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19A - 공기 압축기 - Google Patents

공기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19A
KR20200052719A KR1020180136064A KR20180136064A KR20200052719A KR 20200052719 A KR20200052719 A KR 20200052719A KR 1020180136064 A KR1020180136064 A KR 1020180136064A KR 20180136064 A KR20180136064 A KR 20180136064A KR 20200052719 A KR20200052719 A KR 2020005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mp
housing
air compresso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522B1 (ko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이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환 filed Critical 이동환
Priority to KR102018013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펌프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상기 냉각영역을 향해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압축기 {AIR COMPRESSOR}
본 발명은 공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Vacuum packaging)이라 함은 비닐 등에 물건을 싸고 내부를 진공으로 탈기(脫氣)함과 동시에 비닐 등의 둘레를 용착밀봉(溶着密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진공포장을 하는 이유는, 내부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부패 등을 방지함은 물론 의류 등의 부피를 줄여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부 산업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던 진공포장은 최근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가정에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사용되거나, 이불 또는 의류의 부피를 줄여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수납하기 위한 용도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진공포장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진공 포장을 위한 압축팩과 상기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음압을 걸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또는 유사한 펌프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진공청소기나 펌프의 경우 휴대가 어렵고, 휴대가 가능하게 만든다 해도 내장된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가 압축팩 내의 공기를 충분히 흡기하지 못한 상태에서 과열되어 동작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다회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포장을 위한 공기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펌프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상기 냉각영역을 향해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공기 압축기를 이용해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흡입해 진공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를 다회 연속적으로 사용하여도 전동기가 쉽게 과열되지 않아, 비교적 연속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와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다른 각도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하우징 중 측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하우징 중 측면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하우징 중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냉각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냉각노즐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를 압축팩에 형성된 밸브에 연결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와 밸브(2)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다른 각도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는, 하우징(10), 펌프(20) 및 냉각유로(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는, 중간덕트(41), 냉각노즐(42), 버튼부(50), 제어부(60) 및 광학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다른 구성요소들이고정될 수 있는 뼈대가 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들을 감싸서 보호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하우징(10)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111)을 가지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내측면을 가진다. 하우징(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방향(D)이란 공기 압축기(1)가 밸브(2)와 결합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측면부(11)를 포함할 수 있고, 하면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면부(14)를 포함할 수 있고, 장식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0)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개수와 형태의 구성요소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하우징(10) 중 측면부(1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하우징(10) 중 측면부(11)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5 및 도 6을 같이 참조하여 측면부(11)에 대해 설명한다. 측면부(11)는 원통의 측면에 해당하는 형태를 가져, 기준방향(D)을 따라 양단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10)의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측면부(11)의 내측면에 의해 내부공간(111)이 둘러싸여 형성된다. 측면부(11)가 후술할 상면부(14)와 하면부(13)에 각각 결합되어, 상면부(14)와 하면부(1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측면부(11)는 원통의 측면과 완전히 일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분에서 원통의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7)를 구비하고, 기준방향(D)으로 연장되어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7)를 서로 잇는 판형의 연결판(113)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17)는 사용자가 공기 압축기(1)를 파지할 때 보다 나은 그립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연결판(113)에는, 후술할 장식부(12)가 결합되는 장식부 결합홈(113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장식부 결합홈(113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십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측면부(11)에는 후술할 전원 커넥터(63)가 내부공간(111)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원 커넥터(63)가 관통하는 전원 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1)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냉각유로(30)의 직선부(32)를 둘러싸서 직선부(32)를 정의하는 관체부(112)를 내측에 가질 수 있다. 