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316B1 -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 Google Patents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316B1
KR101757316B1 KR1020140126698A KR20140126698A KR101757316B1 KR 101757316 B1 KR101757316 B1 KR 101757316B1 KR 1020140126698 A KR1020140126698 A KR 1020140126698A KR 20140126698 A KR20140126698 A KR 20140126698A KR 101757316 B1 KR101757316 B1 KR 10175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vehicle
resi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645A (ko
Inventor
오우정
김순기
하우진
김현돈
전용
안재범
최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3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와, 부착증진제 0.1 내지 0.5 중량부와, 안료 0.01 내지 1.0 중량부와, 반응촉매제 0.1 내지 1.5 중량부와, 첨가제 0.5 내지 8.0 중량부와, 용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 및 경화제용 수지와, 경화제용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1 : 1.5 내지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경화용 수지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이고, 상기 경화용 용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크롬도금의 금속감을 유지하면서 미려하고 은은한 색상을 구현하고 다양한 디자인, 색상 및 광택 조절이 가능하며 자동차 내장부품에 요구되는 신뢰성을 확보하여 기능성 부여 및 고급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고 자동차 내장부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내썬크림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기존 2, 3차 코팅 도장시스템을 모노코팅 도장시스템으로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및 전체 공정비 감소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COATING COMPOSITION FOR AN VEHICLE PARTS, PAINTING METHOD FOR VEHICLE PARTS AND VEHICLE PAR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크롬도금 후 도포하는 상도로서 금속감의 미려한 느낌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은은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내썬크림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등 차량의 고급화 일환으로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성을 지닌 부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차량부품 중 크롬도금된 내장재 등의 부품을 고급화하는 것이 확대 적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난부착성의 특성을 가지는 크롬도금된 표면에 도장을 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금층과의 부착성을 기본 특성으로 하여 각 부품에 필요한 특수 기능을 부가하여야 한다.
이에 도금층과의 부착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염소화 폴리올레핀을 주 수지로 하는 하도를 사용하거나, 다른 요구 물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중도 및 상도를 도장하는 다층구조의 도장시스템 등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라디에이터 그릴과 같이 일부분만 크롬으로 장식하기 위해서 도장하는 도료는 외장 도금부품에 적용되어 내치핑성, 내수성을 중심으로 도료 설계가 되어있으며, 부착성과 내치핑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2 내지 3coat(하도, 중도, 상도) 도장시스템으로 도장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도장방법으로 도장된 차량부품(범퍼)(Bumper)(20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2 내지 3coat의 일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부품용 폴리올리핀계 기재(10)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층(Primer coating layer)(12)을 형성한 다음,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2)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는 베이스 코팅층(Base coating layer)(22)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코팅층(22)을 보호하고 광택 및 선영성 등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클리어 코팅층(30)을 형성하고 건조(베이킹)하여 이루어지는 이른바 3-코팅 1-베이킹(3C-1B) 시스템으로 도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2 내지 3Coat의 다층구조 도장시스템으로 도장시 공정비용이 증대되고, 크롬도금의 부분도장을 하면서 진한 색상과 낮은 투명도로 은폐되는 색상을 주로 적용하여 도장 부분은 크롬도금의 미려한 금속감이 감춰지는 문제가 있다.
