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817A -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817A
KR20200055817A KR1020180136301A KR20180136301A KR20200055817A KR 20200055817 A KR20200055817 A KR 20200055817A KR 1020180136301 A KR1020180136301 A KR 1020180136301A KR 20180136301 A KR20180136301 A KR 20180136301A KR 20200055817 A KR20200055817 A KR 2020005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less communication
autonomous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761B1 (ko
Inventor
연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Priority to KR102018013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7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깅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저장장치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로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 로깅장치에 있어서, 저장장치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분리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는 중간중간에 연구원 또는 개발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주변 근거리로 이동하는 사이에 저장장치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 로깅장치{LOGGING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 로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깅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저장장치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로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차는 사람의 입력 없이 주변환경을 확인하고 운행할 수 있는 자동차로서, 레이저, GPS, 디지털 카메라 등 주변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조합되어 있으며, 예측 제어 시스템은 적정한 주행 경로뿐만 아니라 교통 신호와 장애물을 인식하는 입력된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율주행차의 연구 및 개발을 위해 로깅장치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로깅장치는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기록과 보존, 이용자의 습성 조사 및 시스템 동작의 분석 등을 저장하며, 많게는 한 대의 자율주행차에 8대를 동시에 장착하기도 한다.
자율주행차의 로깅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7817호(공개일자 2016년03월10일)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환경 인식장치 및 방법’ 및 공개특허 제10-2017-0118501호(공개일자 2017년10월25일) ‘자율주행차량의 주행경로 생성장치 및 방법’ 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의 로깅장치의 내부에는 NVMe 등의 고용량의 저장장치가 내장되는데, 이러한 저장장치는 컴퓨터의 저장장치로 저장하기 위해 분리가능하게 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로깅장치 내의 저장장치는 연구 및 개발을 위해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므로 항상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연구 및 개발이 끝난 상황에서는 자율주행차에서 로깅장치를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므로 도난의 위험이 없겠으나,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는 중간중간에 연구원 또는 개발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주변 근거리로 이동하는 사이에 도난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7817호(공개일자 2016년03월10일)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18501호(공개일자 2017년10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는 중간중간에 연구원 또는 개발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주변 근거리로 이동하는 사이에 저장장치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로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 로깅장치에 있어서, 저장장치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분리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방부의 양측 단부 내면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결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느 한 걸림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다른 걸림편에는 핑거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에 형성된 인출공에 연이어져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는 중간중간에 연구원 또는 개발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주변 근거리로 이동하는 사이에 저장장치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깅장치의 저면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깅장치의 커버를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율주행차 로깅장치는, 저장장치(1)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10), 본체(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20), 커버(20)의 분리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30), 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40), 센서(30) 및 무선 통신 모듈(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50), 무선 통신 모듈(40)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6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체(10)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일측에는 손잡이(1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발산시키도록 방열핀(도시생략)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저장장치(1)를 내부로 넣거나 밖으로 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개방부(12)의 양측 단부 내면에는 걸림편(1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20)가 본체(10)의 내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도 2에 도시된 우측의 걸림편(13)에는 결합공(13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버(20)의 결합돌기(2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좌측의 걸림편(13)에는 핑거홀(13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버(20)의 인출공(22)을 통해 손가락을 넣어서 본체(10)에서 커버(20)를 용이하게 분리하게 된다.
본체(10)는 실시간 비압축 비디오 스트림과 CAN 데이터를 플레이(play) 및 리코딩(recording)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메인보드(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 포트, SD 카드 포트, CAN 포트, USB 포트, Etherner 포트, BT/WiFi 포트, GPS 포트 등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보드에는 저장장치(1)로서 NVMe 등이 터미널(terminal, 도시생략)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접속된다.
센서(30)는 커버(20)의 분리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센서(30)는 커버(20)의 내면에 설치된 광센서로 구현되어 커버(20)의 분리 시 빛을 감지한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40)로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광센서는 상기 메인보드의 일면에 설치되어 커버(20)의 분리 시 개방부(12)를 통해 유입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40)은 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스마트폰(60)으로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40)은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비콘(Beacon)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전원 모듈(50)은 센서(30) 및 무선 통신 모듈(4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전원 모듈(50)은 본체(10)의 전원 단자로부터 입력된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로 구현된다.
스마트폰(60)은 무선 통신 모듈(40)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스마트폰(60)에는 앱(app)이 설치되어 무선 통신 모듈(40)에서 출력된 신호, 예컨대 커버(20)의 분리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구원 또는 개발자는 스마트폰(60)에 앱을 설치한 후 스마트폰(60)의 무선 통신 모듈(40)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본체(10)본체(10)접시키면 커버(20)에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40)이 작동되어 센서(30)가 활성화 된다.
인출공(22)으로 손가락을 넣어 커버(20)를 열면, 센서(30)가 개방부(12)를 통해 유입된 빛을 감지하여 무선 통신 모듈(40)로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를 입력받은 무선 통신 모듈(40)은 해당 신호를 연구원 또는 개발자의 스마트폰(6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60)의 무선 통신 모듈(40)로부터 해당신호를 수신하면, 앱은 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커버(20)의 개방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연구원 또는 개발자는 커버(20)의 개방 상태를 확인하여 분실 방지에 대한 대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저장장치 10 : 본체
12 : 개방부 20 : 커버
30 : 센서 40 : 무선 통신 모듈
50 : 전원 모듈 60 : 스마트폰

