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662A -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662A
KR20200053662A KR1020207013579A KR20207013579A KR20200053662A KR 20200053662 A KR20200053662 A KR 20200053662A KR 1020207013579 A KR1020207013579 A KR 1020207013579A KR 20207013579 A KR20207013579 A KR 20207013579A KR 20200053662 A KR20200053662 A KR 2020005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uxiliary
auxiliary film
protective film
adhes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068B1 (ko
Inventor
백승재
백승호
Original Assignee
백승재
백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재, 백승호 filed Critical 백승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6/0104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61718A1/ko
Publication of KR2020005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56Provisional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60In a particular environment
    • B32B2309/65Dust free, e.g. clean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PROTECTING FILM STRUCTURE AND STRUCTURE FOR ASSISTING TO STICK PROTECTING FILM}
본 발명은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스마트폰과 테블릿 PC 등이 일반화되면서, 스마트폰과 테블릿 PC 등의 화면부분(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보호필름의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보호필름은 긁힘에 강하고 정전기 방지가 우수한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ET(Poly Ethylene Terephthlate), TPU(Temperature Polyureth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ET를 사용하는 경우 저반사 광학용 PET를 사용하며, 일반 PET보다 빛 반사율이 낮아서 화면의 시인성 확보가 보다 양호하다. 이외에도 OPP(Oriented PolyProylene),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이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강화유리 등이 보호필름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호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먼지의 유입인데, 표면 정전기로 인해 접착면 또는 화면부분에 먼지가 끌려 들어오게 된다. 또한 정확한 위치에 보호필름을 부탁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보호필름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발명이 이루어졌고, 특허문헌 1{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4-0147515 A (공개일자: 2014. 12. 30.)}과 특허문헌 2{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06-0022952 A (공개일자: 2006. 03. 13.)}는 그 예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의 발명에서도,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은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4-0147515 A (공개일자: 2014. 12. 30.)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06-0022952 A (공개일자: 2006. 03. 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제1 보조필름, 제1 보조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제2 보조필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제1 보조필름은 제1-1 보조필름과 제1-2 보조필름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제2 보조필름은 제2-1 보조필름과 제2-2 보조필름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제1-1보조필름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제1-2 보조필름은 상기 제2-1 보호필름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보호필름 중 상기 제1-1보조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1-2 보조필름과 상기 제2-1 보호필름 사이에는 제1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2-2 보조필름 중 제 2-1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제2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1-2 보조필름의 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2-1 보조필름의 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1-2 보조필름의 단부와 상기 제2-1 보조필름의 단부 모두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2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제2-2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1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제3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3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의 양쪽에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1 보조필름과 상기 제1-2 보조필름의 사이, 상기 제2-1 보조필름과 상기 제2-2 보조필름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1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는 제1-1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의 모서리 중 상기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는, 제1 보조필름, 제1 보조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제2 보조필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로서, 상기 제1 보조필름은 제1-1 보조필름과 제1-2 보조필름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제2 보조필름은 제2-1 보조필름과 제2-2 보조필름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제1-2 보조필름은 상기 제2-1 보호필름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제1-2 보조필름과 상기 제2-1 보호필름 사이에는 제1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2-2 보조필름 중 제 2-1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제2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1-2 보조필름의 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2-1 보조필름의 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1-2 보조필름의 단부와 상기 제2-1 보조필름의 단부 모두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1 보조필름이 보호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제2-2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제1-1보조필름과 제2-2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1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제3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3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양쪽에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1 보조필름과 상기 제1-2 보조필름의 사이, 상기 제2-1 보조필름과 상기 제2-2 보조필름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1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는 제1-1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의 모서리 중 상기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보조필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보조필름은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보호필름 중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상부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M자형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M자형 주름의 중심부에는 당김부재의 당김 막대가 부착되어 있고, 당김부재는 당김 막대와 당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 막대에는 당김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고, 당김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당김부재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M자형 주름이 깊어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상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의 양쪽에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하부 보조필름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는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 필름의 모서리 중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는 T자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는,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어 겹쳐진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로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상부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M자형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M자형 