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769A -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 Google Patents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769A
KR20200053769A KR1020180137021A KR20180137021A KR20200053769A KR 20200053769 A KR20200053769 A KR 20200053769A KR 1020180137021 A KR1020180137021 A KR 1020180137021A KR 20180137021 A KR20180137021 A KR 20180137021A KR 20200053769 A KR20200053769 A KR 20200053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and
cat
opening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703B1 (ko
Inventor
김소영
Original Assignee
김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영 filed Critical 김소영
Priority to KR102018013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처리부의 회전을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모래와 손쉽게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은 용변 처리부의 회전에 맞춰 케이스의 내측에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배설물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부에 저장되어 제거됨으로써, 고양이 배설물에 대한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제어부의 시간설정에 맞춰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 및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Smart toilet for cat}
본 발명은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처리부의 회전을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모래와 손쉽게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은 용변 처리부의 회전에 맞춰 케이스의 내측에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배설물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부에 저장되어 제거됨으로써, 고양이 배설물에 대한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제어부의 시간설정에 맞춰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 및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모래를 파고 대소변을 보고 모래를 다시 덮는 습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집에서 고양이를 기르기 사람들은 대부분 상면이 개방된 용기에 모래를 적재한 형태의 일명 고양이 화장실을 마련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고양이 화장실에 쌓여가는 고양이의 배설물은 대부분 고양이 주인이 삽으로 배설물과 모래를 함께 퍼서 별체로 이루어진 망체에 걸러서 치우거나 또는 삽 자체에 모래가 빠져나가는 망체가 구비되어 배설물과 함께 모래를 퍼서 남겨진 배설물을 치우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고양이의 배설물은 시간이 지나면 냄새가 지독하여 고양이 주인이 직접 삽으로 치울 때 매우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비위가 약하거나 냄새에 민감한 사람은 고양이 배설물을 치우는 것은 고문에 가까운 수준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모래가 외부로 노출된 고양이 화장실에서 고양이의 배설물을 상기와 같이 삽으로 푸게 되면 모래와 먼지가 공중으로 날리게 되어 호흡기를 통해 세균이 침투될 수 있으므로 질병에 걸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고양이 배설물을 모래에서 걸러내서 고양이 화장실 내부에 적재시키더라도 결국에는 고양이 주인이 고양이 화장실에서 배설물을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피할 수는 없게 된다.
더불어, 종래의 고양이 화장실은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져 단순히 배설물을 담아두는 것에 국한되어 있을 뿐,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게 되는 고양이에게 운동 효과를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아 운동량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공격성이 증가되는 것이었으며, 따라서 고양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육자가 고양이와 함께 주기적으로 산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319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변 처리부의 회전을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모래와 손쉽게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은 용변 처리부의 회전에 맞춰 케이스의 내측에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배설물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부에 저장되어 제거됨으로써, 고양이 배설물에 대한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제어부의 시간설정에 맞춰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 및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되어 상부와 하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중공된 내부에 형성되어 고양이가 구비된 모래에 용변을 보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축부를 중심으로 수직 회전되어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한 뒤, 남게되는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용변 처리부와;
상기 용변 처리부의 축부에 연결되어 용변 처리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를 시간 설정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변 처리부는,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상태에서 일측에 케이스의 관통구와 연통되는 고양이 진입구를 통해 고양이가 내부에 진입하여 용변을 보는 제 1 용변부와, 상기 제 1 용변부와 동일한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시 모래만 이송되어 채워지는 제 2 용변부와, 상기 제 1 용변부와 제 2 용변부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모래가 이송되는 병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모래와 분리된 배설물을 케이스의 내측으로 배출하는 본체부와;
상기 병목부에 설치되어 병목부의 내부를 개폐하여 모래의 이송을 제어하는 개폐부와;
상기 제 1 용변부와 제 2 용변부의 고양이 진입구에 힌지 설치되어 본체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력에 의해 고양이 진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작동되는 개폐막과;