관련 기술로는 KR10-2010-0042523, KR10-2006-0000708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롬도금의 금속감을 유지하면서 미려하고 은은한 색상을 구현하고 다양한 디자인, 색상 및 광택 조절이 가능하며 자동차 내장부품에 요구되는 신뢰성을 확보하여 기능성 부여 및 고급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고 자동차 내장부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내썬크림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기존 2, 3차 코팅 도장시스템을 모노코팅 도장시스템으로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및 전체 공정비 감소를 구현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부품 도장방법으로 도장된 차량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와, 부착증진제 0.1 내지 0.5 중량부와, 안료 0.01 내지 1.0 중량부와, 반응촉매제 0.1 내지 1.5 중량부와, 첨가제 0.5 내지 8.0 중량부와, 용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 및 경화제용 수지와, 경화제용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1 : 1.5 내지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경화용 수지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이고, 상기 경화용 용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 50 내지 60℃, 고형분 함량 40 내지 60중량%, 중량평균 분자량 25,000 내지 40,000g/mol인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고형분 함량 60 내지 80중량%, 수산기 함량 3 내지 5중량%, 중량평균 분자량 9,000 내지 18,000g/mol인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부착증진제는 인산계 부착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은 크롬 도금된 차량부품용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의 크롬 도금면에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도장하여 모노(mono)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노 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도료조성물을 도장하기 전에, 상기 크롬 도금면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화는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50분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관점은 크롬도금된 차량부품; 및 상기 차량부품의 크롬도금 표면에 형성된 모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 코팅층은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차량부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모노 코팅층은 그 두께가 10㎛ 내지 2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은 범퍼, 사이드 실 몰딩, 사이드 가니쉬 또는 사이드 프로텍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은 크롬도금의 금속감을 유지하면서 미려하고 은은한 색상을 구현하고 다양한 디자인, 색상 및 광택 조절이 가능하며 자동차 내장부품에 요구되는 신뢰성을 확보하여 기능성 부여 및 고급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고 자동차 내장부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내썬크림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기존 2, 3차 코팅 도장시스템을 모노코팅 도장시스템으로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및 전체 공정비 감소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도장된 차량부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도장방법으로 도장된 차량부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부착증진제, 안료, 반응촉매제, 첨가제,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경화제용 수지, 경화제용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주 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주제에는, 도료조성물 중 주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 부착증진제 0.1 내지 0.5 중량부, 안료 0.01 내지 1.0 중량부, 반응촉매제 0.1 내지 1.5 중량부, 첨가제 0.5 내지 8.0 중량부 및 용제 20 내지 4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을 기재의 크롬도금면에 도장시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내썬크림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우수할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과 기재의 표면장력을 증가시키고 우레탄 경화수축을 완화시켜 도금층과의 부착성을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전체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1 : 1.5 내지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혼합시 차량부품용 기재의 도막(코팅층) 외관 저하를 방지하고 요구되는 도금층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높은 중량평균 분자량을 지녀 도금층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로써,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비닐모노머를 열분해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내에서 라디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
[화학식 1]
Figure 112014090165796-pat00001
(상기에서, n 은 55 내지 89의 정수이다.)
상기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합성에 사용되는 아크릭계 또는 비닐계 모노머로는 비관능성 모노머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로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카복실 관능기 모노머인 아크릭산, 메타아크릭산 등을 들 수 있고, 비닐계 모노머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합성시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60℃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이 물러 외부의 충격에 의해 도막이 손상되거나 부스러지기(brittle) 쉽게되어 내치핑성 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을 통한 중합반응시 과산화물 및 아조화합물을 포함하는 라디칼 반응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미반응 비닐모노머의 잔류를 피할 수 있고, 또한 가격 상승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톨루엔, 크실렌, 케톤류 등의 용제를 투입하고, 반응기 온도를 100 내지 130℃로 유지하면서, 메타크릴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를 100 내지 130℃ 온도에서 용매에 2 내지 5시간 동안 적하한다. 그 다음 0.5 내지 1시간 유지하고 추가 개시제를 용제에 희석하여 0.5 내지 1시간 동안 적하한다. 그 다음 추가 개시제 적하 후 동일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유지 후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60℃, 고형분 함량이 40 내지 60중량%,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 내지 40,000g/mol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금층과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산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에 참여하지 않아 우레탄 경화수축을 완화시켜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2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 중 하나로, 전체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후술하는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1 : 1.5 내지 1.5 : 1의 중량비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혼합시 차량부품용 기재의 도막(코팅층) 외관 저하를 방지하고 요구되는 도막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높은 수산기를 가져 반응성이 우수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로써,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경화밀도 조절 등 경화제와의 가교밀도를 향상시켜 내화학성, 내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비닐모노머를 열분해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내에서 라디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
