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675A -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 Google Patents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675A
KR20200049675A KR1020190137395A KR20190137395A KR20200049675A KR 20200049675 A KR20200049675 A KR 20200049675A KR 1020190137395 A KR1020190137395 A KR 1020190137395A KR 20190137395 A KR20190137395 A KR 20190137395A KR 20200049675 A KR20200049675 A KR 2020004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und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conductive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조
김성룡
한승훈
김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0004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포함하되,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sq이고 ASTM D256에 의거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kgfㆍcm/cm 이상인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기재에 따른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충격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CONDUCTIV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S USING ELECTRSTATIC PAINTING}
본 발명은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sq이고 ASTM D256에 의거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kgfㆍcm/cm 이상으로 정전 도장에 적용가능한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열가소성 수지(이하, 'ABS 수지'라 함)는 자동차, 바이크 등의 외장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제품 성형 후 도장 공정을 통해 원하는 색상을 구현한다. ABS 수지에 액체도료로 도장하는 방법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용제를 이용하므로, 이를 대체하여 용제가 필요치 않은 정전 도장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 도장(electrostatic painting)이란 분무상태의 도료에 전하를 부여하고 도장물에 고전압을 가함으로써 도료를 흡착도장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도장물에는 양극을, 분무장치에는 음극을 걸어, 분사되는 도료입자에 (-) 정전기를 띠게 하여 도료입자를 도장물에 흡착시킨다. 정전 도장은 일반적인 스프레이 방법에 비하여 도료손실이 적고, 도장막의 품질이나 성능이 우수하고, 자동설비가 가능하며, 도장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 전도성이 없는 ABS 수지 성형품에 정전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정전 도장 전에 도장물 표면에 전기 전도성 도료를 뿌리는 프라이머 처리를 해야만 한다. 이러한 프라이머 처리를 하는 경우, 프라이머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 공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프라이머 코팅 두께에 따라 도장막의 품질이 달라지며, 도장물의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정전 도장에 의한 도장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에 전도성 물질인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하여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여 도장 공정을 간소화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기계적 물성 특히 충격강도와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에 탄소나노튜브 첨가에 따른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263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기재의 상기의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의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표면이 정전 도장된 정전 도장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례로, 본 기재는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포함하되,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sq이고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kgfㆍ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평균길이 25 내지 500 ㎛ 및 평균입도 10 내지 250 ㎛의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20 내지 250 ℃ 및 150 내지 400 rpm 하에서 용융혼련 및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표면이 정전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기재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에 평균길이 25 내지 500 ㎛ 및 평균입도 10 내지 250 ㎛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충격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고 정전 도장에 적용가능한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기재의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정전 도장용 ABS 수지에 길이와 입도 크기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 탄소나노튜브 등을 포함시키는 경우, 충격강도와 신율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더욱 연구에 매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기재에 의한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기재의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포함하되,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sq이고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kgfㆍ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표면 저항, 충격강도, 신율, 내열성 및 가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256에 의거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내지 20 kgfㆍcm/c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9 kgfㆍcm/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kgfㆍcm/cm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자동차 부품에 적용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본 기재의 전도성 열가소성 수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기본 수지 내에 24 내지 42 중량%,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2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강도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공액디엔 화합물 50 내지 75 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내충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공액디엔 화합물 60 내지 70 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내충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경이 0.05 내지 0.2 ㎛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 및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경이 0.2 ㎛ 초과 내지 0.5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6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정전 도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경이 0.1 내지 0.15 ㎛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 및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경이 0.3 ㎛ 내지 0.4 ㎛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6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정전 도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입경은 다이나믹 레이져 라이트 스케터링 방법으로 미국 Nicomp 사의 Nicomp 370HPL 기기를 이용하여 가우시안 모드로 인텐시티(intensity)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중량평균 분자량 5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60,000 내지 150,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은 일례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레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하는 방법은 일례로 공액디엔 고무 50 내지 75 중량%, 유화제 0.1 내지 5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05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용액에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연속 또는 일괄 투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량%는 공액디엔 고무,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총 중량을 100 중량%로 기준 삼은 것이고, 중량부는 공액디엔 고무,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총 중량을 100 중량부로 기준 삼은 것이다.
