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587A -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587A
KR20160067587A KR1020140173154A KR20140173154A KR20160067587A KR 20160067587 A KR20160067587 A KR 20160067587A KR 1020140173154 A KR1020140173154 A KR 1020140173154A KR 20140173154 A KR20140173154 A KR 20140173154A KR 20160067587 A KR20160067587 A KR 2016006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post
voiding
symptoms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192B1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4017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커버, 내커버, 센서, 지지부, 측정부, 및 연산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의 변기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토대로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자동으로 진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delayed urination and a post micturition dribble}
본 발명은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뇨와 관련된 장애들로서, 배뇨곤란, 요폐, 지연뇨, 빈뇨, 야간뇨, 배뇨후 점적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연뇨 증상과 배뇨후 점적 증상은 노인층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그 원인은 방광염일 수도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전립성비대증, 전립선염, 전입선암, 급성 요폐 등일 수도 있어서 다양하다.
그러나,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은 환자가 스스로 밝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보통 기존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기 직접 작성한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배뇨일지를 작성하는 것은 환자 입장에서는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체크가 정확히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요속 측정기 등이 구비된 병원에서 소변을 보면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으나,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가 아닌 한, 일반적으로 집 또는 직장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정확한 확인 역시 어렵다.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유럽특허 제1 765 167호와 미국특허 제2006/0096017호는, 일반적인 변기에 올려두어 사용할 수 있는 요속 측정기를 계시한다. 요속만 측정하고 기록할 뿐이어서, 기록된 데이터의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
한국특허 제2002-0070933호는 대소변을 구분할 수 있는 좌식변기를 개시할 뿐 요속을 측정하거나 요량을 측정하지 못한다.
배뇨일지는 야간뇨나 야뇨증이 있는 배뇨장애 환자의 치료방법을 결정하고 치료효과를 판정하는데 현재 진료환경과 배뇨장애 학문영역에서 가장 인증된 진단 및 평가 도구이다. 그러나 환자들이 직접 배뇨시간과 배뇨량을 측정 및 기입하는 형태의 배뇨일지로는 지연뇨나 배뇨후 점적 증상의 평가는 전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이고 환자의 주관적 증상 표현도 다양하고 일관되지 않아 하부요로증상 중 환자의 삶의 질에 밀접한 악영향을 미치나 현재의 진료환경과 치료상황에서는 진단과 치료 후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환자가 번거로운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 등을 작성하지 않고서도 집에서 또는 장기간 체류하는 거주지에서 손쉽게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확인하고 병원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커버(310); 내커버(320); 상기 외커버(310) 또는 상기 내커버(320)에 구비되는 센서(311, 321); 상기 외커버(310)와 상기 내커버(320)가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350); 상기 지지부(350)에 고정되어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360); 및 상기 측정부(360)에서 측정된 유속 및 유량을 이용하여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연산하는 연산 모듈(370)을 포함하는 변기 커버 조립체(300)를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311, 321)는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산 모듈(370)에 의해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진단 모듈(710)을 더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는 착탈이 가능한 이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산 모듈(370)에 의해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은 송수신부(400)에 의해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서버(700)에 전송되고, 상기 진단 모듈(710)은 상기 EMR 서버(700)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식별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부(100)에는, 상기 센서(311, 321)가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을 감지하기 전 식별자(ID)가 입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부(100)는 ID 카드(C)를 리딩할 수 있는 리더기이며, 상기 ID 카드(C)에 기록되는 ID는 상기 EMR 서버(700)에 기록된 ID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부(100)는 ID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ID는 상기 EMR 서버(700)에 기록된 ID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단 모듈(710)은,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사이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산 모듈(710)은,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이후 순간 요속이 0이 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이 경과된 경우, 순간 요속이 0이 된 상기 시점을 사용 종료 시점(t=tend)으로 확인하여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사용 종료 시점(t=tend)의 차이인 총 배뇨 시간 및 총 누적 배뇨량을 연산하고, 상기 진단 모듈(710)은, 총 배뇨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 만큼의 마지막 시간 동안 총 누적 배뇨량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 만큼의 배뇨량이 감지된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외커버(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센서(311) 및 상기 내커버(3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센서(312)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311) 또는 상기 센서(312)가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이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는 상기 내커버(320)의 