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600A -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600A
KR20200050600A KR1020180133383A KR20180133383A KR20200050600A KR 20200050600 A KR20200050600 A KR 20200050600A KR 1020180133383 A KR1020180133383 A KR 1020180133383A KR 20180133383 A KR20180133383 A KR 20180133383A KR 20200050600 A KR20200050600 A KR 20200050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otor
information
brake pedal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최형진
고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600A/ko
Publication of KR2020005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패달과, 브레이크 패달의 일부분에 장착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회전력에 대응하는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본체에 전달하는 휠 실린더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TRIC BRAKE APPARATUS OF A SUBMINIATURE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진공 배력 장치를 사용하여 브레이크에 필요한 힘을 증폭시킨다. 진공 배력 장치에서 필요한 진공은 진공 펌프 장치를 사용하거나, 엔진의 흡기 행정 시에 배력에 필요한 진공을 만들어낸다. 초소형 전기차의 경우 엔진이 없기 때문에 진동을 만드는 진공 펌프 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공간적으로 여유가 적은 초소형 전기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설계 시에는 공간 제약으로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85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힌지 부분에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의 힘으로 브레이크 배력을 생성함으로써 초소형 자동차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패달;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일부분에 장착되고,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회전력에 대응하는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본체에 전달하는 휠 실린더; 및 상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달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은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포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차량 정보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패달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모터의 토크 정보와, 상기 모터의 힘을 증폭시키는 감속기의 감속비 정보와, 브레이크 마찰계수 정보와, 휠의 반경 정보와, 휠 중심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차량 주변으로 라이더 신호를 발진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라이더 신호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라이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더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면, 차량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모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브레이크 패달의 일부분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단계;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상기 회전력에 대응하는 유압을 발생하는 단계; 휠 실린더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본체에 전달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브레이크 패달에 포함된 포스 센서에 의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은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 부분에 장착된 상기 모터에 의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차량 정보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패달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모터의 토크 정보와, 상기 모터의 힘을 증폭시키는 감속기의 감속비 정보와, 브레이크 마찰계수 정보와, 휠의 반경 정보와, 휠 중심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라이더 센서에 의해, 차량 주변으로 라이더 신호를 발진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라이더 신호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면, 차량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브레이크 힌지 부분에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의 힘으로 브레이크 배력을 생성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구현하여 초소형 자동차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중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할 수 있는 차량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중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할 수 있는 차량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100)는 브레이크 패달(110), 모터(120), 감속기(130), 마스터 실린더(140), 휠 실린더(150), 브레이크 본체(160), 제어부(170) 및 라이더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부스터의 역할은 중요할 수 있다. 사람이 밟는 힘으로 달리는 차량을 정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힘을 증폭시키는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 배력 장치를 사용하여 힘을 증폭시킬 수 있다. 진공 배력 장치에서 필요한 진공은 진공 펌프 장치를 사용하거나 엔진의 흡기 행정 시에 피스톤이 공기를 빨아들이는 힘을 이용해서 공기를 조금씩 빼내어 배력에 필요한 진공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초소형 전기차의 경우 엔진이 없어 진공을 만드는 진공장치가 필요하여, 공간적으로 여유가 적은 초소형 전기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설계 시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진공 배력 장치와 별도의 진공 펌프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120)를 이용하여 초소형 전기차를 제동시키기 위한 배력을 만들 수 있다.
