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108A -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108A
KR20200053108A KR1020180136289A KR20180136289A KR20200053108A KR 20200053108 A KR20200053108 A KR 20200053108A KR 1020180136289 A KR1020180136289 A KR 1020180136289A KR 20180136289 A KR20180136289 A KR 20180136289A KR 20200053108 A KR20200053108 A KR 2020005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data
module
measurement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13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108A/ko
Publication of KR2020005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 디바이스 없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이 의료기관 서버(300)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가 운송 서버(400)에 전송되며, 상기 운송 서버(400)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발송되도록 발송 처리하는 단계; 및(c) 상기 (a) 단계에서 측정 디바이스 있음으로 판단된 측정 디바이스(200)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운송 서버(400)에 의해 발송 처리된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센서(S1)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DYSURIA DIAGNOSIS MEDIC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REOF}
본 출원은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뇨와 관련된 장애들로서, 배뇨곤란, 요폐, 지연뇨, 빈뇨, 야간뇨, 배뇨후 점적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연뇨 증상과 배뇨후 점적 증상은 노인층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그 원인은 방광염일 수도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급성 요폐 등일 수 있어서 다양하다.
그러나,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은 환자가 스스로 밝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보통 기존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가 직접 작성한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배뇨일지를 작성하는 것은 환자 입장에서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체크가 정확히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신체에 항상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배뇨 패턴을 감지함으로써, 배뇨 정보와 이를 이용한 배뇨 장애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493322호 (2015.02.23)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73541호 (2017.06.28)
본 출원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측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배뇨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또는 필터링하고, 이로부터 배뇨 정보의 연산 및 배뇨 장애 판단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a)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 디바이스 없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이 의료기관 서버(300)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가 운송 서버(400)에 전송되며, 상기 운송 서버(400)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발송되도록 발송 처리하는 단계 및(c) 상기 (a) 단계에서 측정 디바이스 있음으로 판단된 측정 디바이스(200)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운송 서버(400)에 의해 발송 처리된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센서(S1)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거리 내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신호가 탐색되는지 여부에 의해 측정 디바이스 보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는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D)를 발생시키는 상기 센서(S1), 상기 센서(S1)로부터 발생된 데이터(D)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210),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성별이 입력되는 성별 입력 모듈(220),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는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DEff)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 및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알림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S1)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이 남성인 경우,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이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1 데이터(D1) 수집 직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진폭 이상을 가지며 진동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2 데이터(D2)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2 데이터(D2)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이 여성인 경우,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은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3 데이터(D3) 및 상기 제3 데이터(D3) 수집 이후, 상기 제1 데이터(D1)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3 데이터(D3) 및 상기 제1 데이터(D1)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필터링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상기 필터링 버튼이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필터링 버튼이 상기 소정 횟수 이상 다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센서(S1)로부터 발생된 데이터(D)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 된 유효 데이터(DEff)의 제1 데이터(D1) 중,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정지하는 초기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과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좌변기(510) 내부의 소변 저장 탱크(512)에 설치되며, 상기 소변 저장 탱크(5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센싱하는 유량 센서(S2)로부터 데이터를 더 수집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배뇨 시간 동안 상기 유량 센서(S2)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배뇨량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연산된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배뇨 시간의 배뇨 종료 시점(T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유량 센서(S2)에 의해 센싱된 유체의 양이 기 설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DEff) 각각을 1회의 배뇨 횟수로 연산하며, 하루 동안에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빈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 (g)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알림 모듈(26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출력 모듈(150)이 기 설정된 방법으로 내원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 (i)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진료 예약 모듈(16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에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j) 상기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받은 의료 기관 서버(300)가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또한, 본 출원은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D)를 발생시키는 상기 센서(S1)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S1)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D)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 장애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측정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510) 내부의 상기 소변 저장 탱크(512)에 설치되며, 상기 소변 저장 탱크(5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유량 센서(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운송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 및 배뇨 장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송받는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a) 사용자 단말기(600)의 활성화 모듈(6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62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센서(S)가 감지한 소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활성화 모듈(6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데이터 수집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상기 (b) 단계에서 수집된 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량, 배뇨 횟수 및 배뇨 시간을 포함하는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집된 소리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파수의 값에 대한 데이터이고, 소변이 배뇨용기(7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 데이터인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1 