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563A -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 Google Patents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563A
KR20200048563A KR1020180130747A KR20180130747A KR20200048563A KR 20200048563 A KR20200048563 A KR 20200048563A KR 1020180130747 A KR1020180130747 A KR 1020180130747A KR 20180130747 A KR20180130747 A KR 20180130747A KR 20200048563 A KR20200048563 A KR 20200048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polyol
polyol resin
clear coat
weight
coa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은
원정식
이정도
이평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13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563A/ko
Publication of KR2020004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보수용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2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높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낮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소량 포함함으로써 상도 도막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부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PAINT COMPOSITION FOR CLEAR COAT, AND TWO-COMPONENT TYPE PAINT KIT FOR CLEAR COA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보수용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외판은 도막의 열화 및 녹 발생이 없어야 하고, 도막의 광택이나 색채를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도장공정은 통상적으로 전처리 공정을 거친 차체를 전착 도장한 후 밀착성 및 평활성의 향상을 위해 중도 도장을 실시하고, 차체의 미관을 위해 중도 도장된 차체에 상도 도장을 실시한다. 이후, 상도 도막의 색상을 보호하고 외관을 좋게 하며 외부로부터 도막을 보호하기 위해 클리어 도막층을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자동차 보수용 도료의 클리어 도막층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된 도막을 샌딩 작업 등을 이용하여 손상된 도막을 제거한 후, 기존에 도장된 도막 위에 다시 중도, 상도 및 클리어의 도장을 실시하는 것으로, 새로 도장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도막의 기계적 물성 등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클리어 도막층 형성용 도료로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실란트계, 아크릴계 등 다양한 수지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은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강도 및 부착력은 우수하나 건조시간이 길고, 특히 저온에서 현저히 긴 건조시간을 가지며 제조된 도막의 신율이 부족하여 재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내후성이 열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우레탄계 도료 조성물은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유연성은 우수하나 건조시간이 길어 클리어 도장 작업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실란트계 도료 조성물은 건조시간이 길고 건조시 가소제가 도막 표면으로 용출되어 클리어 도막의 외관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아크릴계 도료 조성물은 건조시간은 짧으나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55,621호(특허문헌 1)에는 특정의 수산기값을 갖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폴리에스터 폴리올 수지의 배합물을 주제로 사용하면서, 상기 폴리올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모두에 대해 상용성을 갖는 반응성 실리콘 첨가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된 도막의 젖음성이 우수하여 상도 도막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건조시간이 적절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자동차 보수용 클리어 코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55,621호 (2016. 6. 28.)
본 발명은 상도 도막에 대한 부착력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이 적절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자동차 보수용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를 제공 한다.
본 발명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높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더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2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높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낮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소량 포함함으로써 상도 도막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부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는 상도 도막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부착력이 우수한 도막 형성이 가능한바, 자동차 보수용 클리어 코트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클리어 코트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한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조성물의 도막형성성 및 도막형성시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열경화성 아크릴 폴리올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유리전이온도(Tg) 및 중량평균분자량(Mw)이 더 높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80℃이고,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가 55℃ 내지 7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40℃ 미만인 경우 도료 조성물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80℃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도막의 내스크래치성 불량해 질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g/mol 내지 20,000g/mol이고, 예를 들어 중량평균분자량이 9,500g/mol 내지 15,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g/mol 미만인 경우 도료 조성물의 내충격성 저하될 수 있고, 중량평균반자량이 20,000g/mol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도막의 경도가 불량해 질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OH value, OHv)가 100mgKOH/g 내지 180mgKOH/g이고, 구체적으로, 수산기가가 105mgKOH/g 내지 152mgKOH/g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100mgKOH/g 미만인 경우 도료 조성물의 평활성이 저하될 수 있고, 수산기가가 180g mgKOH/g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도막의 부착성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2 중량부 또는 6.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형성되는 도료 조성물의 건조성 및 평활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특히 더 우수할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조성물의 도막형성성 및 도막형성시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유리전이온도(Tg) 및 중량평균분자량(Mw)이 더 낮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70℃이고,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가 43℃ 내지 6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70℃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도막의 건조성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g/mol 내지 15,000g/mol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g/mol 내지 8,100g/mol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g/mol 미만인 경우 제조된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g/mol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도막의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OH value, OHv)가 50mgKOH/g 내지 90mgKOH/g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가 58mgKOH/g 내지 85mgKOH/g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50mgKOH/g 미만인 경우 도료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수산기가가 90mgKOH/g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도막의 선영성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가는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의 1.1 내지 3.6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가는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의 1.2 내지 2.7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의 1.1 내지 4.0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의 1.2 내지 2.5배일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1:5 내지 1:9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1:6 내지 1:8.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조된 도막의 레벨링성, 평활성 및 경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부 또는 50 내지 6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조된 도막의 평활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용제
상기 용제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클리어 코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계, 알킬벤젠계, 케톤계 및 카보네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부틸 글리콜 아세테이트, 톨루엔, 자일렌,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및 디메틸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40 중량부 또는 27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의 점도 적절하지 않아 작업시 흐름성이 저하되고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총 함량 1에 대하여, 0.1 내지 0.9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총 함량 1에 대하여, 0.3 내지 0.8 또는 0.4 내지 0.7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경화촉매, 광안정제, 레벨링제, 분산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경화촉매, 광안정제, 레벨링제, 분산제 및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정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2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높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낮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소량 포함함으로써 상도 도막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부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는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과 경화제를 3: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는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과 경화제를 3.5:1 내지 4.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아크릴계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유기용제 및 추가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구체예는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의 용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추가성분는 수분흡수제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35 내지 60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35 내지 60중량부의 유기용제 및 0.5 내지 6중량부의 추가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는 상도 도막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부착력이 우수한 도막 형성이 가능한바, 차량의 클리어 코트용으로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구성요소의 성분 및 제품명은 하기표 1에 나타냈다.