힌지운동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감지센서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이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출력부(7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720)는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시간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로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단 모듈(710)과 상기 출력부(720)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식별부(100)가 ID를 식별하는 단계; (b)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센서(311, 321)가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측정부(360)가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연산 모듈(370)이 상기 측정부(360)가 감지한 유속 및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이후의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연산하는 단계; (e) 상기 연산 모듈(370)이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종료 시점(t=tend)을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송수신부(400)가 상기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EMR 서버(700)에 송신하는 단계; 및 (g) 진단 모듈(710)이 상기 EMR 서버(700)에 송신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식별부(100)는 ID 카드(C)를 리딩하여 상기 EMR 서버(700)에 저장된 ID와 비교함으로써 ID를 식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식별부(100)는 입력된 ID가 입력되는 ID를 상기 EMR 서버(700)에 저장된 ID와 비교함으로써 ID를 식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g) 단계는, 상기 진단 모듈(710)이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사이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g) 단계는, 상기 진단 모듈(710)이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사용 종료 시점(t=tend)의 차이인 총 배뇨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 만큼의 마지막 시간 동안 총 누적 배뇨량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 만큼의 배뇨량이 감지된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h) 출력부(720)가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부터 상기 사용 종료 시점(t=tend)까지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시간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환자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불편하거나 번잡한 절차를 강요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서 진단 증상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변기 커버 조립체는 어떠한 변기에도 범용성 있게 적용될 수 있기에, 환자가 이사를 가거나, 장기간 다른 장소에서 생활할 경우에도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입장에서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편적인 기준에 의하여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어,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더욱이, 학술적 입장에서 환자가 작성하는 배뇨일지를 통한 최대방광용적의 측정은 그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최대방광용적은 방광의 수용 능력을 나타내며 이를 바탕으로 항이뇨호르몬 등 배뇨장애 치료 약물의 반응을 예측하고 처방하며 의료보험약가 산정의 근거로 삼고 있는데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동반하는 야간뇨나 야뇨증이 있는 자에게는 야간 수면 중 방광에 소변을 모을 수 없기 때문에 예상보다  최대방광용적이 적은 양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 기존의 배뇨일지를 사용한다면 아침 첫 소변은 최대방광용적이 되는데  야간뇨나 야뇨증으로 아침 첫 소변이 없을 경우 실제 최대방광용적에 비해  훨씬 적은 용량의 최대방광용적으로 진단될 수 있으므로 방광용적이 줄어든 것처럼 잘못 진단되어 잘못된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야간뇨나 야뇨증처럼 아침 첫 소변의 측정치를 신뢰할 수 없는 경우 주간 배뇨양상만으로도 최대방광용적을 예측할 수 있는데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본 발명으로 이러한 기존 배뇨일지를 통한 진단과 치료의 학문적 오류를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는 병원의 EMR 서버에도 기록될 수 있어서, 환자가 편하게 집에서 거주하면서도 관련된 모든 데이터들을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이 누적되고 공유되어 의학 기술에 유용한 빅데이터(big data)가 확보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변기 커버 조립체가 변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변기 커버 조립체의 사용 양태에 따른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활용하는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으로 확인될 수 있는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출력하는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되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법이 아님에 주의한다.
여기에서 "EMR"은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부재를 "EMR 서버"로 지칭한다.
1. 진단 시스템의 설명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변기(200)에 탈착 가능한 변기 커버 조립체(3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100)는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는 변기(200)가 위치하는 화장실 등의 측벽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기(200)에 직접 구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식별부(100)의 제 1 실시예로서 리더기를 들 수 있다. 사용자는 ID 카드(C)를 소지하며, 리더기인 식별부(100)는 ID 카드(C)에 기록되어 있는 ID를 읽는다. RF 방식 등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병원의 EMR 서버(700)와도 연계되는바, ID 카드(C)에는 EMR 서버(700)에서 식별 가능한 ID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부(100)의 제 2 실시예로서 ID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별도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되는 ID는 전술한 바와 같이 EMR 서버(700)에서 식별 가능한 ID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기 커버 조립체(300)는 변기(200)에 탈착 가능한 것이 이동식이기에 보다 바람직하며, 외커버(310), 내커버(320), 외커버(310) 또는 내커버(320)에 구비되는 센서(311, 321); 외커버(310)와 내커버(320)가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350); 지지부(350)에 고정되는 측정부(360); 및 연산 모듈(370)을 포함한다.
외커버(310)와 내커버(320)의 기술적 특징은 종래의 일반적인 변기 커버 조립체의 외커버 및 내커버와 유사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외커버(310)와 내커버(320)에는 센서(311, 321)가 각각 구비된다.