데이터(D1)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주변의 소음 데이터인 제2 데이터(D2)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상기 제2 데이터(D2)의 값이 0이 되도록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62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의 값을 보정하고, 상기 제2 데이터(D2)가 상기 제1 데이터(D1)로 변화할 때의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 이후 상기 제1 데이터(D1)가 상기 제2 데이터(D2)로 변화할 때의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과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과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 사이의 소리 데이터 값을 적분하여, 적분된 값을 배뇨량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연산된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데이터(D1)가 다시 수집되는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연산된 배뇨 시간마다 1회의 배뇨 횟수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하루 동안에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에 의해 연산된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빈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알림 모듈(650)이 출력 모듈(670)에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상기 출력 모듈(670)이 기 설정된 방법으로 내원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진료 예약 모듈(68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의료 기관 서버(300)에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받은 의료 기관 서버(300)가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배출하는 소변과 부딪히면서 상기 소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배뇨용기(700), 상기 배뇨용기(700)로부터 발생하는 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배뇨 정보에 기초하여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연산된 배뇨 정보 및 배뇨 장애를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진료 예약 명령에 따라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의료 기관 서버(300)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병원에 내원하지 않고도 일련의 절차를 통해 배뇨 장애를 판단할 수 있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둘째,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 중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만을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기에, 실제로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인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된 배뇨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셋째, 사용자는 과도하게 불편하거나 번잡한 절차를 강요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진단 증상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의료진 입장에서도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편적인 기준에 의하여 지연뇨 증상 등을 진단할 수 있어,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다섯째, 이러한 데이터는 의료 기관 서버에도 기록될 수 있어서, 환자가 편하게 집에서 거주하면서도 모든 데이터들을 의료 기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이 누적되고 공유되어 의학 기술에 유용한 빅 데이터(Big Data)가 확보될 수도 있다.
여섯째, 사용자가 상시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만을 이용하여 배뇨 장애의 판단이 가능하므로 저 비용으로 간편하게 자신의 배뇨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곱째, 하나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룸으로써, 의료 정보의 위조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이 주어지고, 정보 구축이 필요한 자는 소정의 사용료를 지급하면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선순환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센서(S1)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30 내지 S46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센서(S)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시스템"은 본 출원에 따라 구축되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법이 아님에 주의한다.
1. 제1 실시예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측정 디바이스(200), 의료 기관 서버(300),운송 서버(400) 및 블록체인 서버(9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기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 설치 확인 모듈(130), 입력 모듈(140) 및 출력 모듈(150)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각 모듈이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나, 각 모듈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에 통합되고, 이렇게 통합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그 기능을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종래의 어떤 방법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일 예로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신호가 탐색되는지 여부를 통하여 보유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 거리 내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신호가 탐색되는 경우,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은 "측정 디바이스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탐색되지 않은 경우, "측정 디바이스 없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은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에 의해 판단된 결과가 "측정 디바이스 없음"인 경우, 의료 기관 서버(300)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치한 곳과 가장 가까운 의료 기관 서버(300)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발송 요청 신호가 전송된 의료 기관 서버(300)에 발송할 측정 디바이스(20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음으로 가까운 의료 기관 서버(300)에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의료 기관 서버(300)에 전송된 신호는 운송 서버(400)에 전송되며, 운송 서버(400)의 측정 디바이스 발송 처리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200)가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에게까지 정확히 발송되기 위해서는 수취인의 이름,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필요한데, 이는 환자의 개인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은 개인 정보는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주소지는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이름, 주소를 암호화하여 의료 기관 서버(3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납 신호 전송 모듈(130)은 측정 디바이스(200)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이다. 측정 디바이스(200)에 의해 배뇨 장애 여부 판단이 완료되어 더 이상 측정 디바이스(200)를 이용할 필요가 없을 때, 측정 디바이스(200)는 반납되어야 하는데 반납 신호 전송 모듈(130)은 측정 디바이스(200) 발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 의료 기관 서버(300)에 반납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발송 때와 마찬가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반납 신호를 전송 받은 의료 기관 서버(300)는 운송 서버(400)에 전송되며, 운송 서버(400)의 측정 디바이스(200) 반납 처리에 의해 측정 디바이스(200)의 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모듈(14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터치 패널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 모듈(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출력 모듈(150)에 출력된 메뉴의 입력, 메시지 입력 등의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출력 모듈(150)은 후술하는 측정 디바이스(200)의 알림 모듈(260)에 의해 전송된 알림을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비되어 입력 모듈(140)에 입력된 소정의 명령에 따라 상이한 화면을 출력하는 부분이다.
진료 예약 모듈(160)은 후술하는 알림 모듈(260)에 의해 "의료 기관에의 내원 요망"의 알림이 전송되는 경우, 의료 기관 서버(300)에 진료를 예약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진료 예약의 대상이 되는 의료 기관 서버(300)는 측정 디바이스(200)를 발송 처리한 의료 기관 서버(3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되어 있는 임의의 의료 기관 서버(300) 모두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의료 기관에 진료 예약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측정 디바이스(200)는 측정 대상 개체의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등과 같이 측정 대상 개체가 착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를 구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200)는 센서(S1), 데이터 수집 모듈(210), 성별 입력 모듈(220),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 알림 모듈(260) 및 통신 모듈(270)을 포함한다. 측정 디바이스(200)는 "측정 디바이스 있음"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송 서버(400)에 의해 발송 처리된 것으로서, 보유 판단 또는 발송 처리에 이용된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된다.
