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105A -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105A
KR20200050105A KR1020180132659A KR20180132659A KR20200050105A KR 20200050105 A KR20200050105 A KR 20200050105A KR 1020180132659 A KR1020180132659 A KR 1020180132659A KR 20180132659 A KR20180132659 A KR 20180132659A KR 20200050105 A KR20200050105 A KR 2020005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member
housing
pet do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8013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105A/ko
Publication of KR2020005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출시 애완견의 대변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를 가져 사용까지 편리하도록 구성된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출시 애완견의 대변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평소에는 프레임부재가 애완견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 애완견의 활동성이 우수하고, 배변활동시에만 후방으로 회전되어 대변을 수거하도록 하고, 대변봉투를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Feces collecting apparatus for dog}
본 발명은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출시 애완견의 대변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를 가져 사용까지 편리하도록 구성된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는 애완동물에 대한 선호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바, 그 중에서도 특히 애완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애완견은 야외에서 사람과 함께 동행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공원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애완견이 보는 용변은 대부분 방치되거나, 휴지로 감싸서 처리하는 경우가 있어, 상당히 비위생적이면서도 환경오염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근래에는 애완견의 대소변을 쉽게 수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것이 애완견 대변 수거장치이다. 일예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0293호(2005.03.30. 공고)가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체변봉투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수거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나, 체변봉투는 대소변을 정확하게 수거하기도 어렵고, 애완견이 이질감을 느껴 대소변이 불편함을 제공하는 원인이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출시 애완견의 대변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를 가져 사용까지 편리하도록 구성된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완견의 등 부분에 착용되어지며 회전모터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하우징의 측면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운데 부분은 대변이 배출되기 위해 하향 절개된 형상을 가진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하단부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운데 부분은 대변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향 절개되고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부에는 경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3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애완견의 대변수거를 위한 대변봉투가 끼움 장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의 절곡부 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끝단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곡부의 경사공에 끼움 장착되는 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를 하우징의 측면에서 후방으로 회전 작동시키되, 상기 제3프레임은 경사공의 경사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회전레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 및 상기 회전레버와 제1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레임부재의 안정적인 회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재의 제3프레임 상측에는 대변봉투를 걸어줄 수 있는 걸이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바에는 역회전 될 때 상기 걸이수단을 인입 작동시켜 대변봉투를 낙하시키는 인입수단으로 이루어진 봉투걸이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재의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에는 보조스프링이 설치되어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출시 애완견의 대변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평소에는 프레임부재가 애완견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 애완견의 활동성이 우수하고, 배변활동시에만 후방으로 회전되어 대변을 수거하도록 하고, 대변봉투를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다른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걸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걸이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걸이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1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10)는 크게 하우징(100), 프레임부재(200), 회전레버(300), 돌출부(400) 및 탄성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할 각 장치들을 설치하여, 애완견의 등 부분에 장착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그 형상 및 모양, 재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며, 다만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서 후방으로 개방된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재(200)의 회전 작동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회전모터(110)가 상면에 설치되어져 있다. 이 회전모터(110)는 정역회전 작동되는 것으로, 미도시 하고 있으나 교체식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의 작동 신호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무선리모컨의 신호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부재(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하우징(100)의 측면에서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대변봉투 장착을 통해서 애완견의 대변을 수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레버(300)는 상기 회전모터(110)와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 역시 하기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4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서, 회전 작동되는 프레임부재(200)의 회전 반경 즉, 측면에서 후방까지 90도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 작동될 수 있도록 구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스프링(500)은 상기 회전레버(300)에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부재(200)에 연결되어서 회전레버(300)가 회전될 때 프레임부재(200)도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200) 및 회전레버(300)에는 봉투걸이장치(6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봉투걸이장치(600)는 상기 프레임부재(200)에 설치되는 걸이수단(610) 및 상기 회전레버(300)에 설치되는 인입수단(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개략적으로 언급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200)는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21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220)은 상기 제1프레임(210)의 하측에 양 단이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향 연장된 형태이며 가운데 부분은 대변이 배출되기 위해 하향 절개된 형상이다. 