센서(311, 321)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커버(310)에 부착되는 센서(311)는 내커버(311)가 들어 올려져서 외커버(310)에 닿는 순간을 감지함으로써, 주로 남성의 배뇨 시작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내커버(311)에 부착되는 센서(311)는 사용자가 앉는 시점을 감지함으로써, 주로 여성의 배뇨 시작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내커버(311)를 완전히 들어 올려서 외커버(310)에 닿게 하지 않은 상태(도 4 참조)에서 배뇨를 시작할 수도 있는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내커버(320)의 힌지운동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50)에는 외커버(310)와 내커버(320)의 힌지운동의 축 기능을 하는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50)는 측정부(360)의 고정 베이스 기능을 하기도 하며, 후술하는 연산 모듈(370), 송수신부(400) 및 전술한 각도감지센서(미도시) 등이 내측에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부(360)는 지지부(350)에 일측이 고정되며, 연결부(362)로 연결된 타측에 측정센서(361)가 구비되어, 유체(즉, 소변)의 유속 및 유량을 감지한다.
측정부(360)는 외커버(310) 및 내커버(320)의 힌지운동과 무관하게 위치가 고정된다.
연결부(362)는 대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소변의 궤적이 달라질 수 있는바 사용자가 쉽게 그 굽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362) 내측에는 측정센서(3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 송신라인이 포함되어 있어서, 측정센서(361)의 측정값을 연산 모듈(370)로 전달할 수 있다.
측정센서(361)는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감지하는 어떠한 센서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사용자에 따라 소변의 궤적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가급적 모든 소변이 측정센서(361)에 닿을 수 있도록 그 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산 모듈(370)은, 센서(311, 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360)의 측정센서(361)에서 감지된 유속 및 유량을 이용하여 순간 유속 및 누적 배뇨량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 종료 시점(t=tend)을 감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송수신부(400)는 식별부(100)에서 식별된 ID와 연산 모듈(370)에서 연산된 순간 유속 및 누적 배뇨량을 EMR 서버(7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EMR 서버(700)에 연결된 진단 모듈(71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출력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MR 서버(700), 진단 모듈(710) 및 출력부(720)는 병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단 모듈(710)과 출력부(72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배뇨 직후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실시간으로 자가 진단할 수도 있다.
EMR 서버(700)는 종래 널리 사용되는 어떠한 EMR 서버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100)에서 식별되는 ID를 저장하여야, 송수신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진단 모듈(710)은, 연산 모듈(370)에 의해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송수신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은 후 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한다. 구체적인 진단 방법은 후술한다.
출력부(720)는 진단 결과는 물론, 식별부(100)에서 식별된 ID와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시간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출력한다. 출력의 예시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되는데, 진단 결과와 ID는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2. 진단 방법의 설명
이하, 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조립체(300)를 변기(200)에 설치하고 식별부(100) 역시 포함하여야 하며, 식별부(100)에서 식별된 ID를 병원 등에서 등록함으로써 EMR 서버(700)의 ID와 일치시켜야 한다.
우선, 사용자는 배뇨를 위하여 식별부(100)에 ID를 식별시킨다(S100). ID 카드(C)에 의하거나 별도 입력부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뇨를 완료한 이후 식별부(100)가 ID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산 모듈(370)이 사용 종료 시점(t=tend)을 인지할 때까지 식별부(100)에서 어떠한 ID도 식별되지 않을 경우, 변기 커버 조립체(300)가 별도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배뇨를 시작하기 위하여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외커버(310)를 들어 올리거나, 경우에 따라 내커버(320)까지 들어 올려야 한다. 이때 센서(311, 321) 또는 각도감지센서(미도시)가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할 수 있다(S210).
사용자가 배뇨를 시작하면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측정부(360)의 측정센서(361)가 소변의 유속 및 유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유속 및 유량이 연산 모듈(370)에 전달되어 순간 유속 및 누적 배뇨량이 연산된다(S220). 이때,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 즉 실재 배뇨가 시작된 시점이 확인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약 45초 시점,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약 24초 시점이다.
한편, 사용자가 배뇨를 마치는 사용 종료 시점(t=tend) 역시 연산 모듈(370)이 확인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사용 시작 시점(t=0) 이후 순간 요속이 0이 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하, 제 2 시간)이 경과된 경우, 순간 요속이 0이 된 시점을 사용 종료 시점(t=tend)으로 확인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 하는 이유는 배뇨후 점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수회 순간 요속이 0이 된 시점이 확인되지만,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이전에 다시 0이 아닌 순간 요속이 확인되는 경우는 제외되며, 약 142초 시점에 순간 요속이 0이 된 시점이 확인되었는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이후에도 다른 순간 요속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약 142초 시점이 순간 종료 시점으로 확인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약 70초 시점이 순간 종료 시점으로 확인된다.