상기 본체부의 병목부 외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일측은 케이스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본체부의 회전을 지지하며, 타측은 모터부와 연결되어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체부는 외형이 모래시계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부가 고앙이 진입구로 개방된 제 1 용변부와 제 2 용변부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제 1 용변부와 제 2 용변부보다 협소해지는 병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용변부와 제 2 용변부에는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시, 개폐부에 의해 병목부가 개방되어 모래가 제 1 용변부에서 제 2 용변부로 이송 또는 제 2 용변부에서 제 1 용변부로 이송되는데, 모래는 관통하면서 배설물은 차단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차단막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부는 병목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병목부를 개폐하도록 수직 회전되고, 상기 개폐부는 두개의 막이 "+" 형태로 연결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병목부를 개폐하는데, 일측막은 모래가 관통되는 메쉬망형 막이고, 타측막은 모래가 차단되는 민짜형 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막이 크로스된 중앙부에는 축으로 연결되어 축이 병목부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모터와 연결되어 개폐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소형모터에 의해 개폐부가 회전시, 상기 메쉬망형 막이 병목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모래가 관통하여 제 1 용변부 또는 제 2 용변부로 이송되고, 상기 민짜형 막이 병목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모래의 이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막은 제 1 용변부 및 제 2 용변부의 고양이 진입구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양이 진입구에 다수개의 개폐막이 힌지 연결되어 고양이 진입구를 차단시 다수개의 개폐막 끝단부가 상호 간에 겹쳐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개폐막은 제 1 용변부 또는 제 2 용변부가 상부에 위치할 때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서 고양이 진입구가 개방되어 고양이가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제 1 용변부 또는 제 2 용변부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지면서 끝단부가 상호 간에 겹쳐지게 형성되어 고양이 진입구를 차단하여 모래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용변 처리부의 본체부가 용이하게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본체부에서 배출된 고양이 배설물이 하부 관통구를 통해 배출되어 임시 저장되는 서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스의 상부 관통구에는 제 1 용변부 또는 제 2 용변부에서 용변을 보고 있는 고양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고양이가 감지되면 제어부의 설정된 시간에 맞춰 본체부가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은 용변처리부의 회전을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모래와 손쉽게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은 용변 처리부의 회전에 맞춰 케이스의 내측에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배설물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부에 저장되어 제거됨으로써, 고양이 배설물에 대한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제어부의 시간설정에 맞춰 청소가 이루어지기에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 및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변 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변 처리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변 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변 처리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은 케이스(100)와, 용변 처리부(200)와, 모터부(300)와,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구(110,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케이스(10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신미감 및 디자인이 수려하여 인테리어로 손색이 없고, 상기 케이스(100)가 원형이기에 용변 처리부의 본체부가 회전시 원활하면서 용이하게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본체부(210)에서 배출된 고양이 배설물(1)이 하부 관통구(120)를 통해 배출되어 임시 저장되는 서랍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서랍부(130)는 별도의 서랍이 수평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에 고양이 배설물(1)이 투입되며, 상기 서랍을 고양이 주인이 외부에서 이탈시켜 내부에 저장된 배설물(1)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130)의 외부에 제어부(400)가 설치되거나 케이스(100)의 외부에 제어부(400)가 설치되어 모터부(300) 및 용변 처리부(200)의 소형모터(224)를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관통구(110)에는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에서 용변을 보고 있는 고양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40)를 통해 고양이가 감지되면 제어부(400)의 설정된 시간에 맞춰 본체부(210)가 회전되는 것을 정지시킨다. 즉, 상기 감지센서(140)에 고양이 뿐만 아니라 무언가 물체가 감지되면 시간에 맞춰 회전되는 용변 처리부(200)는 안전을 위해 회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부(400)에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주변에는 케이스(100)의 상부 관통구(110)를 통해 고양이가 용변 처리부(200)에 진입하는데, 상기 상부 관통구(110)의 높이에 따라 새끼 고양이 또는 작은 고양이(소묘) 등은 올라가기 힘들기에 보조 받침대(미도시)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받침대는 새끼 고양이 또는 작은 고양이가 잘 올라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용변 처리부(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중공된 내부에 형성되어 모터부(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고양이의 배설물(1)과 모래(2)를 분리한 뒤, 배설물(1)을 케이스(100)의 서랍부(130)로 배출하는 장치로써, 본체부(210)와, 개폐부(220)와, 개폐막(230)과, 축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10)는 도 3에서처럼, 외형이 모래시계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양끝단부가 고앙이 진입구(214)로 개방된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10)의 중앙부는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보다 협소해지는 병목부(213)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210)는 모터부(300)와 