상기 제3프레임(230)은 상기 제2프레임(220)의 하측에 하단부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가운데 부분은 대변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향 절개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프레임(210) 쪽으로 절곡된 절곡부(232)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부(232)에는 경사공(2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공(234)은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비스듬한 경사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에는 보조스프링(240)이 연결되어져 있는데, 이는 제3프레임(230)이 벌어졌을 때 신속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20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이 하우징(100)에 축을 매개로 회전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프레임부재(200)는 하우징(100)의 좌측에서 후방으로 회전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이 프레임부재(200)의 회전 작동은 후술할 회전레버(300)에 의해서 회전됨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다른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회전레버(300)는 회전바(310) 및 상기 회전바(310)의 끝단에 설치된 롤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31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황에 맞게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롤러(320)는 상기 회전바(310)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회전바(310)는 회전모터(110)의 축에 결합되고, 롤러(320)는 프레임부재(200) 즉, 제3프레임(230)의 절곡부(232)에 형성된 경사공(234)에 끼움 장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회전바(310)와 프레임부재(200)의 제1프레임(210)은 탄성스프링(500)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회전레버(300)는 도 7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모터(11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프레임부재(200)를 하우징(100)의 측면에서 후방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회전바(310)와 제1프레임(210)이 탄성스프링(50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바(310)의 회전 작동시 프레임부재(2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바(310)는 도 8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20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놓고, 경사공(234)의 길이만큼 더 회전된다. 그러면 경사공(234)의 경사로 인해 제3프레임(230)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제1프레임(210)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3프레임(230)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동작에서 제2프레임(220)은 제3프레임(230)의 하중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제3프레임(230)이 벌어지면서 형성하는 이격된 공간은 애완견의 대변을 수거하기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결국, 상기 회전바(310)는 프레임부재(200)를 회전시키는 1차회전 및 제3프레임(230)을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2차회전을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1차 및 2차 회전은 연속해서 일어나나, 설명을 돕기 위해 구분해 보았다.
한편, 2차회전 작동에서는 프레임부재(200)는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돌출부(400)로 인해 더 이상 회전 작동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회전바(310)만 회전 작동되면서 제3프레임(230)을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비록 상기 회전바(310)와 프레임부재(200)는 탄성스프링(500)으로 인해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탄성스프링(500)이 늘어나면서 수용하게 됨에 따라 회전바(310)의 2차 회전 작동에 간섭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걸이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걸이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걸이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봉투걸이장치(600)는 걸이수단(610) 및 인입수단(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걸이수단(610)은 프레임부재(200)인 제3프레임(230)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사선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613)이 형성된 본체(612)와, 상기 본체(612)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본체(612)의 절개공(613)을 통해 돌출되는 핀(615)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상향 돌출된 돌기봉(616)이 형성되어 회전 작동시 상기 절개공(613)을 따라 전후 이동 작동되는 걸이봉(614) 및 상기 본체(610) 내부에서 걸이봉(614)을 탄성 지지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6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입수단(620)은 회전레버(300)인 회전바(310)에 설치되어 같이 회전되는 지지대(622)와, 상기 지지대(622) 끝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일측에는 상기 걸이봉(614)의 돌기봉(616)을 걸 수 있는 걸이부(625)가 구비된 밀착판(624) 및 상기 밀착판(624)의 타측과 지지대(622)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 11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바(310)에 설치된 인입수단(620)이 상기 회전바(310)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3프레임(230) 측에 설치된 걸이수단(610)에 밀착판(624)이 부딪히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곧 걸이수단(610)을 넘어가게 된다. 넘어간 밀착판(624)은 스프링(626)의 복원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바(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곧 밀착판(624)에 형성된 걸이부(625)가 걸이수단(610)의 걸이봉(614) 후측에 형성된 돌기봉(616)을 걸어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돌기봉(616)의 회전에 따라 걸이봉(614)은 절개공(613)을 따라 후방으로 인입 작동되며, 회전바(310)가 더 회전 작동하게 되면 상기 돌기봉(616)이 걸이부(625)를 이탈하게 되고, 곧 지지스프링(617)의 복원력으로 상기 걸이봉(614)은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봉투걸이장치(600)의 인입수단(620)은 상기 회전바(310)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부재(200)를 측면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서는 걸이수단(610)을 간섭하지 않고 회전되나, 반대로 프레임부재(200)를 후방에서 측면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 과정에서는 인입수단(620)이 걸이수단(610)의 걸이봉(614)을 인입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10)를 애완견 등부분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에 제시될 수 있을 것은 자명하나 하우징(100)에 구비된 벨크로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된 프레임부재(200)가 애완견 측면에 위치되도록 방향을 잡아서 설치하게 되며, 대변봉투(700)를 프레임부재(200)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끼워 그 상단을 고정, 바람직하게는 봉투걸이장치(600)의 걸이수단(610)에 걸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애완견이 대변을 볼 자세를 취하면 사용자는 가지고 있던 리모컨을 조작하게 되며, 이 신호에 의해 회전모터(110)가 작동되면서 회전레버(300)를 통해 애완견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프레임부재(200)를 애완견의 엉덩이 쪽에 위치하게 된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회전레버(300)의 회전바(310)가 완전히 회전 작동되면 프레임부재(200)의 제3프레임(230)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제1프레임(210)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애완견의 대변은 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대변봉투(700)에 수거된다.
