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109A -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 Google Patents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109A
KR20200053109A KR1020180136297A KR20180136297A KR20200053109A KR 20200053109 A KR20200053109 A KR 20200053109A KR 1020180136297 A KR1020180136297 A KR 1020180136297A KR 20180136297 A KR20180136297 A KR 20180136297A KR 20200053109 A KR20200053109 A KR 20200053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pport
patient
elastic support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666B1 (ko
Inventor
정현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3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6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혈관 등에 삽입되어 주사제 또는 혈액을 상기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정맥 카데터(Intravenous Catheter)에 이용되는 니들(needle)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일측에서 상기 정맥 카데터의 주사액 챔버 측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한 탄성 지지부; 및 상기 탄성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삽입 및 지지되는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니들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Needle Supporting Structure And Intravenous Cathe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 약액이나 혈액을 주사하기 위해 정맥혈관 확보를 위한 정맥 관삽입(Intravenous cannulation)은 의료 현장에서 널리 쓰이는 의료행위로,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는 경정맥 카데터는 전세계적으로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때, 종래의 정맥 카데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관(13'), 주사액 또는 혈액이 수용되는 주사액 챔버(12'), 환자의 혈관(도 2에 도시됨)에 삽입되는 니들(11') 및 주사액 챔버(12')에 연결되어 니들(11')을 고정하는 카데터 허브(10')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카데터 허브(10')는 원기둥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바, 형상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강체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맥 카데터(1') 니들(11')을 환자의 혈관(2')에 삽입하는 경우, 니들(11')의 삽입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카데터 허브(10')를 환자의 피부(3')상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카데터 허브(10') 말단의 니들(11')이 돌출되는 부위에서 니들(11')에 변형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꺾임과 이로 인한 막힘, 통증 및 피부병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나아가, 강성의 카데터 허브(10')가 피부에 밀착 고정되는 경우, 환자는 강성체의 카데터 허브(10')가 피부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통증 및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고, 이는 환자의 편의성을 감소시켜 의료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08476호 (2011.01.0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한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맥 주사 과정에서 환자의 니들 삽입 부위와 지지 구조체와의 이격 거리로 인한 니들의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니들의 꺾임 현상으로 인한 니들 막힘, 환자 통증 및 피부병변 발생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에 니들 삽입 시 환자의 피부와 지지 구조체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니들의 삽입 지지 기능은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높이고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정맥 주사 간 환자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혈관 등에 삽입되어 주사제 또는 혈액을 상기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정맥 카데터(Intravenous Catheter)에 이용되는 니들(needle)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일측에서 상기 정맥 카데터의 주사액 챔버 측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한 탄성 지지부; 및 상기 탄성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삽입 및 지지되는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니들 지지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니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나선형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습윤보호형 폼(Hydrocellular foa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말단 개구의 직경은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서 주입관과 연결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이 수용되는 주사액 챔버; 일측이 상기 주사액 챔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주사액 또는 상기 혈액을 흡입하고, 타측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어 상기 주사액 또는 상기 혈액을 상기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니들; 및 상기 주사액 챔버에 체결되어 상기 니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니들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지지 구조체는, 일측에서 상기 주사액 챔버 측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한 탄성 지지부; 및 상기 탄성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삽입 및 지지되는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니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나선형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습윤보호형 폼(Hydrocellular foa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말단 개구의 직경은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맥 주사 과정에서 환자의 니들 삽입 부위와 지지 구조체와의 이격 거리로 인한 니들의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니들의 꺾임 현상으로 인한 니들 막힘, 환자 통증 및 피부병변 발생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환자에 니들 삽입 시 환자의 피부와 지지 구조체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니들의 삽입 지지 기능은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높이고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정맥 주사 간 환자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맥 카데터를 나타낸 도면
