은 롤러몸체(100)의 둘레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홈(200) 마다 칼날판(300)이 독립적으로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칼날판(300)은 삽입홈(200)의 크기와 대응되는 두께로 이루어진 금속판으로서, 끝 부분에 날카롭게 형성되어 육류 및 해산물에 직접적으로 칼집을 형성한다. 상기 칼날판(300)은 일자형태로 평평한 상태로 준비되어 삽입홈(200)에 끼우는 과정에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200)의 형상에 맞게 휘어지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칼날판(300)은 롤러몸체(1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상태로 준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칼날판(300)은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200)에 끼워지는 하단부와 칼날부분에 해당하는 상단부의 형상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솟아오른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칼날판(300)의 하단부를 곡선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삽입홈(200)에 원활히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단부를 곡선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칼날조립체(2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칼날판(300)의 상단부가 곡선형태가 아닌 직선형태로 형성되게 되면 칼날조립체(20)의 구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칼날판(300)의 칼날면이 전체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양쪽 끝 부분에만 접촉되면서 칼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고정링(400)은 칼날판(300)을 롤러몸체(100)에 완벽히 고정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몸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롤러몸체(10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적용되고, 칼날판(300)과 고정링(400)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적용될 경우,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에 따른 원가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칼날판(300)과 고정링(400)의 결합구조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롤러몸체(100)의 양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400)의 크기에 맞게 단턱부(110)가 형성되어, 고정링(400)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전체적인 롤러몸체(100)의 외경은 고정링(4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링(400)이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단턱부(110)는 고정링(400)의 두께에 맞게 형성되어 결합된 고정링(400)이 롤러몸체(100)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고 일체로 구성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몸체(100)에 끼워지는 칼날판(300)의 양단부 일정높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400)의 두께만큼의 절개홈(310)이 형성되어, 단턱부(110)에 끼워진 고정링(400)이 절개홈(310) 안쪽을 지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칼날판(300)이 고정링(400)이 끼워지는 부분이라도 간섭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칼날조립체(20)의 전체 폭에 대하여 칼날판(300)이 모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400)은 롤러몸체(100)의 단턱부(110)뿐만 아니라 칼날판(300)의 절개홈(310)에도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칼날판(3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롤러몸체(100), 삽입홈(200), 칼날판(300), 고정링(400)의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단위조립체(21)를 복수로 구비하여 축방향으로 더 연결하여 길이가 연장된 칼날조립체(20)를 형성한 구성이다. 물론, 칼날조립체(20)의 길이에 맞게 지지프레임(10)의 형상 또한 일부 변경적용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조립체(21)의 연결은 마주보는 롤러몸체(100)에 각각 연결축(120)과 연결구멍(130)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120)과 연결구멍(130)의 결합위치는 적어도 2군데 이상으로 구성하여 연결된 단위조립체(21)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축(120)과 연결구멍(130)의 바람직한 개수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군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2군데 설치되는 것만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실시예에서 단위조립체(21)의 연결부분에는 칼날판(300)이 서로 오차 없이 연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칼날판(300)이 롤러몸체(100)의 축방향 길이보다 약간 더 길게 연장 형성한 다음, 서로 마주보는 단위조립체(21)의 삽입홈(200)이 약간 어긋날 수 있도록 하여 칼날판(300)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단위조립체(21)끼리 칼날판(300)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가 됨으로써, 결합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문제없이 조립될 수 있어 제조편의성 및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칼집형성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롤러몸체(100), 삽입홈(200), 칼날판(300), 고정링(400)의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단위조립체(21)를 복수로 구비한 다음 축방향으로 더 연결하여 길이가 연장된 칼날조립체(20)를 앞뒤로 각각 설치하는 구성이다.
즉, 제3실시예는 전방에서 설치된 칼날조립체(20)와 후방에 설치된 칼날조립체(20)는 서로 다른 회전축으로 회전되며 전,후방의 칼날조립체(20)는 칼날판(300)의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칼집형성기구를 통해 형성된 칼집이 다이아몬드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지지프레임 11 : 손잡이
12 : 브라켓부 20 : 칼날조립체
21 : 단위조립체 100 : 롤러몸체
110 : 단턱부 120 : 연결축
130 : 연결구멍 200 : 삽입홈
300 : 칼날판 310 : 절개홈
400 : 고정링

Claims (6)

  1. 일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브라켓부(12)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칼날조립체(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날조립체(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부(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몸체(100)와,
    상기 롤러몸체(100)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태의 홈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삽입홈(200)과,
    상기 삽입홈(200)에 각각 독립적으로 끼워져 삽입홈(200)의 형상을 따라 롤러봄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칼날판(300)과,
    상기 롤러몸체(10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칼날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10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적용되고, 칼날판(300)과 고정링(400)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100)의 양단부에는 고정링(400)의 크기에 맞게 단턱부(110)가 형성되어, 고정링(40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100)에 끼워지는 칼날판(300)의 양단부 일정높이에는 고정링(400)의 두께만큼의 절개홈(310)이 형성되어, 단턱부(110)에 끼워진 고정링(400)이 절개홈(310) 안쪽을 지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5. 일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브라켓부(12)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칼날조립체(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날조립체(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부(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러몸체(100)와, 상기 롤러몸체(100)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태의 홈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삽입홈(200)과, 상기 삽입홈(200)에 각각 독립적으로 끼워져 삽입홈(200)의 형상을 따라 롤러봄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칼날판(300)과, 상기 롤러몸체(10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칼날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400);을 포함하는 단위조립체(21)를 복수로 구비하여 축방향으로 더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립체(21)의 연결은 마주보는 롤러몸체(100)에 각각 연결축(120)과 연결구멍(130)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120)과 연결구멍(130)의 결합위치는 적어도 2군데 이상으로 구성하여 연결된 단위조립체(21)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KR1020180140197A 2018-11-14 2018-11-14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KR20200056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97A KR20200056190A (ko) 2018-11-14 2018-11-14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97A KR20200056190A (ko) 2018-11-14 2018-11-14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90A true KR20200056190A (ko) 2020-05-22

Family

ID=7091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97A KR20200056190A (ko) 2018-11-14 2018-11-14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6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18A (ko) 2021-07-13 2023-01-20 이주헌 칼집 형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18A (ko) 2021-07-13 2023-01-20 이주헌 칼집 형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75580A (en) Hot dog knife
CN105619473B (zh) 食物切割器
KR20200056190A (ko) 조립형 칼집형성기구
CN202062442U (zh) 一种家用切割器
CN205415726U (zh) 食物切割器
CN205668287U (zh) 小型电动剁肉机
KR20160059701A (ko)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CN204617036U (zh) 一种螺旋状面筋旋切装置
CN204600266U (zh) 切菜器
CN204221845U (zh) 一种螺旋式果蔬切片器
KR20130017741A (ko) 윙봉 절단기
CN205685360U (zh) 一种组合式水果切片工具
CN203379027U (zh) 果蔬刨丝器
CN210582230U (zh) 一种可以自动旋转的烤箱托盘
US2649882A (en) Cutting knife for food choppers
CN110583731B (zh) 一种带花边形状刀削面的切削装置
KR20200000324U (ko) 고기 펀칭 기구
JP2011156435A (ja) スライサー
CN208714088U (zh) 一种旋转切片机
KR102001622B1 (ko) 육류의 칼집형성용 기구
US4307843A (en) Slicer for food products
CN107980833B (zh) 可调划面组刀
US2126100A (en) Food cutter
CN204772604U (zh) 一种多刃厨用刀具
TWM564923U (zh) 肉類的刀紋形成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