상기 유화제는 일례로 알릴 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리 메틸 알킬 설포네이트, 설포네이트화 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 비누 및 로진산 알카리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중합 반응의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t-도데실 메르캅탄, n-도데실 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및 사염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t-도데실 메르캅탄이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일례로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및 과황산 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효율적으로 유화중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된 라텍스는 일례로 황산, MgSO4, CaCl2 또는 Al2(SO4)3 등의 응집제로 응집한 후 탈수,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얻을 수 있다.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기본 수지 내에 일례로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내열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α-메틸 스티렌 6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α-메틸 스티렌 65 내지 7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 내지 150,000 g/mol, 바람직하게는 70,000 내지 140,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120,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이 우수하고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공중합체 1 g을 온도 4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여 제조한 뒤, 다공성 실리카로 충진된 겔크로파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폴리스티렌(PS)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한 후 분자량을 측정한다.
상기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α-메틸 스티렌 6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반응형 유화제 0.1 내지 3.0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유화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형 유화제는 일례로 술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sulfoethyl methacrylate),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소디움 스티렌 술포네이트(sodium styrene sulfonate), 소디움 도데실 알릴 술포숙시네이트(sodium dodectyl allyl sulfosuccinate), 스티렌과 소디움 도데실 알릴 술포숙시네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암모늄 술페이트류(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ammonium sulfate), 알케닐 C16-18 숙신산 디-포타슘염(alkenyl C16-18 succinic acid di-potassium salt) 및 소디움 메트알릴 술포네이트(sodium methallyl sulf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일례로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합에서 사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기본 수지 내에 일례로 12 내지 62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62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비닐시안 화합물 25 내지 35 중량% 및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방향족 비닐 화합물 6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180,000 g/mol, 바람직하게는 60,000 내지 150,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0 내지 120,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불포화 카르복실산,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말레이드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을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단량체가 추가되어 중합된 공중합체의 경우에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은 일례로 말레인산,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은 일례로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일 수 있으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일례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로 N 치환된 말레이미드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N-페닐 말레이미드,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0 중량%를 연속괴상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d) 탄소나노튜브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저항을 낮춰 전도성을 높이기 때문에, 프라이머 처리 없이도 열가소성 수지의 정전 도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은 전기방전법(Arc-discharge), 열분해법(pyrolysis),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 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전기분해법, 화염(flame) 합성법 등이 있으나, 본 기재에서 사용된 탄소나노튜브는 합성 방법에 관계없이 얻어진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그 벽의 개수에 따라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 wall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 절두된 원뿔형의 그래핀(truncated graphene)이 다수 적층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 형태를 가진 탄소나노섬유(cup-stacked carbon nanofiber)로 나눌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일례로 1.4 내지 2.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5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여 정전 도장을 가능하게 하면서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일례로 평균길이 25 내지 500 ㎛ 및 평균입도 1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평균길이 25 내지 300 ㎛ 및 평균입도 50 내지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길이 30 내지 100 ㎛ 및 평균입도 100 내지 23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길이 30 내지 50 ㎛ 및 평균입도 150 내지 220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하여 전기전도성이 향상되며 충격강도, 신율 및 내열성이 뛰어나고 외관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길이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성이 향상되나 일례로 100 ㎛ 초과인 경우 사출품 표면에 핀홀 발생이 증가하여 외관 품질이 저하되고 충격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입도가 감소할수록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전기전도성, 물성 및 외관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나, 일례로 100 ㎛ 미만인 경우 압출 공정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비산성이 증가되어 원하는 함량으로 투입하기가 어려워 최종 제품에서 불량 발생이 증가되어 공정 성능이 저하된다.