구분 화합물명
클리어 코트
조성물
수지 제1-1아크릴 폴리올: NV 60중량%, OHv: 119mgKOH/g, Tg: 64.5℃, Mw: 11,000g/mol
제1-2아크릴 폴리올: NV 60중량%, OHv: 107mgKOH/g, Tg: 55.8℃, Mw: 9,800g/mol
제1-3아크릴 폴리올: NV 60중량%, OHv: 151mgKOH/g, Tg: 71.5℃, Mw: 15,000g/mol
제1-4 아크릴 폴리올: NV 60중량%, OHv: 130mgKOH/g, Tg: 42℃, Mw: 5,100g/mol
제2-1 아크릴 폴리올: NV 65중량%, OHv: 76mgKOH/g, Tg: 50℃, Mw: 7,400g/mol
제2-2 아크릴 폴리올: NV 65중량%, OHv: 58mgKOH/g, Tg: 43℃, Mw: 6,100g/mol
제2-3 아크릴 폴리올: NV 65중량%, OHv: 85mgKOH/g, Tg: 63.6℃, Mw: 8,100g/mol
제2-4 아크릴 폴리올: NV 65중량%, OHv: 75mgKOH/g, Tg: 68℃, Mw: 12,000g/mol
용제 제1 아세테이트계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제2 아세테이트계 용제: 부틸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알킬벤젠계 용제: 자일렌
케톤계 용제: 메틸 이소부틸 케톤
카보네이트계 용제: 디메틸 카보네이트
첨가제 경화촉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제1 광안정제: 하이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 (omnistab uv 1130, Deltachem社)
제2 광안정제: 하이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 (omnistab ls 292, Deltachem社)
레벨링제: 폴리에테르 변형 실리콘 (BYK 331, BYK社)
분산제: 2-메톡시-1-메틸에틸 아세테이트
소포제: 실리콘계 (BYK-072, BYK社)
경화제 수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유래 폴리우레탄 수지
(desmodur vpls 2025/1, Bayer社)
용제 알킬벤젠계 용제: 자일렌
첨가제 수분흡수제 (supersorb ti, 영주양행社)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7. 클리어 코트 조성물의 제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용제 및 첨가제를 하기 표 2 및 3의 함량대로 혼합하여 클리어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제1-1 아크릴 폴리올 수지 8 -  -  - - 8.7 7.5 7.4 6.5 10
제1-2 아크릴 폴리올 수지 - - 8  - 8 - - - - -
제1-3 아크릴 폴리올 수지 - 8 - 8 - - - - - -
제2 -1아크릴 폴리올 수지 58.2   -  - 62.2 57.5 60.7 62.8 50.5 60
제2 -2아크릴 폴리올 수지 - - 60.2 60.2 - - - - - -
제2 -3아크릴 폴리올 수지 - 58.2 - - - - - - - -
제1 아세테이트계 용제 10.4 10.4 10.4 10.4 10.4 10.4 10.4 10.4 12 9.8
제2 아세테이트계 용제 1 1 1 1 1 1 1 1 2 1
알킬벤젠계 용제 5.97 5.97 3.93 3.93 1.89 5.97 3.93 1.89 7.5 2
케톤계 용제 4 4 4 4 4 4 4 4 6 4.5
카보네이트계 용제 10 10 10 10 10 10 10 10 12.3 10.2
경화촉매 1 1 1 1 1 1 1 1 1 1
제1 광안정제 0.8 0.8 0.8 0.8 0.8 0.8 0.8 0.8 1.2 0.83
제2 광안정제 0.4 0.4 0.4 0.4 0.4 0.4 0.4 0.4 0.6 0.4
레벨링제 0.08 0.08 0.12 0.12 0.16 0.08 0.12 0.16 0.1 0.12
분산제 0.1 0.1 0.1 0.1 0.1 0.1 0.1 0.1 0.2 0.1
소포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1 0.05
(중량부) 비교예
1 2 3 4 5 6 7
제1-1 아크릴 폴리올 수지 66.2 - 62.2 11.6 6.6 - -
제1-4 아크릴 폴리올 수지 - - - - - 8 8
제2-1 아크릴 폴리올 수지 - 68.2 8 54.6 61.5 - -
제2-4 아크릴 폴리올 수지 - - - - - 58.2 60.2
제1 아세테이트계 용제 10.4 10.4 10.4 10.4 10.5 10.4 10.4
