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702A -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702A
KR20200049702A KR1020197030875A KR20197030875A KR20200049702A KR 20200049702 A KR20200049702 A KR 20200049702A KR 1020197030875 A KR1020197030875 A KR 1020197030875A KR 20197030875 A KR20197030875 A KR 20197030875A KR 20200049702 A KR20200049702 A KR 2020004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shutter
wall
integrated dishwash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타이 아라리
타미르 루빈
Original Assignee
스콜 이.엠.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콜 이.엠.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콜 이.엠.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application of a pressure effect produced by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supplying water through two or more openings around or along one side of the water-bas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 기능을 포함하는 싱크대가 개시된다. 상기 싱크대는 주방 조리대상에 장착 또는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basin)와 유체 유동에 대하여 상기 세척대야를 실링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싱크대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주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세척대야의 벽의 적어도 일부는 외벽과 내벽을 가지는 이중벽이며,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부 챔버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챔버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유체 제트를 대야 내로 분사하기 위하여 내벽에 개구를 갖는다. 상기 싱크대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셔터이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일부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 기능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지만, 전적으로 그에 관한 것만은 아니다.
식기 세척기 싱크대는 당해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싱크대의 큰 장점은 싱크대와 식기 세척기를 하나로 결합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식기 세척기 싱크대는 이상적으로는 : (i) 외관 및 치수면에서 표준 싱크대와 유사하다. (ii) 싱크대와 식기 세척기 작동 모드 사이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가 맞춤형 스프레이 암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iii) 식기 세척기 싱크대 설치작업의 일부로서, 싱크대 주변, 예를 들어 주방 조리대에 대한 구조적 수정이 필요하지 않다. (iv) 표준 식기 세척기와 비슷한 세척 기능을 갖추고 있다. (v) 세척 사이클 동안 예컨대 몇 개의 컵을 세척하기 위하여, 싱크대의 "정상적인" 사용을 허용하여야 한다.
럼비 및 도킨스(Lumby and Dawkins)의 미국 특허번호 제4,919,162호는 싱크대용 커버, 싱크대 내에 위치 할 수있는 접시용 랙 및 싱크대 배수구에 장착된 제거 가능한 스프레이 암 조립체를 갖는 싱크대가 위치한 식기 세척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스프레이 암 조립체는 중공 샤프트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랙 아래의 싱크대에서 회전하는 스프레이 암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 내에 상기 샤프트를 밀봉하기 위해 한 쌍의 시일(seals)이 상기 샤프트 상에 제공된다. 물은 상기 양 시일 위의 배수구로부터 펌핑되어 상기 시일 사이에서 상기 배수구로 되돌아가며 시일로부터 중공 샤프트 위로 흘러 상기 스프레이 암을 회전시킨다.
더체비키(Drzewiecki) 등의 영국 특허출원 GB 2,348,117은, 하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a) 액체 세척 조성물을 함유하고 배수관과 액체 연통되는 배출구를 갖는 세척대야로서, 상기 배수관은 쓰레기 라인과 액체 연통된다; (b) 배수관 및 상기 배출구와 액체 연통되는 복귀 파이프; (c) 복귀 파이프와 액체 연통되는 펌프; (d) 펌프와 액체 연통되는 흐름 파이프; (e) 압력 하에서 액체 세척 조성물을 세척대야 내에 설치된 복수의 채널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흐름 파이프와 액체 연통되는 수단. 이에 의하여 가압된 액체 세척 조성물이 상기 채널을 통해 세척대야 내로 도입된다.
먼스루드(Monsrud) 등의 미국 특허출원 US 2012/0103364는 다음을 포함하는 제1 용도 용액을 사용하는 식기 세척기 및 싱크대의 조합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a) 식기 세척기; b) 식기 세척기와 유체 연통되고 식기 세척기에 사용되는 상기 제1 용도 용액을 함유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오수지(sump); c) 상기 오수지와 유체 연통되는 펌프; d) 싱크대; e) 상기 펌프와 싱크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유체 통로; 및 f) 펌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오수지로부터 제1 유체 통로를 통해 싱크대 내로 상기 제1 용도 용액을 보내도록 프로그램된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오수지로부터의 제1 용도 용액으로 상기 싱크대를 자동 충전시킨다.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번호 제4,919,162호 특허문헌 2: 영국 특허출원 GB 2,348,117 특허문헌 3: US 2012/0103364
상기 개시된 기술의 측면들은, 그 일부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측면들은 그 일부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시된 기술은 상기 열거된 바람직한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가지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의 측면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싱크대는, 세척대야(basin)와 상기 세척대야의 상부로부터 그 세척대야를 유체 유동에 대하여 실링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2개의 주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세척대야의 벽의 적어도 일부는 외벽과 내벽을 가지는 이중벽이며,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부 챔버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챔버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상기 내벽 상에 챔버 개구를 구비한다.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커버가 상기 세척대야를 실링하며 유체 제트는 상기 챔버 개구를 통하여 상기 세척대야 내로 토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복수의 이중벽 부분을 포함하고, 각 이중벽은 각각의 내부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챔버는 각각의 파이프에 유체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는 하나 이상의 밸브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며, 상기 밸브에 의하여 가압 유체를 상기 내부 챔버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챔버 및 챔버 개구는 상기 세척대야의 복수의 영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타겟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는 전자식이고, 상기 싱크대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의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 챔버들의 순서대로 차례차례 그 내부 챔버들로부터 유체가 순차적으로 토출되거나 또는 하나의 그룹의 내부 챔버들 이후에 다른 그룹의 내부 챔버들로부터 유체가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다방향(multi-way)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방향 밸브는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 복수의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들의 각각은 복수의 인접한 내부 챔버들을 포함하는 이중벽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다방향 밸브의 상기 복수의 출구 포트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 챔버들로부터 토출되는 유체 제트가 회전 방식(rotating pattern)으로 한번에 상기 내부 챔버들 중 하나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대야는 그 베이스부에 배수구(drain)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가정 용수 설비(domestic water installation)에 유체 연결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가정 용수 설비의 압력에 비하여 증가된 압력으로 상기 내부 챔버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물 가열 탱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개구들을 포함한다. 상기 물 가열 탱크는 상기 베이스 개구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가정 용수 설비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물 가열 탱크에 유체 연결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펌프는 상기 물 가열 탱크 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상기 물 가열 탱크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제2 다방향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다방향 밸브는 그 입구 포트에서 상기 물 가열 탱크와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그 복수의 출구 포트에서 베이스 개구와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 가열 탱크는 상기 벽 개구 중 적어도 일부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상기 배수구에 유체 연결되는 쓰레기 처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 처리유닛은 그 하단부에서 배수 파이프에 유체 연결된다. 상기 배수 파이프는 하수구에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 개구는 제1 개구 세트를 구성한다. 상기 싱크대는 상기 제1 개구 세트의 아래에 제2 개구 세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개구 세트는 상기 벽들 중 2개의 벽 상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적어도 2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개구 세트는 상기 세척사이클 동안 그 제2 개구 세트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 제트가 상기 세척대야의 베이스부 상의 쓰레기 또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부착된 쓰레기를 배수구로 안내하도록 지향되게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유체 제트는, 상기 제1 개구 세트에 의해 토출된 유체 제트보다 고압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구로 음식물 쓰레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각각의 유체 제트는 상기 제1 개구 세트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 제트의 각각보다 더 넓게 확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재순환 밸브 및 재순환 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재순환 밸브는 상기 쓰레기 처리유닛에 유체 연결되고 또한 상기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재순환 펌프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상기 재순환 펌프는 상기 물 가열 탱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방향 밸브에 유체 연결된다. 상기 재순환 밸브는 제1 흐름동 배치와 제2 흐름 배치 사이에서 전환(switch)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셔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대야는 스테인레스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자기(porcelain)로 만들어지거나, 적어도 그 내부 표면상에 스테인레스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자기가 피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 거리는 약 0.4 cm 내지 2.5 cm 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 개구는 약 1mm 내지 5mm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 물 가열 탱크 및 컨트롤러는 반시설(infrastructure)의 용기 유닛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유체 공급원은 가정 용수 설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 테두리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길게 연장된 셔터 트랙을 더 포함한다. 상기 셔터 트랙은 그 셔터 트랙 상에서 상기 셔터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 셔터 트랙이 두 개의 배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상기 각 셔터 트랙은 각 셔터 트랙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 및 셔터 트랙은 상기 셔터의 셔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셔터 트랙에 도달하는 유체가 상기 셔터 트랙상의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는 복수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슬랫(slat)들을 포함하고, 상기 슬랫의 단부는 상기 셔터 트랙에 각각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셔터 트랙은 리세스(recess) 및 중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는 리세스 바닥면, 리세스 벽 및 리세스 상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 바닥면은 상기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중공부로 이어진다. 중공부 바닥(중공부의 바닥)은 상기 세척대야 또는 하수구에 유체 연결된 유체 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각 슬랫들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랫들은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피크(peak)를 포함한다. 인접한 슬랫들의 쌍은 그 슬랫 쌍의 사이에 홈통(trough)을 형성하며, 상기 슬랫들의 단부 상에서 상기 홈통과 상기 리세스 상부면은 유체가 상기 리세스 내로 흘러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랫은 상기 셔터 트랙에서의 상기 셔터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슬랫의 단부 상에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롤러들은 회전을 위하여 볼 또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볼은 상기 리세스 벽의 각각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가압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유체 출구는 배수 덕트를 통해 하수구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이거나, 수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는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상기 주방 조리대 아래에서 그 조리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셔터가 개방 될 때 상기 셔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바닥에 배수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가 제공된다.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 및 셔터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대야는 세척대야의 벽 상에 벽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벽 개구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상기 셔터는 두 배치 사이에서 제어 가능하게 전환될 수 있다.
ⅰ. 제1 배치, 세척대야가 덮여져 있지 않은 배치, 및
ⅱ. 제2 배치, 셔터가 상기 세척대야의 상부로부터 세척대야를 유체 유동에 대하여 실링하는 배치.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셔터는 제2 배치에 있으며 유체 제트는 상기 벽 개구를 통해 상기 세척대야로 토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대야는 그 세척대야의 베이스부에 배수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상기 세척대야 테두리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길게 연장된 셔터 트랙을 더 포함한다. 상기 셔터 트랙은 그 셔터 트랙 상에서 상기 셔터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 셔터 트랙이 두 개의 배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상기 각 셔터 트랙은 각 셔터 트랙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 및 셔터 트랙은 상기 셔터의 셔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셔터 트랙에 도달하는 유체가 상기 셔터 트랙상의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는 복수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슬랫들을 포함한다. 상기 슬랫의 단부는 상기 셔터 트랙에 각각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셔터 트랙은 리세스 및 중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는 리세스 바닥면, 리세스 벽 및 리세스 상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 바닥면은 상기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중공부로 이어진다. 중공부 바닥은 상기 세척대야 또는 하수구에 유체 연결된 유체 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각 슬랫들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랫들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피크를 포함한다. 인접한 슬랫들의 쌍은 그 슬랫 쌍의 사이에 홈통을 형성하며, 상기 슬랫들의 단부 상에서 상기 홈통과 상기 리세스 상부면은 유체가 상기 리세스 내로 흘러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랫은 상기 셔터 트랙에서의 상기 셔터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슬랫의 단부 상에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롤러들은 회전을 위하여 볼 또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볼은 상기 리세스 벽의 각각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가압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유체 출구는 배수 덕트를 통해 하수구에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이거나, 수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는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대는 상기 주방 조리대 아래에서 그 조리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셔터가 개방될 때 상기 셔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그 바닥에 배수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의 측면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가 제공된다.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와, 상기 세척대야의 상부로부터 그 세척대야를 유체 유동에 대하여 실링하기 위한 커버와, 쓰레기 처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대야는 세척대야의 벽 상에 벽 개구를 포함하고 또한 세척대야의 베이스부에 체로 걸러지지 않은(non-sieved) 배수구를 포함한다. 상기 벽 개구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수구는 상기 쓰레기 처리유닛에 유체 연결된다. 세척사이클 동안, 상기 커버가 상기 세척대야를 실링하며 유체 제트는 상기 벽 개구를 통하여 상기 세척대야로 토출된다. 상기 유체 제트의 적어도 2개는, 상기 세척대야의 베이스부 상의 쓰레기 또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부착된 쓰레기를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수구로 안내하도록 지향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수구로 쓰레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유체 제트는 나머지 유체 제트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토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출구로 쓰레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유체 제트는, 상기 벽들의 적어도 2개의 마주보는 벽의 각 바닥에 위치한, 또는 상기 각 바닥의 근처에 위치한 벽 개구로부터 토출된다.
본원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은 상술한 장점들의 일부, 전부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들이 있다는 것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 발명의 설명, 청구범위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상기 개시된 기술의 양상 및 실시예들은 이하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특별히 달리 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상기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공통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충돌이 있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특허출원에 의하여 의미가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부정관사 "a" 및 "an"는 문맥상 명확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하여, 일부 실시예가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은 예시적인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에 필요한 것보다 더 상세하게 어떤 실시예의 구조적 세부 사항을 도시하려는 의도는 없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일부 물체는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았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방 조리대 내에 장착된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갖는 싱크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반시설(infrastructure) 용기 유닛 및 쓰레기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도 1의 싱크대와 그 기반시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기반시설 용기유닛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기반시설 용기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싱크대의 세척대야 바닥에 위치한 기반시설 구획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싱크대의 세척대야 바닥에 위치한 기반시설 구획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싱크대의 시스템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싱크대의 세척대야의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상기 세척대야가 이중벽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세척대야의 상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세척대야의 바닥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여러 유형의 식기 및 조리기구를 세척하는 영역이 지정된 도 6의 세척대야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세척대야 내에 장착 가능한 접시 랙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싱크대의 셔터 트랙의 수평 세그먼트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셔터 트랙 상에 장착된 도 1의 싱크대의 셔터와 마주보는 셔터 트랙의 사시도이다.