센서(S1)는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D)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 센서(S1)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D)를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D)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센서(S1)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D)를 수집하는 부분이다.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D)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인 형태이다. 후술하는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은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D)에서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좌변기(510)에 설치되며, 소변 저장 탱크(5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센싱하는 유량 센서(S2)로부터 유량에 대한 데이터를 더 수집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거리 제약 상, 측정 디바이스(200)가 유량 센서(S2)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유량 센서(S2)로부터 유량에 대한 데이터를 더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정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주소지(500) 밖에서는 측정 디바이스(200)의 센서(S1)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며, 주소지(500) 내에서는 측정 디바이스(200)의 센서(S1)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및 좌변기(510)의 유량 센서(S2)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모두를 이용하여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성별 입력 모듈(220)은 측정 디바이스(200)가 장착된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이 입력되는 부분이다.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센서(S1)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중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인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게 되며, "남성" 또는 "여성"의 성별이 입력될 수 있다. 성별 입력 모듈(220)을 통한 성별 입력은 측정 디바이스(200)의 작동과 동시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별 입력 모듈(220)을 통해 측정 디바이스(200) 장착자의 성별이 입력되면, 입력된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게 된다.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은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D)에서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는 부분이다.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에 따라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는 방법이 상이하다.
먼저,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이 "남성"인 경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은 수집된 데이터(D)가,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1 데이터(D1) 수집 직후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진폭 이상을 가지며 진동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2 데이터(D2)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D1)와 제2 데이터(D2)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제1 데이터(D1)는 배뇨 중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생리학적으로, 요도 주변의 근육이 이완되어야 방광에 저장된 소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요도 주변의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서는 측정 대상 개체가 움직임 없이 정지하여야 한다. 즉, 소변을 보는 시간만큼은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이 없으며, 센서(S1)의 입장에서는 도 3의 S4에 해당하는 제1 데이터(D1)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데이터(D2)는 배뇨 후에 요도에 잔류하는 소변 제거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경우 잔뇨를 제거하기 위해 성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된 측정 디바이스(200)의 입장에서는 기 설정된 진폭 이상을 가지며 진동하게 되는 것이며, 도 3의 S5에 해당하는 제2 데이터(D2)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유효 데이터(DEff) 필터링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데이터(D1) 수집 직전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 거리 이상 하강하는 데이터(S2)(배뇨를 위해 하의의 지퍼를 내리는 과정 또는 하의를 내리는 과정을 의미) 및 제2 데이터(D2) 수집 직후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 거리 이상 상승하는 데이터(S6)(배뇨를 마치고 하의의 지퍼를 올리는 과정 또는 하의를 올리는 과정을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 데이터까지도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측정 디바이스(200)에 별도의 필터링 버튼(미도시)이 구비되어, 필터링 버튼에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측정 디바이스(200) 착용자는 배뇨 전 필터링 버튼을 소정 횟수 이상 누르고, 배뇨가 완료되면 필터링 버튼을 소정 횟수 이상 누르는 방법이다. 즉, 필터링 버튼이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고, 그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필터링 버튼이 다시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는 경우, 이 시간에 측정되는 데이터(D)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수집된 데이터(D)가 상기 제1 데이터(D1) 및 제2 데이터(D2) 등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기 위해 전술한 데이터들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연산할 필요 없이, 단지 필터링 버튼이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고, 그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필터링 버튼이 다시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는 경우, 그 사이의 시간에 측정되는 데이터(D)만을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하면 되기 때문에, 필터링의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이 "여성"인 경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은 수집된 데이터(D)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3 데이터(D3) 및 상기 제3 데이터(D3) 수집 직후, 상기 제1 데이터(D1)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3 데이터(D3) 및 제1 데이터(D1)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제3 데이터(D3)는 여성인 측정 대상 개체가 좌변기(510)에 착좌하기 위해 몸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화장실 문을 열고 들어가 좌변기(510)에 착좌하기 위해 몸을 회전시키는 과정이며, 좌변기 배치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는 차이가 있으나, 100도 이상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센서(S1)의 입장에서는 도 3의 S1에 해당하는 제3 데이터(D3)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경우에도 배뇨를 위해서는 요도 주변의 근육을 이완되어야 방광에 저장된 소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배뇨 시간 동안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이 없으며, 센서(S1)의 입장에서 도 3의 S4에 해당하는 제1 데이터(D1)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유효 데이터(DEff) 필터링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3 데이터(D3) 수집 직전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 거리 이상 하강하는 데이터(S2)(배뇨를 위해 하의를 탈의하는 과정 또는 좌변기에 착좌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측정 디바이스(200)까지의 높이가 감소함을 의미), 제1 데이터(D1) 수집 직후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진폭 이상을 가지며 진동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S5)(화장실 벽면에 설치된 롤 휴지로부터 휴지를 분리하기 위해 롤 휴지를 아래로 끌어내리고 끌어내린 휴지를 위로 말아올리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을 의미), 제1 데이터(D1) 수집 직후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 거리 이상 상승하는 데이터(S6)(배뇨를 마치고 하의를 착용하는 과정을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 데이터까지도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필터링 버튼을 이용한 유효 데이터(DEff) 필터링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유량 센서(S2)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및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DEff)를 이용하여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배뇨량을 연산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유효 데이터(DEff) 각각을 1회의 배뇨 횟수로 연산하며, 유효 데이터(DEff)의 제1 데이터(D1) 중, 측정 디바이스(200)가 정지하는 초기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T2) 이후 측정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하며, 배뇨 종료 시점(T2)과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게 된다.