축부(240)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부(300)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되면서 모래(2)와 배설물(1)을 분리시킨 뒤, 분리된 배설물(1)을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의 제 1 용변부(211)는 우선, 본체부(210)의 병목부(213)를 중심으로 상부에 구비된 상태이고, 상기 제 1 용변부(211)의 내부에는 모래(2)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고양이 진입구(214)를 통해 고양이가 제 1 용변부(211)의 내부에 진입하여 모래(2)에 용변을 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용변부(211)의 외형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곡선지게 형성되기에 고양이가 용변을 보는데 부담이 되지 않고 내부에서 고양이가 돌아다니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10)의 제 2 용변부(212)는 병목부(213)를 중심으로 제 1 용변부(211)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동일한 구조, 형태로써, 제 2 용변부(212)의 일측에도 고양이 진입구(214)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용변부(212)는 제 1 용변부(211)가 상부에 구비되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용변부(211)가 하부에 구비되면 제 2 용변부(212)는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항시 상부에 위치한 용변부에 모래가 채워져 있는 것으로 그 기능은 이하에서 작동방법에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의 병목부(213)는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모래(2)가 이송되는 통로로써,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에 비해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는 병목부(213) 측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기에 모래(2)가 원활하게 병목부(213) 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의 내부에는 고양이의 배설물(1)과 모래(2)를 분리시, 개폐부(220)에 의해 병목부(213)가 개방되어 모래(2)가 제 1 용변부(211)에서 제 2 용변부(212)로 이송 또는 제 2 용변부(212)에서 제 1 용변부(211)로 이송되는데, 이때, 모래(2)는 개폐부(220)를 통해 관통 이송되지만 배설물(1)은 관통 이송되지 않고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차단막(215)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차단막(215)은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개폐부(22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모래(2) 속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상기 차단막(215)의 상부에 형성된 모래(2)가 개폐부(220)의 개방으로 차단막(215)의 타공을 통해 하측으로 빠져나가면 차단막(215)의 상부에 고양이 배설물(1)만 남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22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처럼, 병목부(213)에 설치되어 병목부(213)의 내부를 개폐하여 모래(2)의 이송을 제어하는데, 상기 개폐부(220)는 병목부(213)의 내부에 축으로 수평 연결되어 병목부(213)를 개폐하도록 축을 중심으로 수직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220)는 두개의 막이 "+" 형태로 상호 크로스로 연결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병목부(213)를 개폐하는데, 상기 개폐부(220)의 일측막은 모래가 관통되는 메쉬망형 막(221)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20)의 타측막은 모래가 차단되는 민짜형 막(222)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220)는 물레방아처럼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메쉬망형 막(221)과 민짜형 막(222)의 끝단부에는 병목부(213)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고무패킹(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20)의 두개의 막이 크로스된 중앙부에는 축(223)으로 연결되고, 상기 축(223)은 개폐부(220)에 연결된 상태로 병목부(213)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축(223)의 끝단부에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모터(224)와 연결되어 소형모터(224)에 의해 개폐부(220)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형모터(224)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소형모터(224)에 의해 개폐부(220)가 회전시, 상기 메쉬망형 막(221)이 병목부(213)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모래(2)가 관통하여 제 1 용변부(211)에서 제 2 용변부(212)로 이송 또는 제 2 용변부(212)에서 제 1 용변부(211)로 이송되고, 상기 민짜형 막(222)이 병목부(213)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모래(2)의 이송을 차단하는 원리이다.
상기 개폐막(230)은 도 3에서처럼,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의 고앙이 진입구(214)에 힌지(231) 설치되어 본체부(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력에 의해 고앙이 진입구(214)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작동되는데, 상기 개폐막(230)은 다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고앙이 진입구(214)에 힌지(231) 결합되고, 상기 다수개의 개폐막(230)은 고앙이 진입구(214)를 차단시에는 상호 간에 끝단부가 겹쳐지는 형태로 상호 간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개폐막(230)은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상부에 위치할 때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서 고앙이 진입구(214)가 개방되어 고양이가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지면서 끝단부가 상호 간에 겹쳐지게 형성되어 고앙이 진입구(214)를 차단하여 모래(2)의 배출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하부에 위치할 때의 개폐막(230)은 힌지(231) 결합되기에 완전히 하측으로 내려가서 고앙이 진입구(214)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힌지(231)는 개폐막(230)이 수평방향에서 일측으로만 회동되는 힌지(231)이기에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상부에 위치할 때는 개폐막(230)이 수평에서 하측으로 회동되고, 반대로 상기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상측에 있던 개폐막(230)의 끝단부가 수평으로 회동되고 그 이상으로는 더 회동되지 않는 구조의 힌지(231)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개폐막(230)이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위에는 개폐막(230)과 개폐막(230) 사이로 모래가 배출되지 않도록 고무패킹 등의 실링부(232)가 더 형성되어 모래(2)의 배출도 차단하지만 회동되어 상호 간에 접촉시 충격 등을 최소화해준다.