기준방향(D)을 따라 말단에 위치한 관체부의 기준방향측 일단(1121)은 후술할 중간덕트(41)에 연결되고, 반대편에 위치한 관체부의 기준방향 반대측 타단(1122)은 후술할 냉각노즐(42)과 연결된다. 냉각노즐(42)과 중간덕트(41)에 원활하게 연결되기 위해, 관체부의 양단(1121, 1122)의 외경은, 관체부(112)의 중간 영역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체부(112)는 단차진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관체부(112)는 연결판(113)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측면부(11)는, 후술할 상면부(14) 및 하면부(13)가 연결되는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5)는 복수로 구성되어, 측면부(11)의 중심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116)로부터 기준방향(D) 또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방향(D)으로 연장된 지지대(115)는, 하면부(13)와 결합되고,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15)는, 상면부(14)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15)는 지지대(115)의 원통형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각 지지대(115)의 말단에는, 체결구(9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1)의 연결판(113)에는, 장식부(12)가 연결될 수 있다. 장식부(12)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구성요소이다. 장식부(1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를 파지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장식부(12)는 전술한 장식부 결합홈(1131)에 삽입되는 걸림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121)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걸림부(121)를 자른 단면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걸림부(121)가 장식부 결합홈(1131)에 삽입될 때, 장식부(12)는 측면부(11)로부터 연결판(113)으로부터 기준방향(D),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 및 기준방향(D)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121)의 외측면이, 장식부 결합홈(1131)을 십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내측면에 접촉하여, 이러한 방향들로 장식부(12)가 측면부(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121)는 후술할 냉각노즐(42)이 냉각유로(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걸림부(121)와 접촉되는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는, 기준방향(D)을 따라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일 수 있다. 걸림부(1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한 면을 기준방향(D)측에 가지고, 반대측에는 비스듬한 빗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한 면이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냉각노즐(42)이 관체부(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면부(14)는 측면부(11)의 개구된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을 덮는 하우징(10)의 구성요소로, 측면부(11)가 포함하는 지지대(115) 중 일부와 결합되어 측면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면부(14)는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형성되는 상면부 중심홀(141)을 통해 버튼부(50)의 버튼(5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14)가 덮힘에 따라, 상면부(14)의 기준방향(D)측에 위치하는 광학부재(80), 고정판(70), 버튼부(50) 및 기판(61)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에 위치하고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하우징(10) 중 하면부(1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7을 같이 참조하여 하면부(13)에 대해 설명한다. 하면부(13)는 측면부(11)의 개구된 기준방향(D)측 일단을 덮는 하우징(10)의 구성요소로, 측면부(11)가 포함하는 지지대(115) 중 일부와 결합되어 측면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하면부(13)는 상면부(14)와 대향되게 상면부(14)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면부(13)에는 흡입구(131)가 형성된다. 흡입구(131)는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가 흐르게 하는 개구로, 하면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흡입구(131)의 기준방향(D)측이 밸브(2)를 바라보고 배치되고, 기준방향(D) 반대측이 펌프(20)의 흡입관(21)과 연결되어, 밸브(2)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펌프(2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펌프(20)는 안내된 공기를 흡입관(21)을 통해 흡입한다.
흡입구(131)를 둘러싸고, 측면부(11)의 내부공간(111)에 배치되는 관체형의 흡입덕트(132)가 하면부(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덕트(132)가 펌프(20)의 흡입관(21)과 연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이 아니라 펌프(20)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새어 들어오지 않고 펌프(20)로 향할 수 있도록, 흡입덕트(132)와 흡입관(21)의 경계에는 탄성을 가지는 환형의 내부 오링(92)이 배치되어 경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측면 중 일면을 형성하는 하면부(13)의 기준방향(D)측 측면에는, 흡입구(131)를 둘러싸고 상기 기준방향(D)측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인 기준방향(D)을 향해 돌출된 환형의 흡입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33)는 흡입공간(1332)을 둘러싸고 원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판형의 흡입공간(1332) 내에서도 흡입구(131)는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부(133)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133) 역시 하면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133)의 크기는 밸브(2)의 밸브 입구(201)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밸브 입구(201)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을 흡입부(133)가 가짐으로써, 흡입부(133)가 밸브 입구(201)에 삽입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133)의 외주면에는 흡입부 홈(1331)이 형성되어, 외부 오링(91)이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오링(91)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흡입부 홈(13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오링(91)이 배치됨에 따라, 밸브 입구(201)에 흡입부(133)가 삽입될 때 밸브 입구(201)의 내주면과 흡입부(133)의 외주면 사이에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하면부(13)는 연결판(113)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된 하면부 꼬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면부 꼬리(135)가 구부러진 형태로 연결판(113)을 향해 연장되면서, 측면부(11)의 기준방향(D)측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빈 틈이 없도록 덮을 수 있다.