또한,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연산된 배뇨 시간 동안 유량 센서(S2)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배뇨량으로 연산하게 된다.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은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 즉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배뇨량 등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은 연산된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배뇨 종료 시점(T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유량 센서(S2)에 의해 센싱된 유체의 양이 기 설정된 제1 값인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은 하루 동안의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빈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변기(510)에 설치된 유량 센서(S2)로부터 유량에 관한 정보가 전송된 경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소지(500) 밖에서 배뇨 활동을 하는 경우 유량 센서(S2)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연령에 따른 남성/여성의 시간당 평균 배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배뇨 시간과 함께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알림 모듈(260)은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상기한 지연뇨 증상, 배뇨후 점적 증상 및 빈뇨 증상 등의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측정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부분이다. 알림 모듈(260)에 의해 전송되는 알림의 내용은 "의료 기관에의 내원 요망", "내원 요하지는 않으나 관리 필요", "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배뇨 장애로 판단된 경우 "의료 기관에의 내원 요망"의 알림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배뇨 장애로 판단되지는 않았으나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내원 요하지는 않으나 관리 필요"의 알림이 전송될 수 있고,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정상"의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알림 모듈(260)에 의해 전송된 알림이 "내원 요하지는 않으나 관리 필요"인 경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반납 처리 없이 이를 장착한채로 배뇨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의료 기관에의 내원 요망" 및 "정상" 등 측정 디바이스(200)를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전술한 반납 신호 전송 모듈(130)에 의한 반납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의료 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측정 디바이스 없음"으로 판단된 경우,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로부터 측정 디바이스(200)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운송 서버(400)에 전송하는 부분이다. 의료 기관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측정 디바이스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받은 운송 서버(400)는 의료 기관 내에 구비된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처리하게 된다. 이렇게 발송 처리된 측정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주소지(500)에 발송된다. 또한,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 및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연산 및 판단한 배뇨 정보, 배뇨 장애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송받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각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배뇨 정보를 전송받아,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원 알림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배뇨 관련 데이터로 빅데이터를 구성하여 딥러닝 시스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진료 예약 모듈(160)에 의해 이에 연동된 의료 기관에의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주소지(500)에는 좌변기(510) 및 보관함(520)이 구비될 수 있다.
좌변기(510)에는 좌변기(510) 내측 전방에 사용자의 소변 수집을 위한 소변 수집부(511)가 형성되며, 소변 수집부(511)에 의해 수집된 소변은 하부의 소변 저장 탱크(512)로 유동하게 된다. 소변 저장 탱크(512)에는 유량 센서(S2)가 설치되어, 소변 저장 탱크(512) 내로 유동하는 유체의 양을 센싱 가능하다. 이렇게 센싱된 데이터는 측정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수집 모듈(210)로 전송된다.
보관함(520)에는 운송 서버(400)에 의해 발송 처리된 측정 디바이스(200)가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는 보관함(520)에 보관된 측정 디바이스(200)를 착용함으로써,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한 배뇨 장애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블록체인 서버(900)는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D), 유효 데이터(DEff), 성별,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배뇨량 등의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소정의 요청이 발생하면 토큰을 전송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서버(900)는 각각의 측정 디바이스(200)에 대응하는 하나의 블록체인 서버(900)가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의 블록체인 서버(900)가 존재하되, 각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고유의 코드 번호가 기록되어 구별이 가능하게 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각 블록체인 서버(900)는 블록체인상의 노드(node)로서 작용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 동안 블록체인 서버(900)로 전송된 데이터가 담긴 블록(block)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이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블록체인 서버(900)에게 전송한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900)들은 해당 데이터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을 공공 거래 장부라고 부르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 기록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된 기술이다.