또한, 상기 개폐막(230)의 상부면에는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에서 용변을 본 고양이가 나갈 때, 용이하게 밞고 올라갈 수 있도록 지지돌기(미도시) 또는 지지홈(미도시)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축부(24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본체부(210)의 병목부(213) 외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일측은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본체부(210)의 회전을 지지하며, 타측은 모터부(300)와 연결되어 모터부(300)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부(2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축부(240)가 연결되는 케이스(100)에는 베어링 등이 더 설치되어 회전력이 케이스(100)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모터부(3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0)와 연결된 축부(240)와 연결되어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모터부(3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
상기 제어부(400)는 모터부(300)를 시간 설정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는데, 이때, 상기 시간 설정은 고양이 주인 또는 고양이 주인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키우고 있는 고양이의 용변 패턴에 따라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를 3시간마다 회전시키는 등 다양한 시간 설정을 입력하여 반복적으로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부(400)는 모터부(3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센서(140)와도 연결되어 감지센서(140)에 물체가 감지시, 모터부(300)와 소형모터(224)의 작동을 정지시켜 고양이가 용변시 시간 설정에 따라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가 회전되어 고양이가 다치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기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에는 IoT시스템이 접목되어 감지센서(140)에 감지된 고양이를 주인의 스마트 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고 그로 인해 주인은 고양이가 용변을 본 것을 인지하고, 상기 감지센서(140)에서 고양이가 감지되지 않으면 주인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용변 처리부(200)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어 별도의 시간설정에 따라 용변 처리부(200)가 작동되지 않아도 고양이의 배설물(1)을 항시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의 작동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작동방법은 우선,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가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제 1 용변부(211)가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내부에 모래(2)가 채워진 상태이고, 상기 제 1 용변부(211)의 고앙이 진입구(214)와 케이스(100)의 상부 관통구(110)가 연통된 상태에서 고양이가 고앙이 진입구(214)를 통해 제 1 용변부(211)에 진입하여 용변을 본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모터부(300)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모터부(300)를 작동시켜 본체부(210)를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부(300)에 의해 본체부(210)를 회전시키기 전에 제어부(400)는 소형모터(224)를 작동시켜 개폐부(220)를 회전시키며, 상기 개폐부(220)는 회전되어 메쉬망형 막(221)이 병목부(213)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제 1 용변부(211) 내에 채워진 모래(2)는 메쉬망형 막(221)을 관통하여 병목부(213)를 통해 제 2 용변부(212)에 이송되고, 동시에 모래(2)와 섞여있는 고양이 배설물(1)은 차단막(215)에 막혀서 제 1 용변부(211) 내에 그대로 구비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400)는 다시 소형모터(224)를 작동시켜 개폐부(220)를 회전시키고, 상기 개폐부(220)는 민짜형 막(222)이 병목부(213)에 수평으로 형성시킨 뒤, 모터부(300)를 작동시켜 본체부(2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부(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가 회전되면서 제 1 용변부(211)가 하측으로 위치할 때쯤 제 1 용변부(211) 내에 구비된 배설물(1)은 자동으로 제 1 용변부(211)의 고앙이 진입구(2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배설물(1)은 케이스(100) 내에 배출된 상태로써, 케이스(100)의 벽면을 타고 그대로 서랍부(130)의 서랍 내에 떨어지는 것이다.
