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697A -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697A
KR20200052697A KR1020180136018A KR20180136018A KR20200052697A KR 20200052697 A KR20200052697 A KR 20200052697A KR 1020180136018 A KR1020180136018 A KR 1020180136018A KR 20180136018 A KR20180136018 A KR 20180136018A KR 20200052697 A KR20200052697 A KR 20200052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od
present
re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016B1 (ko
Inventor
지영흔
전유진
김아름
김보형
헤와게 이레샤 나디카 마두샤니 헤랏 카라헤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의 말초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콘카나발린A(concanavalin A)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해서도 그 증식을 억제하고, 또한 Th1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과 Th2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을 모두 억제하는 활성을 지닌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uppressing Immune Responses Using an Enzyme Digest of Stichopus japonicus Red}
본 발명은 홍해삼(Stichopus japonicus Red)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삼(Stichopus japonicus)은 극피동물문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으로 전세계의 다양한 저서 환경에서 발견되는 해양 무척추 동물이다[1]. 가죽질의 피부와 아교질의 몸통을 가졌으며 긴 원통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2]. 해삼은 중국, 일본, 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식품으로 소비되고 있다[3]. 더불어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인 약재로 천식, 고혈압, 류마티즘, 빈혈, 부비강 울혈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왔다[3, 4]. 해삼의 생리 활성 물질로는 트리테르펜 배당체(triterpene glycoside)[5], 황산 콘드로이틴(chondroitin sulfates)[6],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7], 렉틴(lectin)[8], 황산화 다당류(sulfated polysaccharide)[9], 생리활성 펩타이드(bioactive peptide)[10],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11] 등이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효과(antioxidant effect)[12], 항암 효과(anti-tumorous effect)[13], 항응고 효과(anti-coagulatory effect)[14], 항균 효과(anti-microbial effect)[15], 창상 치유 효과(wound healing effect)[16] 등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17]. 국내에는 약 30여종의 해삼이 존재하며 그 중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돌기 해삼(Stichopus japonicus)은 색깔에 따라 홍해삼, 청해삼 및 흑해삼으로 구분할 수 있다[18]. 홍해삼의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는 랫트 간세포암 모델에서 항암 효과(anti-tumorous effect)[19], 황산화 다당류(sulfated polysaccharide)는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사람 도파민성 신경세포에서 신경 보호 효과(neuroprotective effect)[20],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은 사람 혈장에서 항응고 효과(anti-coagulatory effect)[21], 황산화 푸칸(fucan sulfates)은 PGE2(prostaglandin E2)를 처리한 마우스 골수세포에서 파골세포 형성 억제(anti-osteoclastogenesis)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22]. 또한 홍해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신호전달경로를 차단하여 LPS 유도 염증반응을 억제한다는 항염 효과(anti-inflammatory effect)와 관련된 연구가 보고되었다[23]. 그 외에 홍해삼의 생리활성 물질인 황산화 글리코프로테인(sulfated glycoprotein)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분비를 증가시켜 대식세포를 자극하고[24], 트리테르펜 배당체(triterpene glycoside)가 마우스 대식세포의 탐식작용과 활성 산소종(ROS) 생성을 자극시켜 세포매개성 면역을 자극한다는 면역 자극 효과(immunostimlatory effect)가 보고되어 있다[25].
본 발명은 홍해삼 효소 처리물의 마우스의 말초면역세포인 비장세포 증식 억제 활성 등의 면역 억제 활성을 개시한다.
[참조문헌]
1. Bordbar S, Anwar F, Saari N. High-value components and bioactives from sea cucumbers for functional foods*?*a review. Mar Drugs 2011, 9(10), 278-289.
2. Yu L, Ge L, Xue C, Chang Y, Zhang C, Xu X, Wang Y. Structural study of fucoidan from sea cucumber Acaudina molpadioides: a fucoidan containing novel tetrafucose repeating unit. Food Chem 2014, 142, 197-200.