도 10b-10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셔터 트랙 상에 장착된 도 10a의 셔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싱크의 셔터가 폐쇄되고 보울(bowl)이 상기 셔터의 상부에 부착된 상태의 도 1의 싱크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a-1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싱크대의 예시적인 세척 사이클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주방 조리대 내에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가지는 싱크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싱크대는 셔터가 개방된 제1 배치에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셔터가 닫힌 제2 배치에 있는 도 13의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기반시설을 도시한 도 13의 싱크대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싱크대의 기반시설을 도시한 도 13의 싱크대의 저면 사시도로서, 셔터가 폐쇄될 때 그 셔터의 상부면 상에서 유체의 배출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의 셔터와 셔터 트랙이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싱크대의 기반시설을 도시한 도 13의 싱크대의 저면 사시도로서, 상기 싱크대는 셔터가 개방될 때 그 셔터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18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싱크대의 예시적인 세척 사이클의 흐름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항의 원리, 용도 및 실행예는 첨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숙독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자는 과도한 노력이나 실험 없이도 본 개시사항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이라는 용어는 대략, 그 근방의, 거의 또는 그 주변 근처의 라는 의미를 지칭한다. 파라미터 또는 수량에 대하여 "약"으로 지칭되거나 "약"과 같다고 지칭되는 경우, 수치(예컨대 온도가 약 50℃와 같다고 하는 경우)는 범위를 가지며, 그 수치의 위와 아래의 값으로 경계가 확장된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약"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값에 대하여 위와 아래로 20%의 분산값으로 수치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약"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값에 대하여 위와 아래로 10%의 차이로 수치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약"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값에 대하여 위와 아래로 5%의 차이로 수치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파라미터/수량과 관련하여 사용된 "비교할 수 있는"이라는 용어는, 3개보다 큰 팩터(factor) 만큼 다른 파라미터/수량보다 크지 않은 2개의 파라미터/수량을 지칭한다. 예컨대 두 개의 길이계측치 50cm와 140cm는 각각 비교할 수 있지만, 두 개의 길이계측치 50cm와 180cm는 각각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2개의 파라미터/수량과 관련하여 사용된 "비교할 수 있는"이라는 용어는, 4개보다 큰 팩터 만큼 다른 파라미터/수량보다 크지 않은 2개의 파라미터/수량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2개의 파라미터/수량과 관련하여 사용된 "비교할 수 있는"이라는 용어는, 5개보다 큰 팩터만큼 다른 파라미터/수량보다 크지 않은 2개의 파라미터/수량을 지칭한다.
도면 및 첨부된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도면에서는 데카르트 좌표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첨부된 설명에서도 언급될 수 있다. 상이한 도면들에 도시된 데카르트 좌표계의 배향은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에서도 필수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특히, 고정 요소, 예컨대 하나의 도면에서 x축을 따라 표시되는 고정 요소는, (상기 요소가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도)다른 도면에서 다른 방향을 따라 표시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갖는 싱크대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갖는 싱크대(100)의 위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싱크대(100)가 설치되는 주방 조리대(102), 수도꼭지(106), 및 주방 조리대(102) 아래의 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도어(108)가 도시되며, 상기 도어(108)는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싱크대(100) 기반시설 구성요소를 수용한다.
싱크대(100)는 세척대야(112)와 커버(116)를 포함한다. 커버(116)는 두 가지 배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제1 배치는 커버(116)가 개방되어 있다(즉, 세척대야(112)가 위에서 덮혀져 있지 않다). 제2 배치는 커버(116)가 닫혀 있어 위로부터 세척대야(112)를 유체로부터 실링하고 있다(즉, 커버(116)는 세척대야(112)를 상부로부터 실링한다). 세척 사이클 동안, 커버(116)는 닫히고,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적인 식기 세척기 또는 세탁기의 도어와 유사하게) 잠겨 있다. 세척대야(112)는 벽(122) 및 베이스부(124)를 포함한다. 벽(122)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벽 개구(132)(도면 부호가 전부 매겨져 있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4)는 배수구(13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직사각형이고, 벽(122)은 제1 벽(122a), 제1 벽(122a)에 90도(즉, 직각)로 배치된 제2 벽(122b), 제1 벽(122a)과 마주보는(또한 평행한) 제3 벽(122c)과, 제2 벽(122b)과 마주보는(또한 평행한) 제4 벽(122d)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벽 개구(132)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2개의 상이한 개구 세트를 포함한다 :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개구 세트(140)(도면 부호가 전부 매겨져 있지는 않음) 및 제2 개구 세트(142)(벽(122)의 바닥 근처에 위치함; 도면 부호가 전부 매겨져 있지는 않음)가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둥글거나(예를 들어, 반구 형태), 타원체 등과 같은 형태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으로 주방 조리대 (102)내 또는 그 위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세척대야(112)는 주방 조리대(102) 위에서 또는 주방 조리대(102)의 개구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는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대응하는 세척대야(112)의 형상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세척대야(112)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상화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세척대야의 기능은 그 형상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세척대야(11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장착"이라는 용어는 상부 장착, 수평 장착 및 아래로부터의 장착뿐만 아니라 임의의 적절한 장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세척대야에 적합한 당해 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세척대야(112)는 스테인레스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자기(porcelain)로 만들어지거나, 적어도 그 내부 표면에 스테인레스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도자기가 피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100)는 수도꼭지(10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4)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부 개구(148)( 도면 부호가 전부 매겨져 있지는 않음)를 더 포함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는 고압의 고온 유체 제트를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 개구(148)는 또한 스팀(steam) 개구로서 기능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4)는 스팀 전용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개구(148)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부분을 포함하는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튜브는 젖병을 포함하는 병 등을 튜브 상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튜브는 중공형이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 개구 (148) 중 하나에 장착될 때 유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튜브는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튜브상에 장착된 병의 내벽을 향해 물을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물은 베이스 개구(148)을 통해 공급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6)는 셔터(156)이다. 셔터(156)는 한 쌍의 셔터 트랙(162)[(도 6에 도시된) 셔터 트랙(162p) 및 셔터 트랙(162q)]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156)는 롤링 셔터와 유사하게 복수의 연속 연결된 슬랫(164)(패널)을 포함한다. 각각의 셔터 트랙(162)은 수평 세그먼트(도 9 내지 도 10c에 도시됨) 및 선택적으로 수직 세그먼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2개의 수평 세그먼트 각각은 세척대야 (112)의 테두리(166)의 2개의 마주보는 측면, 즉 제1 벽(122a) 및 제3 벽(122c)의 상단에서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수직 세그먼트 각각은 주방 조리대(102) 아래로 연장된다. 싱크대(100)는 제2 벽(122b)의 상단과 주방 조리대 (102) 사이의 좁은 간극을 포함하며, 제2 배치부터 제1 배치로 전환될 때 및 그 반대의 경우에도 이 간극을 통하여 셔터(156)가 슬라이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벽(122b)의 상부는 고무 밴드(도시되지 않음)가 부착(예를 들어, 그 위에 접착됨)되어 있다. 세척 사이클 후 셔터(156)가 개방될 때, 상기 고무 밴드는 셔터(156)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고무 밴드가 고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와 본질적으로 유사하게) 유체를 닦아내어, 주방 조리대(102) 아래 공간의 습윤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무 밴드는 좁은 간극의 모든 면(주방 조리대 (102)의 바닥상의 박판에 의해 형성된 구성된 좁은 간극의 상부면을 포함함)에 부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셔터의 상부면으로부터도 유체를 닦아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156)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기 공급이 없을 때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156)는 자동으로 작동, 예컨대 자동 개폐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16)는 당해 업계에서 공지된 탑 로드(top-load) 식기 세척기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힌지 도어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156)는 롤링 셔터이고, 싱크대(100)는 주방 조리대(102) 아래에 그리고 제2 벽(122b)에 인접하여 스핀들을 포함한다. 셔터(156)는 제1 배치에 있을 때 스핀들에 대해 롤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도꼭지(106)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72)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실행하도록 사용자가 싱크대(100)의 식기 세척기 기능을 제어 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는 주방 조리대(102) 내/상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는 전용 소프트웨어(즉, 커스텀 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된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의 외부 장치에 구비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어(108)가 생략된 (즉, 도시되지 않은) 싱크대(10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세척대야(112)는 하부에 기반시설 구획(202)을 더 포함한다. 기반시설 구획(202)은 싱크대(100) 기반시설의 일부를 수용한다(도 4에 도시됨). 싱크대(100)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싱크대(100)의 추가적인 기반시설을 포함하는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100)는 배수구(134)에 유체 연결된 쓰레기 처리유닛(206)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기 처리유닛(206)의 상부는 기반시설 구획(202) 내에 수용된다.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밸브 및 펌프)는 적어도 하나의 물 유입 파이프(212)를 통하여 (가정용) 용수 설비 (즉, 옥내 배관 시스템)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결합된다.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의 구성요소는 유출 파이프(214)를 통하여 세척대야(112), 특히 벽 개구(132) 및 베이스 개구(148)와 제어 가능하게 유체 결합된다. 유출 파이프(214)는, 벽 개구(132)에 적어도 제어 가능하게 유체 결합된 냉수 파이프(216)와, 베이스 개구(148) 및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벽 개구(132)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결합된 온수 파이프(218)를 포함한다. 유출 파이프(214)는, 베이스 개구(148) 및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벽 개구(132)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결합된 스팀 파이프(220)를 포함한다. 배수 파이프(230)는 배수구(134)를 하수구에 유체 연결시킨다. 쓰레기 처리유닛(206)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배수 파이프(230)는 쓰레기 처리유닛(206)과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요소가 직접 서로 유체가 연통되는 상태이거나, 또는 두 개의 요소 중 첫 번째 요소를 두 번째 요소로 안내하는 파이프와 같은 제3의 요소에 의해 서로 유체가 연통되는 상태일 때, 두 개의 요소는, "유체 연결된다"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 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요소 사이에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상태로부터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 제2 상태로 (예를 들어 밸브를 사용하여) 두 개의 요소가 전환될 수 있을 때, 두 개의 요소가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었다"라고 한다. 상기 제1 상태에서는, (두 개의 요소가 직접, 또는 첫 번째 요소로부터 두 번째 요소로 안내하는 파이프를 통하여) 두 개의 요소가 서로 유체 연통상태가 되어, 유체가 두 개의 요소 중 한 요소로부터 다른 요소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두 개의 요소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유체는 흐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것이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내의 기반시설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은 메인 컨트롤러(302), 3방향(three -way)밸브(304)(1개의 입구 포트 및 2개의 출구 포트를 구비), 물 펌프(306), 스팀 탱크(308) 및 제2 펌프(312)를 포함한다. 메인 컨트롤러(3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닛이다. 스팀 및 고압수 탱크(308)는 가열 요소(316)를 포함한다. 3방향 밸브(304), 물 펌프(306), 스팀 탱크(308), 및 제2 펌프(312)는 기능적으로 메인 컨트롤러(302)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30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작동을 제어 및 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100)가 세척 사이클로 가동되고 있을 때,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은 또한 그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내의 요소들(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들"이라고도 함), 예컨대 메인 컨트롤러(30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팬(314)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스팀 탱크", "고압수 탱크"및 "스팀 및 고압수 탱크"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n-방향 밸브"란, n ≥ 2이고 정수인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합계 숫자가 n과 동일한 밸브를 지칭한다.
3방향 밸브(304)는 그 입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를 통해 물 유입 파이프(212)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3방향 밸브(304)는 또한 그 2개의 출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를 통해 제1 파이프(328) 및 제2 파이프(334)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제1 파이프(328)는 물 펌프(306)에 유체 연결된다. 제2 파이프(334)는 제2 펌프(312)에 유체 연결된다. 제3 파이프(340)는 제2 펌프(312)로부터 고압수 탱크(308)로 이어진다.
3방향 밸브(304)는 용수 설비로부터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중단(즉, 상기 용수 설비로부터 물 펌프(306), 스팀 탱크(308), 및 제2 펌프(312)와 같은 구성요소들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3방향 밸브(304)는 펌프 (306 및 312) 중 어느 하나를 용수 설비에 유체 연결시키거나 펌프 (306 및 312) 둘 다를 용수 설비에 동시에 결합시키고, 각각으로의 각 물의 흐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3방향 밸브는 제2 파이프에서 물 흐름을 개방하는 동안 제1 파이프에서 물 흐름을 차단하거나, 상기 파이프들로부터의 물을 제3 파이프로 혼합하거나, 하나의 파이프로부터 2개의 다른 파이프로 물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3 방향 밸브(304)는 파이프(328) 및 파이프(334)로의 액체 흐름을 동시에 또는 별도로 개방하기 위해 메인 컨트롤러(302)에 의해 제어된다.