펌프(20)
펌프(2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펌프(20)는 하우징(10)에 수용되고,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력을 이용해 발생시키는 전동기(미도시)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작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로는 전동기에 연결된 크랭크와 크랭크에 의해 압축되거나 당겨지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크랭크에 의해 피스톤이 당겨질 때 공기를 흡입관(21)에 연결된 흡입구(131)를 통하여 흡입하고, 크랭크에 의해 피스톤이 압축될 때 공기를 배출구(22)를 통해 내보내는 피스톤 펌프(2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펌프(20)의 작동부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펌프(20)구조가 작동부로 사용될 수 있다. 작동부는 기준방향(D)측에, 전동기는 기준방향(D)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20)는 흡입구(131)와 연결된 흡입관(21)을 이용해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구(22)와 연결된 펌프노즐(24)을 통해 냉각유로(30)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한다. 펌프(20)로부터 배출구(2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은, 펌프(20)가 흡입구(13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펌프(20)가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은 기준방향(D)이고,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은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서로 반대된다. 이러한 흡입 및 배출 방향을 펌프(20)가 가짐으로써, 전체 공기 압축기(1)의 크기가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펌프(20)의 흡입관(21)과 펌프노즐(24)은 펌프(20)의 기준방향(D)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21)은 펌프(20)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위치에 배치되되, 흡입덕트(132)에 연통되어 흡입구(131)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도록 배치될 수 있고, 펌프노즐(24)은 펌프(20)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연결된 냉각유로(3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펌프(20)의 외측면 중 일부 영역인 냉각영역은 전동기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냉각영역으로 냉각유로(3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분사된다. 냉각영역에는 개구되어 숨구멍(23)이 형성될 수 있다. 숨구멍(23)은 전동기 때문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전동기의 케이스 내외에서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형성된다. 공기가 숨구멍(23)을 통해 전동기 내외로 출입하여, 압력차가 없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냉각유로(30)
냉각유로(30)는 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펌프(20)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영역과 인접한 개소까지 이동하도록 형성된 유로가 냉각유로(30)이다. 따라서 냉각유로(30)의 일단은 배출구(22)와 연통되고, 타단은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유로(30)는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는 서로 연결되어 냉각유로(30)를 이룬다.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를 포함하여, 냉각유로(30)는 전체적으로 'J'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방향전환부(31)는 펌프(20)의 배출구(22)와 연통되고, 'U'자형으로 형성되는 냉각유로(30)의 구성요소이다. 방향전환부(31)는 다시 제1 방향전환부(311), 제2 방향전환부(312) 및 제3 방향전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전환부(311)는 배출구(22)와 연통되되, 배출구(22)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방향전환부(312)는 제1 방향전환부(311)와 연통되되 제1 방향전환부(311)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방향전환부(313)는 제2 방향전환부(312)와 연통되되 제1 방향전환부(311)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전환부(311)와 제3 방향전환부(313)는 각각 기준방향(D) 및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방향전환부(312)는 기준방향(D)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전환부(3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펌프노즐(24)으로부터 기준방향(D)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전환부(312)를 향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방향전환부(313)는, 관체부(112)로부터 기준방향(D)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전환부(312)를 향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전환부(312)는, 기준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상기 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제1 방향전환부(311)와 제3 방향전환부(313)를 향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부러진 부분을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가 포함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형의 전체 방향전환부(31)를 형성할 수 있으나, 도시된 것과는 달리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가 직선형의 부분만을 포함하여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향전환부(31)의 형태에 의해, 공기가 방향전환부(31)를 통과하면서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이, 방향전환부(31)를 통과함에 따라 반전되는 것이다.