3. Zhong Y, Khan A, Shahidi F.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esh and processed sea cucumber(Cucumaria frondosa). Food Chem 2007, 55(4), 1188-1192.
4. Fredalina BD, Ridzwan BH, Zainal Abidin AA, Kaswandi MA, Zaiton H, Zali I, Kittakoop P, Mat Jais AM. Fatty acid composition in local sea cucumber stichopus chloronotus, for wound healing. Gen Pharmacol 1999, 33(4), 337-340.
5. Tian F, Zhang X, Tong Y, Yi Y, Zhang S, Li L, Sun P, Lin L, Ding J. PE, a new sulfated saponin from sea cucumber, exhibits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Cancer boil Ther 2005, 4(8), 874-882.
6. Chen S, Xue C, Yin L, Tang Q, Yu G, Chai W. Comparison of structures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fucosylated chondroitin sulfates from different sea cucumbers. Carbohydr Polym 2011, 83(2), 688-696.
7. Nagase H, Enjyoji K, Minamiguchi K, Kitazato KT, Kitazato K, Saito H, Kato H. Depolymerized holothurian glycosaminoglycan with novel anticoagulant actions: Antithrombin IIIand heparin cofactor II-independent inhibition of factor X activation by factor IXa-factor VIIIa complex and heparin cofactor II-dependent inhibition of thrombin. Blood 1995, 85(6), 1527-1534.
8. Mojica ERE, Merca FE. Lectin from the body walls of black sea cucumber (Holothuria atra Jager). Philipp J Sci 2004, 133(2), 77-85.
9. Mourao PAS, Pereira MS. Searching for alternatives to heparin: Sulfated fucans from marine invertebrates. Trends Cardiovasc Med 1999, 9(8), 225-232.
10. Rafiuddin AM, Venkateshwarlu U, Jayakumar R. Multilayered peptide incorporated collagen tubules for peripheral nerve repair. Biomaterials 2004, 25(13), 85-94.
11. Lu Y, Wang BL. The research progress of antitumorous effectiveness of Stichopus japonicus acid mucopolysaccharide in north of China. Am J Med Sci 2009, 337(3), 195-198.
12. Althunibat OY, Ridzwan BH, Taher M, Jamaludin MD, Ikeda MA, Zali BI.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ree Malaysian sea cucumber species. Eur J Sci Res 2009, 37(3), 376-387.
13. Zou Z, Yi Y, Wu H, Wu J, Liaw C, Lee K. Intercedensides A-C, three new cytotoxic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sea cucumber Mensamaria intercedens Lampert. J Nat Prod 2003, 66(8), 1055-1060.
14. Mourao PAS, Pereira MS, Pav
Figure pat00001
o MS, Mulloy B, Tollefsen DM, Mowinckel MC, Abildgaard U. Structure and anticoagulant activity of a fucosylated chondroitin sulphate from echinoderm. Sulphated fucose branches on the polysaccharide account for its high anticoagulant action. J Biol Chem 1996, 271(39), 23973-23984.
15. Beauregard KA, Truong NT, Zhang H, Lin W, Beck G. The detection and isolation of a novel antimicrobial peptide from the echinoderm, Cucumaria frondosa. Adv Exp Med Biol 2001, 484, 55-62.
16. Mehmet A, H
Figure pat00002
seyin S, Bekir T, Yilmaz E, Sevim K. Proximate composition and fatty acid profile of three different fresh and dried commercial sea cucumbers from Turkey. Int J Food Sci Technol 2011, 46(3), 500-508.
17. Bordbar S, Anwar F, Saari N. High-value components and bioactives from sea cucumber for functional foods-a review. Mar Drugs 2011, 9(10), 1761-1805.
18. Kan-no M, Kijima A.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color variants of Japanese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Fish Sci 2003, 69(4), 806-812.