본 기재에서 평균입도는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한 후 크기에 따른 입자의 상대적인 누적 양을 곡선으로 나타낸 입도분포 곡선에서 d50에 해당하는 값을 평균입도로 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일례로 평균 직경이 10 내지 50nm, 또는 10 내지 30n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n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nm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길이 및 평균 직경은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30개의 탄소나노튜브의 평균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일례로 종횡비가 1500 내지 2500, 바람직하게는 1600 내지 2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 내지 22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900 내지 210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전기 전도성 부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종횡비는 직경(D) 대비 길이(L)의 비율(L/D)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일례로 번들(bundle) 형태의 CNT 응집체(CNT agglomerate)이고, 이 경우에 분산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및 신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CNT 응집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CNT 응집체로 지칭될 수 있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인 예로 2 이상의 탄소나노튜브 가닥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교차점을 가지고 응집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CNT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활제, 열안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기 전도성이 부여되면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왁스, 실리콘 오일 및 스테라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일례로 디메틸 실리콘 오일, 메틸 하이드로겐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하이드록시 실리콘 오일, 카비놀 변성 실리콘 오일, 비닐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일례로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tris (nonylphenyl) phosphite),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tris (2,4-di-t-butyl phenyl) phosphite; TBPP), 2,4,6-트리-tert-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포스파이트(2,4,6-tri-tert-butylphenyl-2-butyl-2-ethyl-1,3-propanediol phosphite), 디이소데실 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diisodec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디스테아릴 펜타에리쓰 리톨 디포스파이트(distear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비스 (2,4-디-t-부틸페닐) 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bis (2,4-di-t-but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PEP24), 비스(2,4-디-큐밀페닐) 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bis (2,4-di-cum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및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1,1-바이페닐]-4,4'-디일 비스포스포나이트(tetrakis(2,4-di-tert-butylphenyl)[1,1-biphenyl]-4,4'-diyl bisphosph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드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열변형 온도(18.6kgf 하중)가 94 ℃ 이상, 바람직하게는 94 내지 1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2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6 내지 100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자동차 부품에 적용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신율(크로스헤드 스피드 10mm/min)이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4%,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8%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자동차 부품에 적용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kg 하중에서 10분간 측정한 유동지수가 4 내지 16 g/10min,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g/10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g/10min,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g/10mi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물성 밸런스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평균길이 25 내지 500 ㎛ 및 평균입도 10 내지 250 ㎛의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20 내지 250 ℃ 및 150 내지 400 rpm 하에서 용융혼련 및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충격강도, 신율 및 내열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용융혼련 및 압출시키는 단계는 일례로 220 내지 240 ℃ 및 250 내지 400 rpm, 바람직하게는 225 내지 235 ℃ 및 300 내지 400 rpm 하에서 진행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용융혼련 시, 일례로 열안정제, 활제, 열안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기 전도성이 부여되면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용융혼련은 일례로 기본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일괄적으로 용융혼련하는 방법; 또는 기본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마스터 펠릿)을 만들고, 이어서 규정 함량이 되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 및 기본 수지를 첨가하여 용융혼련하는 방법(마스터 펠릿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용융혼련은 기본 수지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호퍼로 투입하고, 탄소나노튜브를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사용하여 압출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에 탄소나노튜브의 파손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용융혼련 및 압출 단계를 통한 압출물은 일례로 펠렛 형태를 갖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펠렛 형태의 압출물은 일례로 70 내지 80 ℃에서 3 내지 5 시간 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사출성형 할 수 있다.
상기 펠렛 형태의 압출물은 일례로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출성형은 일례로 21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215 내지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30 ℃ 및 50 내지 100bar,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bar;의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전기 전도성 및 표면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사출성형 조건은 일례로 전단 변형속도 50 s-1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s-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s-1 내지 3000 s-1인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사출 성형품은 일례로 정전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정전 도장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전 도장은 도료를 분무 상태로 하여 전하를 부여하고 도장물(도장 전 사출성형품)에 고전압을 가함으로써 도료를 흡착 도장하는 방법으로서, 방전 전극에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이것에 의해 방출된 전자가 도료에 부착하여 도료가 마이너스 전기를 띠고, 이 때문에 도료가 플러스 전위로 되어 있는 도장물에 흡착되어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d) 탄소나노튜브 등은 상술된 내용을 따르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기재의 정전 도장 성형품은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표면이 정전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성형품의 표면에 균일한 도장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전 도장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커버, 또는 사이드 미러 하우징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자동차는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차 또는 이륜차를 지칭한다.