브레이크 패달(110)은 주행 중에 운전자가 초소형 차량을 제동시키기 위해 밟는 입력수단으로,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 부분(도 2 참조)에 모터(120)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패달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력을 만들 수 있다. 브레이크 패달(110)에는 포스 센서(111)가 장착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으면, 포스 센서(111)는 힘의 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이를 바탕으로 모터(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포스 센서(111)는 마그넷(미도시)과 홀 IC(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힘의 세기를 측정하는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120)는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 부분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다. 포스 센서(111)로부터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은 힘의 세기를 수신한 제어부(170)는 모터(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류를 생성하여 모터(120)로 출력할 수 있다. 모터(120)는 3상 교류 전동기일 수 있다. 모터(120)는 회전력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140)를 동작시켜 마스터 실린더(140)로부터 현재 압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20)는 감속기(130)와 연결될 수 있고, 감속기(130)는 설정된 감속비에 따라 모터(12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 즉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140)는 모터(120)가 회전력을 발생하고, 운동 변환부(미도시)가 모터(120)에 의해 직선 운동하면, 운동 변환부의 직선운동에 의해 내부 피스톤이 움직임으로써, 차량의 현재 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압력은 각종 유로를 통해 차량 휠 각각에 구비된 브레이크 본체(160)에 전달되어, 브레이크 본체(160)에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휠 실린더(150)는 마스터 실린더(140)에서 발생한 유압을 바퀴의 회전축인 차축에 장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본체(160)에 전달할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160)는 디스크(161)와 캘리퍼(162)와 브레이크 패드(163)를 포함할 수 있고, 휠 실린더(150)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현재 압력에 의해 차량 휠의 디스크(161)에 압착되고, 이로부터 발생한 마찰력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하여 차량을 제동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모터(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에 기저장된 차량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에서 패달까지의 거리 정보(l1)와,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에서 마스터 실린더(140)의 작용점(141)까지의 거리 정보(l2)와, 마스터 실린더(140)의 단면적 정보(A1)와, 브레이크 본체(160)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단면적 정보(A2)와, 모터(120)의 토크 정보(Tm)와, 감속기(130)의 감속비 정보(a)와, 브레이크 마찰계수 정보(μd)와, 휠의 반경 정보(R)와, 휠 중심에서 브레이크 패드(163)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r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차량에서 브레이크 패드(163)에 걸리는 힘(Fpad) 및 제동력(BF)를 연산하면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f는 300N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는 힘으로서, 일반적으로 30kgf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l1은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에서 패달까지의 거리 정보를, l2는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모터(120))에서 마스터 실린더(140)의 작용점(141)까지의 거리 정보를, N은 진공 배력을, A1은 마스터 실린더(140)의 단면적 정보A1를, A2는 브레이크 본체(160)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단면적 정보를, 4는 휠의 개수를, W는 차량의 무게를, α는 감속도를, g는 중력 가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진공 배력 장치가 없고,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에 구비된 모터(120)로 배력을 만들어주는 구조로서 수학식1을 수정하면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Tm은 제동력(BF)을 모터(120)의 토크 정보를, a는 감속기(130)의 감속비 정보를, μd는 브레이크 마찰계수 정보(예를 들어, 0.3-0.4)를, re는 휠 중심에서 브레이크 패드(163)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를, R은 휠의 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0km/h로 달리는 1000kg 무게의 초소형 차량을 40m 제동 거리로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제동력을 구하면, 제동거리(S)는 V2/2α로 구할 수 있고, 감속도(α)는 V2/2S=(80/3.6)2/2×40=6.173m/s2이 되고, 제동력 BF=W(α/g)=mα=1000×6.173=6173N이 되고, 상술한 제동력을 모터(120)의 토크로 감당할 수 있을 지 수학식 2에 적용해 보면, 브레이크 패드(163)에 걸리는 힘(Fpad)은 (6173×2)/0.3=41152N이 되고, 제동력(BF)은 Fpad×0.3×0.5가 되고, 이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풀면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03
즉, 모터(120)의 토크 Tm이 2.32Nm 이상이면 제동력을 감당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차량에 본 실시 예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할 경우 높은 출력의 모터를 필요로 하지만, 초소형 전기차의 경우 일반 차량 보다 무게가 적게 나가기 때문에 모터(120)의 힘과 감속기(130)만으로 브레이크 배력을 감당할 수 있다.