19. Song Y, Jin SJ, Cui LH, Ji XJ, Yang FG. Immunomodulatory effect of Stichopus japonicus acid mucopolysaccharide on experimental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ats. Molecules 2013, 18(6), 7179-7193.
20. Cui C, Cui N, Wang P, Song S, Liang H, Ji A. Neuroprotective effect of sulfate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on 6-OHDA-induced death in SH-SY5Y through inhibition of MAPK and NF-kB and activation of PI3K/Akt signaling pathway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6, 470(2), 375-383.
21. Li Z, Wang H, Li Z, Zhang G, Gao C. Basic and clinical study on the antithrombotic mechanism of glycosaminoglycan extracted from sea cucumber. Chin Med J 2000, 113, 706-711.
22. Suzuki K, Masuda H, Kyogashima M, Ishii T.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fucan sulfates from the body wal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and their ability to inhibit osteoclastogenesis. Carbohydr Res 2004, 339, 1339-1346
23. Himaya SW, Ryu BM, Qian ZJ, Kim SK.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ethyl acetate fraction modulates the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OS and COX-2 via MAPK signaling pathway in murine macrophages. Environ Toxicol Pharmacol 2010, 30(1), 68-75.
24. Cao RA, Lee SH, You S. Structural Effects of Sulfated-Glycoproteins from Stichopus japonicus on the Nitric Oxide Secretion Ability of RAW 264.7 Cells. Prev Nutr Food Sci 2014, 19(4), 307-313.
25. Aminin DL, Agafonova IG, Kalinin VI, Silchenko AS, Avilov SA, Stonik VA, Collin PD, Woodward C.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frondoside A, a major triterpene glycoside from the North Atlantic commercially harvested sea cucumber Cucumaria frondosa. J Med Food 2008, 11(3), 443-453.
본 발명의 목적은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carbohydrase)의 일종인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 AMG)를 홍해삼에 처리하여 얻은 홍해삼 효소 처리물이 마우스의 말초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콘카나발린A(concanavalin A)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해서도 그 증식을 억제할 뿐 아니라, Th1 세포가 분비하는 IL-2와, Th2가 분비하는 IL-4 및 IL-10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Th1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과 Th2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을 모두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당업계에서는 Th1 세포에 의한 과면역반응은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제1형 당뇨 등의 자가면역질환(Autoimmunity)을 일으키고, Th2 세포에 의한 과면역반응은 아토피,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Allergy)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cta Derm Venereol 2006; 86: 99-109;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Symposium Proceedings, 2004, 9(1):5-14; Science. 296 (2002): 490-494).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면역억제용 조성물은 홍해삼의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 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홍해삼"이란 학명이 Stichopus japonicus Red인 해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색깔이 적색에 황갈색 또는 암적갈색의 반문이 있고 복부는 적색이며, 폴리씨낭(Polian vesicle)이 가늘고 길며 선단이 뾰족하고, 수축성이 심해서 체형이 구형 비슷하며, 알에 두께 25μm내외의 젤라틴 피물을 가진 해삼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홍해삼의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 처리물"은 홍해삼의 세절물 또는 분말에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고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소 처리물은 그대로 또는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이용되거나, 효소 처리물 그대로 또는 그 상등액을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효소 처리물 그대로 또는 그 상등액을 물이나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로 추출하거나, 그 추출물을 극성이 서로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하거나, 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농축하여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는 당업계에 주지된 바아 같이 다당의 비환원성 