도 2 (a) 및 (b)는 종래의 정맥 카데터를 환자의 혈관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의 니들 지지 구조체 및 니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가 환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니들 지지 구조체(10) 및 니들(1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는 일측에서 외부의 주입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이 이송되는 주입관(13)과 연결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이 수용되는 주사액 챔버(12), 일측이 주사액 챔버(12) 내에 위치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을 흡입하고, 타측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어 흡입된 주사액 또는 혈액을 환자의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니들(11) 및 주사액 챔버(12)에 체결 가능한 니들 지지 구조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는 주사액 챔버(12)의 적어도 일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술한 니들(11)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는 일측에서 상술한 주사액 챔버(12) 측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110), 체결부(110)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니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한 탄성 지지부(120) 및 탄성 지지부(120)의 일단에 형성되고 니들(11)이 삽입 및 지지되는 말단 개구(131)를 포함하는 말단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체결부(110) 및 주사액 챔버(12) 상호 간은 후크 결합 방식(미도시 됨)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 결합 등 체결부(110) 및 주사액 챔버(12) 상호 간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방식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술한 탄성 지지부(120)는 니들(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니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부재(121)가 복수 회 감겨진 나선형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탄성 지지부(120)의 복수 회 감겨진 탄성부재(121) 상호 간은 니들(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일 측에서 봤을 때, 평소 상태에서 상호 접촉 지지되지 않은 채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탄성 지지부(120)는 니들(1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신축(伸縮)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술한 탄성 지지부(120)는 복수 회 감겨지며 연장되고, 일 측면에서 봤을 때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부재(121)의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니들(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길이가 증가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탄성 지지부(120)는 체결부(110) 측에서 말단 지지부(130) 측으로 갈수록 니들(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탄성 지지부(120)는 복수 회 감겨지며 나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체결부(110)에서 말단 지지부(13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크기로 감겨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탄성 지지부(120)는 단순히 니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니들(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반경 방향으로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탄성 지지부(120)가 상향 절곡되는 경우, 탄성 지지부(120)의 외주면 중 일측(도면상 하부)의 길이가 늘어남과 동시에 외주면 중 타측(도면상 상부)의 길이는 감소되어 자연스럽게 절곡될 수 있다.
이 때, 탄성 지지부(120) 내측에 위치된 니들(11) 역시 탄성 지지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절곡될 수 있는 바, 종래에 니들(11')의 특정 지점(카데터 허브(10')의 말단 인근)에 집중되던 절곡 응력을 탄성 지지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반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니들(11)의 특정 지점으로의 응력 집중을 분산시키고 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바, 니들(11)이 특정 부분이 꺾이게 되어 파손되거나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환자의 통증 및 피부병변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는 니들(11)이 환자의 혈관 내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 탄성 지지부(120)는 환자의 니들(11) 삽입 부위 인근에 환자의 표피와 접촉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탄성 지지부(120)의 외주면을 니들(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탄성 지지부(120)를 환자의 피부에 고정 시 탄성 지지부(120)의 피부 접촉면의 반대 측면은 환자의 피부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고, 탄성 지지부(120) 내측에 위치되어 말단 지지부(130)에 고정된 니들(11)은 자연스럽게 삽입 각도를 이루며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가 환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환자의 정맥 혈관 확보를 위해 정맥 카데터(1)의 니들(11)을 혈관에 삽입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니들(11)은 혈관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니들(11)이 삽입된 혈관 근처의 환자 피부에는 삽입된 니들(11)의 삽입 상태 및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니들 지지 구조체(10)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니들 지지 구조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회 감겨진 나선형의 스프링 구조를 가진 탄성 지지부(120)를 구비하고 있는 바, 니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되거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가 환자의 피부상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경우, 니들(11)의 삽입 과정에서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탄성 지지부(120)의 피부와의 접촉면 측 일측(도면상 하부)은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니들(11)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측(도면상 우측)으로 밀릴 수 있고,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피부와의 접촉면에 반대 측 타측(도면상 상부)은 니들(11)이 삽입되는 방향(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피부에 대한 탄성부재(121)의 기울어진 각도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 지지부(120)는 환자의 피부상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면착될 수 있고,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환자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는 바, 내부의 니들(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꺾임이나 막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니들 지지 구조체(10)에 있어서, 상술한 말단 지지부(130)의 말단 개구(131)의 직경은 상기 