냉수 파이프(216)는 물 펌프(306)로부터 연장되어 기반시설 구획(202)으로 이어지고, 이에 의해 물 펌프(306)를 세척대야(112)에 유체 연결시킨다. 용수 설비와 함께, 물 펌프(3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벽 개구(132)로의 가압 유체(냉수) 공급원으로서 기능한다. 온수 파이프(218)는 스팀 탱크(308)의 탱크 바닥부(342)로부터 연장되어 기반시설 구획(202)으로 이어지고, 이에 의해 스팀 탱크(308)로부터 세척대야(112)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수 설비와 함께, 스팀 탱크(308)는 베이스 개구(148)로,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벽 개구(132)로의 가압 유체(온수) 공급원으로서 기능한다. 스팀 파이프(220)는 스팀 탱크(308)의 탱크 상부 부분(344)으로부터 연장되어 기반시설 구획(202)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팀 탱크(308)로부터 세척대야(112)로 스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용어 "가압 유체 공급원"은 유체 공급원 및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 즉 유체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만드는 수단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가압 유체 공급원"은 가정용 용수 설비이거나, 가정용 용수 설비 및 그 가정용 용수 설비에 의해 제공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외부 펌프의 조합일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02)는 3방향 밸브(304), 물 펌프(306), 스팀 탱크(308) 및 제2 펌프(312)의 작동을 제어 및 조정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특히, 3방향 밸브(304)는 전자식(전기-기계식, 예를 들어 당해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를 통한 전류에 의해 제어되는)밸브 또는 유압식 밸브일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02)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혹은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송신기/수신기/송수신기를 통해) 무선으로 3방향 밸브(304), 물 펌프(306), 스팀 탱크(308) 및 제2 펌프(312)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베이스 개구(148)를 포함하고, 물 펌프(306)는 베이스 개구(148)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냉수/유체 제트를 제어 가능하게 토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24)가 베이스 개구(148)를 포함하지 않고,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은 스팀 탱크(308)와 제2 펌프(312)를 포함하지 않으며, 3방향 밸브(304) 대신에 용수 설비로부터 물 펌프(306)로의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2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싱크대(100)는 쓰레기 처리유닛(206)을 포함하여, 세척 사이클 동안,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식기류 및 조리도구로부터의 유기물 쓰레기(음식물 찌꺼기)가 배수구(134)를 통해 쓰레기 처리유닛(206) 상으로 제거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구(134)는 체로 걸러지지 않아(적어도 필터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음), 닭 뼈와 같은 딱딱한 유기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상당히 큰 유기물 쓰레기를 배수구를 통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구(134)는 전형적인 (식기 세척기가 아닌) 주방 싱크대 표준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싱크대(100)가 쓰레기 처리유닛(206)을 포함하는 특정의 실시예에서,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대야(112)로부터의 유체 및 선택적으로 유기물쓰레기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표준적인 주방 싱크대의 배수구(배수 구멍)는 약 9cm의 직경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4)는 배수구(134) 주위에서 중앙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경사각이 표준 싱크대의 경사각보다 커서, 예를 들어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대야(112)에서의 유체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구(134)는 세척대야(112) 내의 유체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배수 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4)는 여분의 배수구 (배수구(134)를 초과하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 여분의 배수구는 세척대야(112)로부터 유체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세척 사이클 동안 제어 가능하게 개방 (및 이에 의해 배수파이프(230)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될 수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물 펌프(306)는 냉수 설비 및 온수 설비 모두로부터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밸브는 냉수와 온수 사이를 제어 가능하게 선택하거나, 물 펌프(306)로 들어오는 냉수 대 온수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물 펌프(306)로부터 펌핑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 할 수 있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하부면이 제거된(도시되지 않은) 기반시설 구획(202)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쓰레기 처리유닛(206)도 도시되지 않았다. 기반시설 구획(202)은 제2 컨트롤러(402), 냉수 밸브(404), 온수 밸브(406) 및 스팀 밸브(408)를 포함한다. 기반시설 구획(202)은 제1 다방향 밸브(416) 및 제2 다방향 밸브(418)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밸브들(404, 406 및 408) 및 다방향 밸브들(416 및 418)은 전자적(즉, 제2 컨트롤러(402)로부터 수신된 신호, 예컨대 전기 신호들에 의해 작동됨)이다. 제2 컨트롤러(402)는 상기 밸브들과 다방향 밸브들의 작동을 제어 및 조정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컨트롤러(402)는 밸브(404, 406 및 408) 및 다방향 밸브(416 및 418)의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개방 및 폐쇄 시간을 조절한다. 제2 컨트롤러는 전선(미도시)를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예컨대 NFC 송신기/수신기/송수신기를 통하여) 밸브(404, 406 및 408) 및 다방향 밸브(416 및 418)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402)는 (전선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메인 컨트롤러(302)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러(402)의 작동을 제어한다.
냉수 밸브(404)는 그 입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에서 냉수 파이프(216)에 연결되고, 그 출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 및 파이프(432)를 통하여 제1 다방향 밸브(416)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 밸브(404)는 온/오프 밸브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 밸브(404)는 물 펌프(306)로부터 제1 다방향 밸브(416)로의 냉수의 흐름(유량 포함)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이다.
온수 밸브(406)는 그 입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에서 온수 파이프 (218)에 연결되고, 그 출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 및 파이프(434)를 통해 제2 다방향 밸브 (418)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밸브(406)는 온/오프 밸브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밸브(406)는 스팀 탱크(308)로부터 제2 다방향 밸브(418)로의 온수의 흐름(유량 포함)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이다.
스팀 밸브(408)는 그 입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에서 스팀 파이프(220)에 연결되고, 그 출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 및 파이프 (436)를 통해 제2 다방향 밸브 (418)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밸브(408)는 온/오프 밸브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밸브(406)는 스팀 탱크(308)로부터 제2 다방향 밸브(418)로의 스팀의 흐름(유량 포함)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이다.
제1 다방향 밸브(416)는 파이프(432)에 연결된 입구 포트(444) 및 복수의 출구 포트(446)(도면 부호가 전부 매겨져 있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출구 포트(446)는 제1 유출 파이프(448)를 통해 각각 벽 개구(132)로부터의 상이한 개구 그룹(즉, 개구들의 그룹들)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어, 이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개구 그룹(각 개구 그룹에 연결되는 제1 유출 파이프(448)들 중 각 하나의 파이프)으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 및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1 유출 파이프(448)로부터의) 제1 유출 파이프(448a)는 제1 개구 세트(140)로부터 상이한 개구 그룹으로 이어지고, (제1 유출 파이프(448)로부터) 제1 유출 파이프(448b)는 제2 개구 세트(142)로부터 상이한 개구 그룹으로 이어진다.
제2 다방향 밸브(418)는 2개의 입구 포트(454) 및 복수의 출구 포트(456)( 도면 부호가 전부 매겨져 있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입구 포트(454)들 중 첫번째인 제1 입구 포트(454a)는 파이프(434)에 연결된다. 입구 포트(454)들 중 두번째인 제2 입구 포트(454b)는 파이프(436)에 연결된다.
출구 포트(456)는 제2 유출 파이프(458)를 통하여 베이스 개구(148)로부터 상이한 개구 그룹에, 또한 도 4a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벽 개구(132)로부터 상이한 개구 그룹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개구 그룹(제2 유출 파이프의 각 하나는 각각의 개구 그룹에 연결됨)으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 및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용어 "개구 그룹"은 단일의 개구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밸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메인 컨트롤러(302) 또는 제2 컨트롤러(402)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공압식 밸브일 수 있다. 특히,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대야(112) 내로의 스팀 공급을 조절하는 스팀 밸브(408)는 공압식일 수 있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반시설 구획(202)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다방향 밸브(416 및 418)의 입구 및 출구 포트는 너트, 클램프, 커플링, 그로밋(grommet) 및 와셔와 같은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다방향 밸브 (418)는 단일의 입구 포트(454ab)를 포함하고, 파이프(434)와 파이프(436)는 둘 모두(대체적으로) 상기 입구 포트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의 시스템 도면이다. 메인 컨트롤러(302)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로서 사용될 때 싱크대(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컨트롤러(302)는 세척 사이클을 구현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 요소의 작동을 개시, 정지, 조절 및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3방향 밸브(304)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302)는 용수 설비(510)로부터 물 펌프(306)로 그리고 스팀 탱크(308)로의 물의 공급과, 기반시설 구획(202)로의 냉수, 온수 및 스팀의 각 흐름을 조절한다.
메인 컨트롤러(302)는 하기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전자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의 선택을 제2 컨트롤러(402)에 전달(또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세척 사이클 동안 실시간으로 세탁 사이클 프로그램 명령을 제2 컨트롤러(402)에 전달)하고; 3방향 밸브(304)를 통해 물 펌프(306) 및 스팀 탱크(308)로 향하는 냉수의 흐름을 제어 및 조절하며; 스팀 탱크(308) 내의 가열 요소(316)를 따라 전압을 인가하여 탱크 내의 물을 가열; 셔터(156)를 개방/폐쇄 및 잠금/잠금 해제하는 등등.
제2 컨트롤러(402)는 하기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전자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 메인 컨트롤러(302)로부터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의 선택을 수신(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세척 사이클 동안 실시간으로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1 다방향 밸브(416)의 출구 포트(446)를 통하여 냉수 흐름이 벽 개구(132)로 가는 것을 제어, 분배 및 조절하고; 따라서, 제2 다방향 밸브(418)의 출구 포트(456)를 통하여 베이스부 개구(148)로 또한 선택적으로 벽 개구(132)들로 향하는 온수 및 스팀의 흐름을 제어, 분배, 및 조절하는 등등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트롤러(302) 및 제2 컨트롤러(402)는 다양한 세척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 예를 들어 약간 더러워진 식기를 위한 냉수 또는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는 짧은 세척 사이클; 크게 더러워진 식기 및 조리기구를 위해 온수를 사용하는 긴 세척 사이클; 예를 들어, 세척대야(112)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영역에 식기가 위치될 때의 작은 부하의 세척 프로그램으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벽 개구(132)들의 각 부분적인 개구 세트로부터의 워터 제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적화(targeted)되는 프로그램.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자 회로"는, 전기 와이어, 전도체(이산 와이어 또는 인쇄 회로), 커패시터, 인덕터 뿐만 아니라,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증폭기, (예를 들어, 세척대야(112) 또는 스팀 탱크(308) 내의 온도계로부터의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온도 판독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 타이머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솔리드 스테이트 또는 그 이외 상태의 전자 부품 그 자체를 지칭한다. 특히, 상기 용어 "전자 회로"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식기 세척기로서 사용될 때 싱크대(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센서로부터 또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72)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컨트롤러(302) 구성요소 및 제2 컨트롤러(402) 구성요소(예컨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트롤러(302) 및 제2 컨트롤러(402)는 처리 회로 및 메모리 회로를 포함한다.
도면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서로 연관되는 구성요소를 연결하거나 또는 가정용 전기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은 도시하지 않았다.
메인 컨트롤러(302)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72)와 통신적으로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트롤러(302)는 무선 통신 유닛(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Wi-Fi, 블루투스 및/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송수신기)을 포함하고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제어 할 수 있다.
싱크대(100)에는 전력 공급원(530)(예를 들어, 가정용 전기 시스템)을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특히, 전력 공급원(530)은 쓰레기 처리유닛(206) 및/또는 스팀 탱크(308)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물 펌프(306) 및 쓰레기 처리유닛(206) 및/또는 스팀 탱크(308) 및 제2 펌프(312)로 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전력 공급원(530)은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및 기반시설 구획(202)에서 밸브들 및 다방향 밸브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308)는 2 내지 12 리터의 용량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308)는 3 내지 10 리터의 용량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308)는 약 8 리터의 용량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펌프(312)는 약 7 bar 또는 심지어 10 bar의 압력으로 스팀 탱크(308)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308) 내의 물은 120℃ 만큼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약 20 bar의 압력에서 세척대야(112) 내로 증기(스팀)로서 방출된다.
위에서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물 펌프(306) 및 스팀 탱크(308)와 같은 기반시설 구성요소들은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과 같은) 임의의 용기 내에 수용되지 않고 주방 조리대(102) 아래에 직접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의 범위는 이러한 옵션까지 포함하고 있다. 단일의 용기 내에 이러한 기반시설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것에 의한 한 가지 장점은 설치가 쉽다는 것이다.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내에 기반시설 구성요소들이 있다는 것은, 싱크대(100)를 설치할 때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이 (물 유입 파이프(212)에 의해) 용수 설비 및 (배출 파이프(214)에 의하여) 세척대야 (112)에 연결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사전 설치된 것이지만, 다른 점에서는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내의 기반시설 구성요소들을 기술자가 서로 연결/결합시킬 필요가 없다는 의미에서 미리 설치되어 있다는 의미가 있다.
유사하게, 제1 다방향 밸브(416) 및 제2 다방향 밸브(418)와 같은 기반시설구획(202) 내의 기반시설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벽 개구(132) 및 베이스부 개구(148)에 각각 미리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사전 설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수 파이프(218)는 세척 세제 펌프(540)에 결합되며, 이 펌프는 세척 세제를 온수 파이프(218)로 제어 가능하게 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세척 세제 펌프(540)는 기반시설 구획(202) 또는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그 동작은 각각 메인 컨트롤러(302) 또는 제2 컨트롤러(402)에 의해 제어된다. 세척 세제 펌프 (540)는 주방 조리대(102) 아래에 위치한 교체 가능/재충전 가능한 세척 세제 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유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탱크에 의하여 교체/재충전되기 전에 다수의 세척 사이클의 실행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질적으로 온수 파이프(218)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냉수 파이프(216)는 세척 세제 펌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파이프(218) 및 냉수 파이프(216)는 세척 세제 펌프(540)에 전환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 파이프(216) 및/또는 온수 파이프(218)는 그곳을 통해 흐르는 물(또는 유체)에 염(salt)을 풀기 위한 염 필터(salt filter)를 포함한다.