주름의 중심부에는 당김부재의 당김 막대가 부착되어 있고, 당김부재는 당김 막대와 당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 막대에는 당김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고, 당김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당김부재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보조필름이 보호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M자형 주름이 깊어지면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상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양쪽에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는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 중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는 T자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보조필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보조필름은 상부 보조필름, 하부 보조필름,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 상기 당김부재의 한쪽 끝,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은 순서대로 겹쳐진 후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당김부재의 반대쪽 끝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손잡이부를 잡아 당길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보호필름 중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상부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사이로 말려들어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상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는, 상기 하부 보조필름에 부착되는 제1 위치정렬 필름과 제2 위치정렬 필름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끝부분에 소정의 면적으로 부착되는데, 그 부착부분은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위치정렬 필름은 상부 위치정렬 필름과 하부 위치정렬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위치정렬 필름과 하부 위치정렬 필름은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에 접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부 위치정렬 필름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위치정렬 필름에는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1 위치정렬 필름과 접착하는 면을 제1 접착면,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2 위치정렬 필름과 접착하는 면을 제2 접착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제1 접착면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상부 위치정렬 필름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 중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모서리 중 일부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가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에는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는, 상부 보조필름, 하부 보조필름,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로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 상기 당김부재의 한쪽 끝,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은 순서대로 겹쳐진 후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당김부재의 반대쪽 끝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손잡이부를 잡아 당길 수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상부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상부 보조필름이 보호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사이로 말려들어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상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는 상기 하부 보조필름에 부착되는 제1 위치정렬 필름과 제2 위치정렬 필름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끝부분에 소정의 면적으로 부착되는데, 그 부착부분은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위치정렬 필름은 상부 위치정렬 필름과 하부 위치정렬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위치정렬 필름과 하부 위치정렬 필름은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에 접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부 위치정렬 필름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위치정렬 필름에는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1 위치정렬 필름과 접착하는 면을 제1 접착면,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2 위치정렬 필름과 접착하는 면을 제2 접착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제1 접착면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상부 위치정렬 필름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 중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모서리 중 일부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모서리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모서리가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에 이형필름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에 이형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에는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평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참고도 1
도 4는 실시예 1의 참고도 2
도 5는 실시예 1의 참고도 3
도 6은 실시예 1의 참고도 4
도 7은 실시예 2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2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평면도
도 9는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평면도
도 11은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평면 투시도
도 12는 실시예 4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 4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평면도
도 14는 실시예 5의 당김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실시예 5의 상부 보조필름, 당김 부재, 하부 보조필름의 결합체의 단면도
도 16은 실시예 5의 상부 보조필름, 당김 부재, 하부 보조필름의 결합체의 평면도
도 17은 실시예 5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18은 실시예 6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19는 실시예 6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 이형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된 모습
도 20은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된 모습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재질은 PET(Poly Ethylene Terephthlate), TPU(Temperature Polyurethane) 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강화유리 등이 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1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는 제1 이형필름(40), 보호필름(10),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제1 보조필름(20), 제1 보조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제2 보조필름(30), 제2 이형필름(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필름(20)은 제1-1 보조필름(21)과 제1-2 보조필름(22)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고, 상기 제2 보조필름(30)은 제2-1 보조필름(31)과 제2-2 보조필름(32)이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이다.
도 1에서, 제1 이형필름(40), 보호필름(10), 제1-1 보조필름(21), 제1-2 보조필름(22), 제2-1 보조필름(31), 제2-2 보조필름(32), 제2 이형필름(50)의 순서로, 서로 접촉하면서 적층되어 있다.
제1 이형필름(40)의 하부에는 제4 접착물질(45)가 도포되어 있고, 보호필름(10)의 하부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15)이 도포되어 있고, 제1-1 보조필름(21)의 상부에는 제3 접착물질(25)이 도포되어 있다.
제1-2 보조필름(22)과 제2-1 보조필름(31)의 사이에는 제1 접착물질(60)이 도포되어 있고, 제2-2 보조필름(32)의 하부에는 제2 접착물질(35)이 도포되어 있다.
제1-1 보조필름(21)과 제1-2 보조필름(22)의 사이에는 제1 윤활물질(27)이 도포되어 있고, 제2-1 보조필름(31)과 제2-2 보조필름(32)의 사이에는 제2 윤활물질(37)이 도포되어 있다. 제1 윤활물질(27)은, 제1-1 보조필름(21)과 제1-2 보조필름(22) 사이의 마찰을 줄여서 제1-1 보조필름(21)과 제1-2 보조필름(22)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윤활물질(37)은, 제2-1 보조필름(31)과 제2-2 보조필름(32)의 사이의 마찰을 줄여서, 제2-1 보조필름(31)과 제2-2 보조필름(32)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2 보조필름(22)의 단부에는 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가 형성되고, 제2-1 보조필름(31)의 단부에는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가 형성된다.
