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412A -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412A
KR20130134412A KR1020120057892A KR20120057892A KR20130134412A KR 20130134412 A KR20130134412 A KR 20130134412A KR 1020120057892 A KR1020120057892 A KR 1020120057892A KR 20120057892 A KR20120057892 A KR 20120057892A KR 20130134412 A KR20130134412 A KR 2013013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imag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부연
Original Assignee
조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부연 filed Critical 조부연
Priority to KR102012005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412A/ko
Publication of KR2013013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당시의 영상을 사용자확인기기에서 통신을 통하여 확인하고, 사고 당시의 영상을 수동 혹은 자동으로 데이터저장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은,
차량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120)와,
외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내장형메모리(13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외장형메모리(140)와,
외부 장치와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포트(1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블랙박스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랙박스(100)와;
통신채널(200)을 통하여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하며,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확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형메모리를 탈착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삽입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MMC, SD 카드와 같은 착탈식 외장형메모리를 대신하여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메모리 혹은 메모리램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횟수로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Black Box data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당시의 영상을 사용자확인기기에서 통신을 통하여 확인하고, 사고 당시의 영상을 수동 혹은 자동으로 데이터저장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확인하려면 블랙박스에서 외장형메모리를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외장형메모리를 블랙박스에서 탈착하여 이를 사용자확인기기에서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사용자확인기기로는 노트북, PC, 휴대폰, 네비게이션, MP3, PNP 등이 있어서 상기 외장형메모리를 읽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블랙박스의 외장형메모리는 주로 SD 카드가 사용되는데 데이터를 블랙박스의 특성상 수시로 쓰고 그리고 지우고 다시 쓰고 하는 일이 반복되기 때문에 결국 데이터 저장의 신뢰성마저도 사라지게 된다.
또한, 사고 영상이 사고 당시 즉시 데이터저장서버에 저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였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형메모리를 탈착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삽입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MC, SD 카드와 같은 착탈식 외장형메모리를 대신하여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메모리 혹은 메모리램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횟수로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당시에 실시간으로 데이터저장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은,
차량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120)와,
외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내장형메모리(13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외장형메모리(140)와,
외부 장치와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포트(1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블랙박스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랙박스(100)와;
통신채널(200)을 통하여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하며,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확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은,
외장형메모리를 탈착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삽입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MMC, SD 카드와 같은 착탈식 외장형메모리를 대신하여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메모리 혹은 메모리램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횟수로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고 당시에 실시간으로 데이터저장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사용자확인기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사용자확인기기의 블랙박스 재생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사용자확인기기의 스마트폰에 폴더로 저장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은,
차량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120)와,
외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내장형메모리(13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외장형메모리(140)와,
외부 장치와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포트(1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블랙박스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랙박스(100)와;
통신채널(200)을 통하여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하며,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확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를,
블랙박스와 데이터저장서버의 사이에서 통신중계를 하는 중계기기로 사용하며, 블랙박스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서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신채널(200)은,
블루투스 통신(무선통신) 혹은 케이블로 연결된 유선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와 데이터저장서버 사이의 통신은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스트리밍처리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파일수신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파일수신모듈(340)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파일수신모듈(340)과,
파일 송신여부를 자동으로 할 것인지 수동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옵션모듈(360)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실행부와,
어플 실행 후 통신모듈에 의해 블랙박스와 통신시 연결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설정모듈과,
연결설정모듈에 의해 연결시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에 재생시키기 위한 영상재생모듈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모듈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은,
차량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120)와,
외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내장형메모리(13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외장형메모리(140)와,
외부 장치와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포트(1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블랙박스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랙박스(100)와;
통신채널(200)을 통하여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하며,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확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충격감지센서(120)는 차량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자이로센서 혹은 진동센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차량의 사고 당시의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 당시의 영상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블랙박스의 전원부는 차량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데, 내부 회로에 콘덴서를 구비하여 3~10 초 정도 사고로 차량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시에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내부에 충전 배터리를 구비하기도 한다.
보통 블랙박스는 MMC, SD 카드 등 외장형메모리를 구비하고 블랙박스용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하여 내장형메모리를 함께 사용하게 되며, 내장형메모리는 롬 혹은 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MMC, SD 카드와 같은 외장형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지만, 외장형메모리 대신에 내장형메모리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내부메모리에 영상을 저장하지 않는 것은 저장된 메모리의 영상을 사용자확인기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신채널(200)이 블랙박스에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MMC, SD 카드는 쓰기 횟수가 제한적이고, 블랙박스에서는 영상을 포착하여 저장을 하다가 메모리가 차게 되면, 오래된 파일을 지우고 다시 쓰거나, 전체 포맷을 하고 다시 사용하므로 보통 2 내지 3 개월에 착탈식 외장형메모리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메모리를 사용하거나 램을 내장형메모리로 구비하여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 연결하여 스크리밍서비스로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거나, 파일 전송하여 사용자가 사용자확인기기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트리밍 전송은 파일 자체는 블랙박스에 그대로 있지만, 영상은 사용자확인기기에서 볼 수 있는 것이며, 파일전송은 파일이 블랙박스에서 사용자확인기기의 메모리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블랙박스에서는 케이블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310)을 구성하고 있거나,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확인기기의 블랙박스 재생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 기능은 블랙박스가 착탈식 메모리에 얽매이지 않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사용자확인기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사용자확인기기로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네비게이션, PNP, MP3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영상을 볼 수 있는 영상모니터,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스피커,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랙박스와 데이터저장사버(500)의 사이에서 통신 중계를 하는 중계기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블랙박스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서버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확인기기가 중계기기로 기능할 시에는 파일 전송 기능을 통하여 블랙박스에서 사용자확인기기 그리고 데이터저장서버로 파일이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사용자확인기기는 데이터저장서버와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인 경우에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접속될 수 있고, 3G 혹은 4G 같은 무선전화망을 이용한 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및 PNP, MP3 등 와이파이만을 지원하는 기기는 3G 혹은 4G로 접속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차량 사고가 있을 시에는 충격감지센서는 사고를 감지하여 포착된 영상을 정해진 신호와 함께 사용자확인기기에 파일 전송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확인기기는 정해진 신호를 받으면, 포착된 영상을 파일 전송받아 데이터저장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의 사용자확인기기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스트리밍처리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유선 통신일 경우에는 블랙박스와 사용자확인기기 간에 호환이 가능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상기 스트리밍처리모듈(330)은 블랙박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파일수신모듈(340)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일송신서버(350)는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원격지에 구성되거나, 주변에 존재하는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옵션모듈(360)은 파일 송신여부를 자동으로 할 것인지 수동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자확인기기의 외부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되면 될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실행부와,
어플 실행 후 통신모듈에 의해 블랙박스와 통신시 연결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설정모듈과,
연결설정모듈에 의해 연결시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에 재생시키기 위한 영상재생모듈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모듈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와 사용자확인기기가 스마트폰일 경우에 블랙박스와 스마트폰은 블루투스나 기타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블랙박스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스마트폰을 가지고 자동차에 들어오면 블랙박스와 연결하시겠습니까?라는 멘트를 스마트폰에 출력하게 되는데, 여기서 연결을 선택하게 되면, 통신모듈에 의해 블랙박스와 스마트폰간에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스마트폰에는 어플이 탑재되어 있으며, 해당 어플을 사용자가 클릭하게 되면 어플실행부에 의해 어플이 실행되게 된다.
도 4와 같이, 스마트폰에 폴더로 저장되게 된다.
이때, 연결설정모듈에 의해 어플 실행 후 블랙박스와 통신시 연결 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재생모듈을 통해 연결시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에 재생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된 영상 정보를 스마트폰의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영상정보저장모듈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송신서버(350)의 처리에 의해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외장형메모리를 탈착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삽입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확인기기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MMC, SD 카드와 같은 착탈식 외장형메모리를 대신하여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메모리 혹은 메모리램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횟수로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고 당시에 실시간으로 데이터저장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블랙박스
110 : 카메라
120 : 충격감지센서
130 : 내장형메모리
140 : 외장형메모리
150 : 데이터송수신포트
160 : 블랙박스제어부
170 : 전원부
200 : 통신채널
300 : 사용자확인기기

