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273B1 -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273B1
KR101712273B1 KR1020150093641A KR20150093641A KR101712273B1 KR 101712273 B1 KR101712273 B1 KR 101712273B1 KR 1020150093641 A KR1020150093641 A KR 1020150093641A KR 20150093641 A KR20150093641 A KR 20150093641A KR 101712273 B1 KR101712273 B1 KR 10171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valve
pressure sensor
measurement syste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41A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5009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2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조를 구비한 변기본체(100); 변기본체(100) 상측에 위치하여 회동 가능한 시트부(120); 상기 시트부(12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변기본체(100)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한 커버(120); 및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하고, 저류조 밸브(210)에 의하여 유체소통이 단속되어 소변(U)이 저류되는 저류조(220)를 포함하며, 상기 저류조(220)에는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저류조 센서(220s)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120)에는 상기 시트부(120)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 센서(120s)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을 센싱한 경우 개방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Uroflowmeter system comprising valve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병원은 물론 가정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요속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나라는 이제 그저 오래 사는 기대수명이 아닌, 삶의 질이 높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 수명의 연장을 추구하고 있다. 치료기술의 발달은 사망 질환을 관리 질환으로 전환시켰지만, 고령화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적자의 확대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였다. 이로 인하여 치료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과 환자의 고통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획기적인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이제는 치료가 주가 아닌 예방에 초점을 두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건강 수명 연장을 추구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따로 시간을 내어 병원에 내원하여 가끔씩 받는 비정기적인 단발성 검진이 아닌, 평범한 일상생활 속 습관처럼 하는 행동들이 모여 그 데이터를 자동으로 측정된 후 저장되어 항상 건강이 체크되고 관리되는 변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기에는 전술한 건강 체크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요속 측정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현재 요속 측정 시스템은 병원이나 보건소 등 의료기관에만 설치되는 의료 기구이나, 이제는 가정과 공공장소에 보급하여 언제 어디서라도 편리하게 요속을 측정함으로써, 장기간의 데이터를 모아 사용자의 정확한 건강 진단을 도모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다.
한편, 배뇨와 관련된 장애들로서, 배뇨곤란, 요폐, 지연뇨, 빈뇨, 야간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연뇨 증상은 노인층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그 원인은 방광염일 수도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전립성비대증, 전립선염, 전입선암, 급성 요폐 등일 수도 있어서 다양하다.
그러나, 지연뇨 증상은 환자가 스스로 밝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보통 기존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기 직접 작성한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배뇨일지를 작성하는 것은 환자 입장에서는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체크가 정확히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요속 측정기 등이 구비된 병원에서 소변을 보면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으나,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가 아닌 한, 일반적으로 집 또는 직장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정확한 확인 역시 어렵다.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유럽특허 제1 765 167호와 미국특허 제2006/0096017호는, 일반적인 변기에 올려두어 사용할 수 있는 요속 측정기를 계시한다. 요속만 측정하고 기록할 뿐이어서, 기록된 데이터의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
한국특허 제2002-0070933호는 대소변을 구분할 수 있는 좌식변기를 개시할 뿐 요속을 측정하거나 요량을 측정하지 못한다.
배뇨일지는 야간뇨나 야뇨증이 있는 배뇨장애 환자의 치료방법을 결정하고 치료효과를 판정하는데 현재 진료환경과 배뇨장애 학문영역에서 가장 인증된 진단 및 평가 도구이다.