말단에서 α-1,4글루코시드결합을 포도당단위로 축차분해하는 엑소형 효소(exo-1,4-α-d-glucosidase)를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면역억제"란 과면역 반응 또는 비정상적 면역 반응으로 인한 면역질환의 개선(증상의 경감), 치료, 그러한 질환의 예방, 발병 억제 또는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면역질환"이란 이식편 숙주반응 질환, 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등), 과증식성 피부질환(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등), 만성 폐색성 호흡기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 기관지염(bronchitis), 알레르기성 비염, 자가면역성 간염(autoimmune hepatitis)을 포함하는 의미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면역 억제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과면역 등에 의한 면역질환의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억제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면역억제 효과의 상승·보강 등을 위하여 또는 항염증 활성, 피부 보호 활성(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등) 등 유사활성의 부가를 통한 복용이나 섭취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 "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 "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된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과민 면역반응 완화'로 개별적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Enterococcus faecalis 가열 처리 건조 분말, 구아바 잎 추출물 등의 복합물, 다래 추출물, 소엽 추출물, 피카오프레토 분말 등의 복합물, PLAG(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등과, '과민피부상태 개선'으로 개별적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L. sakei Probio 65,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과채 유래 유산균인 L.plantarum CJLP133, 프로바이오틱스 ATP 등이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면억억제용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용도는 피부 과민 반응 억제 또는 과민 반응 억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용도는 과면역 또는 비정상 면역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피부 트러블 억제 등의 용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트러블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면역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억제용 조성물은 과면역 또는 비정상적 면역에 의한 질환의 개선 등의 용도, 과면역 또는 비정상적 면역에 의한 피부 트러블의 완화 용도 등으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마우스의 말초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콘카나발린A(concanavalin A)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비장세포에에서 사이토카인의 ELISA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홍해삼 효소 처리물의 면역억제 활성
1. 재료 및 방법
1.1 실험동물
본 실험에서는 7~10 주령의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성남, 한국)를 사용하였다. 표준 사육실 온도 및 습도인 23±3℃, 50±5%로 유지되는 환경에서 마우스 전용 고형사료(NIH-07)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동물실험 및 관리에 관한 계획서는 제주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실험은 제주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1.2 시료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한 홍해삼은 3회 이상 수세 과정을 거쳐 염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원적외선으로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하여 영하 20℃ 이하에서 보관하였다. 홍해삼 5g을 물 250mL에 균질화시키고 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carbohydrase)인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 AMG) 50μL 혹은 50 mg과 각각 혼합하였다. 효소 반응은 24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모든 반응액은 해당 효소의 최적 pH 및 온도(pH 4.5, 60℃)에 맞춰주었다. 효소의 가수분해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100℃에서 15분 동안 끓여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시료들을 4℃에서 1200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여과지를 통해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의 pH를 7.0으로 조정하고 이를 AMG 효소 처리물(AESJ)이라 명명하였으며, -2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1.3 마우스 비장세포의 준비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비장을 적출하여 세포여과기를 통해 얻은 단일세포 부유액을 염화암모늄 (ammonium chloride, ACK) 용액과 함께 10분간 실온에서 배양한 후 인산 완충용액(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Gibco-BRL, UK)으로 세척하였다. 그 후 10% 소태아혈청(Gibco-BRL)과 1% 항생제(Penicilin/Streptomycn)(Gibco BRL)이 포함된 RPMI-1640 배지 (Gibco-BRL)에 현탁하여 사용하였다.