그렇게 상기 제 1 용변부(211)가 하측으로 구비되도록 본체부(210)가 회전되면 제 2 용변부(212)는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상태로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용변부(211)의 고앙이 진입구(214)에 힌지(231) 설치된 개폐막(230)은 중력에 의해 내려와서 수평으로 유지되어 제 1 용변부(211)의 내부를 차단한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400)는 설정된 시간마다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를 반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10)를 회전시키기 전에 상기와 같이 개폐부(220)를 회전시켜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에 구비된 모래(2)를 하부에 위치한 제 2 용변부(212) 또는 제 1 용변부(211)에 이송시킨 뒤, 개폐부(220)를 통해 병목부(213)를 차단하고 난 후 모터부(300)를 통해 본체부(21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한편, 상기에서 기술한 제어부(400)의 IoT시스템에 의해 고양이 주인이 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된 신호를 스마트 기기, 단말기, 휴대폰 등으로 전달받아 고양이가 용변을 보고 있는 것을 판단하고, 그런 뒤, 상기 감지센서(140)에서 감지 신호가 끊기면 고양이가 용변을 완료하고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 기기, 단말기, 휴대폰 등을 통해 제어부(4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스마트 화장실을 작동시킬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상부 관통구
120 : 하부 관통구 130 : 서랍부
140 : 감지센서
200 : 용변 처리부 210 : 본체부
211 : 제 1 용변부 212 : 제 2 용변부
213 : 병목부 214 : 고양이 진입구
215 : 차단막
220 : 개폐부 221 : 메쉬망형 막
222 : 민짜형 막 223 : 축
224 : 소형모터
230 : 개폐막 231 : 힌지
232 : 실링부
240 : 축부
300 : 모터부 400 : 제어부

Claims (7)

  1. 내부가 중공되어 상부와 하부에 관통구(110,12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중공된 내부에 형성되어 고양이가 구비된 모래(2)에 용변을 보고, 상기 케이스(100)에 연결된 축부(240)를 중심으로 수직 회전되어 고양이의 배설물(1)과 모래(2)를 분리한 뒤, 남게되는 배설물(1)을 외부로 배출하는 용변 처리부(200)와;
    상기 용변 처리부(200)의 축부(240)에 연결되어 용변 처리부(20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300)와;
    상기 모터부(300)를 시간 설정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처리부(200)는,
    내부에 모래(2)가 채워진 상태에서 일측에 케이스(100)의 관통구(110)와 연통되는 고앙이 진입구(214)를 통해 고양이가 내부에 진입하여 용변을 보는 제 1 용변부(211)와,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동일한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고양이의 배설물(1)과 모래(2)를 분리시 모래(2)만 이송되어 채워지는 제 2 용변부(212)와,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모래(2)가 이송되는 병목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부(300)에 의해 회전되면서 모래(2)와 분리된 배설물(1)을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배출하는 본체부(210)와;
    상기 병목부(213)에 설치되어 병목부(213)의 내부를 개폐하여 모래(2)의 이송을 제어하는 개폐부(220)와;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의 고앙이 진입구(214)에 힌지(231) 설치되어 본체부(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력에 의해 고앙이 진입구(214)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작동되는 개폐막(230)과;
    상기 본체부(210)의 병목부(213) 외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일측은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본체부(210)의 회전을 지지하며, 타측은 모터부(300)와 연결되어 모터부(300)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부(210)를 회전시키는 축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외형이 모래시계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부가 고앙이 진입구(214)로 개방된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보다 협소해지는 병목부(213)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용변부(211)와 제 2 용변부(212)에는 고양이의 배설물(1)과 모래(2)를 분리시, 개폐부(220)에 의해 병목부(213)가 개방되어 모래가 제 1 용변부(211)에서 제 2 용변부(212)로 이송 또는 제 2 용변부(212)에서 제 1 용변부(211)로 이송되는데, 모래(2)는 관통하면서 배설물(1)은 차단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차단막(215)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20)는 병목부(213)의 내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병목부(213)를 개폐하도록 수직 회전되고, 상기 개폐부(220)는 두개의 막이 "+" 형태로 연결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병목부(213)를 개폐하는데, 일측막은 모래(2)가 관통되는 메쉬망형 막(221)이고, 타측막은 모래(2)가 차단되는 민짜형 막(222)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막이 크로스된 중앙부에는 축(223)으로 연결되어 축(223)이 병목부(213)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223)은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모터(224)와 연결되어 개폐부(220)를 회전시키며,