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와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 중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와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는 도 2의 A방향으로 당길 때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위한 부분이다.
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으면, 다음의 2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제1-1 보조필름(21)와 제2-2 보조필름(3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고, 둘째, 상기 손잡이부{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 또는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방향으로 당길 때, 제1-2 보조필름(22)과 제2-1 보조필름(31)이 상기 모서리 접합 부분 밖으로 나갈 수 없으므로, 일정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를 접합하는 방법은 접착제로 붙일 수도 있고, 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 부분에 열을 가해 녹여서 붙일 수도 있다.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를 접착할 수 있다.
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는 접합하더라도, 상기 손잡이부{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 또는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4개의 모서리 중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 부분의 모서리만 접합한다면 상기 손잡이부{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 또는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접합은 약하게 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보조필름 손잡이부(22a) 또는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방향으로 계속 당기면, 상기 접합{제1-1 보조필름(21)의 모서리와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의 모서리 사이의 접합}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 전체를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모서리 중 말려들어오기 시작하는 부분(손잡이부를 당길 때 말려들어오기 시작하는 부분, 도 2에서 좌우 2개의 모서리 중 윗부분)은 접합이 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를 당겨 말려들어오기 시작할 때, 말려들어오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 중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는 소정의 길이만큼 접합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실시예 1의 참고도 1이고, 도 4는 실시예 1의 참고도 2이고, 도 5는 실시예 1의 참고도 3인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보호필름 구조체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보호필름 구조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 이형필름(50)을 제거한 후 나머지 부분을 스마트 디바이스(9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91)에 부착한다.
도 3은 제2 이형필름(50)을 제거한 후 나머지 부분을 스마트 디바이스(90)의 화면부분(91)에 부착한 모습이다.
도 3의 상태에서, 보호필름 구조체를 위에서 약하게 누르면서, 손잡이부{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 방향으로 당기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4에서 보호필름(10)을 화면부분(91)에 밀착시킨 후, 보호필름 구조체를 위에서 약하게 누르면서, 손잡이부{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 방향으로 계속 당기면, 제1 보조필름(20)과 제2 보조필름(30)이 완전히 제거되고,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3과 도 4의 상태에서 손잡이부{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22a),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31a)}를 A 방향으로 당길 때, 보호필름 구조체를 화면부분(9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볍게 눌러주면서 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상태에서, 보호필름(15)의 끝부분을 화면부분(91)의 끝부분 위치와 일치시켜 접촉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면서 밀착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제1 이형필름(40)을 제거하면, 보호필름(10)이 화면부분(91)에 깨끗하게 부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90)의 화면부분(91)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2a, 31a)를 당기면, 상기 제2-2 보조필름(32)이 화면부분(91)에서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10)이 상기 화면부분(91)에 부착되는 것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보호필름 접착물질(15)과 제3 접착물질(25)을 모두 포함할 경우, 제3 접착물질(25)의 접착력이 보호필름 접착물질(15)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필름 접착물질(15)과 제3 접착물질(25) 사이에 먼지가 유입된 경우, 먼지가 제3 접착물질(25)에 강하게 접착되어서 제1 보조필름(20)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에 의하면, 상기 보호필름(10)이 상기 화면부분(91)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외부 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제1 보호필름(20)과 제2 보호필름(30)에 도포된 접착물질{제1 접착물질(60), 제2 접착물질(35), 제3 접착물질(25)}에 접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10)을 화면부분(91)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이형필름(40)과 제2 이형필름(50)은 실시예 1의 보호필름 구조체의 양쪽에 부착되는 이형필름(release film)이다.
실시예 1에서 상기 손잡이부(22a, 31a)를 당길 때, 보호필름 구조체를 구조체를 누르면서 당기게 되는데, 그 누르는 힘이 손잡이부(22a, 31a)를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2 보조필름(22)과 제2-1 보조필름(31)은 제1-1 보조필름(21)과 제2-2 보조필름(32)보다 좁게 만들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예 1의 참고도 4이다.