그러나 환자들이 직접 배뇨시간과 배뇨량을 측정 및 기입하는 형태의 배뇨일지로는 지연뇨 증상의 평가는 전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이고 환자의 주관적 증상 표현도 다양하고 일관되지 않아 하부요로증상 중 환자의 삶의 질에 밀접한 악영향을 미치나 현재의 진료환경과 치료상황에서는 진단과 치료 후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연뇨 증상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환자가 번거로운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 등을 작성하지 않고서도 집에서 또는 장기간 체류하는 거주지에서 손쉽게 지연뇨 증상을 확인하고 병원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집수조를 구비한 변기본체(100); 변기본체(100) 상측에 위치하여 회동 가능한 시트부(120); 상기 시트부(12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변기본체(100)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한 커버(110); 및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하고, 저류조 밸브(210)에 의하여 유체소통이 단속되어 소변(U)이 저류되는 저류조(220)를 포함하며, 상기 저류조(220)에는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저류조 센서(220s)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120)에는 상기 시트부(120)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 센서(120s)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을 센싱한 경우 개방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는 상기 시트부(120)가 회동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상기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한 경우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커버(110)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압력 센서(110s)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2 압력 센서(110s)가 상기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한 경우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조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배수부(160); 및 일측이 상기 저류조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부(160)와 연결되는 배수관(2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280)에는 배수 밸브(260)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될 경우 상기 배수 밸브(26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관(280)에는 배수 펌프(270)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될 경우 상기 배수 펌프(270)가 작동하여 상기 저류조 내측에 저류된 물(W)을 상기 배수부(160)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조의 정면측의 내벽에 소변받이(300)가 구비되고, 상기 소변받이(300)가, 상기 저류조 밸브(210)에 의하여 유체소통이 단속되는 상기 저류조(2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조 밸브(210)를 수동 개방할 수 있는 스위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조 센서(220s)가 측정한 시간 당 유량이 정보처리수단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b)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되어 소변(U)이 저류조(220)에 저류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동안, 저류조 센서(220s)가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요속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의 해제를 센싱하는 단계; (e) 상기 저류조 밸브(210)가 폐쇄되는 단계; 및 (f)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요속이 저장수단 또는 정보처리수단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속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f) 단계는, 요속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요속이 EMR 시스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환자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불편하거나 번잡한 절차를 강요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서 진단 증상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가정용 변기에서도 사용 가능하므로 효과적이다.
병원 입장에서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편적인 기준에 의하여 지연뇨 증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어,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비뇨기 관련 질환의 예방이 극대화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한 층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병원에 내원하여 복잡한 진료를 받는 번거로움이 없어질 것이다. 그저 평소처럼 일상생활을 하면서, 의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생체리듬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진료를 하게 된다면, 훨씬 정확한 데이터가 있기에 질병의 조기발견이 쉬워지고 그로 인한 치료비용 절감까지 가져오게 될 것이다.
또한, 본인에게 맞춤 진단·처방으로 치료방식역시 표준처방이 아닌 유전적 소인과 체질을 고려하는 맞춤 치료로 전환되어 환자맞춤형 처방이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에서 커버만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에서 커버와 시트부가 모두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의 제어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을 설명한다.
변기본체(100), 물탱크(130), 급수부(150) 및 배수부(160)는 종래의 일반적인 변기와 유사하다. 배수부(160)는 일반적인 트랩(trap) 방식이다.
변기본체(100)는 집수조를 포함하며, 집수조에는 물탱크(130)의 급수부(150)에서 급수된 물(W)이 일정량 저류되어 있다. 사용자가 배변활동에 의해 변기본체(100)의 집수조에 대변 또는 소변이 투입되면 먼저 저류되어 있던 물과 함께 배수부(160)를 통해 하수관으로 방출된다.
시트부(120)는 변기본체(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동 가능하다. 남성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경우 커버(110)와 함께 시트부(1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버(110)는 변기본체(100)의 상부면, 특히 시트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동 가능하다. 대변 또는 소변을 보기 위하여 사용자는 커버(11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120)에는 제 1 압력센서(120s)가 구비된다.
제 1 압력 센서(120s)는 시트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 1 압력 센서(120s)에 압력이 감지된 경우 조만간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어서, 제어부(500)가 소변을 저류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남성 사용자가 시트부(120)를 회동시킨 후 소변을 보는 경우를 위하여, 제 1 압력 센서(120s)는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다. 회동을 감지하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되나, 시트부(120)의 회동축(미도시)에서의 압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시트부(120)가 커버(110)와 닿는 과정에서의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10)에는 제 2 압력 센서(110s)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 압력 센서(110s) 역시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하도록, 커버(110)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압력, 즉 시트부(120)의 회동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제 1 압력 센서(120s)는 제 2 압력 센서(110s)와의 상호결합없이 단독으로 제 1 압력 센서(120s)에 감지되는 회동축에서의 압력, 커버(110)와 닿는 압력 및 사용자의 무게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500)가 소변을 저류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시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압력 센서와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사용작가 스위치(140)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어부(500)가 소변을 저류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시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저류조(220)는 변기본체(100)의 집수조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하여 소변(U)이 저류된다.