니들(11)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니들(11)의 외주면과 말단 개구(131)의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발생할 수 있고, 니들(11)은 말단 개구(131) 내에서 소정 범위 내에서 반경 방향 유동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니들(11)은 탄성 지지부(120) 내에서 탄성 지지부(120)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범위 유동될 수 있고, 니들(11)을 감싸고 있는 탄성 지지부(120)와 니들(11)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 카데터 허브의 말단에서 니들(11)이 딱 맞게 끼워짐으로써 고정되어 돌출되는 부위에 발생할 수 있었던 응력 집중을 해소할 수 있고,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환자의 피부 접촉 이후에도 소정 범위 니들(11)의 유동이 가능한 바, 니들(11)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의 응력 집중 및 니들(11)의 꺾임으로 인해 막히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말단 지지부(130)는 니들(11)이 환자 혈관에 삽입된 경우, 적어도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니들(11) 측으로 오므라들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말단 지지부(130)는 소정 탄성 반력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피부와 접촉 지지됨에 따라 니들(11) 측으로 소정 범위 찌그러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니들(11)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된 경우, 니들 지지 구조체(10)가 환자의 피부상에 접촉 지지됨에 따라 말단 지지부(130) 역시 환자의 피부상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고, 말단 지지부(130)의 피부 접촉에 의한 상방 가압을 통해 말단 지지부(130)의 피부와 접촉되는 일부(도면상 하부)는 니들(11) 측으로 찌그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 강체의 카데터 허브를 환자의 피부에 가압함으로써 환자가 환자가 느낄 수 있었던 통증 및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고, 상술한 찌그러짐에 의해 말단지지부의 직경(말단 개구(131)의 직경)이 일부 작아지는 바, 니들(11)은 말단 지지부(130)의 말단 개구(131) 내에서 더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체결부(110), 탄성 지지부(120) 및 말단 지지부(130)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니들 지지 구조체(10)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탄성 반력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체결부(110), 탄성 지지부(120) 및 말단 지지부(130)는 습윤보호형 폼(Hydrocellular foam) 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탄성과 강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선형 스프링 구조 등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구조가 유지됨과 동시에 니들(11)의 혈관 삽입 시 니들 지지 구조체(10)가 환자의 피부상에 접촉 및 고정되는 과정에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니들 지지 구조체(10)의 가압 통증 등의 이질감 및 불쾌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챔버(12) 역시 일부 외면에서 환자의 피부(3)와 접촉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강성체로 형성되는 챔버(12)의 특성상 가압 접촉에 의해 환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는 챔버(12)에서 환자의 피부(3)와 접촉되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보호커버(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보호커버(14)는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와 같이, 습윤보호형 폼(Hydrocellular foam) 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탄성과 강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질감 또는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정맥 카데터(1)가 말초혈관(2)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는 중심정맥(2'')에 삽입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는 일측에서 외부 주입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주입관(13a, 13b, 13c), 복수 개의 주입관(13a, 13b, 13c) 각각과 연결되어 각각으로 주사액 또는 혈액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주사액 챔버(12a, 12b, 12c), 일측에서 복수 개의 주사액 챔버(12a, 12b, 12c)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주입관(13a, 13b, 13c)과 연통되고 타측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을 환자의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니들(11) 및 복수 개의 주입관(13a, 13b, 13c)과 니들(11)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며 고정 및 지지 가능한 니들 지지 구조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주입관(13a, 13b, 13c)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주사액 챔버(12a, 12b, 12c) 역시 복수 개 구비되어 각각이 복수 개의 주입관(13a, 13b, 13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니들 지지 구조체(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의 니들 지지 구조체(10)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맥 카데터(1'')가 환자의 중심정맥(2'')에 삽입되는 경우, 상술한 니들 지지 구조체(10)를 통해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가압 통증 및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나아가, 종래에 니들(11') 꺾임으로 인해 발생하였던 막힘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 1'' : 정맥 카데터
10 : 니들 지지 구조체
110 : 체결부
120 : 탄성 지지부
121 : 탄성부재
130 : 말단 지지부
131 : 말단 개구
10' : 카데터 허브
11, 11' : 니들
12, 12a, 12b, 12c, 12' : 주사액 챔버
13, 13a, 13b, 13c, 13' : 주입관
14 : 보호커버
2, 2'' : 환자의 혈관
3 : 환자의 피부

Claims (10)

  1. 환자의 혈관 등에 삽입되어 주사제 또는 혈액을 상기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정맥 카데터(Intravenous Catheter)에 이용되는 니들(needle)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일측에서 상기 정맥 카데터의 주사액 챔버 측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한 탄성 지지부; 및
    상기 탄성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삽입 및 지지되는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니들 지지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니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나선형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된, 니들 지지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된, 니들 지지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습윤보호형 폼(Hydrocellular foam) 재질로 형성된, 니들 지지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단 개구의 직경은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니들 지지 구조체.