1.4 세포독성 평가 - MTT 분석
AESJ가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일으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 96-well palte에 비장세포 부유액을 1×105 cells/well로 분주한 후 AESJ를 농도별 (0, 3.9, 7.8, 15.6, 31.3, 62.5, 125, 250, 500, 1,000μg/mL)로 처리하고 자극인자인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이하 ConA)를 5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4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MTT용액을 각 well에 15μL를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하고, 용해 완충액(solubilization buffer)(pH 4.7)를 각 well에 100μL씩 처리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570 nm, 6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5 세포 증식능 평가
AESJ가 마우스 비장세포의 세포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96-well plate에 비장세포 부유액을 4×105cells/well로 분주한 후 ConA (5 μg/mL)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처리한 군에 AESJ를 농도별(0, 3.9, 7.8, 15.6, 31.3, 62.5, 125, 250, 500, 1000μg/mL)로 처리하여 30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well에 3H-thymidine(42 Ci/mmol; Aersham, USA)을 1μCi씩 넣어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유리섬유 여지에 포획하여 건조시킨 후 방사능 측정기 (MicroBeta TriLux; Perkin Elmer, Germany)를 이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1.6 사이토카인 생성 평가
AESJ가 마우스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Enzyme linked immunoabosorbant (ELISA) assay를 수행하였다. 24-well plate에 비장세포 부유액을 4×106 cells/well로 분주한 후 ConA (5 μg/mL)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처리한 군에 AESJ를 농도별 (31.3, 62.5 μg/mL)로 처리하여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상층액을 얻어 IL-2, IL-4, IL-10의 생성량을 ELISA kit (Biolegend,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7 통계 처리
각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각 군당 n=3 이상) 실시하였다. 각각의 실험결과는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Microsoft Office Excel ® 201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udent t-test를 실시하여 p<0.05에서 유의성을 갖는다고 판단하였다.
2. 실험 결과
2.1 세포독성 평가 결과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AESJ는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해서 특별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고농도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오히려 증가하였다.
2.2 세포 증식능 평가 결과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AESJ는 Con A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해 그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뚜렷하게 억제하였다.
3.3 사이토카인 생성 평가 결과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AESJ는 Con A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해서 Th1 세포가 분비하는 IL-2와, Th2가 분비하는 IL-4 및 IL-10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Th1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과 Th2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을 모두 억제하였다.

Claims (5)

  1. 홍해삼의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 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는 과면역 또는 비정상적 면역에 의한 면역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이고,
    상기 면역질환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인 면역억제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0180136018A 2018-11-07 2018-11-07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17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18A KR102174016B1 (ko) 2018-11-07 2018-11-07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18A KR102174016B1 (ko) 2018-11-07 2018-11-07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697A true KR20200052697A (ko) 2020-05-15
KR102174016B1 KR102174016B1 (ko) 2020-11-04

Family

ID=7067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18A KR102174016B1 (ko) 2018-11-07 2018-11-07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0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768A (ja) * 2005-12-02 2007-06-21 Fuji Sangyo Kk 免疫改善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8431A (ko) * 2008-10-31 2010-05-11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항염증제 조성물 및 항암제 조성물
KR20120033535A (ko) * 2010-09-30 2012-04-0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홍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제 조성물 및 항균제 조성물
KR20180062118A (ko) * 2016-11-30 2018-06-08 (주)신한에코 홍해삼효소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768A (ja) * 2005-12-02 2007-06-21 Fuji Sangyo Kk 免疫改善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8431A (ko) * 2008-10-31 2010-05-11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항염증제 조성물 및 항암제 조성물
KR20120033535A (ko) * 2010-09-30 2012-04-0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홍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제 조성물 및 항균제 조성물
KR20180062118A (ko) * 2016-11-30 2018-06-08 (주)신한에코 홍해삼효소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8 KoSFoST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p. 558 (2018.06.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016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315B1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252124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946121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를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과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302910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WO2022119230A1 (ko) 개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170077640A (ko) 홍삼 분말 등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및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102174016B1 (ko)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1929460B1 (ko) 당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KR20190036974A (ko)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러지 조성물
KR20190043317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92024B1 (ko) 콤브레툼 콰드란굴라레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119421B1 (ko)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170140099A (ko) 카레야 아르보레아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72076B1 (ko) 카레야 아르보레아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171987B1 (ko) 나도하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3500A (ko) 용암해수 숙성 비자나무 잎 분말의 제조 방법과 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08103B1 (ko)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7330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6264A (ko) 용암해수 숙성 백년초 분말의 제조 방법과 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47336B1 (ko) 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47331B1 (ko) 풀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14674B1 (ko) 네튬 마크로스타키움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180028288A (ko) 신규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속 pb-31 균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40702B1 (ko)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