제2 아세테이트계 용제 1 1 1 1 1 1 1
알킬벤젠계 용제 5.97 3.93 1.89 5.97 3.93 5.97 3.93
케톤계 용제 4 4 4 4 4 4 4
카보네이트계 용제 10 10 10 10 10 10 10
경화촉매 1 1 1 1 1 1 1
제1 광안정제 0.8 0.8 0.8 0.8 0.8 0.8 0.8
제2 광안정제 0.4 0.4 0.4 0.4 0.4 0.4 0.4
레벨링제 0.08 0.12 0.16 0.08 0.12 0.08 0.12
분산제 0.1 0.1 0.1 0.1 0.1 0.1 0.1
소포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참조예. 경화제의 제조
49.3중량부의 유기용제(자일렌), 49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수지(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7중량부의 추가성분(수분흡수제)를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과 참조예의 경화제를 4: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클리어 코트를 제조하였다. 시편에 상도 도료(UT5901-SWP, KCC社)를 두께 20㎛로 도포하여 상도 코팅을 수행하였다. 이후 상도 코팅된 시편에 각각의 클리어 코트를 두께 40~50㎛로 도포하고 60 ℃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클리어 도막층을 형성하였다.
(1) 부착성 측정
클리어 도막층이 형성된 시편을 대상으로 2mm cross cut을 사용하여 칼날로 가로 및 세로 각각 10칸의 정사각형으로 긋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떼어내어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부착성이 시편의 100칸의 정사각형이 100% 온전히 붙어있는 경우 1(매우 우수), 남은 정사각형이 70% 이상 100% 미만인 경우 2(우수), 50% 이상 70% 미만인 경우 3(보통), 30% 이상 50% 미만인 경우 4(나쁨), 30% 미만인 경우 5(매우 나쁨)로 나타냈다.
(2) 내스크래치성 측정
클리어 도막층이 형성된 시편을 대상으로 내세차성 테스트를 수행하여 초기 광택 대비 내세차성 테스트 후 광택을 측정하여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세차성 테스트는 자동세차기(카 워시기기)를 사용하여 도막의 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초기 광택 대비 테스트 후 광택율이 95% 이상이면 매우 우수, 95% 미만 90% 이상이면 우수, 90% 미만 85% 이상이면 양호, 85% 미만 80% 이상이면 보통, 80% 이만이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3) 건조성
클리어 코트를 55㎛ 두께로 도포한 후 60℃에서 건조하면서 도포면을 손가락으로 찍어 클리어 코트가 손가락에 묻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여 건조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손가락에 클리어 코트가 묻지 않는 시간이 25분 이하일 경우 매우 우수, 25분 초과 30분 이하는 우수, 25분 초과 35분 이하는 양호, 35분 초과 40분 이하는 보통, 40분 초과는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4) 외관 및 평활성
완성 도막을 외관 측정기인 Wave Scan DOI(BYK Gardner)를 사용하여 최종 CF값을 측정하여 외관 특성을 평가하고, 동일한 기계로 OP값을 측정하여 평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외관은 CF값이 67 이상이면 매우 우수, 67 미만 63 이상이면 우수, 63 미만 60 이상이면 양호, 60 미만 57 이상이면 보통, 57 미만이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평활성은 65 이상이면 매우 우수, 65 미만 62 이상이면 우수, 62 미만 59 이상이면 양호, 59 미만 56 이상이면 보통, 56 미만이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5) 내충격성
DUPONT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1/2", 0.5Kg, 50cm로 박리를 유도했을 때 도막 박리 유무를 확인하였다.