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의 폭을,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의 너비라고 하자. 제1 방향전환부(311)의 폭 및 제3 방향전환부(313)의 폭은, 제2 방향전환부(312)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전환부(312)의 폭을 다른 방향전환부(311, 313)들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에 따라,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의해 방향전환부(31)를 구성하는 중간덕트(41)가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냉각유로(30)를 따라 지나가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이러한 방향전환부(31)는 중간덕트(41)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중간덕트(41)는 방향전환부(31)와 마찬가지로 'U'자 형으로 형성되되, 배출구(22)를 둘러싸는 펌프노즐(24)에 일단이 결합되고, 직선부(32)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부분인 관체부(112)에 타단이 결합된다. 제1 방향전환부(311)를 형성하는 영역은 제1 중간덕트(411)가 되고, 제2 방향전환부(312)를 형성하는 영역은 제2 중간덕트(412)가 되고, 제3 방향전환부(313)를 형성하는 영역은 제3 중간덕트(413)가 될 수 있다. 즉 제1 중간덕트(411)와 펌프노즐(24)이 결합되고, 제3 중간덕트(413)와 관체부(112)가 결합된다. 제1 중간덕트(411)의 내측으로 펌프노즐(24)이 삽입되고, 제3 중간덕트(413)의 내측으로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덕트(41)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소재로 중간덕트(41)가 형성됨에 따라, 방향전환부(31)를 통해 지나가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직선부(32)는 방향전환부(31)와 연통되되,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까지 연장된다. 직선부(32)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직선부(32)는 하우징(10)의 관체부(112)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선부(32)는 하우징(10)에 대해서 그 상대적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직선부(3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을 형성하는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은 제3 방향전환부(313)와 연결되고, 직선부(32)의 기준방향(D)의 반대측 일단을 형성하는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은 후술할 냉각노즐(4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방향전환부(31)를 통하여 직선부(32)에 전달되고, 직선부(32)는 이를 펌프(20)의 냉각영역에 분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냉각노즐(4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냉각노즐(42)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8 및 도 9를 같이 참조하여 냉각노즐(42)에 대해 설명한다.
냉각노즐(42)은, 펌프(20)의 냉각영역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냉각노즐(42)은 냉각유로(30)의 타단에 배치되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펌프(20)의 외측면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냉각노즐(42)은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424)을 포함할 수 있고, 냉각유로(3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배출되는 노즐 개구(421)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개구(4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영역에서 전동기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숨구멍(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개수 역시 숨구멍(2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숨구멍(23)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전동기에 공급하여 전동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동기의 숨구멍(23)이 2개이므로, 노즐 개구(421) 역시 2개로 형성되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노즐 개구(4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냉각영역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즐 개구(421)가 구비되는 경우, 각 노즐 개구(421)는 서로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노즐 개구(421)는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개구(421)는 기준방향(D)을 따라 길쭉한 형태를 가지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노즐(42)이 펌프(20)가 압축해 배출하는 공기를 전달받아 냉각유로(30)보다 좁은 노즐 개구(421)를 통해 유속이 빨라진 상태로 펌프(20)에 분사하므로, 펌프(20)의 전동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노즐 개구(421)를 통과한 뒤 넓은 내부공간(111)으로 공기가 배출되므로, 공기의 단열팽창이 일어나, 펌프(20)에 전달되는 공기는 냉각유로(30)를 유동할 때에 비해 더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되어, 펌프(20)의 전동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측 일단에는, 기준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42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22)는 냉각노즐(42)이 기준방향(D)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부(11)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는 걸림 결합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1)가 걸림 결합부(423)에 삽입되어, 상술한대로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 결합부(423)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걸림 홈을 중심에 가질 수 있다. 걸림 결합부(423)가 형성하는 걸림 홈에 걸림부(121)가 삽입됨으로써, 냉각노즐(42)이 다른 위치로 이탈하지 않도록 냉각노즐(42)을 걸림부(121)가 가압할 수 있다.