다음,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송수신부(400)는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EMR 서버(700)에 송신하며, 진단 모듈(710)은 EMR 서버(700)에 송신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한다(S300).
진단 모듈(710)은,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사용 시작 시점(t=0) 사이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하, 제 1 시간)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배뇨를 원한 이후부터 실재 배뇨가 시작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였으므로 지연뇨 증상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의 환자는 지연뇨 증상이 있는 것으로 진단될 것이며, 도 8에 도시된 예시의 환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진단될 것이다.
또한, 진단 모듈(710)은,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사용 종료 시점(t=tend)의 차이인 총 배뇨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이하, 제 1 비율) 만큼의 마지막 시간 동안에 총 누적 배뇨량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이하, 제 2 비율) 만큼의 배뇨량이 감지된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제 1 비율은 20%, 제 2 비율은 10%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의 환자는, 미리 설정된 비율 즉 20% 만큼의 마지막 시간은 총 배뇨 시간인 "142초 - 45초 = 97초"의 20%이므로 122.6초부터 142초 동안인데, 이 시간 동안 총 누적 배뇨량인 105mL의 10%인 10.5mL 이상의 배뇨량인 약 15mL의 배뇨량이 확인되었으므로,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진단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의 환자는, 미리 설정된 비율 즉 20% 만큼의 마지막 시간은 총 배뇨 시간인 "70초 - 24초 = 46초"의 20%이므로 60.8초부터 70초 동안인데, 이 시간 동안 총 누적 배뇨량인 225mL의 10%인 25mL 미만의 배뇨량인 약 10mL의 배뇨량이 확인되었으므로, 배뇨후 점적 증상이 아닌 것으로 진단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출력부(700)가 이러한 진단 결과는 물론, 식별부(100)에서 식별된 ID와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시간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출력한다(S4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식별부
200: 변기
300: 변기 커버 조립체
310: 외커버
311, 321: 센서
320: 내커버
350: 지지부
360: 측정부
361: 측정센서
362: 연결부
370: 연산 모듈
400: 송수신부
700: EMR 서버
710: 진단 모듈
720: 출력부

Claims (18)

  1. 외커버(310);
    내커버(320);
    상기 외커버(310) 또는 상기 내커버(320)에 구비되는 센서(311, 321);
    상기 외커버(310)와 상기 내커버(320)가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350);
    상기 지지부(350)에 고정되어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360); 및
    상기 측정부(360)에서 측정된 유속 및 유량을 이용하여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연산하는 연산 모듈(370)
    을 포함하는 변기 커버 조립체(300)를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311, 321)는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산 모듈(370)에 의해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진단 모듈(710)을 더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는 착탈이 가능한 이동식인,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모듈(370)에 의해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은 송수신부(400)에 의해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서버(700)에 전송되고,
    상기 진단 모듈(710)은 상기 EMR 서버(700)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식별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부(100)에는, 상기 센서(311, 321)가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을 감지하기 전 식별자(ID)가 입력될 수 있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100)는 ID 카드(C)를 리딩할 수 있는 리더기이며, 상기 ID 카드(C)에 기록되는 ID는 상기 EMR 서버(700)에 기록된 ID 중 하나인,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100)는 ID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ID는 상기 EMR 서버(700)에 기록된 ID 중 하나인,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듈(710)은,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사이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진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모듈(710)은,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이후 순간 요속이 0이 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이 경과된 경우, 순간 요속이 0이 된 상기 시점을 사용 종료 시점(t=tend)으로 확인하여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사용 종료 시점(t=tend)의 차이인 총 배뇨 시간 및 총 누적 배뇨량을 연산하고,
    상기 진단 모듈(710)은, 총 배뇨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 만큼의 마지막 시간 동안 총 누적 배뇨량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 만큼의 배뇨량이 감지된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진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외커버(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센서(311) 및 상기 내커버(3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센서(312)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311) 또는 상기 센서(312)가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이 감지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는 상기 내커버(320)의 힌지운동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감지센서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이 감지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출력부(7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720)는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시간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로서 출력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듈(710)과 상기 출력부(720)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13. (a)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식별부(100)가 ID를 식별하는 단계;