도 6은 세척대야(112)가 이중벽을 가지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척대야(112)의 일부 절개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세척대야(112)는 외벽(602) 및 내벽(604)을 포함하며, 도 6에서 절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드러나 있다. 외벽(602)과 내벽(604)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복수의 내부 챔버(612)를 형성한다. 외벽(602)은 제1 외벽(602a), 제1 외벽(602a)에 직각으로 위치한 제2 외벽(도 6에서는 가려져 있어 보이지 않음), 제1 외벽(602a)과 마주보는(그리고 평행한) 제3 외벽 (도 6에서는 가려져 있어 보이지 않음), 및 제2 외벽과 마주보는(그리고 평행한) 제4 외벽(602d)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의 이중벽 구조는 세척 사이클 동안 음향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
세척대야(112)가 이중벽인 실시예에서, 벽(122)은 외벽(602)과 내벽(604)의 총합, 예컨대 제1 벽 (122a)은 제1 외벽(602a) 및 제1 내벽(604a)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외벽(602) 및 기반시설 구획(202)을 생략(즉, 외벽(602) 및 기반시설 구획(202)은 도시되지 않음)한 세척대야(112)의 위와 아래에서의 각각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벽(604)은 제1 내벽(604a), 제1 내벽(604a)에 직각(수직)인 제2 내벽(604b), 제1 내벽(604a)과 마주보는(그리고 평행한) 제3 내벽(604c) 및 제2 내벽(604b)과 마주보는(그리고 평행한) 제4 내벽(604d)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제1 외벽(602a) 및 제1 내벽(604a)과 같은 각 외벽 및 내벽의 쌍은 그 사이에(내부 챔버들(61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를 형성한다. 내부 챔버들 (612)의 각각은 2개의 주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예컨대 제1 외벽(602a) 및 제1 내벽(604a)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612a2)는 y 및 z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4 외벽(602d) 및 제4 내벽(604d)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612d1)는 z 및 x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내부 챔버들(612) 각각은 제1 유출 파이프들(448a)로부터 각각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컨트롤러(402) 및 제1 다방향 밸브(416)는 한번에 내부 챔버(612)들 중 단지 하나 또는 한번에 내부 챔버(612)들 중 단지 2개만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한번에 단지 하나의 내부 챔버 (612) 또는 한번에 단지 2개의 내부 챔버 (612)를 통하여 워터 제트가 토출(분사, 분출)된다.
본원에 사용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용어 "유체/워터 제트"는 유체/물의 강제적이고 지향된 방출(예컨대 어떤 방향을 따르는)을 의미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또한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챔버들(612)은 10개가 있다: 3개의 내부 챔버, 즉 내부 챔버(612a1), 내부 챔버(612a2) 및 내부 챔버(612a3)(내부 챔버(612a2)가 내부 챔버(612a1) 및 내부 챔버(612a3)에 인접함)는, 제1 외벽(602a) 및 제1 내벽(604a)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인접한 내부 챔버, 즉 내부 챔버(612b1) 및 내부 챔버(612b2)는 제2 외벽 및 제2 내벽(604b)에 의해 형성되고; 3개의 내부 챔버, 즉 내부 챔버(612c1), 내부 챔버(612c2) 및 내부 챔버(612c3) (내부 챔버(612c2)가 내부 챔버(612c1) 및 내부 챔버(612c3)에 인접함)는 제3 외벽 및 제3 내벽(604c)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인접한 내부 챔버, 즉 내부 챔버(612d1) 및 내부 챔버(612d2)는 제4 외벽(602d) 및 제4 내벽(604d)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챔버들 612a1 및 612c3는 서로 마주보고, 마찬가지로 내부 챔버들 612a2 및 612c2도 서로 마주보고, 내부 챔버들 612a3 및 612c1도 서로 마주본다. 유사하게, 내부 챔버들 612b1 및 612d2도 서로 마주보고, 내부 챔버들 612b2 및 612d1도 서로 마주본다.
일부 예시적인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에서, 워터 제트는 회전 패턴으로 순차적으로 토출(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 제트는 한번에 한 챔버씩 내부 챔버(612a1)로부터 시작하여 내부 챔버(612a2), 내부 챔버(612a3), 내부 챔버(612b1) 등을 따르는 반시계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이 패턴은 내부 챔버(612d2)로부터 워터 제트가 토출될 때 완료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내부 챔버(612)로부터 워터 제트 분사 지속 시간은 5초이므로, 워터 제트 분사 패턴은 1분 내에 완료된다. 이후 상기 분사 패턴이 예를 들어 두세 번, 심지어 열 번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분사 제트의 압력은 약 10 내지 20 bar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그 바닥의 2개의 대향 측면에 적어도 2개의 수평 채널(62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의 한쌍의 외벽 및 내벽(예를 들어, 제1 외벽(602a) 및 제1 내벽(604a))은 그 한쌍의 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 아래에 각 수평 채널을 형성한다. 제1 채널(622a)은 제1 외벽(602a)과 제1 내벽(604a) 사이로 내부 챔버(612a1, 612a2, 612a3) 하부에서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2 채널(622b)은 내부 챔버(612b1 및 612b2) 하부에서 제2 외벽과 제2 내벽(604b) 사이로 연장되고, 제3 채널(622c)은 내부 챔버(612c1, 612c2 및 612c3) 하부에서 제3 외벽과 제3 내벽(604c) 사이로 연장되며, 제4 채널(622d)은 내부 챔버(612d1 및 612d2) 하부에서 제4 외벽(602d)과 제4 내벽(604d) 사이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단지 2 개의 수평 채널들, 예를 들어 제2 채널(622b) 및 제4 채널(622d)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 세트(140)의 개구들은 내부 챔버들(612)의 내벽에 위치되고, 제2 개구 세트(142)의 개구들은 채널(6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평 띠부분(예를 들어, 제1 내벽(604a)과 일치하는 제1 채널(622a)의 일부) 상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 세트" 및 "챔버 개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 세트"및 "채널 개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각 채널들(622)은 제1 유출 파이프들(448b)로부터 각각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 세트(142)의 개구는 베이스부(124) 위로 약 0.5cm 내지 3cm 사이 부분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 세트(142)의 개구는 베이스부(124) 위로 약 1cm 내지 2cm 사이 부분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 세트(142)의 개구는 베이스부(124)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제2 개구 세트(142)의 개구로부터 토출된 워터 제트는 xy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토출되어, 워터 제트는 베이스부(124)에 위치한 쓰레기(예컨대 음식물 쓰레기)를 타격한다. 결과적으로, 제2 개구 세트로부터 토출된 워터 제트는 쓰레기(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134)로 그리고 그로부터 쓰레기가 파쇄되는 쓰레기 처리유닛(206)으로 유도(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134)로 유도(안내)하기 위해 워터 제트는 한 쌍의 대향 채널(예를 들어, 제2 채널(622b) 및 제4 채널(622d))로부터, 또는 심지어 모든 채널로부터 동시에 토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 세트(142)로부터 토출된 워터 제트는 제1 개구 세트(140)로부터 토출되는 워터 제트보다 고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예컨대 채널(622b)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의 수는 3 내지 10개일 수 있고, 각 개구의 직경은 약 1 내지 3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부 챔버들(612) 중 하나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들의 수는 (챔버가 612c3 및 612b1인 일부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약 50 내지 150개의 범위 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채널(622)에서 개구의 수가 각 내부 챔버(612) 내의 개구의 수와 비교하여 더 적기 때문에, 채널(622)은 내부 챔버(612)보다 더 강하게(보다 가압되어) 워터 제트가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채널(622)은 베이스부(124) 상의 상당히 큰 크기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베이스부(124) 상에, 배수구(134) 상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로 충분히 강한 유체 제트가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이라는 용어는 한정된 연장 공간을 의미한다. 즉, 닫혀진 공간은 그 특징적인 치수들 중 하나, 예컨대 그 길이가, 다른 2개의 치수 중 어느 하나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채널은 그 폭 및 두께의 5배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채널은 그 폭 및 두께의 4배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채널은 그 폭 및 두께의 3배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챔버"에서와 같이 "챔버"라는 용어는 채널이 아닌 폐쇄 공간을 의미하며, 특히 그 특징적인 치수 중 적어도 2개가 비교될 수 있는 폐쇄 공간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 내의 상이한 영역들은 상이한 유형의 식기 및/또는 조리기구를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벽 개구들(132)은 상이한 내부 챔버의 내벽 상에 상이한 개구 패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6~도 7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내부 챔버(612a2)의 내벽 상의 개구(706a2)의 패턴은 내부 챔버(612a1)의 내벽 상의 개구(706a1)의 패턴보다 밀집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 패턴이 덜 조밀할수록, 그 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 제트가 더 강하게 된다. 따라서, 세정을 위해 더 고압의 유체 제트를 필요로 하는 식기 및 조리기구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덜 조밀한 패턴의 개구를 갖는 내벽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이한 챔버의 내벽 상의 개구는, 원하는 압력으로 각 유체 제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서로 직경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외벽(602) 및 기반시설 구획(202)을 생략(즉, 외벽(602) 및 구획(202)을 도시하지 않음)한, 세척대야(112)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세척대야(112)는 상이한 유형의 식기 및 조리기구를 세척하기 위한 4개의 영역, 즉 제1 영역(A), 제2 영역(B), 제3 영역(C) 및 제4 영역(D)을 각각 형성한다. 제1 영역(A)은, 제4 내벽(604d), 내부 챔버(612a1과 612c3)의 내벽들 및 제2 영역(B)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2 영역(B)은 제1 영역 A, 내부 챔버(612a2 및 612c2)의 내벽들과, 영역 C 및 D에 의해 경계가 설정된다. 제3 영역(C)는 내부 챔버(612a3 및 612b1)의 내벽들과, 영역 B와 C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4 영역(D)은 내부 챔버(612b2 및 612c1)와, 영역 B와 C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제1 영역(A)은 접시(예를 들어, 플레이트) 및 팬을 위한 것이다. 제2 영역(B)은 그릇과 냄비를 위한 것이다, 제3 영역(C)은 유리잔 및 컵을 위한 것이다. 제4 영역(D)은 식탁용 날붙이 및 주방 용품을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역 A는 또한 접시들 이외의 식기류 및 조리기구,예를 들어 그릇, 컵, 식탁용 날붙이를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역 B는 또한 그릇 및 냄비 이외의 식기류 및 조리기구, 예를 들어 컵 및 유리잔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역 C는 또한 컵 및 유리잔 이외의 식기류 및 조리기구, 예를 들어 그릇 및 냄비를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역 D는 또한 식탁용 날붙이 이외의 식기류 및 조리기구, 예를 들어 컵 및 작은 그릇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이스부(124)는 베이스부 개구들(148)을 포함하고, 베이스부 개구들(148) 중 적어도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리잔 및 컵의 세척을 위해 구성된 제3 영역(C)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벽(122)의 일부가 중공(즉, 벽 사이의 내부 챔버, 예를 들어 제1 벽(122a)의 중앙부에 형성된 내부 챔버(612a2)를 형성하기 위해 이중벽으로 된)이고, 벽(122)의 일부는 중공이 아니고 속이 채워져 있다는 의미에서, 모두 이중벽으로 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벽들(122a 및 122c)은 이중벽이고 벽들(122b 및 122d)은 이중벽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한 기능을 갖는 내부 챔버(612)와 유사하게, 베이스부(124)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챔버(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중벽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접시) 랙(rack)(802)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랙(802)은 세척대야(112)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식기(예를 들어, 접시)의 경사 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랙(802)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식기(예를 들어,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랙(802)의 접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접시 상의 임의의 쓰레기는 808a와 808b의 열들(rows) 사이 공간으로 떨어지므로, 세척 사이클 동안 이러한 유기물 쓰레기는 쓰레기 처리유닛(206)으로 씻겨들어가서 그 안에서 파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접시들은 랙(802) 상에 비스듬하게 위치한다. 랙 (802) 상의 접시의 배치는 적어도 일부의 접시가 베이스부(124)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랙(802) 상에 위치하지만 어떤 벽(122)과도 평행하지는 않다는 의미에서 "경사졌다"라고 일컬어진다. 결과적으로, 세척 사이클 동안 벽 개구(132)를 통해 토출된 워터 제트는 경사진 각도(예를 들어 45°)로 접시에 부딪칠 수 있다. 이는 내벽(604a, 604c) 및 제4 내벽(604d)으로부터의 워터 제트 모두에 대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세척 사이클 동안 내부 챔버(612a1)로부터의 유체 제트는 랙(802) 상에 배치된 접시의 하나의 표면(예를 들어, 접시의 음식이 닿는 면)에 부딪히고, 내부 챔버(612d2)로부터의 유체 제트는 접시의 제2 표면에 부딪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척 사이클 동안, 내부 챔버(612a1, 612d1, 612d2 및 612c3)로부터의 유체 제트는 랙(802)(영역 A) 상에 배치된 일부 접시들에 의해 굴절될 수 있어 랙(802)(특히 영역 B) 상에 배치된 다른 식기에 부딪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제트는 접시의 한 표면으로부터 그릇, 컵 또는 다른 접시의 표면으로 굴절될 수 있다.