  6. 일측에서 주입관과 연결되어 주사액 또는 혈액이 수용되는 주사액 챔버;
    일측이 상기 주사액 챔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주사액 또는 상기 혈액을 흡입하고, 타측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어 상기 주사액 또는 상기 혈액을 상기 혈관 내로 주입 가능한 니들; 및
    상기 주사액 챔버에 체결되어 상기 니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니들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지지 구조체는,
    일측에서 상기 주사액 챔버 측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 가능한 탄성 지지부; 및
    상기 탄성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삽입 및 지지되는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니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나선형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된, 정맥 카데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된, 정맥 카데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상기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말단 지지부는 습윤보호형 폼(Hydrocellular foam) 재질로 형성된, 정맥 카데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말단 개구의 직경은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정맥 카데터.
KR1020180136297A 2018-11-08 2018-11-08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KR102127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97A KR102127666B1 (ko) 2018-11-08 2018-11-08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97A KR102127666B1 (ko) 2018-11-08 2018-11-08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09A true KR20200053109A (ko) 2020-05-18
KR102127666B1 KR102127666B1 (ko) 2020-06-29

Family

ID=7091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97A KR102127666B1 (ko) 2018-11-08 2018-11-08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9377A (zh) * 2020-08-21 2020-11-17 吉林大学 一种小儿神经护理用新型头皮静脉留置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8892A (ja) * 2006-03-07 2009-08-1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カテーテル用の可撓性スリーブ
KR101008476B1 (ko) 2010-10-05 2011-01-14 김정재 카테타 허브와 연결관의 결합구조
US20140142546A1 (en) * 2010-01-21 2014-05-22 James T. Rawls Low-Profile Intravenous Catheter Device
WO2015164801A1 (en) * 2014-04-25 2015-10-29 Burdick Steven Vacuum wound device
JP2018518279A (ja) * 2015-06-18 2018-07-12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用の伸縮可能スリー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8892A (ja) * 2006-03-07 2009-08-1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カテーテル用の可撓性スリーブ
US20140142546A1 (en) * 2010-01-21 2014-05-22 James T. Rawls Low-Profile Intravenous Catheter Device
KR101008476B1 (ko) 2010-10-05 2011-01-14 김정재 카테타 허브와 연결관의 결합구조
WO2015164801A1 (en) * 2014-04-25 2015-10-29 Burdick Steven Vacuum wound device
JP2018518279A (ja) * 2015-06-18 2018-07-12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用の伸縮可能スリー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9377A (zh) * 2020-08-21 2020-11-17 吉林大学 一种小儿神经护理用新型头皮静脉留置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666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2494B2 (ja) キンク耐性を提供する遠位内径湾曲部を有するカテーテルアダプタ
JP6515084B2 (ja) カテーテル
CN106620944B (zh) 提供导管抗扭结性的导管适配器
WO2015137098A1 (ja) 医療用チューブ
US20100286657A1 (en) High-flow tapered peripheral iv catheter with side outlets
JP2016539765A (ja) 注射針ハブアッセンブリと注射針ハブアッセンブリを含む注射器
KR102127666B1 (ko) 니들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맥 카데터
US20230181877A1 (en) Needle cover retention
US20180339135A1 (en) Cannula securing device
JP7126491B2 (ja) カテーテル
CN212593350U (zh) 一种留置针固定装置
JP2022516628A (ja) 血管アクセスコネクタサポート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12090417U (zh) 小型留置针
JP6678379B2 (ja) 隔壁付きハブ組立体
EP2484402A2 (en) A venflon component
WO2019123698A1 (ja) プロテクタ及び医療用針組立体
JP7264875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及びカテーテルハブ
US20230067368A1 (en) Catheter Adapter with Flexible Strain Relief
CN209004989U (zh) 深静脉置管防打折外鞘
CN211512936U (zh) 一种新型留置针
CN216629331U (zh) 一种留置针
JP2019097598A (ja) カテーテルおよびマニホールド
CN213822946U (zh) 导管座及导管座组件
CN211835732U (zh) 导管组件
CN206167528U (zh) 一种新型静脉留置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