걸림부(121)가 기준방향(D)과 수직한 방향으로 걸림 홈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걸림부(12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 갈래로 갈라진 걸림 결합부(42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 홈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가 연결되는 경계에는,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의 경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노즐 오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즐 오링이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의 경계를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60)
제어부(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 및 전력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제어부(60)는 본 발명의 전기적 제어가 필요한 각 구성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60)는 기판(61)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61)은 인쇄회로기판(PCB)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61)에는 제어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논리적 연산을 실행하고 제어신호를 각 구성요소로 전달하는 연산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60)가 포함하는 연산장치는, 펌프(20)가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한 뒤에는 정지하도록 펌프(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가 흡입구(131)와 인접한 영역에 압력을 획득할 수 있는 압력획득수단을 더 가지고 있는 경우, 압력획득수단과 제어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획득된 압력을 기초로 펌프(20)가 소정의 압력 이하에서만 작동하도록 펌프(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60)는 전원 커넥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63)는 제어부(60)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외부 전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커넥터이다. 전원 커넥터(63)는 측면부(11)에 형성된 전원 개구(114)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외부를 바라보고 배치된 전원 커넥터(63)의 일단은 외부 전력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커넥터(63)의 다른 영역은 기판(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커넥터(63)는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의 커넥터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접속단이 전원 커넥터(63)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체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에 수용되고, 전력을 인가받아, 펌프(20)가 작동할 때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발광체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체는 기판(6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되고, 기판(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스위치(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62)는 선택되거나 선택이 해제됨에 따라 펌프(2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버튼부(50)에 의해 가압되어 선택되거나 선택이 해제될 수 있다. 스위치(62)가 선택되면 펌프(20)에 전력이 인가되어 펌프(20)가 작동할 수 있고, 스위치(62)의 선택이 해제되면 펌프(20)에 인가되던 전력이 차단되어 펌프(20)의 작동이 멈춘다.
스위치(62)는 기판(61)에 안착되되, 기판(61)의 기준방향(D)의 반대측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상면부(14)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50)가 기준방향(D)으로 눌렸을 때 스위치(62)를 가압할 수 있다.
버튼부(50)
버튼부(50)는 가압되어 스위치(62)를 눌러 스위치(62)를 선택하거나 선택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부(50)는 버튼(51), 프레임(52) 및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51)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이동해 스위치(62)를 누를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51)은 사용자가 누르기 적합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버튼(51)의 기준방향(D)측면은 스위치(62)에 접촉하여 스위치(62)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도록 스위치(6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면부 중심홀(14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버튼(51)을 기준방향(D)으로 누를 수 있다. 버튼(51)이 기준방향(D)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2)를 가압하고, 스위치(62)가 선택되거나 선택이 해제된다.
프레임(52)은 하우징(10)과 연결되는 환형의 구성요소로, 버튼(51)을 둘러싸고 버튼(5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부(53)는 프레임(52)과 버튼(51)을 연결한다. 연결부(53)는 버튼(51)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후 사용자가 버튼(51)을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스위치(62)로부터 버튼(51)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버튼(51)에 복원력을 작용한다. 복수로 구비되는 연결부(53)는, 버튼(5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도시된 것과 같이 'L'자 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광학부재(80)
광학부재(80)는 발광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되, 발광체가 발광한 빛을 받아들여 산란해서 외부로 내보내는 구성요소이다. 광학부재(80)의 측면 중 기준방향(D)을 바라보는 측면은 평탄하지 않은 광학패턴을 가져, 발광체가 발광하는 빛을 받아들여 산란시킨다. 광학부재(80)의 기준방향(D)의 반대측면의 외측은 상면부(14)에 의해서 덮히고, 내측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드러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에 위치하는 광학부재(80)의 기준방향(D) 측면으로 입사한 빛이, 광학부재(80)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산란되고, 광학부재(80)의 기준방향(D) 반대측면으로 퍼져나간다.
