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158A -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158A
KR20200051158A KR1020180134129A KR20180134129A KR20200051158A KR 20200051158 A KR20200051158 A KR 20200051158A KR 1020180134129 A KR1020180134129 A KR 1020180134129A KR 20180134129 A KR20180134129 A KR 20180134129A KR 20200051158 A KR20200051158 A KR 2020005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nozzle
skin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226B1 (ko
Inventor
김순영
신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로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로엠
Priority to KR102018013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47K7/046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water-flo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종단 측에서 전방으로 내주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테이퍼를 구비하는 노즐팁; 및 관통홀과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회수홀이 형성되고, 종단에서 외주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 테이퍼를 구비하여, 제2 테이퍼가 노즐팁의 후단에서 제1 테이퍼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삽입고정되는 분사각도 조정팁;을 포함하며, 제2 테이퍼는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 개 이상의 토출홈이 형성되고, 토출홈을 제외한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이 제1 테이퍼의 내주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복수의 토출홈을 따라 클린징워터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압으로 토출된다.

Description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Nozzle module for skin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모공에 있는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노폐물을 회수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클린징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삶의 질 향상을 생각하게 되고, 그 중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피부미용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피부미용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피부미용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피부미용에서 중요한 관리 방법 중 하나는 모공을 깨끗이 하는 것으로서, 모공 제거용 화장품을 이용하여 모공을 깨끗이 할 수 있다. 화장품을 사용한 모공제거 방법은 단기적으로는 모공을 깨끗하게 할 수 있으나, 장기점인 관점에서는 모공을 확장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모공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모공에 직접 물을 분사하면서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 장치의 개략적인 원리로는 피부에 노즐이 접촉한 상태에서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모공을 세척하고, 세척되는 세척수를 분사방향의 역방향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수직방향으로 토출되고, 노즐이 피부와 맞닿을 때에 음압으로 인해서 피부가 빨려 올라오면서 모공의 각도가 틀어지기 때문에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가 모공에 비틀어진 각도로 분사되어 효과적으로 모공에 있는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4838호, 2016년 12월 9일)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모공에 있는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노폐물을 회수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클린징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클린징워터의 주입홀과 오수 토출홀을 구비하여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의 후단에 모터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에 장착되어 피부를 클린징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종단 측에서 전방으로 내주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테이퍼를 구비하는 노즐팁; 및 관통홀과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회수홀이 형성되고, 종단에서 외주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 테이퍼를 구비하여, 제2 테이퍼가 노즐팁의 후단에서 제1 테이퍼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삽입고정되는 분사각도 조정팁;을 포함하며, 제2 테이퍼는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 개 이상의 토출홈이 형성되고, 토출홈을 제외한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이 제1 테이퍼의 내주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복수의 토출홈을 따라 클린징워터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압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토출홈은 회수홀을 중심에서 제2 테이퍼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120도 등 간격으로 3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테이퍼부와 상기 제2 테이퍼는 내주면이 맞닿는 각도가 40 ~ 6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팁은 외주면에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오링을 구비하고, 한 쌍의 오링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린징워터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팁은 종단에서 내측방향을 향하여 반구형상의 반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은제2 테이퍼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토출홈이 형성되고, 토출홈을 제외한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이 제1 테이퍼의 내주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복수의 토출홈을 따라 클린징워터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압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모공이 부압으로 인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기울어진 모공의 위치와 고압으로 토출되는 분사각도가 비슷하게 형성됨으로써 모공속의 노폐물을 보다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이 피부미용 관리장치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의 클린징워터의 토출과 오수의 배출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A'방향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을 이용하여 클린징워터를 분사할 때에 모공과 분사각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해서 클린징워터를 분사할 때에 모공과 분사각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을 이용하여 클린징워터를 분사한 후의 모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b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해서 클린징워터를 분사한 후의 모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이 피부미용 관리장치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의 클린징워터의 토출과 오수의 배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A'방향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장착홀(2)을 구비하며, 클린징워터의 주입홀(3)과 오수 토출홀(4)을 구비한다. 