도 6에서, 제1-1 보조필름(21)과 제2-2 보조필름(32)은 사각형의 형상이지만, 제1-2 보조필름(22)과 제2-1 보조필름(31)은, 점선과 같이, 제1-1 보조필름(21)과 제2-2 보조필름(32)보다 좁은 폭으로 만들면, 손가락으로 C부분을 강하게 누르더라도, 손잡이부(22a, 31a)를 A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서 보호필름이 제거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 2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2의 도 7은 실시예 1의 도 1에서 보호필름(10), 제4 접착물질(45), 보호필름 접착물질(15)이 생략된 모습이다.
실시예 2의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 이형필름(50)을 제거한 후 나머지 부분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한다. 그리고 제1 이형필름(40)을 제거한 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제1 보조필름 위에 붙인다.
그 후에,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를 위에서 약하게 누르면서, 손잡이부(22a, 31a)를 당기면, 제1-1 보조필름(21)이 보호필름에서 박리되고 제2-2 보조필름(32)이 화면부분(91)에서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91)에 부착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보호필름도 이형필름이 붙어 있을 것인데, 그 보호필름의 상부에 붙어 있는 이형필름은,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91)에 부착된 이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제1 보조필름 위에 붙일 때, 그 사이{보호필름과 제1-1보조필름(21)의 사이}에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이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1-1 보조필름 중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는 면에 도포된 제3 접착물질(25)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접착물질(25)의 접착력이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하다면, 상기 먼지가 제3 접착물질(25)에 접착되어 제1 보조필름(20)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2에 의하면,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91)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외부 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제1 보호필름(20)과 제2 보호필름(30)에 도포된 접착물질{제1 접착물질(60), 제2 접착물질(35), 제3 접착물질(25)}에 접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화면부분(91)에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도 상기 손잡이부(22a, 31a)를 당길 때, 보호필름 구조체를 구조체를 누르면서 당기게 되는데, 그 누르는 힘이 손잡이부(22a, 31a)를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2 보조필름(22)과 제2-1 보조필름(31)은 제1-1 보조필름(21)과 제2-2 보조필름(32)보다 좁게 만들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9는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11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평면 투시도이다.
실시예 3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는 상부 이형필름(140), 보호필름(110),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보조필름(130), 제2 이형필름(15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필름(130)은 상부 보조필름(131)과 하부 보조필름(132)이 겹쳐져서 연결되어 있고, 상부 보조필름(131)과 하부 보조필름(132)의 연결부에는 M자형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M자형 주름의 중심부에는 당김 막대가 부착되어 있다.
당김부재(170)는 당김 막대(171)와 당김 연결부(172)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 막대(171)에는 당김 연결부(172)가 연결되어 있고, 당김 연결부(172)의 반대쪽 단부에는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당기면 M자형 주름의 중심부가 당겨지고 M자형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도 9와 같이,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와 당김 막대(171) 사이에 보조필름(130)이 위치할 경우, 보조필름(130)에는 보조필름 홀(hole, 구멍)(130a)을 형성하여 당김 연결부(17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당김 막대(171)를 보조필름(130)의 2개의 면 중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가 형성된 방향의 면에 부착한다면, 보조필름 홀(hole, 구멍)(130a)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당김 막대(171)와 당김 연결부(172)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 수 있다.
도 9와 도 11의 당김부재는 당김 연결부(172)가 당김 막대(171)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T자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T자 형상을 이루지 않는 당김부재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김 막대(171)의 양 끝에 각각 당김 연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에서, 상부 이형필름(140), 상부 보조필름(131), 당김부재(170), 하부 보조필름(132), 제2 이형필름(150)의 순서로, 서로 접촉하면서 적층되어 있다.
상부 이형필름(140)의 하부에는 상부 이형필름 접착물질(145)가 도포되어 있고, 보호필름(110)의 하부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115)이 도포되어 있다.
상부 보조필름(131)의 상부에는 상부 접착물질(125)이 도포되어 있고, 하부 보조필름(132)의 하부에는 하부 접착물질(135)이 도포되어 있다.
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으면, 상부 보조필름(131)과 하부 보조필름(13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는 접합하는 방법은 접착제로 붙일 수도 있고, 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에 열을 가해 녹여서 붙일 수도 있다.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를 접착할 수 있다.
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는 접합하더라도,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A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4개의 모서리 중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합은 약하게 되어 있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A방향으로 계속 당기면, 상기 접합{상부 보조필름(1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132)의 모서리 사이의 접합}은 떨어지게 된다.