[화학식 2]
Figure 112014090165796-pat00002
(상기에서, n 은 14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합성에 사용되는 아크릭계 또는 비닐계 모노머로는 비관능성 모노머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카복실 관능기 모노머인 아크릭산, 메타아크릭산 등이 있고, 수산기 모노머로서 2-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밖에 비닐계 모노머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합성시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60℃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이 물러 외부의 충격에 의해 도막이 손상되거나 부스러지기(brittle) 쉽게되어 내치핑성 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을 통한 중합반응시 과산화물 및 아조화합물을 포함하는 라디칼 반응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미반응 비닐모노머의 잔류를 피할 수 있고, 또한 가격 상승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톨루엔, 크실렌, 케톤류 등의 용제를 투입하고, 반응기 온도를 120 내지 150℃로 유지하면서, 메타크릴계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 개시제를 120 내지 150℃ 온도에서 용매에 3 내지 6시간 동안 적하한다. 그 다음 0.5 내지 1시간 유지하고 추가 개시제를 용제에 희석하여 0.5 내지 1시간 동안 적하한다. 그 다음 추가 개시제 적하 후 동일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유지 후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9,000 내지 18,000이고, 반응에 참여하는 수산기 함량이 3 내지 5중량%,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높은 수산기를 가져 가교밀도가 향상되고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수산기의 조절을 통해 가교 후의 경화 수축으로 인한 도금층과의 부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부착증진제
부착 증진제는 메탈릭 도료내 적정 함량으로 사용하여 도료조성물의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부착력 증진 효과 및 실버 산화 방지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부착증진제는 크롬도금면과 도료의 부착력 향상을 위하여 인산계 부착증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계 부착증진제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이며, 옥사이드 및 하이드록시 옥사이드기(Group)을 가지고 있어서 도료와 크롬 소재 표면과의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Hydroxy/carboxy-functional phosphate est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제는 알코올 용제에 투명하게 희석되며 케톤, 아세테이트, 하이드로 카본계 등과 희석되면 도료 혼탁 및 seeding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제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주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제가 0.1 중량부 미만시 부착력 증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0.5 중량부 초과시 내수성이 나빠져서 Blister를 발생시키거나 도막의 haze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안료
상기 안료는 본 발명의 차량부품형 도료조성물에서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을 발현하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료가 150 내지 300㎚ Size로 나노분산하여 투명성을 높이고 도금 느낌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차량부품에 색상 특히 유색 색상을 제공하는데, 차량부품 도장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무기 유색 안료, 알루미늄-페이스트(Al-paste), 펄(pearl), 체질안료 등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드 계열, 황색/오렌지 계열, 블루 계열, 블랙 계열, 백색 계열, 펄 및 메탈릭 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안료는 과량 사용시 차량부품에 도장되었을때 코팅층의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그 사용량이 제어되어야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안료는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중 주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가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색상 표현이 미미하여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 초과를 초과시 색상이 진해져 크롬도금 등이 은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반응촉매제
상기 반응촉매제는 우레탄계 반응 촉매제로 주제와 경화제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촉매제는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주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응촉매제가 0.1 중량부 미만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경화가 미흡하여 내화학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5 중량부 초과시 가시시간이 짧아져 작업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첨가제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료조성물에 소정 함량 범위로 첨가되어 도장시 습윤성, 레벨링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주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0.5 중량부 미만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평활성 및 내광성이 저하되며, 8 중량부 초과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어 내열성 등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첨가제는 습윤제, 소포제, 광안정제, 부착 증진제, 표면 조정제, 얼룩 방지제, 유연제 및 증점제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습윤첨가제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조절하여 도장시 도막의 습윤성과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여 도장시 습윤성과 도막의 레벨링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계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첨가제는 상기 첨가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의 습윤성과 레벨링성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소포제는 친유체와 폴리실록산의 혼합물로서 도장시 발생되는 기포를 파괴함으로써 도막의 외관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첨가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장시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광안정제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도막의 내후성을 높이는 효과를 지니고 있고 상기 본 발명에서는 UVA와 HALS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광안정제는 상기 첨가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표면 조정제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조절하여 도장시 도막의 습윤성과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면 조정제는 상기 첨가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의 습윤성과 레벨링성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얼룩 방지제는 도장시 안료, 특히 실버입자의 균일한 배열을 통해 도막 형성시 얼룩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얼룩 방지제는 상기 첨가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중량부, 또는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 형성시 얼룩 발생을 억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유연제는 건조된 도막 내에 크랙 발생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첨가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건조 도막 내 크랙 발생을 완화하여 내 충격성 및 내 굴곡성을 좋게 한다.