    상기 소형모터(224)에 의해 개폐부(220)가 회전시, 상기 메쉬망형 막(221)이 병목부(213)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모래(2)가 관통하여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로 이송되고, 상기 민짜형 막(222)이 병목부(213)에 수평으로 형성되면 모래(2)의 이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230)은 제 1 용변부(211) 및 제 2 용변부(212)의 고앙이 진입구(214)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앙이 진입구(214)에 다수개의 개폐막(230)이 힌지(231) 연결되어 고앙이 진입구(214)를 차단시 다수개의 개폐막(230) 끝단부가 상호 간에 겹쳐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개폐막(230)은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상부에 위치할 때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서 고앙이 진입구(214)가 개방되어 고양이가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지면서 끝단부가 상호 간에 겹쳐지게 형성되어 고앙이 진입구(214)를 차단하여 모래(2)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용변 처리부(200)의 본체부(210)가 용이하게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본체부(210)에서 배출된 고양이 배설물(1)이 하부 관통구(120)를 통해 배출되어 임시 저장되는 서랍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관통구(110)에는 제 1 용변부(211) 또는 제 2 용변부(212)에 들어오는 고양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40)를 통해 고양이가 감지되면 제어부(400)의 설정된 시간에 맞춰 본체부(210)가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KR1020180137021A 2018-11-09 2018-11-09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KR102200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21A KR102200703B1 (ko) 2018-11-09 2018-11-09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21A KR102200703B1 (ko) 2018-11-09 2018-11-09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69A true KR20200053769A (ko) 2020-05-19
KR102200703B1 KR102200703B1 (ko) 2021-01-08

Family

ID=7091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21A KR102200703B1 (ko) 2018-11-09 2018-11-09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7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24B1 (ko) * 2020-09-03 2021-12-01 김재혁 반려 동물 화장실
KR20220122288A (ko) *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양이 배변용 모래 세척장치
US11457604B1 (en) * 2021-09-18 2022-10-04 Perky Creations (Shenzhen) Technology Co., Ltd. Animal waste handling device and method
KR102523903B1 (ko) * 2023-01-16 2023-04-20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IoT 기반 자동 고양이 화장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763A (ko) 2021-12-02 2023-06-09 김진범 고양이 화장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214A (ko) * 2012-03-09 2013-09-23 이민성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40138532A (ko)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고양이 화장실
KR101578491B1 (ko) * 2014-10-08 2015-12-18 김일환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863193B1 (ko) 2018-02-08 2018-06-29 이성용 더블형 에어샤워모듈을 통한 탈취·제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IoT형 고양이 화장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214A (ko) * 2012-03-09 2013-09-23 이민성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40138532A (ko)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고양이 화장실
KR101578491B1 (ko) * 2014-10-08 2015-12-18 김일환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863193B1 (ko) 2018-02-08 2018-06-29 이성용 더블형 에어샤워모듈을 통한 탈취·제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IoT형 고양이 화장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24B1 (ko) * 2020-09-03 2021-12-01 김재혁 반려 동물 화장실
KR20220122288A (ko) *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양이 배변용 모래 세척장치
US11457604B1 (en) * 2021-09-18 2022-10-04 Perky Creations (Shenzhen) Technology Co., Ltd. Animal waste handling device and method
KR102523903B1 (ko) * 2023-01-16 2023-04-20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IoT 기반 자동 고양이 화장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703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3769A (ko) 고양이용 스마트 화장실
CN107949276B (zh)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CN101502465B (zh) 仰卧位置所使用的卫生单元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KR20140138532A (ko) 고양이 화장실
KR20200015193A (ko)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US6128788A (en) Water closet and nursing bed device with same
US3949431A (en) Latrines
KR20160081680A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2007945B1 (ko) 스마트 양변기
KR101910519B1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CN205597839U (zh) 一种环保喷气马桶
KR20210062995A (ko) 애완동물 놀이 및 훈련 시스템
KR102581203B1 (ko) 좌변기용 덮개
JP2007295863A (ja) 昆虫類侵入防止装置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JP6990316B2 (ja) 便器
CN210168687U (zh) 智能宠物厕所
KR20210102756A (ko) 자동수세식처리 배변기기
KR20180000317U (ko)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KR102332832B1 (ko) 양변기 살균장치
JP2000188988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308187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설물(排泄物) 처리장치
JP2005211164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