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172A -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172A
KR20200056172A KR1020180140168A KR20180140168A KR20200056172A KR 20200056172 A KR20200056172 A KR 20200056172A KR 1020180140168 A KR1020180140168 A KR 1020180140168A KR 20180140168 A KR20180140168 A KR 20180140168A KR 20200056172 A KR20200056172 A KR 2020005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lf mirror
light
finishing panel
cl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강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주식회사 모인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주식회사 모인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4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6172A/ko
Publication of KR2020005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44F1/045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having mirrors or metallic or reflective layers at the back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문자나 로고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및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도록 투영성 재질로 수지성형물(20)의 본체(21)가 사출 성형되고, 상기 수지성형물(20)의 본체(21) 상부면에는 차폐부(121)와 투영부(122)가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용색소가 함유된 불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차폐성 잉크가 패드프린팅되면서 하부패턴층(120)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성 잉크가 패드 프린팅되면서 차폐부(121)와 투영부(122)가 형성된 하부패턴층(120)의 상부면이 평탄화되도록 클리어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는 상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 및 상기 클리어층(130)을 통과하여 하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이 기 설정된 반사율및 설정된 투과율로 투과되도록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 광택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하프미러층(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프미러층(140)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왜곡되도록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투명잉크가 양각으로 프린팅되면서 상부패턴층(150)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Closing panel of in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석 전방이나 도어의 내측에는 내장재가 부착되는데, 이와 같은 자동차용 내장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기능은 물론, 차량의 사고시 탑승자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내부에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과 같이 탄성을 갖는 충진물을 주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완충력에 의해 탑승자에 대한 보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내부 운전석 및 조수석 주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및 오디오데크, 기어변속부, 에어백, 도어잠금부 및 창문개폐부 등에는 각종의 제어부 및 편의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는 인스트루먼 트 패널이나 도어트림과 같은 내장재에 절취 형성된 설치공에서 외부로 드러나도록 설치되며,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의 외곽과 내장재 사이의 틈새에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설치되어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용 내장 마감 패널이라 함은, 대시보드부 마감 패널, 오디오부 마감 패널,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 원도우스위치부 마감 패널뿐만 아니라, 차체개구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발로 밟더라도 웨저스트립이 밀려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미관상에도 보기가 좋도록 하는 도어 스카프 등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 마감 패널은 자동차 내부의 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가 개성화 되는 현 추세에 있어서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장재 마감 패널 또한 내장재와 동일하게 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나 쿳션감을 갖는 합성수지 폼(foam) 등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로는 그 표면에 도금등의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그 표면에 다양한 모양을 인쇄하기가 곤란하고 결국 미려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 자동차의 실내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근자에 들어 일명 우드그레인(wood grain)이라 칭하는 박판 필름지로 이루어지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개발되어 그 표면을 다소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 실내분위기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우드그레인은 외표면에 나무와 똑같은 우드그레인 화학특수도료를 시공한 것으로서, 나무와 똑같은 색상과 무늬결을 외표면에 만들 수 있어 탑승자로 하여금 색다른 분위기를 느끼게 하여 다소 자동차 실내의 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우드그레인의 경우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모두 원목과 같은 질감만을 제공할 뿐 별다른 특이한 디자인 감을 제공하지 못하여 탑승자 등이 식상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있어서는, 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나 쿳션감을 갖는 합성수지 폼(foam) 등으로 제작되는 경우 이러한 연질재료에는 크롬 도금 등을 수행하기가 불가능하여 자동차의 실내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우드그레인을 적용하는 경우 우드그레인의 종류가 다양하지만 모두 원목과 같은 질감을 제공할 뿐 별다른 특이한 디자인 감을 제공할 수 없어 자동차가 개성화되고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에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 기호 및 욕구에 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 내부를 보다 미려하기 위하여 한정된 변형과 옵션만이 사용되는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패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해짐으로써 제조비용이 증가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1634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문자나 로고 등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및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도록 투영성 재질로 수지성형물의 본체가 사출 성형되고, 상기 수지성형물의 본체 상부면에는 차폐부와 투영부가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용색소가 함유된 불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차폐성 잉크가 패드프린팅되면서 하부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성 잉크가 패드 프린팅되면서 차폐부와 투영부가 형성된 하부패턴층의 상부면이 평탄화되도록 클리어층이 형성되고, 상기 클리어층의 상부에는 상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 및 상기 클리어층을 통과하여 하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이 기 설정된 반사율및 설정된 투과율로 투과되도록 상기 클리어층의 상부에 광택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하프미러층이 형성되며, 상기 하프미러층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왜곡되도록 하프미러층의 상부에 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투명잉크가 양각으로 프린팅되면서 상부패턴층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도가 충분한 주간에는 하프미러층에서 반사된 외부 빛을 통해 상부패턴층이 표시되고, 야간에는 점등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통해 하부패턴층의 제1패턴인 문자나 로고 등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고급스러운 외관이 제공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패널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광원이 발광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부 마감패널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부 마감패널의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패널의 평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광원이 발광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부 마감패널의 배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일 실시예인 대시보드부 마감패널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100)은, 대시보드 즉 크러쉬패드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차내측에서 마감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10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부착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투영성 재질로 수지성형물(110)이 사출성형 된다.