발광체가 발광한 빛을 광학부재(80)가 산란시키므로, 적은 수의 발광체가 배치되어도, 광학부재(80) 전체에 걸쳐서 은은한 빛이 발광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광학부재(80)는 버튼(51)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광학부재 중심홀(81)을 가지고, 버튼(51)이 광학부재 중심홀(81)을 관통할 수 있다.
광학부재(80)는 고정판(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판(70)은 광학부재(80)가 기판(61)에 직접 닿지 않고 하우징(10)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판(70)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버튼(51)이 관통하는 고정판 중심홀(71)을 가질 수 있다. 환형으로 형성된 고정판(70)의 기준방향(D) 반대측면에 광학부재(80)가 안착될 수 있다.
고정판(70)은 연결판(113)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된 고정판 꼬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 꼬리(72)가 구부러진 형태로 연결판(113)을 향해 연장되면서, 측면부(11)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빈 틈이 없도록 덮을 수 있다.
기판(61), 고정판(70) 및 버튼부(50)는 모두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환형의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구(93)가 연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체결부(611), 고정판 체결부(701) 및 버튼 체결부(521)는 기준방향(D)을 따라 하우징(10)의 지지대(115)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같은 체결구(93)에 의해서 동시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판 체결부(611), 하나의 고정판 체결부(701), 하나의 버튼 체결부(521) 및 하나의 지지대(115)가 기준방향(D)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 하나의 볼트가 상술한 체결부들 및 지지대(115)를 동시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체결부(611), 고정판 체결부(701) 및 버튼 체결부(52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2)
밸브(2)는 압축팩(3)의 내외부에 대해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밸브(2)는 압축팩(3)에 설치된다.
밸브(2)는 밸브 입구(201), 밸브 판(202) 및 밸브 본체(20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입구(201) 및 밸브 판(202)은 압축팩(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밸브 본체(204)는 압축팩(3)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입구(201)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공기 압축기(1)의 흡입부(13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밸브 입구(201)를 통해서 압축팩(3)의 내부나 외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밸브 판(202)은 밸브 입구(201)에 결합된 공기 압축기(1)의 작용에 의해 압축팩(3)의 외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음압에 의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2)를 개방하는 구성요소이다. 밸브 판(202)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2)가 열려, 압축팩(3)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공기 압축기(1)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음압이 사라지면, 밸브 판(202)은 기준방향(D)으로 이동하여 밸브(2)를 폐쇄하여 압축팩(3)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밸브 본체(204)는 밸브 판(202)이 기준방향(D)과 그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되 밸브 본체(204)의 외부로는 이탈하지 못하도록 밸브 판(20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압축팩(3)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잘 빨아들일 수 있는 방사형의 공기 안내부(203)를 구비하는 구성요소이다.
압축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를 압축팩(3)에 형성된 밸브(2)에 연결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를 도 1의 상태에서 기준방향(D)으로 이동시켜, 흡입부(133)가 밸브 입구(201)에 삽입되도록 한다. 외부 오링(91)이 흡입부(133)와 밸브 입구(201)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전원 커넥터(63)에 외부 전력원을 연결하고, 버튼(51)을 사용자가 눌러 스위치(62)를 선택하면, 제어부(60)는 펌프(20)에 전력을 인가하여 펌프(20)가 작동하도록 한다.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펌프(20) 내부에 잔존해있던 공기가 배출되며 밸브 판(202)의 기준방향(D) 반대측에 음압이 형성되고, 밸브 판(202)이 압력차에 의해 기준방향(D)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밸브 판(202)의 이동에 의해 밸브(2)가 열리고, 압축팩(3)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밸브(2) 외부로 배출된다. 압축팩(3)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어, 압축팩(3)은 수축한다. 압축팩(3)의 수축에 따라 압축팩(3)의 내부에 위치하는 물체가 압축될 수 있다.