주입홀(3)과 오수 토출홀(4)은 장착홀(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장착홀(2)의 후단에 모터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구동부(5)를 구비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1)에 장착되어 피부를 클린징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회전 구동부(5)는 노즐모듈(10)의 후단에 결합되어 노즐모듈(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노즐모듈(1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분사각도 조정팁(120)의 회수홀(121)에 음압이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피부미용 관리장치(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노즐모듈(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노즐팁(1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피부미용 관리장치(1)에 형성된 장착홀(2)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관통홀(111), 클린징워터 유입홀(112), 제1 테이퍼(113), 오링(114) 및 반구홈(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즐팁(110)의 외경은 장착홀(2)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장착홀(2)과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클린징워터의 유입홀(112)은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향하여 적어도 2개 이상 관통하여 형성된다. 노즐팁(110)은 장착홀(2)의 내주면과 간극을 형성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클린징워터 주입홀(3)을 따라 클린징워터가 주입될 때에 복수로 형성되는 유입홀(112)을 따라 클린징워터가 유입되는 유입경로를 형성하여 클린징워터를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테이퍼(113)는 노즐팁(110)의 관통홀(111) 종단 측에서 전방으로 내주 직경이 좁아지면서 연장형성 된다. 제1 테이퍼(113)는 노즐팁(110)의 외주면과 장착홀(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클린징워터가 토출되기 전에 토출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후술하는 제2 테이퍼(122)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오링(114)은 노즐팁(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고정홈(116)에 고정되며, 유입홀(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오링(114)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소정영역이 오링고정홈(116)의 바깥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면이 장착홀(2)의 내주면과 맞닿게 된다. 오링(114)은 장착홀(2)의 내주면과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클린징워터의 주입홀(3)에서 유입된 클린징워터는 오링(114) 사이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클린징워터의 유입홀(112)로 유입되어 전방을 따라 제1 테이퍼(113)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오링(114)은 회전 구동부(5)의 고속 회전에 따라 마찰로 인한 강도저하로 밀착면의 씰링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탄소재 등을 통한 코팅을 형성하여 고속회전에 따른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여 클린징워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반구홈(115)은 종단에서 내측방향을 향하여 제1 테이퍼(113) 형상의 역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반구형상으로 연장형성 된다. 반구홈(115)은 제1 테이퍼(113)를 따라 토출된 클린징워터가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술하는 회수홀(121)을 통해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반구홈(115)의 내측으로 부압이 형성될 때에, 접촉하는 피부의 소정영역이 반구홈(115)의 내측으로 딸려올라 갈 수 있도록 안내하여 피부의 접촉면이 반구홈(114)의 외주형상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가 볼록하게 상측으로 변형하게 되면 양측에서 기울어지게 토출되는 클린징워터의 토출방향과 모공의 기울기가 동일 축선에 위치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모공을 클린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사각도 조정팁(120)은 노즐팁(110)의 후단에서 제1 테이퍼(113)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삽입고정되는 것으로서, 회수홀(121), 제2 테이퍼(122) 및 토출홈(123)을 구비한다.
회수홀(121)은 관통홀(2)과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회수홀(121)은 피부의 모공속에서 제거된 각종 피지와 같은 노폐물과 클린징워터를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제공한다.
제2 테이퍼(122)는 일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분사각도 조정팁(120)의 종단에서 외주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제2 테이퍼(122)는 외주직경이 제1 테이퍼(113)의 내주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제1 테이퍼(113)의 내주지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형성된 제2 테이퍼(122)는 제1 테이퍼(113)에 결합될 때에, 완전한 밀착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테이퍼(122)는 제2 테이퍼(122)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토출홈(123)이 형성된다. 제2 테이퍼(122)는 토출홈(123)을 제외한 제2 테이퍼(122)의 외주면이 제1 테이퍼(113)의 내주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클린징 워터가 복수의 토출홈(123)을 통해서만 토출되며, 클린징워터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압으로 피부 모공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때, 토출홈(123)의 크기는 0.02mm ~ 0.05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홈(123)은 바람직하게는 회수홀(121)의 중심에서 제2 테이퍼(122)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120도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고, 제1 테이퍼부(113)와 제2 테이퍼(122)는 내주면이 맞닿는 각도가 40 ~ 6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각도 기울어져 토출되는 클린징워터는 반구홈(115)에서 볼록하게 변형되어 토출방향와 대응되도록 기울어진 모공의 피지를 향해 집중적으로 고압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 모공속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사각도 조정팁(120)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클린징워터 유입홀(112)을 중심으로 후단의 직경이 관통홀(111)의 내주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클린징워터 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된 클린징워터는 후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1, 제2 테이퍼(113, 122)를 향하여 압력이 감소되지 않고 토출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을 이용하여 클린징워터를 분사할 때에 모공과 분사각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해서 클린징워터를 분사할 때에 모공과 분사각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을 이용하여 클린징워터를 분사한 후의 모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6b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해서 클린징워터를 분사한 후의 모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노즐팁(110)의 내주면과 분사각도 조정팁(1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클린징워터가 노즐팁(110)과 분사각도 조정팁(120)의 종단에 형성된 제1 테이퍼(113) 및 제2 테이퍼(122)를 통해 토출직적에 피부의 표면을 향하여 기울어져 고압으로 토출된다. 이때, 분사각도 조정팁(120)의 내측으로 부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반구홈(115)을 따라 피부의 표면이 반구홈을 따라 딸려오게 된다. 그러면, 피부의 모공쪽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기울어져 분사되는 클린징워터는 피부(S)의 모공(P) 깊숙이 침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의 모공속을 클린징할 수 있어 도 6a와 같이 모공을 깨끗하게 클린징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종래에는 노즐팁은 클린징워터가 중앙에서 일방향을 따라 경로의 변경없이 수직방향으로 토출되고, 오물은 바깥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기술도 동일하게 부압이 형성되면서 피부가 상측으로 딸려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모공이 딸려 올라가면서 모공의 방향이 비스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으로 토출되는 클린징워터의 토출방향과 모공의 형상방향이 상이하게 되어 클린징 워터가 모공을 효과적으로 클린징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세척 후에도 그림 6b와 같이 깨끗하지 않은 모공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노즐팁 111 : 관통홀
112 : 클린징워터 유입홀 113 : 제1 테이퍼
114 : 오링 115 : 반구홈
116 : 오링 고정홈 120 : 분사각도 조정팁
121 : 회수홀 122 : 제2 테이퍼
123 : 토출홈