블록체인 상의 블록이 하나 생성될 때마다(블록은 해당 가상 화폐가 사용하는 해시 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는 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이용해 일일이 맞는 함수를 대입하는 식으로 해시 값을 찾게 되는 이른바 채굴 과정을 수행한다. 해시 값을 찾게 되는 경우 새로운 블록이 하나 생성된다) 소정의 가상 화폐가 보상으로 주어진다. 본 출원의 토큰이 상기 가상 화폐와 동일한 개념이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측정된 데이터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소비자에게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모듈(910)은 측정 디바이스(200)의 통신 모듈(270)과 통신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부분이다.
유사도 산출 모듈(920)은 측정 디바이스(200)에서 송신된 정보에 상응하는 고유의 코드번호를 가지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900)의 저장 모듈(940)(즉, 어느 하나의 블록체인 서버(900)와 연결된 블록체인 상의 블록체인 서버(900)의 저장 모듈(940))에 저장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 데이터를 산출한다. 유사도 산출 모듈(920)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D), 유효 데이터(DEff), 성별,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배뇨량을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게 된다.
삭제 모듈(930)은 유사도 산출 모듈(920)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해당 정보를 삭제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유사범위는 유사도 산출 모듈(920)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 데이터를 고려하여 동일한 정보가 90%,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더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일 경우를 말하며, 이와 같은 유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저장 모듈(940)은 삭제 모듈(930)에 의해 삭제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940)은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과정을 설정된 시간마다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조 또는 누락된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필터링하여 투명하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토큰 전송 모듈(950)은 블록체인 서버(900)의 저장 모듈(940)에 저장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전송된 정보에 기록된 고유의 코드 번호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토큰을 전송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00) 등에 직접 토큰을 전송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해당 사용자에 상응하는 가상지갑(가상계좌)을 생성한 후 해당 가상지갑에 토큰을 저장하는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는 일종의 보상을 받는 것이 가능하며, 의료 기관 등 정보를 구축하는 입장에서도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하면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일종의 선순환 시스템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2. 제1 실시예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S430 내지 S46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가 판단된다(S410). 판단을 위해 종래 널리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신호가 탐색되는지 여부를 통하여 보유 유무가 판단될 수 있다.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에 의해 판단된 결과가 "측정 디바이스 없음"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은 의료기관 서버(300)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411).
다음, 의료 기관 서버(300)는 전송된 발송 요청 신호를 운송 서버(400)에 전송하게 된다(S412).
다음, 운송 서버(400)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 디바이스(200)가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발송되도록 발송 처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14). 여기서, 기 설정된 방법은 종래 널리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일 예로서 운송 차량 등을 통하여 측정 디바이스(200)가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 주소지(500)의 보관함(520)에 배송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 측정 디바이스(200)의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이,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D) 중,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20).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는 내용은 앞선 단락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 5의 S531 및 S532 참조).
다음,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DEff)를 이용하여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30).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내용은 앞선 단락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 5의 S540 참조).
다음,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 장애를 판단하게 된다(S440).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내용은 앞선 단락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 5의 S550 참조).
다음,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지연뇨, 배뇨후 점적, 빈뇨 등의 배뇨 장애로 판단된 경우, 측정 디바이스(200)의 알림 모듈(260)은 측정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게 된다(S450). 알림을 전송하는 내용은 앞선 단락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 5의 S560 참조).
다음, 사용자 단말기(100)의 출력 모듈(150)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내원 알림을 출력한다. 그 예로서, 출력 모듈(150) 상에 "내원이 필요합니다. 내원하여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등의 문구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듯,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판단된 배뇨 장애 여부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진료 예약 모듈(160)은 의료 기관 서버(300)에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S460), 해당 의료 기관 서버(300)는 전송된 명령에 따라 진료 예약을 수행하게 된다.