(6) 경도
미쓰브시 연필을 사용하여 심의 선단을 직각으로 재단 후 도장판에 대한 연필 각도를 45˚로 유지하며, 선단을 도면앞으로 전진한다. 연필 6B -> 9H심이 연한 것에서부터 강한것까지의 순서로 선을 그어 도막이 벗겨지는 연필의 경도가 2B이상인 경우 매우 우수, B는 우수, F는 양호, H는 보통 그리고 2H이하는 불량으로 기록하였다.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건조성 외관 평활성 도막박리
(내충격성)
경도
실시예 1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2 우수 우수 우수 매우 우수 우수 매우 우수
3 양호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우수 우수 매우 우수
4 양호 우수 매우 우수 우수 매우 우수 우수
5 우수 양호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우수
6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우수 우수
7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우수 우수
8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우수 우수
9 우수 우수 양호 우수 양호 우수
10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우수 매우 우수 양호 우수
비교예 1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보통
2 불량 보통 양호 양호 불량 보통
3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보통
4 보통 보통 불량 보통 불량 보통
5 보통 보통 불량 보통 불량 보통
6 보통 보통 보통 양호 양호 양호
7 불량 불량 보통 양호 보통 양호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건조성이 우수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외관 특성 및 평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제1 아크릴 수지 또는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물성이 전체적으로 불량했다. 또한,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다량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3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건조성, 외관 및 내충격성이 나쁘고,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평활성 및 경도가 특히 불량했다. 더불어,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대비 과량의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비교예 4 및 5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외관, 선영성, 내충격성 및 경도가 나빴고, 건조성 및 평활성이 특히 불량했다. 나아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낮은 비교예 6 및 7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물성이 전체적으로 불량했다.

Claims (7)

  1.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더 높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보다 더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8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g/mol 내지 20,000g/mol이고, 수산기가(OH value)가 100mgKOH/g 내지 180mgKOH/g이며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7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g/mol 내지 15,000g/mol이고, 수산기가(OH value)가 50mgKOH/g 내지 90mgKOH/g인, 클리어 코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1:5 내지 1: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5 내지 15중량부의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50 내지 70중량부의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20 내지 40중량부의 용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트 조성물은 경화촉매, 광안정제, 레벨링제, 분산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KR1020180130747A 2018-10-30 2018-10-30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KR20200048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747A KR20200048563A (ko) 2018-10-30 2018-10-30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747A KR20200048563A (ko) 2018-10-30 2018-10-30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563A true KR20200048563A (ko) 2020-05-08

Family

ID=7067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747A KR20200048563A (ko) 2018-10-30 2018-10-30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5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54A (ko) 2020-12-10 2022-06-17 한국화학연구원 이황화 폴리우레탄 디올 부가물,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코트 조성물 및 그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621B1 (ko) 2014-12-18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오성이 우수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621B1 (ko) 2014-12-18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오성이 우수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54A (ko) 2020-12-10 2022-06-17 한국화학연구원 이황화 폴리우레탄 디올 부가물,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코트 조성물 및 그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417B1 (ko)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KR101575403B1 (ko) 하이그로시용 원코트 상도 도료 조성물 및 그의 도장 방법
KR101757316B1 (ko)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KR101881216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KR20170130210A (ko) 투명 도료 조성물
KR20200048563A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용 2액형 도료 키트
CN110964393B (zh) 一种具有抗保护膜压痕自修复功能的清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076586A (ko) 다종 클리어코트에 적용 가능한 자동차용 수용성 상도 도료 조성물
KR100940754B1 (ko) 소프트-필 칼라강판
KR101435968B1 (ko) 내스크레치성 투명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복원방법
KR102567352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KR20150071907A (ko) 이액형 비철금속 코팅제
KR102583105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EP3399002B1 (en) Highly scratch resistant one-pack type paint composition
JP6701355B2 (ja) 内蔵部品用ハイグロシ塗料組成物
KR102349182B1 (ko) 방열기능을 갖는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도장강판
KR102177278B1 (ko) 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KR100993876B1 (ko) 원코팅용 피씨엠 도료 조성물
KR102033290B1 (ko) 도료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도막
KR101163463B1 (ko)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JP2848530B2 (ja) 塗料用樹脂組成物
KR102245709B1 (ko) 수용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KR101979995B1 (ko) 자동차용 수용성 도료 키트
CN116836617A (zh) 一种高透明度哑光清漆涂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