배출된 공기는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되어 펌프(20)로 향한다. 펌프(20)는 흡입한 공기를 배출구(22)를 통해 냉각유로(30)로 배출한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냉각유로(30)의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를 거쳐 냉각노즐(42)로 향하고, 냉각노즐(42)은 전달받은 공기를 펌프(20)의 외측면에 위치한 냉각영역으로 분사한다.
냉각영역에 위치한 숨구멍(23)으로, 냉각노즐(42)이 분사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냉각영역에서도 분사된 공기가 지나갈 수 있다. 분사된 공기에 의해 전동기가 냉각될 수 있으며, 전동기가 냉각됨에 따라 전동기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
제어부(60)는 압축팩(3)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이르렀다고 판단되거나, 공기 압축기(1)가 스위치(62)의 선택에 의해 작동하기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펌프(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1)의 작동이 정지되고 난 뒤, 사용자가 공기 압축기(1)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밸브(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밸브(2)는 더 이상 밸브 판(202)을 기준으로 외부에 음압을 제공할 공기 압축기(1)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밸브(2)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밸브(2)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축팩(3)의 내부는 진공 내지 저압 포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공기 압축기 2 : 밸브
3 : 압축팩 10 : 하우징
11 : 측면부 12 : 장식부
13 : 하부 14 : 상면부
20 : 펌프 21 : 흡입관
22 : 배출구 23 : 숨구멍
24 : 펌프노즐 30 : 냉각유로
31 : 방향전환부 32 : 직선부
41 : 중간덕트 42 : 냉각노즐
50 : 버튼부 51 : 버튼
52 : 프레임 53 : 연결부
60 : 제어부 61 : 기판
62 : 스위치 63 : 전원 커넥터
70 : 고정판 71 : 고정판 중심홀
72 : 고정판 꼬리 80 : 광학부재
81 : 광학부재 중심홀 91 : 외부 오링
92 : 내부 오링 93 : 체결구
111 : 내부공간 112 : 관체부
113 : 연결판 114 : 전원 개구
115 : 지지대 116 : 중간 지지부
117 : 돌출부 121 : 걸림부
131 : 흡입구 132 : 흡입덕트
133 : 흡입부 135 : 하면부 꼬리
141 : 상면부 중심홀 201 : 밸브 입구
202 : 밸브 판 203 : 공기 안내부
204 : 밸브 본체 311 : 제1 방향전환부
312 : 제2 방향전환부 313 : 제3 방향전환부
411 : 제1 중간덕트 412 : 제2 중간덕트
413 : 제3 중간덕트 421 : 노즐 개구
422 : 플랜지 423 : 걸림 결합부
424 : 결합홀 521 : 버튼 체결부
611 : 기판 체결부 701 : 고정판 체결부
1121 : 관체부의 기준방향측 일단
1122 : 관체부의 기준방향 반대측 타단
1131 : 장식부 결합홈 1331 : 흡입부 홈
1332 : 흡입공간 D : 기준방향

Claims (1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펌프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상기 냉각영역을 향해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은, 상기 펌프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공기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펌프에 형성되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고, 'U'자형으로 형성되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방향전환부와 연통되되, 상기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까지 연장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방향전환부를 통과함에 따라 반전되는, 공기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는 중간덕트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U'자 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펌프에 형성되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둘러쌈으로써 형성하는 펌프노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직선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타단이 결합되는 중간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중간덕트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덕트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펌프에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되, 상기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방향전환부;
    상기 제1 방향전환부와 연통되되, 상기 제1 방향전환부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전환부; 및
    상기 제2 방향전환부와 연통되되, 상기 제1 방향전환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된 제3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방향전환부의 폭은 상기 각 방향전환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각 방향전환부의 너비일 때, 상기 제1 방향전환부의 폭 및 상기 제3 방향전환부의 폭은, 상기 제2 방향전환부의 폭보다 작은, 공기 압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에 형성되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타단은, 상기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타단에 배치되되 상기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의 외측면을 향해 개구된 냉각노즐을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력을 이용해 발생시키는 전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노즐은, 상기 냉각영역에서 상기 