실시예 3의 보호필름 구조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 이형필름(150)을 제거한 후 나머지 부분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한다.
그 후에, 보호필름 구조체를 위에서 약하게 누르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당기면, 보조필름(130)이 제거되면서, 보호필름(110)의 아래쪽 면이 화면부분에 부착한다.
그 후에, 상부 이형필름(140)을 제거하면, 보호필름(110)이 화면부분에 깨끗하게 부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하부 보조필름(132)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당기면, M자형 주름이 깊어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132)이 화면부분에서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1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이다.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보호필름 접착물질(115)과 상부 접착물질(125)을 모두 포함할 경우, 상부 접착물질(125)의 접착력이 보호필름 접착물질(115)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필름 접착물질(115)과 상부 접착물질(125) 사이에 먼지가 유입된 경우, 먼지가 상부 접착물질(125)에 강하게 접착되어서 상부 보조필름(131)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3에 의하면, 상기 보호필름(1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외부 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보조필름(130)에 도포된 접착물질{상부 접착물질(125), 하부 접착물질(135)}에 접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110)을 화면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상부 이형필름(140)과 하부 이형필름(150)은 실시예 3의 보호필름 구조체의 양쪽에 부착되는 이형필름(release film)이다.
상부 보조필름(131)과 하부 보조필름(132)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부 보조필름(131)과 하부 보조필름(132)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면,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당겨서 보조필름(130)을 제거할 때, 마찰이 줄어들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쉽게 당길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3에서 보호필름이 제거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도 12는 실시예 4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3은 실시예 4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4의 도 12는 실시예 3의 도 9에서 보호필름(110), 상부 이형필름 접착물질(145), 보호필름 접착물질(115)이 생략된 모습이다.
실시예 4의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이형필름(150)을 제거한 후 나머지 부분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한다. 그리고 상부 이형필름(140)을 제거한 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제1 보조필름 위에 붙인다.
그 후에 당김부재 손잡이부(172a)를 당기면, 상부 보조필름(131)이 보호필름에서 박리되고 하부 보조필름(132)이 화면부분에서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보호필름도 이형필름이 붙어 있을 것인데, 그 보호필름의 상부에 붙어 있는 이형필름은, 상기 보호필름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이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상부 보조필름 위에 붙일 때, 그 사이{보호필름과 상부 보조필름(131)의 사이}에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이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 접착물질(125)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접착물질(125)의 접착력이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하다면, 상기 먼지가 상부 접착물질(125)에 접착되어 보조필름(130)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4에 의하면,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91)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외부 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보조필름(130)에 도포된 접착물질{상부 접착물질(125), 하부 접착물질(135)}에 접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4는 실시예 5의 당김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실시예 5의 상부 보조필름, 당김 부재, 하부 보조필름의 결합체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실시예 5의 상부 보조필름, 당김 부재, 하부 보조필름의 결합체의 평면도이다.
당김부재(270)의 한쪽 끝에는 상부 보조필름 및 하부 보조필름과 부착되기 위한 당김부재 접착부(271)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끝에는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 상기 당김부재의 한쪽 끝(당김부재 접착부),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은 순서대로 겹쳐진 후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도 15에서와 같이, 접착제 P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고 접착제가 없이 열을 가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해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와 같은, 상부 보조필름, 당김 부재, 하부 보조필름의 결합체를 보조필름이라고 부를 수 있다.
실시예 5의 보호필름 구조체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보조필름을 포함한다.