상기 수지성형물(110)은 형상을 형성하는 수지성형물 본체(111)와, 수지성형물 본체(111)의 하부면에는 차체와 조립을 위한 클립(112)을 구비하는데, 클립(112)은 수지성형물 본체(111)와 함께 사출성형 시에 성형된다.
한편, 상기 수지성형물(110)의 본체(111) 상부면에는 차폐부(121)와 투영부(122)가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용색소가 함유된 불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차폐성 잉크가 패드프린팅되면서 하부패턴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성 잉크가 패드 프린팅되면서 차폐부(121)와 투영부(122)가 형성된 하부패턴층(120)의 상부면이 평탄화되도록 클리어층(130)이 형성되며,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는 상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 및 상기 클리어층(130)을 통과하여 하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이 기 설정된 반사율 및 설정된 투과율로 투과되도록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 광택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하프미러층(140)이 형성되고, 상기 하프미러층(140)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왜곡되도록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투명잉크가 양각으로 프린팅되면서 상부패턴층(1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폐성 잉크는 흑색의 안료가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로서, 뭉치는 현상 없이 정확한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지성형물(110)의 상부면에 전사되어, 광원으로부터 분출되는 빛을 정확하게 차폐하여 투영부(122)로 투과되는 빛의 외부에 뚜렷한 경계를 형성시키면서 한층 고급스럽고 화려한 조명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패턴층(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클리어층(130)은 우레탄 계열의 수지에 유기용용제가 혼합된 클리어잉크가 차폐부(121)와 투영부(122)의 표면 높이차가 제거되도록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어, 상기 차폐성 잉크 내지 상기 상부패턴층(150)을 형성하는 투명잉크보다 높은 흐름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투명하다는 말은 투영부(122)를 통과한 빛이 투과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리어 잉크는 광원(200)의 빛이 색상변화없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무색으로 구비되거나 유색 염료의 첨가를 통해 광원(200)의 빛이 색생변화되어 투과되도록 투명한 유색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투과성과 반사성을 동시에 갖는 하프미러층(140)은 입사된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으로부터 상기 하프미러층(140)을 투과하여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이 하프미러층(140)의 상부로 입사되어 상기 하프미러층(140)에서 반사되는 외부 빛의 광량 보다 큰 경우에는 광원(200)의 빛이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우선하여 표시되고, 상기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으로부터 발생되면서 하프미러층(140)을 투과하는 광량이 하프미러층(140)의 상부로 입사되어 상기 하프미러층(140)에서 반사되는 외부 빛의 광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프미러층(140)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우선하여 표시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율 및 투과율은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의 휘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광원(200)의 점등시 광원(200)의 빛이 하프미러층(140)에 의해 반사된 빛에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표면은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이 소등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입사된 빛 중 반사된 일부 빛을 통해 거울과 같은 광택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이 점등되면 외부 빛의 반사를 통한 광량보다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이 커지게 됨으로서, 상기 광원(200)의 빛에 의해 투영부(122)의 형상이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표면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하프미러층(140)은 광택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광택성 나노 입자는 은, 카본, 알루미늄, 크롬, 니켈 및 은, 카본, 알루미늄, 크롬, 니켈 각각의 합금 입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입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반사율과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프미러층(140)은 광택성 나노 입자를 직접 상기 클리어층(130)의 표면에 진공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택성 나노 입자를 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에 첨가한 후 상기 클리어층(130)의 표면에 스프레이 분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프미러층(140)이 빛의 투과성과 반사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면서도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 균일한 두께와 평탄한 표면을 갖는 얇은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품의 적층 두께가 최소화되어 컴팩트화 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패턴층(150)은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기설정된 제2패턴을 따라 유색 투명 또는 무색 투명의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로 구비된 투명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클리어층(130)과 유사하게 빛의 투과성을 갖되, 상기 클리어층(130)과 상기 상부패턴층(150)이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턴층(150)은 투명잉크가 패드 프린팅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입체 질감을 갖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턴층(150)은 상기 하프미러층(140)에 의해 반사된 빛을 왜곡시킨다.
즉, 상기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의의 소등시 상부로부터 입사된 외부 빛이 상기 하프미러층(140)에서 반사되어 상기 상부패턴층(150)을 통과하되, 상기 상부패턴층(150)의 내부에서 굴절 내지는 산란되면서 방출된다.
즉, 상기 하프미러층(140)에 의해 반사된 빛이 투명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으로 직접 방출될 때와, 투명잉크가 도포된 영역을 통과하여 방출될 때 방출 방향, 광량 등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상기 하프미러층(140)이 직접 노출되어 거울 광택을 나타내며, 상기 투명잉크가 도포된 영역에서는 양각층을 투과함에 따른 왜곡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산란된 빛을 통해 입체적인 질감이 강조되어 표시되어 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패턴층(150)은 상기 광원(200)의 소등시 하프미러층(140)에서 반사된 빛이 제2패턴의 외곽에 거울 광택으로 경계를 형성하되, 하프미러층(140)에서 반사된 외부 빛이 투명한 양각층을 통과하며 굴절 및 산란되어 입체 질감이 강조되므로 고급스럽고 미려한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상부패턴층(150)은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투명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광원(200)의 점등시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에 의한 상기 하부패턴층(120)의 제1패턴이 상기 상부패턴층(150)에 우선하여 표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은 상이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원(200)의 점등 및 소등에 따라 상이한 패턴이 표시될 수 있어 매우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이 제공되어 지게 된다.