전동기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숨구멍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숨구멍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노즐이 상기 냉각유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하도록, 상기 냉각노즐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공기 압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상기 상면부과 대향되게 상기 상면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면부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개소에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흡입구를 둘러싼 환형의 흡입부가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의 외주면을 둘러싼 외부 오링을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가압됨으로써 이동해 상기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튼을 연결하되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버튼이 이격되도록 상기 버튼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버튼을 둘러싸되 상기 버튼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튼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공기 압축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펌프가 작동할 때 점등되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광한 빛을 받아들여 산란시켜 외부로 내보내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KR1020180136064A 2018-11-07 2018-11-07 공기 압축기 KR102150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64A KR102150522B1 (ko) 2018-11-07 2018-11-07 공기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64A KR102150522B1 (ko) 2018-11-07 2018-11-07 공기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19A true KR20200052719A (ko) 2020-05-15
KR102150522B1 KR102150522B1 (ko) 2020-09-01

Family

ID=7067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64A KR102150522B1 (ko) 2018-11-07 2018-11-07 공기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033U (ko) * 1990-08-24 1992-04-24
JPH08263734A (ja) * 1995-03-20 1996-10-11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化粧枠に装備した表示ランプ装置
JP2004119238A (ja) * 2002-09-27 2004-04-15 Murata Mach Ltd タクトスイッチ
US7246555B2 (en) * 2003-03-12 2007-07-24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Portable vacuum food storage system
KR100853752B1 (ko) * 2007-05-11 2008-08-22 주식회사 락앤락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JP5484228B2 (ja) * 2010-07-12 2014-05-07 修二郎 藤本 真空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033U (ko) * 1990-08-24 1992-04-24
JPH08263734A (ja) * 1995-03-20 1996-10-11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化粧枠に装備した表示ランプ装置
JP2004119238A (ja) * 2002-09-27 2004-04-15 Murata Mach Ltd タクトスイッチ
US7246555B2 (en) * 2003-03-12 2007-07-24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Portable vacuum food storage system
KR100853752B1 (ko) * 2007-05-11 2008-08-22 주식회사 락앤락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JP5484228B2 (ja) * 2010-07-12 2014-05-07 修二郎 藤本 真空ポ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522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454B2 (en) Vacuum and vacuum-breaking composite valve
CN109707593B (zh) 可携式抽气装置
KR100574142B1 (ko) 피부 관리기
JP2017505174A (ja) 内視鏡操作要素のための流体ブロック及び内視鏡
US7343849B2 (en) Cylinder apparatus
US10868412B2 (en) Cord grip with liquid drain
KR101039470B1 (ko) 진공 이젝터 펌프
KR100580900B1 (ko) 다수의 진공 발생 유니트
KR20200052719A (ko) 공기 압축기
KR101672560B1 (ko) 진공제어장치
US20150367295A1 (en) Handy pump
CN116547189A (zh) 方向盘的灯条组件的热耗散
DK1158226T3 (da) Gaspåfyldningsindretning
US8418712B2 (en) Air discharge implement for a portable pressurized sprayer
US11149752B2 (en) Vacuum pump using profile
CN219337522U (zh) 吸附设备
TWM575078U (zh) Test cover f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assembly of test cover and laser emitter
CN220396006U (zh) 可拆卸清洗医用泵和流体输送装置
EP4342522A1 (en) Hair-removal apparatus
US20240041521A1 (en) Hair-removal apparatus
KR10079890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8343584B (zh) 一种微型气泵
TWM590576U (zh) 抽真空裝置
KR100194386B1 (ko)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JP2022166359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