도 17은 실시예 5에 의한 보호필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7의 보호필름 구조체는, 보호필름(210),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보조필름, 보조필름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1 위치정렬 필름(280)과 제2 위치정렬필름(29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280)은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의 끝부분에 소정의 면적으로 부착되는데, 그 부착부분은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위치정렬 필름(290)은 상부 위치정렬 필름(291)과 하부 위치정렬 필름(292)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위치정렬 필름(291)과 하부 위치정렬 필름(292)은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1 위치정렬 필름에 접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부 위치정렬 필름(291)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위치정렬 필름(292)에는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92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1 위치정렬 필름(290)과 접착하는 면을 제1 접착면,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2 위치정렬 필름(280)과 접착하는 면을 제2 접착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제1 접착면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92a)를 당기면, 상기 상부 위치정렬 필름(291)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으로부터 박리된다.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의 하부에는 하부 접착물질(235)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상부 보조필름(231)의 윗면에는 상부 접착물질(225)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보호필름(210)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215)가 도포되어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보호필름 접착물질(215)과 상부 접착물질(225)을 모두 포함할 경우, 상부 접착물질(225)의 접착력이 보호필름 접착물질(215)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필름 접착물질(215)과 상부 접착물질(225) 사이에 먼지가 유입된 경우, 먼지가 상부 접착물질(225)에 강하게 접착되어서 상부 보조필름(231)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으면, 상부 보조필름(231)과 하부 보조필름(23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하는 방법은 접착제로 붙일 수도 있고,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에 열을 가해 녹여서 붙일 수도 있다.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를 접착할 수 있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하더라도,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4개의 모서리 중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합은 약하게 되어 있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계속 당기면, 상기 접합{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 사이의 접합}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 전체를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모서리 중 말려들어오기 시작하는 부분(손잡이부를 당길 때 말려들어오기 시작하는 부분, 도 2에서 좌우 2개의 모서리 중 윗부분)은 접합이 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를 당겨 말려들어오기 시작할 때, 말려들어오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 중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는 소정의 길이만큼 접합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1 위치정렬 필름과 접착하는 면을 제1 접착면,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2 위치정렬 필름과 접착하는 면을 제2 접착면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 5의 보호필름 구조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위치정렬 필름(280)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접착면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한다.
그 후,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92a)를 당기면, 상기 상부 위치정렬 필름(291)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으로부터 박리되면서, 상기 제2 접착면이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그 후에, 보호필름 구조체를 위에서 약하게 누르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면, 보조필름이 제거되면서, 보호필름(210)의 아래쪽 면이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즉,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면, 상기 상부 보조필름(231)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231)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의 사이로 말려들어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2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화면부분에서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2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이다.
실시예 5에 의하면, 상기 보호필름(2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외부 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보조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상부 접착물질(225), 하부 접착물질(235)}에 접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210)을 화면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 5의 보호필름 구조체는, 보호필름(210)의 상부에 부착되는 이형필름(release film)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는 실시예 5에서 보호필름이 제거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도 18은 실시예 6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실시예 6의 도 18에서는, 실시예 5의 도 17에서 보호필름(210), 보호필름 접착물질(215)이 생략되고, 상부 이형필름(240)이 추가되어 있다.
상부 이형필름(240)의 일부분은 상부 보조필름(231)의 일부분에 열과 압력을 가해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되어 있으면, 상부 보조필름(231)과 하부 보조필름(23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하는 방법은 접착제로 붙일 수도 있고,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에 열을 가해 녹여서 붙일 수도 있다.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를 접착할 수 있다.
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는 접합하더라도,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4개의 모서리 중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합은 약하게 되어 있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계속 당기면, 상기 접합{상부 보조필름(231)의 모서리와 하부 보조필름(232)의 모서리 사이의 접합}은 떨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 보조필름(272) 중 제1 위치정렬 필름(280)과 접착하는 면을 제1 접착면,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제2 위치정렬 필름(290)과 접착하는 면을 제2 접착면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6의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이형필름(240)을 상부 보조필름(231)로부터 분리하고, 상부 보조필름(231)의 윗부분에 보호필름을 부착한다.
그 후, 제1 위치정렬 필름(280)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접착면을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한다.
그 후, 하부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92a)를 당기면, 상기 상부 위치정렬 필름(291)이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으로부터 박리되면서, 상기 제2 접착면이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그 후에,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를 위에서 약하게 누르면서,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면, 보조필름이 제거되면서, 보호필름의 아래쪽 면이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즉,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김부재 손잡이부(272a)를 당기면, 상기 상부 보조필름(231)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231)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의 사이로 말려들어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232)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2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된다.
실시예 6에 의하면, 상기 보호필름(210)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외부 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보조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상부 접착물질(225), 하부 접착물질(235)}에 접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 없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호필름(210)을 화면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착물질(225)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이형필름(240)을 상부 보조필름(231)로부터 분리할 때, 손잡이부가 없으면, 상부 이형필름(240)을 상부 보조필름(231)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도 19는 실시예 6에 의한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에 이형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된 모습이다.
도 19와 같이,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의 상부 이형필름(240)에 이형필름 손잡이부(240a)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형필름 손잡이부(240a)를 잡은 후 당겨서, 상부 이형필름(240)을 상부 보조필름(23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5와 실시예 6에서, 제1 위치정렬 필름(280)을 제거할 때,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제1 위치정렬 필름(280)에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0은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가 형성된 모습이다.