3. 제2 실시예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와 많은 부분에 있어 동일하나, 측정 디바이스 없이 사용자 단말기(600) 자체로서 배뇨 정보를 연산하고 배뇨 장애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배뇨용기(700)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바,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측정 디바이스 형태가 아닌, 스마트폰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600) 자체로서 배뇨 장애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600)는 손목에 장착되는 측정 디바이스와는 다르게 바지 주머니 등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배뇨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600), 배뇨용기(700) 및 의료 기관 서버(8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600)는 활성화 모듈(610), 데이터 수집 모듈(620),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 알림 모듈(650), 입력 모듈(660), 출력 모듈(670) 및 진료 예약 모듈(680)을 포함한다. 도 6에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모듈이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나, 각 모듈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에 통합되고, 이렇게 통합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그 기능을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사용자 단말기(6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활성화 모듈(610)은 데이터 수집 모듈(120)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데이터 수집 모듈(620)이 활성화 모듈(610)에 의해 활성화되면, 센서(S)가 감지한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일 예로서, 활성화 모듈(610)은 사용자 단말기(600)의 출력 모듈(680)을 통해 출력되는 활성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600)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미도시) 클릭 시 활성화 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제한되지는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데이터 수집 모듈(620)은 활성화 모듈(610)을 통한 활성화에 의해, 센서(S)가 감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센서(S)는 소리 센서일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 모듈(620)은 소리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소리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즉, 활성화 모듈(610)에 의해 데이터 수집 모듈(620)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음성 녹음이 시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데이터 수집 모듈(620)에 의해 수집되는 소리 데이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뇨가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기(600)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은 배뇨용기(700)에 부딪히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많은 양의 소변이 배출되면 고주파의 소리 데이터가 발생하며, 적은 양의 소변이 배출되면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소리 데이터가 발생하게 된다. 배뇨 시, 초기에는 적은 양의 소변이 배출되다가 점점 증가하고, 다시 감소하는 패턴이 관찰된다. 또한, 배뇨 후 점적 증상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배뇨 종료 시점 이후 다시 소리 데이터가 관찰되는 패턴이 관찰될 수도 있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데이터 수집 모듈(62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와 관련된 정보인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연산하는 부분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데이터 수집 모듈(620)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소변이 배뇨용기(7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 데이터인 제1 데이터(D1)를 포함하지만, 사용자 단말기(600) 주위의 소음 데이터인 제2 데이터(D2) 또한 포함하게 된다(도 7 참조). 사용자 단말기(600)와 제2 데이터(D2)를 발생시키는 장소 사이의 거리보다는 제1 데이터(D1)를 발생시키는 배뇨용기(700)와의 거리가 가까울 것이기 때문에, 제1 데이터(D1)가 제2 데이터(D2)보다는 더 큰 데시벨(dB)을 가질 것이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제2 데이터(D2)의 값(즉, 주파수)을 0으로 보정하고(즉,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그래프의 x축을 제2 데이터의 값만큼 위로 이동시킴), 그래프의 면적 값을 배뇨량으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수집된 데이터 값의 미분을 통해 제2 데이터(D2)가 제1 데이터(D1)로 변화할 때의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이후 제1 데이터(D1)가 다시 제2 데이터(D2)로 변화할 때의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하며, 이 배뇨 종료 시점(t2)과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배뇨 시작 시점(t1)과 이후 배뇨 종료 시점(t2)이 연산되는 경우, 이를 1회의 배뇨 횟수로 연산하게 된다.
이렇게,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에 의해 연산되는 배뇨 정보는 누적되며, 이를 이용하여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배뇨 장애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은 연산된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배뇨 종료 시점(t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제1 데이터(D1)가 수집되는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연산된 하루 동안의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빈뇨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 모듈(650), 입력 모듈(660), 출력 모듈(670) 및 진료 예약 모듈(680)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뇨용기(700)는 사용자의 소변을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구비되며,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배뇨용기(700)의 일측면에는 눈금선이 표시되어 배뇨용기(700)에 수용되는 소변의 양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뇨시마다 배뇨용기(700)에 일정량의 소변이 수용될 것이며, 눈금선에 나타난 양이 배뇨량이기 때문에 입력 모듈(160)을 통해 이러한 배뇨량이 더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뇨용기(700)가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은 형태이더라도 저울 등과 같이 그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기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갈음할 수 있다.
의료 기관 서버(800)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연산된 배뇨 정보, 배뇨 장애 여부를 전송받고 이를 저장하며, 진료 예약 모듈(680)을 통해 전송되는 진료 예약 명령에 따라 이에 연동된 의료 기관에의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600)는 블록체인 서버(900)에 통신 연결되어 블록체인 서버(90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전송된 의료기관 서버(800) 등의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 있고, 전송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가상계좌에 토큰이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90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제2 실시예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도 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배뇨감이 느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 사용자가 배뇨용기(700)를 준비한다. 배뇨용기(700)는 일측면에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용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눈금선이 표시될 수 있으며,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은 형태이더라도 저울 등과 같이 그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기를 함께 준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600) 사용자는 배뇨가 시작될 때, 활성화 모듈(610)을 통해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한다(S810). 이를 통해,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센서(S)가 감지하는 소리 데이터 수집이 시작된다(S820).