이처럼, 빛의 투과성 및 반사성을 동시에 갖는 하프미러층(140)의 하부 및 상부에 상이한 패턴 이미지를 갖는 상부패턴층(150) 및 하부패턴층(120)이 구비되므로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의 광량에 따라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표시되는 패턴 이미지가 전환된다.
한편, 상기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의 소등으로 광량이 적은 경우에는 하프미러층(30)에서 반사된 외부 빛을 통해 상부패턴층(150)의 입체적인 질감이 표시되고, 상기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의 점등으로 방출되는 광량이 많은 경우에는 투영부(122)를 통과하는 광원의 빛을 통해 하부패턴층(120)의 제1패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다시 말해, 조도가 충분한 주간에는 하부미러층(140)에서 반사된 외부 빛을 통해 상부패턴층(150)이 표시되고, 야간에는 점등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통해 하부패턴층(120)의 제1패턴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고급스러운 외관이 제공 되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패턴층(150)의 상부에는 상기 클리어 잉크를 이용한 커버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하프미러층(140)과 상기 상부패턴층(15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100 : 마감 패널
110 : 수지성형물
111 : 본체
112 : 클립
120 : 하부패턴층
121 : 차폐부
122 : 투영부
130 : 클리어층
140 : 하프미러층
150 : 상부패턴층

Claims (5)

  1.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및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도록 투영성 재질로 수지성형물(110)의 본체(111)가 사출 성형되고, 상기 수지성형물(110)의 본체(21) 상부면에는 차폐부(121)와 투영부(122)가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용색소가 함유된 불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차폐성 잉크가 패드프린팅되면서 하부패턴층(120)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성 잉크가 패드 프린팅되면서 차폐부(121)와 투영부(122)가 형성된 하부패턴층(120)의 상부면이 평탄화되도록 클리어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는 상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 및 상기 클리어층(130)을 통과하여 하부로 부터 입사되는 빛이 기 설정된 반사율및 설정된 투과율로 투과되도록 상기 클리어층(130)의 상부에 광택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하프미러층(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프미러층(140)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왜곡되도록 하프미러층(140)의 상부에 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투명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투명잉크가 양각으로 프린팅되면서 상부패턴층(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성잉크는 흑색의 안료가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턴층(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클리어층(130)은 우레탄 계열의 수지에 유기용용제가 혼합된 클리어잉크가 차폐부(121)와 투영부(122)의 표면 높이 차가 제거되도록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층(140)의 표면은 마감 패널(100)의 하부에 구비된 광원(200)이 소등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입사된 빛 중 반사된 일부 빛을 통해 거울과 같은 광택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하프미러층(140)은 광택성 나노 입자가 직접 상기 클리어층(130)의 표면에 진공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KR1020180140168A 2018-11-14 2018-11-14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KR20200056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68A KR20200056172A (ko) 2018-11-14 2018-11-14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68A KR20200056172A (ko) 2018-11-14 2018-11-14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72A true KR20200056172A (ko) 2020-05-22

Family

ID=7091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68A KR20200056172A (ko) 2018-11-14 2018-11-14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61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50B1 (ko) 2010-07-29 201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50B1 (ko) 2010-07-29 201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6147B2 (en) Back-illuminated panel with ultraviolet protection
EP2176089B1 (en) Illuminated component for a vehicle
US8506101B2 (en) Back-illuminated switch panel
US20120001406A1 (en) Non-electrical methods for illumination of airbag emblems
US7887115B2 (en) Overhead console
US20080203755A1 (en) Interior trim element
KR20120032356A (ko) 자동차용 발광 가니쉬
US11273758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EP3883806B1 (en) Skin for a vehicle interior trim part comprising a light source
US20230294341A1 (en) Molding having a translucent surfac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lding having a translucent surface layer
KR20200056173A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KR20200056172A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JPH11348223A (ja) 表面加工品
CN112638638A (zh) 由塑料制成的多层复合膜
US10730453B2 (en) Garnish and vehicle door including the same
US11280951B2 (en) Vehicle panel for emitting stereoscopic pattern
KR100426375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3853555B2 (ja) 自動車用ハンドル及び内装部品とその加飾方法
WO2023187843A1 (en) A motor-vehicle interior component with a backlit decorative panel
JP2553066Y2 (ja) 光輝装飾体
JP5633324B2 (ja) 樹脂部材の見切り構造
CN116669336A (zh) 包括装饰层以及显示屏幕的装配元件以及相关制造方法
JPH0671122U (ja) 自動車用マ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