본 기재의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6 내지 38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5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d) 평균길이 25 내지 35 ㎛ 및 평균입도 210 내지 225 ㎛의 탄소나노튜브 응집체(CNT agglomerate) 1.5 내지 2 중량부; 및 (e) 열안정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2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되,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sq이고 ASTM D256에 의거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kgfㆍ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충격강도, 신율 및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d) 탄소나노튜브, 및 (e) 열안정제 및 활제 등은 상술된 내용을 따르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하, 본 기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기재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 A(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 75,000 g/mol인 ABS 수지(폴리부타디엔 고무 함량이 60 중량%; LG 화학, DP280)
* B(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α-메틸 스티렌 66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28 중량% 및 스티렌 6 중량%가 공중합된 AMS 내열수지(중량평균분자량 95,000 g/mol; LG 화학, 99UH)
* C(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32 중량% 및 스티렌 68 중량%가 공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88,000 g/mol; LG 화학, 95RF)
* (d)-1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평균길이 30 ㎛, 평균입도 218 ㎛ 및 평균 직경 15nm인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 (d)-2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평균길이 10 ㎛, 평균입도 546 ㎛ 및 평균 직경 10 내지 15nm인 탄소나노튜브 응집체(금호석유화학, Knanos-210P)
* (d)-3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평균길이 15 ㎛, 평균입도 319 ㎛ 및 평균 직경 10 내지 15nm인 탄소나노튜브 응집체(Nanocyl, NC-7000)
* (d)-4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평균길이 100 ㎛ 초과, 평균입도 218 ㎛ 및 평균 직경 15nm인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 (d)-5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평균길이 30 ㎛, 평균입도 100 ㎛ 미만 및 평균 직경 5nm인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실시예 1
ABS 수지 28 중량%, AMS 내열수지 20 중량% 및 SAN 수지 5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d)-1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1.5 중량부를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30 ℃ 및 360 rpm 하에서 용융혼련 및 압출하였으며, 상기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 형태의 압출물을 80 ℃에서 4시간 건조시킨 후 엥겔(Engel) 사출기에서 사출온도 230 ℃, 금형온도 60 ℃ 및 사출속도 30mm/sec의 조건 하에서 사출성형하여 각종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7, 비교예 1 내지 9 및 참조예 1 내지 2
실시예 1에서 ABS 수지, AMS 내열수지, SAN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 응집체를 하기 표 1 내지 4의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17, 비교예 1 내지 9 및 참조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 표면저항(ohm/sq): ASTM D257에 의거하여 100mm × 100mm × 30mm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SRM-110)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 아이조드 충격강도(kgfㆍcm/cm): 시편 두께 1/4"을 이용하여 23 ℃하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인장신율(10mm/min, %):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테스트 기기인 U.T.M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100 ㎜/min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을 측정한 후, 신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신율 (%) = 신장 후 길이 / 초기 길이 × 100
* 열변형 온도(HDT; ℃): 시편을 이용하여 표준 측정 ASTM D648에 의거하여 18.6kgf/cm2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 유동지수(g/10min):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 10kg 하중에서 10분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9
A 28 28 28 28 25 31 34 37 40
B 20 20 20 20 20 20 20 20 20
C 52 52 52 52 55 49 46 43 40
(d)-1 1.5 1.75 2.0 2.25 1.5 1.5 1.5 1.5 1.5
표면저항 109~11 109~11 108~10 108~10 109~11 109~11 109~11 109~11 109~11
아이조드
충격강도
11 10 10 9 9 12 13 16 19
인장신율 25 21 22 20 18 28 28 32 34
유동지수 10 9 8 7 11 9 8 7 5
HDT 97 97 97 97 97 96 96 95 94
구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A 28 28 28 28 28 28 28 28
B 10 15 25 30 35 40 50 60
C 62 57 47 42 37 32 22 12
(d)-1 1.5 1.5 1.5 1.5 1.5 1.5 1.5 1.5
표면저항 109~11 109~11 109~11 109~11 109~11 109~11 109~11 109~11
아이조드
충격강도
10 11 11 11 11 11 11 12
인장신율 23 23 25 23 25 24 24 25
유동지수 15 12 9 8 8 7 5 5
HDT 95 96 98 98 99 100 101 102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6
A 28 28 28 28 28 22
B 20 20 20 20 20 20
C 52 52 52 52 52 58
(d)-1 - 1.0 3.0 1.5
(d)-2 - 1.5
(d)-3 - 1.5
표면저항 > 1013 1010~13 1011~13 1011~13 106~7 109~11
아이조드 충격강도 25 7 6 13 6 6
인장신율 40 20 15 27 12 14
유동지수 18 8 7 11 5 13
HDT 96 97 96 97 97 98
구분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참조예 1 참조예 2
A 50 28 28 28 28
B 20 2 70 20 20
C 30 70 2 52 52
(d)-1 1.5 1.5 1.5
(d)-2
(d)-3
(d)-4 1.5
(d)-5 1.5
표면저항 1010~12 109~11 109~11 108~10 109~10
아이조드 충격강도 21 8 14 7 12
인장신율 38 21 26 15 30
유동지수 2 18 3 12 8
HDT 92 93 105 97 97
상기 표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7은 인장신율, 열변형 온도 및 유동지수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본 기재를 벗어난 비교예 1 내지 9는 표면저항, 인장신율, 열변형 온도 또는 유동지수가 낮았다. 특히, 유동지수가 매우 낮은 비교예 7, 9은 가공성이 열악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평균길이가 100 ㎛ 초과인 참조예 1 및 평균입도가 100 ㎛ 미만인 참조예 2는, 탄소나노튜브 함량이 동일하고 평균길이와 평균입도가 본 발명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충격강도 또는 유동지수가 저하되었다. 특히, 참조예 2는 압출 공정 시 탄소나노튜브의 비산성 증가로 인해 정량 투입이 어려워 최종 제품에서 불량이 증가한 문제가 있었다.