Claims (3)

  1. 자율주행차 로깅장치에 있어서,
    저장장치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분리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양측 단부 내면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결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걸림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다른 걸림편에는 핑거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에 형성된 인출공에 연이어져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KR1020180136301A 2018-11-08 2018-11-08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KR10212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01A KR102125761B1 (ko) 2018-11-08 2018-11-08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01A KR102125761B1 (ko) 2018-11-08 2018-11-08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17A true KR20200055817A (ko) 2020-05-22
KR102125761B1 KR102125761B1 (ko) 2020-06-23

Family

ID=7091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01A KR102125761B1 (ko) 2018-11-08 2018-11-08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779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위드원 디지털 사물함을 장착한 서랍장
KR200470257Y1 (ko) * 2013-05-03 2014-01-17 (주)카네비컴 레인센서커버 연결형 차량용 블랙박스
KR20160027817A (ko) 2014-09-02 201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환경 인식장치 및 방법
KR20170118501A (ko) 2016-04-15 2017-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경로 생성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779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위드원 디지털 사물함을 장착한 서랍장
KR200470257Y1 (ko) * 2013-05-03 2014-01-17 (주)카네비컴 레인센서커버 연결형 차량용 블랙박스
KR20160027817A (ko) 2014-09-02 201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환경 인식장치 및 방법
KR20170118501A (ko) 2016-04-15 2017-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경로 생성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761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721B2 (en) Pipe inspection systems with self-grounding portable camera controllers
KR102360334B1 (ko)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4112371B (zh) 安全预警方法、装置、系统及设备
KR20160142186A (ko) 전자 장치
KR101386854B1 (ko)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20130020061A (ko) 정보 전달 시스템, 이동통신단말 및 방법
TWI538828B (zh) 車載輔助裝置及採用車載輔助裝置之汽車
US20170108894A1 (en) Device Encasement System with enhancing features
US9437085B1 (en) In-basket digital donation system
KR101361845B1 (ko) 휴대폰 후면용 덮개
KR102125761B1 (ko) 자율주행차 로깅장치
US20140287615A1 (en) Connection illumination using communication elements
KR101638940B1 (ko)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KR101494199B1 (ko) 쌍방향 통신기능과 영상 음향 기능을 내장한 영상 선물 박스
KR20130020060A (ko) 정보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 및 방법
CN205302410U (zh) 行车记录仪
CN208506965U (zh) 一种基于树莓派的交通标识检测装置
US20130241717A1 (en) Mobile high-definition link with built-in power supply
KR20200100655A (ko) 온-스크린 전송용 키
KR20130134412A (ko)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EP2932735B1 (fr) Systeme pour echanger des donnees a distance avec une radio-etiquette nfc
KR200491445Y1 (ko) 차량의 네비게이션 케이블 커넥팅 장치
ES2336186B1 (es) Terminal de procesamiento de tarjetas con pantalla tactil.
CN206584420U (zh) 一种可以插3g sim卡的后视镜记录仪
KR101523972B1 (ko) 사고기록장치용 촬영제어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