도 20에서와 같이, 제1 위치정렬 필름(280)에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80a)를 형성하면,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80a)를 잡아 당기는 방법으로 제1 위치정렬 필름(28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280a)가 제2 위치정렬 필름(29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반대 방향이나 기타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당김부재)를 접합할 때, 손잡이부를 당기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모서리 중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는 소정의 길이만큼 접합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도 1, 도 7, 도 9, 도 12, 도 17 내지 도 19 등에서 보호필름 구조체와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는 두께는 매우 두껍게 그려져 있으나, 이것은 이해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게 그린 것이고, 실제로는 매우 얇게 제조된다.
10: 보호필름
15: 보호필름 접착물질
20: 제1 보조필름
21: 제1-1 보조필름
22: 제1-2 보조필름
22a : 제1-2 보조필름 손잡이부
25: 제3 접착물질
27: 제1 윤활물질
30: 제2 보조필름
31: 제2-1 보조필름
31a : 제2-1 보조필름 손잡이부
32: 제2-2 보조필름
35: 제2 접착물질
37: 제2 윤활물질
40: 제1 이형필름
45: 제 4 접착물질
50: 제2 이형필름
60: 제1 접착물질
90: 스마트 디바이스
91: 화면부분
110: 보호필름
115: 보호필름 접착물질
125: 상부 접착물질
130: 보조필름
130a: 보조필름 홀
131: 상부 보조필름
132: 하부 보조필름
135: 하부 접착물질
140: 상부 이형필름
145: 상부 이형필름 접착물질
150: 하부 이형필름
170: 당김부재
171: 당김 막대
172: 당김 연결부
172a: 당김부재 손잡이부
210: 보호필름
215: 보호필름 접착물질
225: 상부 접착물질
235: 하부 접착물질
231: 상부 보조필름
232: 하부 보조필름
240: 상부 이형필름
270: 당김부재
271: 당김부재 접착부
272a: 당김부재 손잡이부
280: 제1 위치정렬 필름
280a: 제1 위치정렬 필름 손잡이부
290: 제2 위치정렬 필름
291: 상부 위치정렬 필름
292: 하부 위치정렬 필름
292a: 하부 위치정렬필름 손잡이부

Claims (2)

  1.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보호필름의 하부에 접촉되는 보조필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보조필름은 상부 보조필름, 하부 보조필름,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 상기 당김부재의 한쪽 끝,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은 순서대로 겹쳐진 후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당김부재의 반대쪽 끝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손잡이부를 잡아 당길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보호필름 중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접촉하는 면에는 보호필름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상부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사이로 말려들어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구조체.
  2. 상부 보조필름, 하부 보조필름, 상부 보조필름과 하부 보조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로서,
    상기 상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 상기 당김부재의 한쪽 끝,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한쪽 끝은 순서대로 겹쳐진 후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당김부재의 반대쪽 끝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손잡이부를 잡아 당길 수 있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 중 상부 보조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부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상부 보조필름이 보호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 손잡이부를 당기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상부 보조필름과 상기 하부 보조필름의 사이로 말려들어가면서, 상기 하부 보조필름이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화면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207013579A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161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1263 2015-10-08
KR1020150141263 2015-10-08
KR1020160068748A KR20170042216A (ko) 2015-10-08 2016-06-02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160068748 2016-06-02
PCT/KR2016/010471 WO2017061718A1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433A Division KR102112275B1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662A true KR20200053662A (ko) 2020-05-18
KR102161068B1 KR102161068B1 (ko) 2020-09-29

Family

ID=5870372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748A KR20170042216A (ko) 2015-10-08 2016-06-02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187010886A KR20180052129A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187025433A KR102112275B1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207013579A KR102161068B1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748A KR20170042216A (ko) 2015-10-08 2016-06-02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187010886A KR20180052129A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KR1020187025433A KR102112275B1 (ko) 2015-10-08 2016-09-20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98827B2 (ko)
EP (1) EP3361308A4 (ko)
JP (1) JP2018532852A (ko)
KR (4) KR20170042216A (ko)