Claims (9)

  1.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120)와,
    외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내장형메모리(130)와,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외장형메모리(140)와,
    외부 장치와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포트(1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블랙박스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랙박스(100)와;
    통신채널(200)을 통하여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하며,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확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를,
    블랙박스와 데이터저장서버의 사이에서 통신중계를 하는 중계기기로 사용하며, 블랙박스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서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200)은,
    블루투스 통신(무선통신) 혹은 케이블로 연결된 유선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와 데이터저장서버 사이의 통신은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스트리밍처리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파일수신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파일수신모듈(340)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블랙박스로부터 파일송신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파일수신모듈(340)과,
    파일 송신여부를 자동으로 할 것인지 수동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옵션모듈(360)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확인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310)과,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실행부와,
    어플 실행 후 통신모듈에 의해 블랙박스와 통신시 연결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설정모듈과,
    연결설정모듈에 의해 연결시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에 재생시키기 위한 영상재생모듈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320)와,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모듈과,
    데이터저장서버에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송신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KR1020120057892A 2012-05-31 2012-05-31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KR20130134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92A KR20130134412A (ko) 2012-05-31 2012-05-31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92A KR20130134412A (ko) 2012-05-31 2012-05-31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412A true KR20130134412A (ko) 2013-12-10

Family

ID=4998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92A KR20130134412A (ko) 2012-05-31 2012-05-31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4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2B1 (ko) * 2013-12-26 2014-06-27 오충록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KR101498074B1 (ko) * 2014-03-13 2015-03-03 (주)지란지교소프트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2B1 (ko) * 2013-12-26 2014-06-27 오충록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KR101498074B1 (ko) * 2014-03-13 2015-03-03 (주)지란지교소프트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44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
US11934352B2 (en) Card rende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5810192B1 (ja) 撮像装置、通信システム、撮像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09522A1 (en) Method for gps mobile phone to achieve navigation on personal computer and system thereof
KR20130134412A (ko) 블랙박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40152901A1 (en) Control system for video device and video device
KR20150044273A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212904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146326B1 (ko)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58803B1 (ko) 블랙박스의 데이터 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400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설정 변경 방법 및 차량용 블랙박스
KR102297797B1 (ko) 전자 장치간 트리거 동작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잭 액세서리
CN205722014U (zh) 一种北斗部标一体机的远程防伪鉴定终端
US20150070497A1 (en)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of recording
KR20200005911A (ko) 능동적인 사고 영상 전송 기능을 구비한 차량 블랙박스
KR102588947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2337472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89036A (ko)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KR1021515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557851B1 (ko) Nfc 송수신을 이용한 블랙박스의 사진 조회 및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서비스하는 블랙박스,
CN210924696U (zh) 4g单路车内人脸识别智能监控记录仪
JP6014371B2 (ja) 車載器
CN105651288A (zh) 一种具有行车记录功能的导航装置、终端和方法
KR20140001155U (ko)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마트폰의 지피에스 데이터 및 통신기능을 사용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