    (b)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센서(311, 321)가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시작 시점(t=0)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측정부(360)가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연산 모듈(370)이 상기 측정부(360)가 감지한 유속 및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이후의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연산하는 단계;
    (e) 상기 연산 모듈(370)이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사용 종료 시점(t=tend)을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변기 커버 조립체(300)의 송수신부(400)가 상기 연산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EMR 서버(700)에 송신하는 단계; 및
    (g) 진단 모듈(710)이 상기 EMR 서버(700)에 송신된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식별부(100)는 ID 카드(C)를 리딩하여 상기 EMR 서버(700)에 저장된 ID와 비교함으로써 ID를 식별하는 단계인,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식별부(100)는 입력된 ID가 입력되는 ID를 상기 EMR 서버(700)에 저장된 ID와 비교함으로써 ID를 식별하는 단계인,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진단 모듈(710)이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 사이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진단 모듈(710)이 순간 요속 또는 누적 배뇨량이 0을 초과한 시점(t=t1)과 사용 종료 시점(t=tend)의 차이인 총 배뇨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 만큼의 마지막 시간 동안 총 누적 배뇨량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 만큼의 배뇨량이 감지된 경우, 배뇨후 점적 증상으로 진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h) 출력부(720)가 상기 사용 시작 시점(t=0)부터 상기 사용 종료 시점(t=tend)까지 순간 요속 및 누적 배뇨량을 시간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 방법.
KR1020140173154A 2014-12-04 2014-12-04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1718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154A KR101718192B1 (ko) 2014-12-04 2014-12-04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154A KR101718192B1 (ko) 2014-12-04 2014-12-04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87A true KR20160067587A (ko) 2016-06-14
KR101718192B1 KR101718192B1 (ko) 2017-03-20

Family

ID=5619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154A KR101718192B1 (ko) 2014-12-04 2014-12-04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07A (ko) * 2017-12-05 2019-06-13 김계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1052A1 (fr) * 2001-08-30 2003-03-13 Toto Ltd. Dispositif de chasse d'eau
KR20030097305A (ko) * 2002-06-20 2003-12-31 남 국 김 배뇨측정시스템
KR20060086754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노비타 자동 물내림 변기
KR20100045754A (ko) * 2008-10-24 2010-05-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위치값 설정을 통한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회동장치 및회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1052A1 (fr) * 2001-08-30 2003-03-13 Toto Ltd. Dispositif de chasse d'eau
KR20030097305A (ko) * 2002-06-20 2003-12-31 남 국 김 배뇨측정시스템
KR20060086754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노비타 자동 물내림 변기
KR20100045754A (ko) * 2008-10-24 2010-05-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위치값 설정을 통한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회동장치 및회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07A (ko) * 2017-12-05 2019-06-13 김계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WO2019112319A1 (ko) * 2017-12-05 2019-06-13 김계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JP2021505349A (ja) * 2017-12-05 2021-02-18 グッド ボイディング ヘル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を用いた女性排尿感知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診断方法
US11944438B2 (en) 2017-12-05 2024-04-02 Khaehawn Kim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192B1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82934B2 (en) Urinary event detection, tracking, and analysis
CN107024580A (zh) 体液引流检测系统及体液引流检测方法
JP2006231032A (ja) 排尿情報管理システム
WO2018092389A1 (ja) 尿情報処理装置、尿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1944438B2 (en)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EP4212096A1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urine flow and a system for diagnostics of micturition disorders comprising said device
US12089947B2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101718192B1 (ko)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206756832U (zh) 体液引流检测系统
JP2017042354A (ja) 尿情報処理装置
US20180199888A1 (en) Counting and monitoring respiratory rate and detecting pneumonia in children
KR101712273B1 (ko)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KR102453322B1 (ko) 배뇨상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14760922A (zh) 排尿量测量装置、排尿量管理系统、排尿量测量方法以及程序
CN105496429A (zh) 便携式排尿记录仪
WO2014094245A1 (zh) 血压计系统及其血压测量方法
CN205338974U (zh) 便携式排尿记录仪
JP2005172647A (ja) トイレにおける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US20240161595A1 (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xcreted body fluid
JP2005168952A (ja) トイレ装置
JP2005168952A5 (ko)
TWM638685U (zh) 尿液即時監控系統
CN116392037A (zh) 一种排便记录装置及排便记录方法
KR20120094591A (ko) 좌변기를 이용한 유-헬스 건강진단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