CN (1) CN1081396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7195B2 (en) 2010-06-22 2017-10-03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Dry apply protective systems and methods
DE102018102615A1 (de) * 2018-02-06 2019-08-08 Lambert Hülsmeyer von Krusenstern Staubfreie Zusammenführung von Oberflächen
CN109735254A (zh) * 2018-12-28 2019-05-10 深圳市康成泰实业有限公司 贴膜及贴膜方法
KR102119337B1 (ko) 2019-01-08 2020-06-04 김재욱 스마트폰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키는 구조
JP7017151B2 (ja) * 2019-02-06 2022-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貼付部材
IT201900011214A1 (it) * 2019-07-09 2021-01-09 Batch Int S R L S Kit per il posizionamento di una protezione su uno schermo, e relativo metodo di posizionamento di una protezione su uno schermo
KR102215868B1 (ko) * 2020-10-12 2021-02-15 백승재 금속판 보호필름 부착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612A (ja) * 2000-11-27 2002-06-0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用異物除去方法
KR20060022952A (ko) 2004-09-08 2006-03-13 한종석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의 화면보호지 가이드케이스및화면보호지의 부착방법
US20130171400A1 (en) * 2011-12-29 2013-07-04 Yu Ping Philip LIN Film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KR20140147515A (ko) 2013-06-20 2014-12-30 이대로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US20150107767A1 (en) * 2013-08-08 2015-04-23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applicator machine, and cradle,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99B1 (ko) * 2006-07-04 2008-03-06 김영선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패널 보호용 필름
US9777195B2 (en) * 2010-06-22 2017-10-03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Dry apply protective systems and methods
KR20120051325A (ko) * 2010-11-12 2012-05-22 김승욱 휴대폰 보호필름
KR20140004440A (ko) * 2012-07-03 2014-01-13 한종석 액정보호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부착 방법
CN104053542A (zh) * 2012-12-21 2014-09-17 祐平·菲利普·林 膜总成及贴附该膜总成的方法
WO2015021430A1 (en) * 2013-08-08 2015-02-12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applicator machine, and cradle,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612A (ja) * 2000-11-27 2002-06-0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用異物除去方法
KR20060022952A (ko) 2004-09-08 2006-03-13 한종석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의 화면보호지 가이드케이스및화면보호지의 부착방법
US20130171400A1 (en) * 2011-12-29 2013-07-04 Yu Ping Philip LIN Film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KR20140147515A (ko) 2013-06-20 2014-12-30 이대로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US20150107767A1 (en) * 2013-08-08 2015-04-23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applicator machine, and cradle,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8827B2 (en) 2020-03-24
KR20180100728A (ko) 2018-09-11
KR102161068B1 (ko) 2020-09-29
KR20170042216A (ko) 2017-04-18
EP3361308A1 (en) 2018-08-15
CN108139621A (zh) 2018-06-08
EP3361308A4 (en) 2019-08-21
KR102112275B1 (ko) 2020-05-18
JP2018532852A (ja) 2018-11-08
US20190072692A1 (en) 2019-03-07
KR20180052129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275B1 (ko)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TWI541697B (zh) Car touch device with curved surface structure
US20160043765A1 (en) Protective film composite
WO2016149965A1 (zh) 光学膜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20160001521A1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7833178U (zh) 一种易撕贴组件及具有其的显示屏
KR101495075B1 (ko)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TW201535180A (zh) 觸控面板及其貼合方法
KR101769014B1 (ko)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비산방지부 및 그 부착방법
JP2015174318A (ja) シート積層体
CN115394187B (zh) 支撑膜组、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WO2017061718A1 (ko)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CN108192525B (zh) 粘结组件及其离型膜
CN105754507A (zh) 一种单边易撕胶带
TWM482789U (zh) 觸控裝置、面板組合及功能膜
KR20170025138A (ko) 터치 스크린 및 lcd 패널용 광학 필름의 프레싱 시스템
KR102249956B1 (ko) 부착 편의성이 개선된 스마트기기 보호용 필름
CN218675586U (zh) 一种用于触摸屏与lcm模组贴合的泡棉结构
JP3220524U (ja) 繰り返し貼着可能なラミネートフィルム
CN203545931U (zh) 一种自粘性胶膜
KR20140002324A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KR101800291B1 (ko) 디퍼런셜 테이프 및 그 사용 방법
KR101970820B1 (ko) 벽면 부착형 거치대 제작 방법
JP6157834B2 (ja) カードホルダ
JP2019124843A (ja) ラベルシート、テレビジョン装置、ラベルシートの貼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