Claims (5)

  1.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클린징워터의 주입홀과 오수 토출홀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후단에 모터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에 장착되어 피부를 클린징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종단 측에서 전방으로 내주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테이퍼를 구비하는 노즐팁; 및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회수홀이 형성되고, 종단에서 외주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 테이퍼를 구비하여, 상기 제2 테이퍼가 상기 노즐팁의 후단에서 상기 제1 테이퍼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삽입고정되는 분사각도 조정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테이퍼는,
    상기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 개 이상의 토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홈을 제외한 상기 제2 테이퍼의 외주면이 상기 제1 테이퍼의 내주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토출홈을 따라 클린징워터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압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홈은,
    상기 회수홀을 중심에서 상기 제2 테이퍼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120도 등 간격으로 3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와 상기 제2 테이퍼는,
    내주면이 맞닿는 각도가 40 ~ 60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은,
    외주면에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오링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오링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린징워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은,
    종단에서 내측방향을 향하여 반구형상의 반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80134129A 2018-11-05 2018-11-05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KR10225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29A KR102252226B1 (ko) 2018-11-05 2018-11-05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29A KR102252226B1 (ko) 2018-11-05 2018-11-05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58A true KR20200051158A (ko) 2020-05-13
KR102252226B1 KR102252226B1 (ko) 2021-05-14

Family

ID=7072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129A KR102252226B1 (ko) 2018-11-05 2018-11-05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59B1 (ko) * 2014-01-16 2015-01-16 주식회사 클라인 핸드피스 팁
KR20160120150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벤디슨 분사 및 흡입이 가능한 핸드피스
KR101684838B1 (ko) 2009-10-28 2016-12-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발광을 이용한 단일층 반사형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38B1 (ko) 2009-10-28 2016-12-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발광을 이용한 단일층 반사형 디스플레이
KR101483559B1 (ko) * 2014-01-16 2015-01-16 주식회사 클라인 핸드피스 팁
KR20160120150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벤디슨 분사 및 흡입이 가능한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26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2511A (ko) 기판 습식 처리장치
KR102188129B1 (ko) 회전분사 방식의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CN105268567A (zh) 气导式旋转喷洒装置及气导式旋转喷洒器
CN107961910B8 (zh) 具有改进清洁能力的旋转钟形杯喷雾装置
KR20070092106A (ko) 노즐장치 및 그 노즐장치를 구비한 세정장치
JP2001129497A (ja) 転がり軸受の洗浄方法
KR20120115536A (ko) 정전 도장기의 회전 무화 헤드
KR20200051158A (ko)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CN108579159A (zh) 一种陶瓷滤芯净水器
JP2006061858A (ja) 流体噴射反力回転式洗浄装置
US845249A (en) Syringe-nozzle.
JP2013158681A (ja) 洗浄ノズル
JP6012142B2 (ja) ホース洗浄ノズル
JP2009195767A (ja) 塗装機の洗浄機構
KR102300773B1 (ko) 슬러지 고착방지기구를 구비한 양식장용 산소용해장치
KR20160091184A (ko) 이물질 제거 장치
CN109497864B (zh) 一种自适应式循环消泡式浴盆
JP6383332B2 (ja) 深井戸管内の洗浄装置
JPH0310213Y2 (ko)
JPS6239035B2 (ko)
JPS5986226A (ja) 薄板状材の洗浄装置
CN211100649U (zh) 一种实验器皿清洗装置
JP2007229611A (ja) 蒸気噴射ノズル構造
KR100787907B1 (ko) 비데용 분사노즐 장치
JP5826661B2 (ja)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