랙(802)이 표준적으로 구성되면, 즉 식기가 경사 없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면, 2개의 다른 접시에 의해 포위된 접시는 임의의 워터 제트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제1 벽(122a)으로부터의 워터 제트가 접시에 충돌하지 않을 것이며, 제4 벽(122d)으로부터의 워터 제트는 접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향하여 충격을 거의 주지 못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워터 제트(또는 유체 제트)는, 제트의 중심이 실질적으로 경사진 각도로 그 표면에 부딪치는 한, 그 제트가 소정 각도로 확산하는 경우에도 경사진 각도로(사선으로) 표면에 부딪힌다고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 및 세척대야(112)는 랙(802)이 세척대야(11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4)는 구멍, 예를 들어 직경이 0.5 cm인 4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이 구멍은 랙(802)을 세척대야(112)에 가역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랙(802) 바닥상의 상응하는 쐐기("다리")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는 자석을 포함하며, 이 자석은 세척 사이클 동안, 약 20 bar에 이르는 압력을 갖는 워터 제트의 존재 하에서도 랙(802)을 베이스부(124)에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이 플레이트를 비스듬하게 랙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대신에, 워터 제트가 토출되는 내부 챔버의 내벽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워터 제트가 토출된다는 의미에서 벽 개구(132)가 워터 제트의 "경사진" 토출을 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워터 제트는 경사진 각도로 랙(802)상의 접시에 부딪친다. 또한, 랙(802)이 접시를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벽 개구(132)가 경사진 각도로 워터 제트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그 워터 제트가 경사진 각도로 랙(802) 상의 접시를 타격하도록 하는 실시예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세척대야는 19~22cm의 깊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12)의 깊이는 19~22cm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의 식기/접시가 베이스부(124)(즉, xy 평면)에 대해 약 30 °의 각도로 배치될 때 세척대야(112)의 깊이는 15cm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접시가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예컨대, 배치각이 베이스(124)에 대해 약 80 °인 경우)로 배치될 때 세척대야(112)의 깊이는 28cm이다. 따라서, 표준 치수(및 식기 세척기 기능)를 갖는 싱크대 내에 접시가 (z축과 평행하게) 직립으로 배치되는 표준 랙을 사용하면, 상기 싱크대의 깊이보다 작은 직경의 접시 밖에 사용할 수 없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이 접시를 똑바로 세워 놓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이 z축에 대해 약 45 °의 각도로 식기를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약 25 cm 또는 심지어 28 cm의 직경을 갖는 식기에 대해 세척 사이클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때의 세척대야(112)의 깊이는 각각 20cm 또는 22cm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이 z축에 대해 45 °보다 큰 각도, 예를 들어 z축에 대해 50 ° 내지 70 °의 각도로 접시를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랙(802)은 접시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예를 들어, z축에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셔터 트랙(162q)의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q)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셔터 트랙(162p)의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q)와 본질적으로 대칭상인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가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되어있다. 각각의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 및 1102q)는 제2 벽(122b)과 제4 벽(122d)(그 벽의 상단에서) 사이에서 연장된다.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q)는 리세스(1112q) 및 중공부(1114q)를 포함한다. 리세스(1112q)는 리세스 바닥면(1122q),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q)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리세스 벽(1124q), 및 리세스 바닥면(1122q)에 평행한 리세스 상부면(1126q)을 포함한다. 리세스 벽(1124q)은 수직이다. 리세스 바닥면(1122q)은 그 길이를 따라 구멍(1128q)을 포함하고, 이 구멍은 중공부(1114q)로 이어진다. 중공부(1114q)는 중공부 바닥(1134q) 상에 하나 이상의 유체 배출구(1132q)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유체 배출구(1132q)는 내부 챔버들(612) 중 하나로 이어진다(따라서 내부 챔버와 중공부(1114q)를 유체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리세스(1112q) 및 중공부(1114q)와 각각 유사하게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는 리세스(1112p)(도 10c에 도시됨), 중공부(1114p)(도 10a에 도시 됨)를 포함한다.
도 10a는 셔터 트랙(162) 내에 장착 된 셔터(156)의 일부 절개 측면 사시도이며, 여기서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 및 1102q)는 (슬랫들(164)의) 한 슬랫(164k)을 드러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도시되었다. 각각의 슬랫(164)은 각 단부상/각 단부에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는 슬랫의 두께에 의해 정의 되는 방향(예를 들어, 셔터(156)가 닫힐 때 z축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하도록 구성된 볼을 포함한다. 각각의 볼은 그 볼이 장착되는 슬랫의 에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예컨대 상기 볼의 절반이 상기 슬랫의 에지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슬랫들의 에지와 각 리세스 벽들 사이에 두 개의 얇은 간극(gap)(상기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됨)이 각각 형성된다: 도 10b 및 도 10c에 얇은 간극(1202q 및 1202p)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슬랫(164)을 대표하여 도시된 슬랫(164k)은 그 제1 단부(1208k1)(즉, 상기 슬랫의 길이에 수직인 제1 에지) 상에 제1 롤러(1214k1)와, 그 제2 단부(1208k2) 상에 본질적으로 제1 롤러(1214k1)와 유사한 제2 롤러(1214k2)(도 10b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제1 롤러(1214k1)는 (슬랫(164k)이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 및 1102q) 상에 장착될 때) 적어도 z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볼(1220k1)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롤러(1214k2)는 적어도 z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볼(1220k2)(도 10b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볼(1220k2)은 리세스 벽(1124q)과 접촉하거나 리세스 벽(1124q)과 접촉하여 이를 약간 가압한다. 유사하게,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1220k1)은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의 리세스(1112p)의 리세스 벽(1124p)과 접촉하거나 이를 약간 가압한다. 상기 롤러들은 (리세스 벽(1124p 및 1124q)과 롤러의 볼 사이의 마찰로 인해) 셔터 트랙(162)에서 셔터(156)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들(1214)('베어링'이라고도 함)은 적어도 다음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 (1) 슬랫(164) 가장자리와 리세스 벽(1124)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기능; 및 (2) 셔터(156)가 부드럽게 개폐되는 것을 촉진하는 기능.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랫들(164)의 상부면인, 슬랫 상부면(1226)은 오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슬랫(164)은 그 상부면(예를 들어, 슬랫(164k)의 슬랫 상부면(1226k))이 오목하며, 셔터(156)가 닫혔을 때 슬랫(164)의 피크(peak)(1230)가 슬랫의 길이를 따라 x축에 평행하게(즉,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q)로부터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p)로) 연장된다. 피크(1230)는 도 10a에 점선(T)으로 표시되어있다. 슬랫(164)이 오목하게 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슬랫의 쌍은 그 사이에 홈통(trough)(1232)(즉, 인접한 피크 사이의 아래로 낮아지는 영역)을 형성한다. 홈통(1232)은 피크(123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어, 홈통(1222j)은 슬랫(164k)과 그에 인접한 슬랫(164j)에 의해 정의된다(슬랫(164k, 164j)의 피크(1230k) 및 피크(1230j)가 도 10a에 도시됨). 셔터(156)가 폐쇄되고 그 위에(즉, 슬랫 상부면(1226) 상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홈통들(1232)은 본질적으로 물을 리 세스(1112q 및 1112p)로 안내하는 깔때기(도관)로서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홈통(1232) 내의 물은 홈통의 단부(2개의 인접한 슬랫의 단부 사이)로 흐르고, 그로부터 얇은 간극(1202q 및 1202p)을 통해 각각 리세스(1112q 및 1112p) 내로 흐른다. 결과적으로, 슬랫 상부면(1226) 상의 물은 각각 구멍(1128q 및 1128p)을 통해 중공부(1114q 및 1114p)로 흐르고, 그로부터 각각 유체 출구(1132q 및 1132p)를 통해 내부 챔버(612) 내로 흐른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척대야(112)는 제4 벽(1522d)과 주방 조리대(1502) 사이의 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은 셔터(156)의 마지막 슬랫의 긴 (그리고 연결되지 않은) 에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롯은 그 바닥부에 내부 챔버 612d1 및 612d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셔터(156)의 상부면으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 슬랫(164)의 단부(예를 들어, 슬랫(164k)의 단부(1208k1 및 1208k2))에는 노치부(notch)가 형성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156) 및 셔터 트랙(162)은 셔터(156)가 폐쇄될 때, 상기 노치부가 구멍(1128q 및 1128p) 위에 위치하여, 셔터(156) 상부면 상의 유체가 구멍(1128q 및 1128p)으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셔터(15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보울(bowl)(1300)을 갖는 제2 배치에서의 싱크대(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셔터(156)가 폐쇄될 때 중앙 슬랫(164h)은 수도꼭지(106) 아래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슬랫(164h)은 그 중심에 핀(도시되지 않음)으로 밀봉되는 보어(bore)를 포함한다. 상기 핀은 위로부터 눌러 해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보어의 밀봉이 해제된다. 핀이 더 이상 눌려지지 않으면 핀이 보어를 다시 밀봉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핀에 힘이 가해질 때 핀이 해제되고 힘이 가해지지 않는 즉시 핀을 원래 위치(보어의 재밀봉)로 되돌릴 수 있다. 보울(1300)은 그 바닥부에 상기 보어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수형 부재(male member)(미도시)를 포함하며, 예컨대 상기 수형 부재는 나사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보울(1300)은, 상기 수형 부재를 상기 핀에 대해 가압하고, 예컨대 상기 수형 부재가 나사이고 상기 보어에 나사산이 형성된 실시예에서 상기 보울(130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형 부재를 상기 보어 내에 고정함으로써, 중앙 슬랫(164h)에 장착된다. 상기 수형 부재는 중공형태이므로, 보울(1300)이 중앙 슬랫(164h)에 부착될 때, 보울(1300)과 세척대야(112) 사이의 유체 소통이 확립된다.
도 12a~도 12b에 도시된 세척사이클과 같이, 개방형 순환 세척사이클(즉, 세척대야(112)로부터의 물 또는 유체가 세척사이클의 일부로서 세척대야(112)로 재순환되지 않는 사이클)인 세척사이클의 중간에 싱크대(100)가 위치할 때, 보울(1300)이 예컨대 몇 개의 컵을 세척하기 위한 작은 싱크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수도꼭지(106)로부터의 물은 수형 부재를 통해 세척대야(112) 내로 배수되어 배수관(230) 및 하수구로 흘러 들어간다.
싱크대(100)의 예시적인 세척사이클
도 12a~도 1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의 예시적인 세척사이클(14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세척사이클(1400)은 하기 단계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세척대야(112) 내에 랙(802)과 같은 랙을 장착하고 상기 랙 상에 더러운 식기류 및 조리기구를 위치시키는 단계(1402).
-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72)에 의하여 세척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1406).
- 셔터(156)가 제1 배치로부터 제2 배치(여기서 셔터(156)는 세척대야(112)를 유체 실링한다)로 전환되는 단계(1410).
- 3방향 밸브(304)의 입구 포트가 개방되어 물 펌프(306)와 스팀 탱크(308)를 용수 설비(510)에 유체 연결시키는 단계(1414).
- 제2 펌프(312)가 활성화되어, 용수 설비(510)로부터 물 유입 파이프(212) 및 파이프(334 및 340)를 통해 물을 스팀 탱크(308) 내로 펌핑하는 단계(1418).
- 스팀 탱크(308)가 켜져(즉, 가열 요소(316)가 활성화 됨), 스팀 탱크 내의 펌핑된 물이 가열되는 단계(1422).
- 냉수 밸브(404)가 개방되는 단계(1426). 물 펌프(306)가 활성화되어, 물이 용수 설비(510)로부터 (물 유입 파이프(212), 파이프(328), 냉수 파이프(216), 냉수 밸브(404) 및 파이프(432)를 통해) 제1 다방향 밸브(416) 입구 포트(444)로 펌핑된다.
- 제1 다방향 밸브(416)가 출구 포트(446)를 통해 물을 내부 챔버(612)로 분배하는 단계(1430). 워터 제트는 챔버 개구(즉, 제1 개구 세트(140))을 통해 식기 및 조리기구 상으로 토출된다.
- 쓰레기 처리유닛(206)이 활성화되는 단계(1434).
- 제1 다방향 밸브(416)가 출구 포트(446)를 통해 물을 채널(622)로 분배하는 단계(1438). 고압 워터 제트는 채널 개구들(즉, 제2 개구 세트(142))을 통해 토출된다.
- 고압 워터 제트가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134)로 보내는 단계(1440)(배수구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처리유닛(206)으로 보내지고 그 안에서 파쇄됨).
- 스팀 탱크(308)의 온도가 100℃ 이상, 예컨대 120℃까지 도달하는 단계(1442).
-냉수 밸브(404)가 폐쇄되어, 내부 챔버(612) 및 채널(622)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1444). 제1 다방향 밸브(416) 및 쓰레기 처리유닛(206)이 비활성화된다.
- 온수 밸브(406)가 개방되는 단계(1446). 스팀 탱크(308) 내의 압력은 (끓는 온도 또는 대략 끓는 온도에 있는) 온수를 스팀 탱크로부터 (온수 파이프(218), 온수 밸브(406) 및 파이프(434)를 통해) 제2 다방향 밸브(418) 제1 입구 포트(454a)로 밀어 넣는다.
- 제2 다방향 밸브(418)가 출구 포트(456)를 통해, 선택적으로 일부 벽 개구(132)를 통하여 온수를 베이스부 개구(148)로 분배하는 단계(1450). 온수 제트는베이스부 개구(148)를 통해, 선택적으로 벽 개구들(132) 중 일부를 통해 랙 위의 식기 및 조리기구로 토출된다.
- 세척 세제가 주입되는 단계(1454).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 세제는 제2 컨트롤러(402)에 의해 제어되는 다이어프램 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재충전 가능한 디스펜서 탱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파이프(436) 및/또는 파이프(432)로 주입된다.
- 세척 세제가 식기 및 조리기구를 세척하고 배관(예컨대 파이프 및 밸브)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1458). 온수 밸브(406)는 닫혀서, 베이스부 개구(148)로의 온수 공급을 차단한다. 제2 다방향 밸브 (418)는 비활성화된다.