애완견의 배변활동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조작하여 회전모터(11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대변봉투(700)를 프레임부재로부터 직접 분리한 뒤 작동시켜도 되나, 본 발명에서는 봉투걸이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음에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봉투걸이장치(600)의 걸이수단(610)에 대변봉투(700)가 걸려 있으므로, 회전모터(1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바(310)에 장착되어 있는 인입수단(620)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걸이수단(610)을 후퇴시킴으로써 대변봉투(700)를 낙하시키게 되고, 곧 후방에 위치하고 있던 프레임부재(200)는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낙하된 대변봉투(700)를 손쉽게 사용자가 치울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고, 위생적이면서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100 : 하우징
110 : 회전모터 200 : 프레임부재
210 : 제1프레임 220 : 제2프레임
230 : 제3프레임 232 : 절곡부
234 : 경사공 240 : 보조스프링
300 : 회전레버 310 : 회전바
320 : 롤러 400 : 돌출부
500 : 탄성스프링 600 : 봉투걸이장치
610 : 걸이수단 612 : 본체
613 : 절개공 614 : 걸이봉
615 : 핀 616 : 돌기봉
617 : 지지스프링 620 : 인입수단
622 : 지지대 624 : 밀착판
625 : 걸이부 626 : 스프링
700 : 대변봉투

Claims (3)

  1. 애완견의 등 부분에 착용되어지며 회전모터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하우징의 측면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운데 부분은 대변이 배출되기 위해 하향 절개된 형상을 가진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하단부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운데 부분은 대변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향 절개되고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부에는 경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3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애완견의 대변수거를 위한 대변봉투가 끼움 장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의 절곡부 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끝단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곡부의 경사공에 끼움 장착되는 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를 하우징의 측면에서 후방으로 회전 작동시키되, 상기 제3프레임은 경사공의 경사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회전레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 및
    상기 회전레버와 제1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레임부재의 안정적인 회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스프링;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제3프레임 상측에는 대변봉투를 걸어줄 수 있는 걸이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바에는 역회전 될 때 상기 걸이수단을 인입 작동시켜 대변봉투를 낙하시키는 인입수단으로 이루어진 봉투걸이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에는 보조스프링이 설치되어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KR1020180132659A 2018-11-01 2018-11-01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KR20200050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59A KR20200050105A (ko) 2018-11-01 2018-11-01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59A KR20200050105A (ko) 2018-11-01 2018-11-01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105A true KR20200050105A (ko) 2020-05-11

Family

ID=7072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659A KR20200050105A (ko) 2018-11-01 2018-11-01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1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241A (ko) * 2021-01-11 2022-07-19 김동환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241A (ko) * 2021-01-11 2022-07-19 김동환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2831A (en) Sanitation device
JP4792082B2 (ja) 汚物を収容及び蓄えるための汚物貯蔵装置
US3827098A (en) Portable sanitary putrescible material collector assembly
KR20200050105A (ko)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US20050258655A1 (en) Foldable frame for creating a scoop
WO2005058027A1 (ja) 犬糞等の捕捉運び器具
KR20210026741A (ko)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JP2004194640A (ja) 開閉式スコップ、トイレットペーパー装備犬糞回収処理器
KR20210058050A (ko) 애완견 대소변수거 장치
KR200389996Y1 (ko)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KR102652038B1 (ko) 애완견 대변수거 장치
CN209059015U (zh) 整体式便携马桶结构
JP3807617B2 (ja) ペット用携帯トイレ
CN217185877U (zh) 一种防臭遮污便携式蹲便器
KR101807862B1 (ko) 전동식 휴대용 좌변기
JP3117236U (ja) ペットのための後始末の容易な携帯式排泄物処理器具
JP3037723U (ja) ごみ挟み
JP2003325071A (ja) 汚物採取、後始末器
CN205555195U (zh) 一种可伸缩垃圾箱
JP3080958U (ja) 犬の糞取り器
JP3078124U (ja) 携帯用動物糞回収器
KR20020030733A (ko) 남자 소변 잔뇨 모음장치
WO2016157158A1 (en) Apparatus for cleaning private body parts
BR102018011316B1 (pt) Dispositivo para recolher dejetos de animais de estimação
JP3201124U (ja) 犬等の糞回収処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