또한, 저류조(220)는 저류조 밸브(210)에 의하여 유체소통이 단속된다. 즉,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되어야, 집수조를 통한 소변이 저류조(220)에 저류된다.
저류조(220)의 작동은 전술하였던 압력 센서들(120s, 110s) 및/또는 스위치(140)에 의한 제어부(500)에 의한다.
압력 센서들(120s, 110s) 및/또는 스위치(140)에 의한 제어부(50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기에, 저류조 밸브(210)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류조(220) 내측에는 저류조 센서(220s)가 구비되어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요속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요속은 제어부(500)를 통하여 저장수단 또는 정보처리수단에 전송된다.
여기에서 저장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연결되어 구비된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은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요속 데이터들은 별도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에 전송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요속 측정 시스템이 병원 등에 설치된 경우 EMR 시스템에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어떠한 장치이여도 무방하나, 사용자의 변기본체(100) 사용의 편의성을 감안하면 팔찌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경우 블루투스 등의 무선 전송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100)의 집수조에는 평소 어느 정도의 물(W)이 채워져 있기에,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될 경우 소변(U)이 물(W)과 함께 저류조(220)로 유동하기에, 저류조 센서(220s)가 정확한 요속을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제 1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배수관(280)을 이용한다.
배수관(280)은 변기본체(100)의 집수조와 배수부(160)를 직접 연결하며, 이는 배수 밸브(260)에 의하여 단속된다.
즉, 배수 밸브(260)가 개방될 경우 집수조 내측의 물(W)이 배수부(160)를 통하여 하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을 원활하게 하도록 별도의 배수 펌프(270)가 더 구비되어, 신속한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다시 말해, 압력 센서들(120s, 110s) 및/또는 스위치(140)에 의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저류조 밸브(210)를 개방하기 전에 배수 밸브(260)를 먼저 개방하고 배수 펌프(270)를 일정 시간(약 1초) 작동시켜 집수조 내에 물(W)을 배출시키고, 그 다음 저류조 밸브(210)를 개방하여 소변(U)을 저류하고 요속을 감지할 준비를 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제 2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배수관(280)을 이용하지 않고 소변받이(300)를 이용한다.
소변받이(300)는 변기본체(100)의 저류조의 정면측의 내벽에 구비된다. 이는 특히 여성 사용자의 경우 대변과의 구분을 위한 것이다. 소변받이(300)의 높이는 집수조 내의 물(W)의 일반적인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별도로 집수조 내의 물(W)을 배수시킬 필요 없다.
다시 말해, 압력 센서들(120s, 110s) 및/또는 스위치(140)에 의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저류조 밸브(210)를 개방하여 소변(U)을 저류하고 요속을 감지할 준비를 한다.
한편,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다음의 방법으로 요속 측정이 가능하다.
먼저,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을 센싱한다.
다음, 센싱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되어 소변(U)이 저류조(220)에 저류된다. 이 동안, 저류조 센서(220s)가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요속을 측정한다.
다음,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의 해제를 센싱하면, 저류조 밸브(210)가 폐쇄된다.
다음, 측정된 요속이 저장수단 또는 정보처리수단에 전송된다.
여기에서, 저장수단은 요속 측정 시스템 자체에 구비된 메모리 장치일 수 있으며, 정보처리수단은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된 요속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되며, 이는 EMR 시스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변기본체
110: 커버
110s: 제 1 압력센서
120s: 제 2 압력센서
120: 시트부
130: 물탱크
140: 스위치
150: 급수부
160: 배수부
210: 저류조 밸브
220: 저류조
220s: 저류조 센서
260: 배수 밸브
270: 배수 펌프
280: 배수관
300: 소변받이
500: 제어부

Claims (12)

  1. 집수조를 구비한 변기본체(100);
    변기본체(100) 상측에 위치하여 회동 가능한 시트부(120);
    상기 시트부(12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변기본체(100)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한 커버(110); 및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하고, 저류조 밸브(210)에 의하여 유체소통이 단속되어 소변(U)이 저류되는 저류조(220)를 포함하며,
    상기 저류조(220)에는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저류조 센서(220s)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120)에는 상기 시트부(120)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 센서(120s)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을 센싱한 경우 개방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는 상기 시트부(120)가 회동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상기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한 경우 개방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커버(110)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압력 센서(110s)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상기 제 2 압력 센서(110s)가 상기 시트부(120)의 회동을 감지한 경우 개방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배수부(160); 및
    일측이 상기 저류조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부(160)와 연결되는 배수관(2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280)에는 배수 밸브(260)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될 경우 상기 배수 밸브(260)가 개방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80)에는 배수 펌프(270)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될 경우 상기 배수 펌프(270)가 작동하여 상기 저류조 내측에 저류된 물(W)을 상기 배수부(160)로 배수하는,
    요속 측정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정면측의 내벽에 소변받이(300)가 구비되고,
    상기 소변받이(300)가, 상기 저류조 밸브(210)에 의하여 유체소통이 단속되는 상기 저류조(220)에 연결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밸브(210)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요속 측정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밸브(210)를 수동 개방할 수 있는 스위치(130)를 더 포함하는,
    요속 측정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센서(220s)가 측정한 시간 당 유량이 정보처리수단에 전송되는,
    요속 측정 시스템.