배뇨가 완료된 사용자는 활성화 모듈(610)을 통해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데이터 수집을 비활성화한다(S830). 즉, 배뇨 중에만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수집 데이터의 신뢰성 향상 및 유효 데이터 필터링의 정확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사용자 단말기(6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수집된 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배뇨량, 배뇨 시간 및 배뇨 횟수를 포함하는 배뇨 정보를 연산하게 된다(S840). 배뇨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기 설정된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사용자 단말기(6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지연뇨 증상, 배뇨후 점적 증상 및 빈뇨 증상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를 판단하게 된다(S850). 배뇨 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기 설정된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의 알림 모듈(650)을 통해 출력 모듈(670)에 내원 알림이 출력되고(S860), 진료 예약 모듈(68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600)와 연동된 의료기관 서버(800)에 진료 예약 명령이 전송된다(S870). 이렇듯, 의료기관 서버(800)에 진료 예약 명령이 전송되면, 이를 수신한 의료기관 서버(800)는 연동된 의료 기관에 진료 예약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
120: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
130: 반납 신호 전송 모듈
140: 입력 모듈
150: 출력 모듈
160: 진료 예약 모듈
200: 측정 디바이스
210: 데이터 수집 모듈
220: 성별 입력 모듈
230: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
240: 배뇨 정보 연산 모듈
250: 배뇨 장애 판단 모듈
260: 알림 모듈
270: 통신 모듈
300: 의료 기관 서버
400: 운송 서버
500: 주소지
510: 좌변기
511: 소변 수집부
512: 소변 저장 탱크
520: 보관함
600: 사용자 단말기
610: 활성화 모듈
620: 데이터 수집 모듈
630: 배뇨 정보 연산 모듈
640: 배뇨 장애 판단 모듈
650: 알림 모듈
660: 입력 모듈
670: 출력 모듈
680: 진료 예약 모듈
700: 배뇨용기
800: 의료 기관 서버
900: 블록체인 서버
910: 통신 모듈
920: 유사도 산출 모듈
930: 삭제 모듈
940: 저장 모듈
950: 토큰 전송 모듈
S: 센서
S1: 센서
S2: 유량 센서

Claims (32)

  1. (a)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 디바이스 없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발송 요청 신호 전송 모듈(120)이 의료기관 서버(300)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가 운송 서버(400)에 전송되며, 상기 운송 서버(400)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발송되도록 발송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측정 디바이스 있음으로 판단된 측정 디바이스(200)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운송 서버(400)에 의해 발송 처리된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센서(S1)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보유 판단 모듈(11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거리 내에 측정 디바이스(200)의 신호가 탐색되는지 여부에 의해 측정 디바이스 보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는 배뇨 횟수,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D)를 발생시키는 상기 센서(S1);
    상기 센서(S1)로부터 발생된 데이터(D)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210);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착용자의 성별이 입력되는 성별 입력 모듈(220);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유효 데이터(DEff)를 필터링하는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DEff)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 및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알림 모듈(260);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1)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이 남성인 경우,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이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1 데이터(D1) 수집 직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진폭 이상을 가지며 진동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2 데이터(D2)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2 데이터(D2)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별 입력 모듈(220)에 입력된 성별이 여성인 경우,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은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제3 데이터(D3) 및 상기 제3 데이터(D3) 수집 이후, 상기 제1 데이터(D1)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3 데이터(D3) 및 상기 제1 데이터(D1)를 유효 데이터(DEff)로 필터링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필터링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상기 필터링 버튼이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필터링 버튼이 상기 소정 횟수 이상 다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센서(S1)로부터 발생된 데이터(D)를 수집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 된 유효 데이터(DEff)의 제1 데이터(D1) 중,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정지하는 초기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과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좌변기(510) 내부의 소변 저장 탱크(512)에 설치되며, 상기 소변 저장 탱크(5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센싱하는 유량 센서(S2)로부터 데이터를 더 수집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이 상기 배뇨 시간 동안 상기 유량 센서(S2)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배뇨량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연산된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배뇨 시간의 배뇨 종료 시점(T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유량 센서(S2)에 의해 센싱된 유체의 양이 기 설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은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30)에 의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DEff) 각각을 1회의 배뇨 횟수로 연산하며, 하루 동안에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40)에 의해 연산된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이 빈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
    (g)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250)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알림 모듈(26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출력 모듈(150)이 기 설정된 방법으로 내원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
    (i)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진료 예약 모듈(16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에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j) 상기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받은 의료 기관 서버(300)가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측정 디바이스(200) 보유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에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D)를 발생시키는 상기 센서(S1)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S1)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D)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 장애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알림을 전송하는 측정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510) 내부의 상기 소변 저장 탱크(512)에 설치되며, 상기 소변 저장 탱크(5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유량 센서(S2);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발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운송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 