Claims (16)

  1.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포함하되,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sq이고 ASTM D256에 의거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 ℃)가 9 kgfㆍ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탄소나노튜브는 평균길이 25 내지 500 ㎛ 및 평균입도 1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CNT 응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이 10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종횡비가 1500 내지 2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고무 50 내지 75 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경이 0.05 내지 0.2 ㎛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경이 0.2 ㎛ 초과 내지 0.5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6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α-메틸 스티렌 6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열안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 온도(18.6kgf 하중) 94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신율(크로스헤드 스피드 10mm/min)이 1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4 내지 42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및 (d) 평균길이 25 내지 500 ㎛ 및 평균입도 10 내지 250 ㎛의 탄소나노튜브 1.4 내지 2.3 중량부를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20 내지 250 ℃ 및 150 내지 400 rpm 하에서 용융혼련 및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고, 표면이 정전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도장 성형품은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커버, 또는 사이드 미러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16. (a)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28 내지 38 중량%, (b) α-메틸 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c) α-메틸 스티렌이 제외된 비닐시안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5 내지 62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100 중량부; (d) 평균길이 25 내지 35 ㎛ 및 평균입도 210 내지 225 ㎛의 탄소나노튜브 응집체(CNT agglomerate) 1.5 내지 2 중량부; 및 (e) 열안정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2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되,
    ASTM D257에 의거하여 10cm × 10cm × 3mm인 사각 시편을 표면저항 측정기로 측정한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ohm이고 ASTM D256에 의거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1/4", 23℃)가 9 kgfㆍ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190137395A 2018-10-31 2019-10-31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KR202000496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2119 2018-10-31
KR1020180132119 2018-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675A true KR20200049675A (ko) 2020-05-08

Family

ID=7067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395A KR20200049675A (ko) 2018-10-31 2019-10-31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57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36B1 (ko) 2006-11-24 2011-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36B1 (ko) 2006-11-24 2011-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57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1347B2 (en) Masterbatches for preparing composite materials with enhanced conductivity properties, process and composite materials produced
JP6386114B2 (ja) 伝導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Ma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and super-tough polypropylen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prepared by melt compounding
KR20090073978A (ko) 표면 질감이 우수한 저광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Roh et 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ite/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nanocomposites
CN112538219A (zh)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627580A (zh) 一种浅色永久抗静电改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JP6076542B2 (ja) 導電性及び衝撃強度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08576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49675A (ko)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 도장 성형품
CN112226058B (zh) 抗静电导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35926B1 (ko) 도금 밀착력이 향상된 수지 조성물
WO2017065542A1 (ko) 정전 도장용 플라스틱 기재의 제조방법
KR1016742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도금 성형품
KR101228347B1 (ko) 영구 대전 방지성을 가진 고광택 내스크래치성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2367060B1 (ko)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TW201341444A (zh) 靜電塗裝用樹脂成形體
KR100379877B1 (ko) 피로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10122603A (ko) 전기전도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KR1021600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6261A (ko)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성형품
CN110551377A (zh) 高性能无卤阻燃pc/碳纳米管导电材料及其产品
KR10201210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20053857A (ko) 도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JP202350434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