- 냉수 밸브(404)가 다시 개방되는 단계(1462)로서, 제1 다방향 밸브(416) 및 쓰레기 처리유닛(206)이 재활성화된다. 내부 챔버(612)로부터 물이 토출된다.
- 고압 워터 제트가 채널 개구를 통해 토출되어, 단계(1440)에서 제거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134)로 보내는 단계(1466).
- 냉수 밸브(404)가 다시 폐쇄되는 단계(1470). 제1 다방향 밸브(416) 및 쓰레기 처리유닛(206)은 스위치가 꺼진다.
- 스팀 밸브(408)가 개방되는 단계(1474). 스팀 탱크(308)로부터의 스팀은(스팀 파이프(220), 스팀 밸브(408) 및 파이프(436)를 통해) 제2 다방향 밸브(418)의 제2 유입 포트(454b)로 흐른다.
- 스팀이 베이스부 개구(148)를 통해 방출되는 단계(1478). 상기 식기 및 조리기구는 스팀에 의해 살균되고 건조된다.
- 스팀 밸브(408)가 폐쇄되는 단계(1482). 3방향 밸브(304)의 입구 포트가 폐쇄되고 용수 설비(510)로부터 기반시설 용기 유닛(204)으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스팀 탱크(308), 제2 펌프(312) 및 제2 다방향 밸브(418)는 스위치가 꺼진다.
- 셔터(156)가 개방되는 단계(1486).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308)는 물 및 고온 압축 공기(즉, 스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308) 내의 물은 압력 하에서 가열되어, 그 물의 일부가 스팀(약 95 ℃ 내지 120 ℃의 온도를 갖는 압축 공기)이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단계의 지속 시간은 수초 내지 수분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세척주기의 지속 시간은 20분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세척주기의 지속 시간은 10분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세척주기의 지속 시간은 약 5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계 1430에서, 제1 다방향 밸브(1430)는 물을 내부 챔버들(612)로 선택적으로 분배하여, 상기 물이 한 번에 하나의 내부 챔버로 전달(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워터 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패턴으로 토출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세척 세제"는 식기 세척용 세제, 식기 세척용 세제를 포함하는 액체, 및 바니시/또는 염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싱크대(100)는 세척대야(112)가 단지 부분적으로 식기로 채워지는 경제적인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은 세척대야(112)가 단지 부분적으로 예컨대 세척대야(112)의 절반 또는 1/3만의 지역에 더러운 식기가 채워진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경제적"이라고 일컬어진다. 예를 들어, 더러운 접시만을 세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영역 A에만 식기가 채워진다. 그 후, 사용자는 식기가 영역 A에만 존재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은 도 12a~도 12b에 도시된 세척 사이클 프로그램과 유사하지만, 단계(1430)와 유사한 단계에서, 워터 제트가 내부 챔버들(612a1, 612c3, 612d1 및 612d2) 및 선택적으로 내부 챔버들(612b1 및 612b2)로부터만 토출되고, 내부 챔버들(612a2, 612a3, 612c1 및 612c2)로부터는 토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와는 상이하다. 유사하게, 단계(1450)과 유사한 단계에서, 워터 제트는 영역 A에 위치한 베이스부 개구(베이스부 개구 (148)) 등에서만 토출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싱크대(100)는 그 안에 포함된 식기의 부하 및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갖는 싱크대가 제공된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기능을 갖는 싱크대(1500)의 상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싱크대(1500)가 설치되어 있는 주방 조리대(1502) 및 수도꼭지(1506)가 더 도시되어있다. 싱크대(1500)는 싱크대(100)와 유사하지만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특징을 공유함 - 적어도 이중벽이 아니라는 점에서 또한 덮개로 셔터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이와 기본적으로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싱크대(1500)는 수도꼭지(150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꼭지(1506)는 싱크대(100)의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72)와 유사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508)를 포함한다.
싱크대(1500)는 세척대야(1512) 및 셔터(1516)를 포함한다. 셔터(1516)는 두 배치, 즉 셔터(1516)가 개방된 제1 배치(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대야(1512)가 위로부터 덮여져 있지 않음)와 셔터(1516)가 닫혀져 위로부터(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대야(1512)의 상단으로부터) 세척대야(1512)가 유체적으로 실링된 제2 배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세척대야(1512)는 벽(1522) 및 베이스부(1524)를 포함한다. 벽(1522)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벽 개구(153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524)는 배수구(1534)를 더 포함하고, 이 배수구는 배수파이프(1538)(도 15에 도시됨)에 유체 연결된다. 베이스부(1524)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개구(1542)를 더 포함한다. 벽(1522)은 식기 세척기(세정) 세제(예를 들어, 정제(tablet))를 위한 구획(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세제는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대야(1512) 내로 방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512)는 직사각형이고, 벽들(1522)은 이하의 4개이다: zx 평면에 평행한 제1 벽(1522a), 제1 벽(1522a)에 수직한 제2 벽(1522b (yz 평면에 평행), 제1 벽(1522a)에 평행판 제3 벽(1522c), 및 제2 벽(1522b)에 평행한 제4 벽(1522d).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512)는 예를 들어 반구형 또는 절반이 타원체 형태인 둥근 모양이다.
싱크대(1500)는 세척대야(1512)의 테두리(1566) 상에 한 쌍의 평행한 셔터 트랙(1562)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셔터 트랙(1562)은 각각 제1 벽(1522a) 및 제3 벽(1522c)의 상부에 위치된다(제3 벽(1522c) 상부의 셔터 트랙만이 표시되어 있음). 셔터(1516)는, 셔터 트랙(162) 상의 셔터(156)의 슬라이딩과 유사하게 셔터 트랙(1562)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제4 벽(1522d)의 상단은, 제2 벽(122b) 및 주방 조리대(102)와 유사하게 주방 조리대(1502)로부터 좁은 간격(도시되지 않음)만큼 떨어져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벽(1522d)에 인접하여) 셔터(1516)가 주방 조리대(1502) 아래에 수납되는 제1 배치로부터/제1 배치로 상기 제2 배치로/상기 제2 배치로부터 전환할 때, 셔터(1516)는 아래에 더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좁은 간격을 통하여 슬라이딩된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500)의 위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셔터(1516)는 세척대야(1512)가 위로부터 유체적으로 실링된 제2 배치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셔터(1516)의 셔터 상부면(162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500)의 하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벽 개구(1532) 및 베이스부 개구(1542)는 (가정용)용수설비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대야(1512)는 수평 벽 채널들(1702)을 포함하며, 각 채널은 yz 평면 또는 zx 평면에 평행한 한 쌍의 표면을 형성하는데 이는 벽들(1522) 중 하나와 일치하는 제1(및 내부) 표면과 세척대야(151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2 (및 외부)면이다. 예를 들어, 제1 벽(1522a) 상의 벽 채널(1702a)은 제1 벽(1522a)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zx 평면에 평행한) (제2) 표면(1706a)을 포함하며, 제2 벽(1522b) 상의 벽 채널(1702b)은 제2 벽(1522b)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또한 yz 평면에 평행한) 제(2) 표면(1706b)을 포함한다. 각 벽 채널(1702)은 그 각 내부 표면상에 벽 개구(1532)로부터의 복수의 벽 개구들을 포함한다. 세척대야(1512)는 xy 평면에 평행한 한 쌍의 표면을 각각 형성하는 베이스 채널들(1704)을 더 포함하는데, 그 제1 (및 내부) 표면은 베이스부(1524)와 일치하고 제2 (및 외부) 표면은 베이스부(1524)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다.
싱크대(1500)는 채널 파이프(1710)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 파이프 (1710)는 그 일단에서 벽 채널들(1702) 또는 베이스 채널들(1704) 각각에 유체 연결되고, 타단에서 다방향 밸브(1712)의 각 출구 포트(도면 부호가 매겨져 있지 않음)에 유체 연결된다. 다방향 밸브(1712)는 물 유입 파이프(1716) 및 탭(1720)(주방 조리대(1502) 뒤의 주방 벽에 위치됨)을 통해 용수 설비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물이 물 가열 탱크(1750)에서 목표 온도, 예를 들어 90 ℃에 도달한 후에,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되면, 뜨거운 유체가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다방향 밸브(1712)로 흐른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다방향 밸브(1712)를 위한 14 개의 포트가 있다.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용수 설비로부터의 물은 물 유입 파이프(1716)를 통해 다방향 밸브(1712) 상으로 흐르고, 이 밸브는 물을 채널 파이프들(1710)로 제어 가능하게(및 때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분배한다. 각각의 채널 파이프(1710)로부터 물이 벽 채널들(1702) 또는 베이스 채널들(1704)의 각각으로 흘러(벽 개구들(1532)의 각 개구 또는 베이스 개구들(1542)의 각 개구를 통해) 워터 제트로서 세척대야(1512) 내로 토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1500)는 3방향 밸브인 재순환 밸브(1732), 및 파이프(1744)를 통해 다방향 밸브(1712)에 유체 연결된 재순환 펌프(1740)를 더 포함한다. 재순환 밸브(1732)는 그 입구 포트에서 배수구(1534)와 유체 연결되어 제1 흐름 배치와 제2 흐름 배치 사이에서 제어 가능하게 전환될 수 있게 한다. 제1 흐름 배치에서, 배수구(1534)는 (재순환 밸브(1732)의 제1 출구 포트를 통해) 배수 파이프(1538)에 유체 연결되고 재순환 펌프(1740)로부터 유체 분리되어(재순환 밸브(1732)의 제2 출구 포트가 폐쇄됨), 배수구(1534)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배수 파이프(1538)를 통해 하수구로 이어진다. 특히, 표준 싱크대(즉, 식기 세척기가 아닌)로 사용될 때, 싱크대(1500)는 제 1 흐름 배치에 위치한다. 제2 흐름 배치에서, 배수구(1534)는 (재순환 밸브(1732)의 제2 출구 포트를 통해) 재순환 펌프(1740)에 유체 연결되고 배수 파이프(1538)로부터 유체 분리되어(재순환 밸브(1732)의 제1 출구 포트는 폐쇄됨), 배수구(1534)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재순환 펌프(1740) 상으로 계속되고, 그로부터 (재순환 펌프(1740)와 다방향 밸브(1712)의 유체 연결로 인해) 다시 세척대야(1512)로 펌핑된다. 상기 제2 흐름 배치는 세척 사이클 동안 폐쇄된 유체 순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척대야(1512) 내 식기 및 조리기구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유체는 배수된 후 다시 세척대야(1512)로 향하는 것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과 세척 세제(및 선택적으로 물이 가열되는 실시예에서의 전기 소비)를 모두 절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싱크대(1500)는 물 가열 탱크(1750) 및 3방향 밸브(1754)를 포함한다. 3방향 밸브(1754)는 물 유입 파이프(1716)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어, 탭(1720)으로부터의 물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다. 3방향 밸브(1754)는 다방향 밸브(1712) 및 제1 유출 파이프 (1762)를 통하여 물 유입 파이프(1716)를 벽 채널(1702) 및 베이스부 채널(1704)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하고, 또한 제2 유출 파이프(1764)를 통하여 물 유입 파이프를 물 가열탱크(1750)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3방향 밸브(1754)는 다방향 밸브(1712) 및 물 가열 탱크(1750)에 대한 물 유입 파이프(1716)의 동시적인 유체 연결을 허용하여(탭(1720)으로부터) 각각으로 향하는 물의 유량 비율을 조절한다.
물 가열 탱크(1750)는 다방향 밸브(1712)의 입구 포트(도면 부호 없음)를 통해 다방향 밸브(1712)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다.
싱크대(1500)가 물 가열 탱크(1750)(및 3방향 밸브(1754))를 포함하지 않는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는 (가정용) 온수 설비로부터 공급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도 1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싱크대(1500)는 쓰레기 처리유닛(1770)을 포함한다. 쓰레기 처리유닛(1770)은 그 일단에서 배수구 (1534)에 그리고 타단에서 재순환 밸브(1732)에 유체 연결된다.
싱크대(1500)는 싱크대(100)에 관하여 상술하였던 메인 컨트롤러(302) 및 제2 컨트롤러(402)의 특징을 결합한 전자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컨트롤러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1508)와 통신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전자 컨트롤러는, 다방향 밸브(1712), 재순환 밸브(1732), 재순환 펌프(1740), 물 가열 탱크(1750), 3방향 밸브(1754) 및 쓰레기 처리유닛(1770)의 작동을 제어 및 조정한다.