라이더 센서(180)는 차량 주변으로 라이더 신호를 발진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라이더 신호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라이더 센서(180)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터(120)가 브레이크 본체(160)를 작동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긴급 제동 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가 라이더 센서(180)의 라이더 신호를 감지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고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라이더 센서(180)이외에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하는 거리 측정 센서가 감지한 신호로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브레이크 패달(110)의 힌지 부분에 장착된 모터(120)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한다.
S320단계에서, 마스터 실린더(140)에 의해 모터(12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에 대응하는 유압을 발생한다.
S330단계에서, 휠 실린더(150)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40)에서 발생한 유압을 바퀴의 회전축인 차축에 장착되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163)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본체(160)에 전달한다.
S340단계에서, 제어부(170)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10)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163)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모터(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동 브레이크 장치
110: 브레이크 패달
120: 모터
130: 감속기
140: 마스터 실린더
150: 휠 실린더
160: 브레이크 본체
170: 제어부
180: 라이더 센서

Claims (10)

  1. 브레이크 패달;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일부분에 장착되고,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회전력에 대응하는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본체에 전달하는 휠 실린더; 및
    상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달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은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포스 센서;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 부분에 장착된,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차량 정보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패달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모터의 토크 정보와, 상기 모터의 힘을 증폭시키는 감속기의 감속비 정보와, 브레이크 마찰계수 정보와, 휠의 반경 정보와, 휠 중심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주변으로 라이더 신호를 발진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라이더 신호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라이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더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면, 차량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모터로 전송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6. 브레이크 패달의 일부분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단계;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상기 회전력에 대응하는 유압을 발생하는 단계;
    휠 실린더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본체에 전달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기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걸리는 힘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달에 포함된 포스 센서에 의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은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 부분에 장착된 상기 모터에 의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패달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기저장된 차량 정보는,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패달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패달의 힌지에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단면적 정보와, 상기 모터의 토크 정보와, 상기 모터의 힘을 증폭시키는 감속기의 감속비 정보와, 브레이크 마찰계수 정보와, 휠의 반경 정보와, 휠 중심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작용점까지의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라이더 센서에 의해, 차량 주변으로 라이더 신호를 발진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라이더 신호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면, 차량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133383A 2018-11-02 2018-11-02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50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383A KR20200050600A (ko) 2018-11-02 2018-11-02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383A KR20200050600A (ko) 2018-11-02 2018-11-02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00A true KR20200050600A (ko) 2020-05-12

Family

ID=7067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383A KR20200050600A (ko) 2018-11-02 2018-11-02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6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576A (ko) 2011-01-31 2012-08-0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576A (ko) 2011-01-31 2012-08-0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5452B2 (ja) 液圧ブレーキ装置
US5333706A (en)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JP4768376B2 (ja) 電動ブレーキの偏摩耗を防止する制御方法
US9840244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booster
KR101316874B1 (ko) 브레이크 유압 보상장치 및 방법
JP2013071536A (ja) 電動倍力装置
JP2011093435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3018332A (ja) 車両の回生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945748B1 (ko) 스마트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50600A (ko) 초소형 전기차의 전동 브레이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1086442A2 (en) Vehicle running control system and vehicle running control method
JP2013180670A (ja) 制動力制御装置
JP2007230318A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6297344B2 (ja) ブレーキ装置
US20220258618A1 (en) Braking control device
ATE353297T1 (de) Elektrofahrzeugbremssteuerung, mit energieregenerierung
JP2010018192A (ja) 電動ブレーキ装置
WO2021166596A1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システム
CN110667549A (zh) 一种电控制动方法和电控制动装置
JP2757862B2 (ja) ブレーキ制御方法
JP2001278021A (ja) ブレーキ装置
KR100476188B1 (ko) 차량상태를고려한브레이크제어장치
KR20150060175A (ko)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40091219A (ko) 비접촉식 브레이크
JP2019011014A (ja) 反力生成装置及び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