  10. (a)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b) 저류조 밸브(210)가 개방되어 소변(U)이 저류조(220)에 저류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동안, 저류조 센서(220s)가 시간 당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요속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압력 센서(120s)가 압력의 해제를 센싱하는 단계;
    (e) 상기 저류조 밸브(210)가 폐쇄되는 단계; 및
    (f)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요속이 저장수단 또는 정보처리수단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속 측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f) 단계는, 요속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속 측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g)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요속이 EMR 시스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요속 측정 방법.
KR1020150093641A 2015-06-30 2015-06-30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KR10171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41A KR101712273B1 (ko) 2015-06-30 2015-06-30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41A KR101712273B1 (ko) 2015-06-30 2015-06-30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41A KR20170003241A (ko) 2017-01-09
KR101712273B1 true KR101712273B1 (ko) 2017-03-03

Family

ID=5781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41A KR101712273B1 (ko) 2015-06-30 2015-06-30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93B1 (ko) 2019-12-10 2022-02-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요속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304A (en) 1989-05-12 1991-11-05 Endotherapeutics Urine collection monitor with temperature sensing
KR101190006B1 (ko) 2011-10-07 2012-10-12 스티븐 준 한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US20150105694A1 (en) 2012-03-02 2015-04-16 Jayant Dattatraya Mahajan Urine Flow Meter And A Method To Measure Urination Flo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9065A (ja) * 1984-08-13 1986-03-10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建物の壁用止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304A (en) 1989-05-12 1991-11-05 Endotherapeutics Urine collection monitor with temperature sensing
KR101190006B1 (ko) 2011-10-07 2012-10-12 스티븐 준 한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US20150105694A1 (en) 2012-03-02 2015-04-16 Jayant Dattatraya Mahajan Urine Flow Meter And A Method To Measure Urination 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41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6919B2 (ja) 大便器ユニット
CN110114109A (zh) 诊断引流导管组件及方法
CN105484331B (zh) 一种家用的尿动力检测智能马桶及健康服务系统
US11944438B2 (en)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JP4329123B2 (ja) 尿分析方法
JP2009258078A (ja) 排尿量記録作成システム
JP3144152U (ja) 簡易尿検査が可能な尿検査紙自動販売機
KR101712273B1 (ko) 밸브를 구비한 요속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요속 측정 방법
JP4711226B2 (ja) 成分摂取量測定装置及び成分摂取量測定方法
JP2003270241A (ja) 健康管理装置
KR20160108980A (ko) 휴대 가능한 배뇨 정보 측정 장치
KR101659471B1 (ko) 요실금 팬티와 이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KR102311481B1 (ko) 스마트 소변 검사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변기
US20230190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urination using wearable device
KR101718192B1 (ko)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206157836U (zh) 一种家用的尿动力检测智能马桶
CN209653065U (zh) 一种适用于临床上方便准确的检测尿量的马桶
JP2005172647A (ja) トイレにおける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KR20210030612A (ko) 요당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요당 확인 시스템
JP2005168952A (ja) トイレ装置
JP2006257870A (ja) 大便器ユニット
JP2005168952A5 (ko)
JP2006266079A (ja) 大便器ユニット
JP2006219977A (ja) 大便器ユニット
EP4212096A1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urine flow and a system for diagnostics of micturition disorders comprising sai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