및 배뇨 장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송받는 상기 의료 기관 서버(300);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a) 사용자 단말기(600)의 활성화 모듈(6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62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센서(S)가 감지한 소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활성화 모듈(61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620)의 데이터 수집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상기 (b) 단계에서 수집된 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량, 배뇨 횟수 및 배뇨 시간을 포함하는 배뇨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집된 소리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파수의 값에 대한 데이터이고, 소변이 배뇨용기(7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 데이터인 제1 데이터(D1) 및 상기 제1 데이터(D1)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주변의 소음 데이터인 제2 데이터(D2)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상기 제2 데이터(D2)의 값이 0이 되도록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62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의 값을 보정하고, 상기 제2 데이터(D2)가 상기 제1 데이터(D1)로 변화할 때의 시점을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 이후 상기 제1 데이터(D1)가 상기 제2 데이터(D2)로 변화할 때의 시점을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과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이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과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 사이의 소리 데이터 값을 적분하여, 적분된 값을 배뇨량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연산된 배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지연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배뇨 종료 시점(t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데이터(D1)가 다시 수집되는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은 연산된 배뇨 시간마다 1회의 배뇨 횟수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하루 동안에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630)에 의해 연산된 배뇨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이 빈뇨 증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배뇨 장애 판단 모듈(640)에 의해 배뇨 장애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알림 모듈(650)이 출력 모듈(670)에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상기 출력 모듈(670)이 기 설정된 방법으로 내원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의 진료 예약 모듈(680)이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의료 기관 서버(300)에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진료 예약 명령을 전송받은 의료 기관 서버(300)가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22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배출하는 소변과 부딪히면서 상기 소리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배뇨용기(700);
    상기 배뇨용기(700)로부터 발생하는 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배뇨 정보에 기초하여 배뇨 장애를 판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연산된 배뇨 정보 및 배뇨 장애를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진료 예약 명령에 따라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의료 기관 서버(300);를 포함하는,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136289A 2018-11-08 2018-11-08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3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89A KR20200053108A (ko) 2018-11-08 2018-11-08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89A KR20200053108A (ko) 2018-11-08 2018-11-08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08A true KR20200053108A (ko) 2020-05-18

Family

ID=7091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89A KR20200053108A (ko) 2018-11-08 2018-11-08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115A (ko) *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하이제라네트웍스 머신러닝 기반 배뇨장애 진단 및 기저귀 피부염 진단 시스템
KR20240048303A (ko) 2022-10-06 2024-04-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장애 환자의 배뇨 활성화를 돕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322B1 (ko) 2012-12-20 2015-02-23 (주)아이티언 의료진단 시스템
KR20170073541A (ko) 2015-12-18 2017-06-28 (의료)길의료재단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322B1 (ko) 2012-12-20 2015-02-23 (주)아이티언 의료진단 시스템
KR20170073541A (ko) 2015-12-18 2017-06-28 (의료)길의료재단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115A (ko) *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하이제라네트웍스 머신러닝 기반 배뇨장애 진단 및 기저귀 피부염 진단 시스템
KR20240048303A (ko) 2022-10-06 2024-04-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장애 환자의 배뇨 활성화를 돕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436B2 (en) Urinary event detection, tracking, and analysis
Lee et al. Detection of falls using accelerometers and mobile phone technology
US2018032295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risk profiles
KR20200053108A (ko)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EP36574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944438B2 (en)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KR20020092420A (ko)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JP6213942B1 (ja)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遠隔診療支援サーバ及び遠隔診療支援方法
JP2017042354A (ja) 尿情報処理装置
US20190108918A1 (en) Remote diagnostic aid system, remote diagnostic aid server, and remote diagnostic aid method
JP7382741B2 (ja) 医療機関選定支援装置
US20230190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urination using wearable device
US20200410882A1 (en) Retrieval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JP6182713B1 (ja)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遠隔診療支援サーバ及び遠隔診療支援方法
JP6894624B2 (ja)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遠隔診療支援サーバ及び遠隔診療支援方法
US20230334861A1 (en)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event tracking
KR20170130336A (ko) 근거리 통신 기반의 수면 중 무자각 발기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
JP6213941B1 (ja)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遠隔診療支援サーバ及び遠隔診療支援方法
JP2022087040A (ja) 支援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693373A (zh) 信息提供装置、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23151A1 (en) Urinary condition treatment device and system platform
KR20160067587A (ko)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114930464A (zh) 传感器决定装置和传感器决定方法
KR20110122406A (ko) 한의학 진단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8028827A (ja)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遠隔診療支援サーバ及び遠隔診療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