상기 전자 컨트롤러와, 싱크대(1500)의 다른 구성요소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8), 셔터(1516), 재순환 펌프(17450), 물 가열탱크(1750), 다방향 밸브(1712)(다방향 밸브(1712)가 전자식인 실시예에서)는 가정용 전기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면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싱크대(150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가정용 전기 시스템에 연결하는 전선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1500)는 세척 세제를 제1 배출 파이프(1716) 내로 제어 가능하게 도입하도록 구성된 세척 세제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대야(1512)로 흐르는 냉수와 세척 세제가 혼합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싱크대(1500)는 세척 세제 펌프를 포함하며, 이 세척 세제 펌프는 세척 세제를 제2 유출 파이프(1764) 또는 물 가열 탱크(1750) 내로 제어 가능하게 도입함으로써,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대야(1512) 내로 흐르는 온수와 세척 세제가 혼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출 파이프(1762) 및/또는 제2 유출 파이프(1764)는 이들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물(또는 유체) 내로 염(salt)을 방출하기 위한 염 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싱크대(1800)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를 제공한다. 싱크대(1800)는 싱크대(1500)의 특정 실시예이며, 이 실시예는 (셔터가 폐쇄될 때)셔터(1516) 및 셔터 트랙(1562)이 셔터 상부면(1622) 상에 위치된 물을 배수할 있도록 구성되어, 싱크대(1800)가 세척 사이클 도중에 있을 때도 예컨대 접시를 손으로 씻기 위하여 수도꼭지(1506)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1516) 및 셔터 트랙(1562)은 도 9 내지 도 10c에 도시되고 이에 동반된 기재에서도 설명된 셔터(156) 및 셔터 트랙(162)과 유사하지만, 셔터 트랙 중공부의 각 바닥부들의 바닥상에 있는 유체 출구가 세척대야(1512) 내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상이하다(반면, 중공부 바닥(1134) 상의 유체 출구들(1132), 즉 유체 출구들(1132p 및 1132q)은 내부 챔버(612)를 통하여 세척대야(112) 내로 다시 이어진다). 대신에, 셔터 트랙(1562) 중공부의 각 바닥에 있는 유체 출구는 한 쌍의 배수 덕트(1826)를 통해 배수 파이프(1538)에 유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싱크대(1800)가 폐쇄된 유체 순환이 이루어지는 세척 사이클 도중에 있을 때 수동으로 식기를 세척하는데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유체 출구와 배수 파이프(1538)를 유체 연결시키면, 수도꼭지로부터의 물이 세척대야(1512)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보장하고, 이에 따라 유체가 세척대야(1512) 내에 축적되지 않도록 한다. 세척대야(1512)에 유체가 축적되면, 베이스부(1512) 상에 유체의 층들이 발생되어 컵과 유리잔들의 세척을 잠재적으로 방해하게 되는데, 이는 베이스부 개구(1542)에 의하여 토출되는 (내부로부터 컵 및 유리잔들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직의 유체 제트의 강도가 유체의 층들을 통과함에 따라 감소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대야(1512)는 제2 벽(1522b)과 주방 조리대(1502) 사이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셔터(1512)의 마지막 슬랫의 긴 (및 연결되지 않은) 에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롯은 바닥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며, 이 구멍은 제3의 덕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배수 파이프(1538)에 연결되어, 슬롯으로 흘러들어온 유체를 셔터 상부면(1622)으로부터 배출하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싱크대(1900)를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싱크대(1900)는 싱크대(1500)의 특정 실시예이다. 싱크대(1900)는 제4 벽(1522d)에 인접하고 세척대야(1512)의 상단으로부터(제4 벽(1522d)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하강하는 슬리브(1924)를 포함한다. 슬리브(1924)는 단단한 재료, 예를 들어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셔터(1516)가 제1 배치에 있을 때, 셔터(1516)는 슬리브(1924)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924)는 그 바닥에 배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 덕트(1928)는 그 일단에서 배수 구멍에 그리고 타단에서 배수 파이프(1538)에 유체 연결된다. 배수 덕트(1928)는 슬리브(1924)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배수 덕트(1826)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배수 덕트(1826)와 슬리브(1924)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924)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싱크대(1500)는 배수 덕트(1826)를 포함하지 않으며, 셔터 트랙(1562)은 셔터 상부면(1622)으로부터 슬리브(1924)로 물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1516) 및 셔터 트랙(1562)은, 슬랫(164)에 유사한 일련의 연결된 슬랫을 포함하는 셔터(1516)를 구비한 도 9 내지 도 10c에 도시된 셔터(156) 및 셔터 트랙(162)과 유사하다. 셔터 트랙(1562)이 그 (즉, 셔터 트랙(1562)의) 중공부 바닥면상에 유체 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셔터(1516) 및 셔터 트랙(1562)은 (도 9~도 10c에 도시된) 셔터(156) 및 셔터 트랙(162)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따라서 상기 중공부 상으로 배출된 물은 슬리브(1924) 내로 흘러들어간다. 그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바닥면이 제2 벽(1522b)로부터 제4 벽(1522d)으로 약간 하강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바닥면들은 경사져있다. 이러한 경사는 중공부로부터 슬리브(1924)로의 유체의 배출을 촉진시킨다. 셔터 트랙(1562)의 경사각은 약 1 ° 내지 3 °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트랙(1562)은 제2 벽(1522b)으로부터 제4 벽(1522d)으로 하강하는 것과 같이 약간 경사져 있다. 또한, 제4 벽(1522d)의 상부와 주방 조리대(1502) 사이의 좁은 간극의 치수는, 셔터(1516)가 제2 배치에 있을 때(즉, 셔터(1516)가 닫힐 때) 셔터 상부면(1622)과 주방 조리대(1502) 사이에 얇은 공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된다. 셔터 트랙(1562)의 경사로 인해, 제2 배치에 있을 때 셔터(1516) 또한 기울어져 있어, 셔터 상부면(1622) 상의 물이 셔터 상부면(1622)을 따라 제4 벽(1522d) 쪽으로 흐르고, 셔터 상부면(1622)과 주방 조리대(1502) 사이의 얇은 공간을 통해 슬리브(1924)로 진입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물 가열탱크(1750)는, 싱크대(100)의 스팀 탱크 (308)와 유사하게, 스팀을 생성하고 그 스팀을 세척대야(1512)로 방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1516)는, 도 11에 도시되고 그에 수반되는 설명에 기재된 보울(1300)과 같이, 그 셔터의 슬랫들 중 하나 상에 보울을 부착하기 위한 보어를 포함한다.
싱크대(1500)의 예시적인 세척사이클
싱크대(1500)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싱크대(1500)의 예시적인 세척사이클(2000)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 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세척대야(1512) 내에 식기 랙을 장착하고 그 랙 상에 더러운 식기 및 조리기구를 놓는 단계(2002).
-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척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2006).
- 셔터(1516)가 제1 배치에서 제2 배치로 전환되는 단계(2010)(셔터(1516)는 세척대야(1512)를 위로부터 유체적으로 실링함).
- 3방향 밸브(1754)가 탭(1720)을 (물 유입 파이프(1716) 및 제1 배출 파이프(1716)를 통해) 다방향 밸브(1712) 및 (물 유입 파이프(1716) 및 제2 배출 파이프(1764)를 통해) 물 가열 탱크(1750)에 유체 연결시키는 단계로서 용수설비로부터의 물이 흐르게 되는 단계(2014).
- 다방향 밸브(1712)가 물을 벽 채널(1702) 및 선택적으로 베이스부 채널(1704)로 분배하는 단계(2018).
- 워터 제트가 벽 개구(1532) 및 선택적으로 베이스부 개구(1542)로부터 토출되는 단계(2022).
- 쓰레기 처리유닛 (1770)이 활성화되는 단계(2026).
- 유기물 쓰레기(식품 잔류물)가 배수구(1534)를 통해 쓰레기 처리유닛(1770) 내로 씻겨가는 단계(2030)로서, 유기물 쓰레기가 그 쓰레기 처리유닛 안에서 파쇄되는 단계(2030).
- 물 가열 탱크(1750)가 점진적으로 채워짐에 따라, 물 가열 탱크(1750)가 켜지고,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단계(2034).
- 물 가열 탱크(1750) 내의 온도가 90 ℃에 도달하는 단계(2038).
- 세척 세제가 물 가열 탱크(1750) 내로 도입되는 단계(2040).
- 3방향 밸브(1754)가 용수설비로부터 물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2042).
- 다방향 밸브(1712)가 물 가열 탱크(1750)에 유체 연결되는 단계(2046). 물 가열 탱크(1750)로부터 세척 세제와 혼합된 온수는 다방향 밸브(1712)를 통해 분배되고 벽 개구(1532)를 통하여 또한 선택적으로 베이스부 개구(1542)를 통하여 토출된다.
- 쓰레기 처리유닛(1770)이 냉수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유기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단계(2050).
- 쓰레기 처리유닛 (1770)이 스위치 오프되는 단계(2054).
- 재순환 밸브(1732)가 배수 파이프(1538)을 세척대야(1512)으로부터 유체 분리하고 재순환 펌프(1740)가 켜지는 단계(2058).
- 세척대야(1512)로부터 배출된 온수/유체(세척 유체와 혼합된 물)가 재순환 펌프(1740), 파이프(1744), 물 가열 탱크(1750), 다방향 밸브(1712) 및 벽 개구(1532), 선택적으로 베이스부 개구(1542)를 통해 세척대야(1512)로 재순환되는 단계(2062). 이에 의하여 폐쇄된 온수 순환이 수행된다.
- 물 가열 탱크(1770) 및 재순환 펌프(1740)가 꺼지는 단계(2066).
- 재순환 밸브(1732)가 배수 파이프(1538)를 세척대야(1512)에 유체 재연결시키는 단계(2070). 세척대야는(1512)는 물이 배출된다.
- 세척대야(1512) 내의 식기 및 조리기구가 고온으로 인해 빠르게 건조되는 단계(2074).
-셔터(1516)가 개방되는 단계(2078).
싱크대(100)를 다시 참조하면, 싱크대(100)는 재순환 밸브(1732) 및 재순환 펌프(1740)와 각각 유사한 추가의 밸브 및 추가의 펌프를 포함하여, 싱크대(1500)의 세척사이클(2000)에 관한 기재에서 본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싱크대(100)가 폐쇄된 물순환을 포함하는 세척사이클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싱크대(100)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100)는 셔터(156)가 제1 배치에 있을 때 셔터(156)를 수용하기 위해 슬리브(1924)와 유사한 슬리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156)는 배출 구멍과, 배출 파이프(230)에 유체 연결된 배출 덕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는 유체 출구(1132)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중공부 바닥(1134)이 약간 기울어져, 싱크대(1500)의 셔터 슬리브(1924)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1114) 내의 유체가 상기 셔터 슬리브 내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싱크대(100)는 재순환 밸브(1732) 및 재순환 펌프(1740)와 유사한 추가적인 밸브 및 펌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하며, 셔터(156) 상부의 임의의 유체를, 내부 챔버(612)를 통하여 세척대야(112)로 되돌리는 대신에 셔터 슬리브 내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및 이로부터 하수구로 직접 배출되는 것)에 의하여, 싱크대(100)가 폐쇄된 물/유체 순환이 실행되는 세척 사이클의 도중 단계에 있는 경우에도 수도꼭지(106)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배수구(134)를 통해 배출된 세척 유체가 세척대야(112) 내로 다시 재순환되는 세척 사이클의 단계를 싱크대(100)가 실행할 때, 만약 수도꼭지(106)로부터의 물이 (하수구 대신에) 세척대야(112)로 향하게 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는 베이스부(124) 상에 축적되어 베이스부 개구(148)로부터 토출되는 유체 제트의 강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보울(1300)은 보울(1300)을 셔터(156)에 가역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그 베이스 상에 포함한다. 그러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보울(1300)은 보울(1300)로부터 물을 셔터(156) 상부면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셔터 트랙(162)의 중공부(1114)를 통하여 슬리브(셔터 슬리브)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대(100)가 폐쇄된 세척 사이클로 운용될 때, 보울(13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싱크대(100)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수평 세그먼트(1102)의 중공부의 각각의 바닥 상에 형성된 유체 출구들(예를 들어, 중공부 바닥(1134q)의 유체 출구(1132q))은 내부 챔버(612)로 되돌아 가지 않고 대신 싱크대(1100)의 배수 덕트(1826)와 유사하게 배수 파이프(230)로 이어지는 배수 덕트에 연결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싱크대(100)는 재순환 밸브(1732) 및 재순환 펌프(1740)와 유사한 추가의 밸브 및 추가의 펌프를 더 포함하여, 싱크대(100)가 폐쇄된 물/유체 순환이 수행되는 세척사이클의 도중 단계에 있을 때에도 수도꼭지(106)를 사용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라는 용어는 식기 및 조리기구 모두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잔류물" 및 "유기물 쓰레기"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탱크" 및 "물 가열 탱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랙" 및 "접시 랙"은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명확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예들로 기술된 개시 기술의 어떤 특징들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반대로, 간결성을 위하여 단일 실시예로 기술된 개시 기술의 여러 특징들은 분리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개시 기술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로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의 텍스트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특정한 순서로 설명될 수 있지만, 개시된 방법은 설명된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방법은 기술된 모든 단계 또는 기술된 단계 중 일부만을 포함 할 수 있다. 개시된 방법의 특정 단계는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해당 방법의 필수 단계로 간주되지 않는다.
개시된 기술이 그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존재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구성 요소들 및/또는 방법들의 구성 및 배치의 세부 사항에 관한 적용으로만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가 실시 될 수 있고, 실시예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에서 임의로 참조한 인용문헌 또는 식별사항은 그러한 참조가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섹션 제목이 사용되지만 이는 반드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48)

  1.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로서,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basin)와, 상기 세척대야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척대야를 유체 유동에 대하여 실링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2개의 주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세척대야의 벽의 적어도 일부는 외벽과 내벽을 가지는 이중벽이며,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부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챔버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상기 내벽 상에 챔버 개구를 구비하며,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커버가 상기 세척대야를 실링하며 유체 제트는 상기 챔버 개구를 통하여 상기 세척대야로 토출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중벽 부분을 포함하고, 각 이중벽 부분은 각각의 내부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챔버는 각각의 파이프에 유체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는 하나 이상의 밸브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며, 상기 밸브에 의하여 상기 가압 유체를 상기 내부 챔버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 및 상기 챔버 개구는 상기 세척대야의 복수의 영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타겟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는 전자식이고, 상기 싱크대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의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 챔버들의 순서대로 차례차례 그 내부 챔버들로부터 유체가 순차적으로 토출되거나 또는 하나의 그룹의 내부 챔버들 이후에 다른 그룹의 내부 챔버들로부터 유체가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다방향(multi-way)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방향 밸브는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된 복수의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의 각각은 복수의 인접한 내부 챔버들을 포함하는 이중벽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다방향 밸브의 상기 복수의 출구 포트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 챔버들로부터 토출되는 유체 제트가 회전 방식(rotating pattern)으로 한번에 상기 내부 챔버들 중 하나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에있어서,
    상기 세척대야는 그 베이스부에 배수구(drain)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정 용수 설비(domestic water installation)에 유체 연결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가정 용수 설비의 압력에 비하여 증가된 압력으로 상기 내부 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9. 제 8 항에 있어서,
    물 가열 탱크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베이스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물 가열 탱크는 상기 베이스 개구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 용수 설비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상기 물 가열 탱크에 유체 연결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펌프는 상기 물 가열 탱크 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상기 물 가열 탱크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제2 다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방향 밸브는 그 입구 포트에서 상기 물 가열 탱크와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그 복수의 출구 포트에서 베이스 개구와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가열 탱크는 상기 벽 개구 중 적어도 일부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유체 연결되는 쓰레기 처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 처리유닛은 그 하단부에서 배수 파이프에 유체 연결되며, 상기 배수 파이프는 하수구에 유체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개구는 제1 개구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싱크대는 상기 제1 개구 세트의 아래에 제2 개구 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 세트는 상기 벽들 중 2개의 벽 상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적어도 2개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 세트는 상기 세척사이클 동안 그 제2 개구 세트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 제트가 상기 세척대야의 베이스부 상의 쓰레기 또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부착된 쓰레기를 배수구로 안내하도록 지향되게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유체 제트는, 상기 제1 개구 세트에 의해 토출된 유체 제트보다 고압인,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로 음식물 쓰레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각각의 유체 제트는 상기 제1 개구 세트에 의해 토출되는 각각의 유체 제트보다 더 넓게 확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7. 제 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순환 밸브 및 재순환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순환 밸브는 상기 쓰레기 처리유닛에 유체 연결되고 또한 상기 배수 파이프 및 상기 재순환 펌프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며, 상기 재순환 펌프는 상기 물 가열 탱크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방향 밸브에 유체 연결되고, 상기 재순환 밸브는 제1 흐름 배치와 제2 흐름 배치 사이에서 전환(switch)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셔터인,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야는 스테인레스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자기(porcelain)로 만들어지거나, 적어도 그 내부 표면상에 스테인레스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자기가 피복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 거리는 약 0.4 cm 내지 2.5 cm 인,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개구는 약 1mm 내지 5mm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상기 물 가열 탱크 및 상기 컨트롤러는 기반시설(infrastructure) 용기 유닛 내에 수용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공급원은 가정 용수 설비인,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야 테두리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장착된 두 개의 길게 연장된 셔터 트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트랙은 그 셔터 트랙 상에서 상기 셔터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 셔터 트랙이 두 개의 배치 사이에서 전환되며,
    상기 각 셔터 트랙은 각 셔터 트랙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 및 셔터 트랙은 상기 셔터의 셔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셔터 트랙에 도달하는 유체가 상기 셔터 트랙상의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복수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슬랫(slat)들을 포함하고, 상기 슬랫의 단부는 상기 셔터 트랙에 각각 장착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셔터 트랙은 리세스(recess) 및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리세스 바닥면, 리세스 벽 및 리세스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바닥면은 상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중공부로 이어지며;
    중공부 바닥은 상기 세척대야 또는 하수구에 유체 연결된 유체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슬랫들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랫들은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피크(peak)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슬랫들의 쌍은 그 슬랫 쌍의 사이에 홈통(trough)을 형성하며, 상기 슬랫들의 단부 상에서 상기 홈통과 상기 리세스 상부면은 유체가 상기 리세스 내로 흘러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은 상기 셔터 트랙에서의 상기 셔터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슬랫의 단부 상에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들은 회전을 위하여 볼 또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리세스 벽의 각각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가압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 에있어서,
    상기 각 유체 출구는 배수 덕트를 통해 하수구에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0.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이거나, 수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1.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2. 제 1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방 조리대 아래에서 그 조리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셔터가 개방 될 때 상기 셔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바닥에 배수 구멍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4.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로서,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 및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대야는 세척대야의 벽 상에 벽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벽 개구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며,
    상기 세척대야가 덮여지지 않은 제1 배치와, 상기 셔터가 상기 세척대야의 상부로부터 세척대야를 유체 유동에 대하여 실링하는 제2 배치의, 2개의 배치 사이에서 상기 셔터가 제어 가능하게 전환될 수 있고,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셔터는 제2 배치에 있으며 유체 제트는 상기 벽 개구를 통해 상기 세척대야로 토출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야는 그 세척대야의 베이스부에 배수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야 테두리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길게 연장된 셔터 트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트랙은 그 셔터 트랙 상에서 상기 셔터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 셔터 트랙이 두 개의 배치 사이에서 전환되며,
    상기 각 셔터 트랙은 각 셔터 트랙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 및 셔터 트랙은 상기 셔터의 셔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셔터 트랙에 도달하는 유체가 상기 셔터 트랙상의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복수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슬랫(slat)들을 포함하고, 상기 슬랫의 단부는 상기 셔터 트랙에 각각 장착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8. 제 3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셔터 트랙은 리세스 및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리세스 바닥면, 리세스 벽 및 리세스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바닥면은 상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중공부로 이어지며;
    중공부 바닥은 상기 세척대야 또는 하수구에 유체 연결된 유체 출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슬랫들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랫들은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피크를 포함하며, 인접한 슬랫들의 쌍은 그 슬랫 쌍의 사이에 홈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슬랫들의 단부 상에서 상기 홈통과 상기 리세스 상부면은 유체가 상기 리세스 내로 흘러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은 상기 셔터 트랙에서의 상기 셔터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슬랫의 단부 상에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0. 제 3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롤러들은 회전하도록 구성된 볼 또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리세스 벽의 각각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가압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1.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체 출구는 배수 덕트를 통해 하수구에 유체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2. 제 34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이거나, 수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3. 제 34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스테인레스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된,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4. 제 34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방 조리대 아래에서 그 조리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셔터가 개방될 때 상기 셔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바닥에 배수 구멍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6.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로서,
    상기 싱크대는, 세척대야와, 상기 세척대야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척대야를 유체 유동에 대하여 실링하기 위한 커버와, 쓰레기 처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대야는 세척대야의 벽 상에 벽 개구를 포함하고 또한 세척대야의 베이스부에 체로 걸러지지 않은(non-sieved)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벽 개구는 가압 유체 공급원에 제어 가능하게 유체 연결되고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수구는 상기 쓰레기 처리유닛에 유체 연결되며,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커버가 상기 세척대야를 실링하며 유체 제트는 상기 벽 개구를 통하여 상기 세척대야로 토출되고, 상기 유체 제트의 적어도 2개는 상기 세척대야의 베이스부 상의 쓰레기 또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부착된 쓰레기를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수구로 안내하도록 향해지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수구로 쓰레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유체 제트는 나머지 유체 제트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토출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4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체로 걸러지지 않은 배출구로 쓰레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유체 제트는, 상기 벽들의 적어도 2개의 마주보는 벽의 각각의 바닥에 위치한, 또는 각각의 상기 바닥의 근처에 위치한 벽 개구로부터 토출되는,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KR1020197030875A 2017-09-05 2017-09-05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KR202000497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L2017/050994 WO2019049122A1 (en) 2017-09-05 2017-09-05 SINKS INCORPORATING DISHWASHER FUNCTIONA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02A true KR20200049702A (ko) 2020-05-08

Family

ID=6563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875A KR20200049702A (ko) 2017-09-05 2017-09-05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88478B2 (ko)
EP (1) EP3496587B1 (ko)
JP (1) JP6717936B2 (ko)
KR (1) KR20200049702A (ko)
CN (1) CN109843141B (ko)
IL (1) IL266387B (ko)
WO (1) WO20190491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33B1 (ko) * 2021-08-18 2022-09-23 정경대 음식물 처리 및 초음파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3160A1 (en) * 2017-12-07 2019-06-13 As America, Inc. Self-cleaning sink
CN110326909A (zh) * 2019-07-17 2019-10-15 杭州金心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污水作为动力的自干燥节能环保型橱柜
US11549249B2 (en) 2019-10-08 2023-01-10 InSinkErator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status of a waste disposer
CN115397285A (zh) * 2020-04-14 2022-11-25 纽珀有限公司 承载件、家具组合部件、家具和对应的应用
US20220178122A1 (en) * 2020-12-09 2022-06-09 Kohler Co. Sink system
US20230180990A1 (en) 2021-12-13 2023-06-15 Champion Industries, Inc. Soaker sinks and fluid distribution assemblies
US20240068212A1 (en) * 2022-08-31 2024-02-29 Kohler Co. Rinsing lavato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162A (en) 1986-09-29 1990-04-24 Mcilwraith Davey Pty. Ltd. Dishwasher
GB2348117A (en) 1999-01-19 2000-09-27 Procter & Gamble Sink apparatus for providing cleaning benefits by self agitation
US20120103364A1 (en) 2010-11-02 2012-05-03 Ecolab Usa Inc. Combination dishwashing machine and sink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4634A (en) * 1919-10-13 1922-05-02 Fassio Julius Dishwashing machine
GB929348A (en) * 1960-10-05 1963-06-19 Rubery Owen &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domestic sinks
US3356097A (en) 1965-05-21 1967-12-05 Schaap Theodore Combination disposal and washer
JPH0639637Y2 (ja) 1988-05-14 1994-10-19 賢一 采沢 小型食器洗浄機
JPH0634777Y2 (ja) 1988-07-18 1994-09-14 幹生 相馬 食器洗浄機
JPH0535038U (ja) 1991-10-17 1993-05-1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家具に収容可能な俎
US5447630A (en) 1993-04-28 1995-09-05 Rummler; John M. Materials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JP2000220174A (ja) 1999-02-01 2000-08-08 Misawa Homes Co Ltd 設備用キャビネット
US7028697B2 (en) * 2002-05-03 2006-04-18 Whirlpool Corporation In-sink dishwasher
KR100871069B1 (ko) * 2007-01-29 2008-11-27 나필찬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JP2009213822A (ja) 2008-03-13 2009-09-24 Toto Ltd 食器洗浄機とディスポーザの統合制御装置
KR101218210B1 (ko) * 2010-09-07 2013-01-08 주식회사 소냐테크 다기능 싱크대
CN203207984U (zh) * 2012-05-22 2013-09-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US9713414B2 (en) * 2013-06-21 2017-07-2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a conduit framework
KR20150057058A (ko) 2013-11-18 2015-05-28 김태형 싱크대용 식기세척기
US20150369471A1 (en) 2014-06-23 2015-12-24 General Electric Company Waste disposal with associated lighting
KR101570844B1 (ko) * 2014-07-29 2015-11-20 주식회사 수성개발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JP6437418B2 (ja) 2015-11-02 2018-12-12 有限会社高橋シンク製作所 食洗機能付きシンク
KR20180088205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대
CN107307827B (zh) 2017-08-25 2024-02-06 冯秦 用于对餐具进行清洗的装置及其固定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162A (en) 1986-09-29 1990-04-24 Mcilwraith Davey Pty. Ltd. Dishwasher
GB2348117A (en) 1999-01-19 2000-09-27 Procter & Gamble Sink apparatus for providing cleaning benefits by self agitation
US20120103364A1 (en) 2010-11-02 2012-05-03 Ecolab Usa Inc. Combination dishwashing machine and s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33B1 (ko) * 2021-08-18 2022-09-23 정경대 음식물 처리 및 초음파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3141B (zh) 2022-03-04
EP3496587B1 (en) 2021-06-30
IL266387A (en) 2019-06-30
US20190133406A1 (en) 2019-05-09
IL266387B (en) 2020-06-30
JP2020501616A (ja) 2020-01-23
CN109843141A (zh) 2019-06-04
JP6717936B2 (ja) 2020-07-08
EP3496587A4 (en) 2020-04-15
US10588478B2 (en) 2020-03-17
WO2019049122A1 (en) 2019-03-14
EP3496587A1 (en)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9702A (ko) 식기 세척기 기능이 통합된 싱크대
US9265398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CA2674501C (en) Dishwasher having multi-mode spray arm system
CA2534126C (en) Multiple spray arm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20100224223A1 (en) Dishwasher with a drive motor for filter or spray arm
US7677239B2 (en) Kitchen-range, an oven and a self-cleaning assembly
WO2010052021A1 (en)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CN113365538A (zh) 便携式洗碗机
KR102076613B1 (ko) 수압과 초음파를 이용한 다기능 식기세척기
KR101465174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WO2010130547A1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mehreren modulen
US20120111376A1 (en) Device for pre-rinsing objects in an appliance utilizing line pressure of a fluid supply
CN212234363U (zh) 用于洗碗机的排水组件和用于排水泵的止回阀组件
CN211559998U (zh) 隐形多功能厨事智能洗洁机
KR20110112990A (ko) 식기 세척 구조
US8337631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EP4009847B1 (en) Tableware hydro-cleaning apparatus
US11857135B2 (en) Dishwasher with rack
US11849900B2 (en) Dishwasher
KR200338654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온수 재활용장치
KR200324605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장치
US20120090650A1 (en) Device and implementation for storing energy in an appliance
CN110881925A (zh) 抽屉式洗碗机
KR20120066506A (ko) 탄성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트레이 구조
JPH02161926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