용제
상기 용제는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용해하여 점도를 조절하고 도장 작업이 용이하게 하며 용제의 휘발속도 조절로 도막(코팅층)의 평활성 향상 및 도장 작업성 향상의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에스터계; 케톤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터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제 사용시 증발속도가 느리고 상기 안료의 퍼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요구되는 도막(코팅층)의 두께 및 도막 형성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주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20 중량부 미만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평활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며, 40 중량부 초과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색상 얼룩 및 칠흐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경화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경화제는 주제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가 10 중량부 미만시에는 내썬크림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 등이 저하되고, 30 중량부 초과시에는 부착성 및 내열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경화제용 수지
상기 경화제용 수지로는 비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용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중 biuret 타입은 우레탄 도막의 경도 및 내치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소시아테이트 삼량체 중 isocyanurate 타입의 수지를 사용할 경우 biuret 타입에 비하여 도막 경도를 상승시키고 열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도막이 강해져서 질김성이 떨어져서 내치핑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들 가운데 1종 이상 사용 가능하며 사용량은 주제 수지 당량에 1 : 0.8 내지 1 : 1.2로 반응시키기 위하여 5 내지 20 중량부가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무황변과 내후성이 우수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가교 밀도가 낮아져 도막경도가 떨어지고 폴리올 수지의 잔여 OH기에 의하여 내수성이 나빠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교 밀도가 높아져 도막 경도를 상승시키는 반면 유연성과 내치핑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용 수지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주제 전체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용 수지가 5 중량부 미만시에는 내썬크림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 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 초과시에는 부착성 및 내열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경화제용 용제
상기 경화제용 용제는 탄소수 2~10개를 포함하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용제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용 용제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주제 전체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용 용제가 5 중량부 미만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평활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며, 15 중량부 초과시 상기 도료조성물의 색상 얼룩 및 칠흐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차량부품 도장방법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은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 도장방법은 크롬 도금된 차량부품용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의 크롬 도금면에 전술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도장하여 모노(mono)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노 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부품 도장방법에서는 기존의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없이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도장(도포)함으로써 기존 프라이머 도장이 갖는 부착성과 크롬도금면의 색상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기재, 강 등의 금속기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도장(도포)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장 로봇의 도장 건(gun)에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공급하고 상기 차량부품이 통과할 때마다 도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롬도금 처리방법은 공지의 도금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은 본 발명에 의한 도료조성물의 주제와 경화제를 4.0 : 1.0 내지 1.0 : 5.0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희석용제를 사용하여 도장점도를 13.0 내지 15.0(포드컵 #4)으로 하여 도장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모노(mono) 코팅층은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크롬도금된 표면에 10 내지 20㎛의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형성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 표면과 부착성이 우수하고 색상 표현 및 물성이 우수하며 외관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경화(베이킹)은 상기 형성된 모노코팅층을 열풍을 이용하여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50분동안,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용이한 건조가 이루어져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부착성 향상과 도장 후 외관 향상을 위해 상기 도료조성물의 도장 전에 상기 크롬 도금면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등을 이용하여 휘핑(whipping) 방법으로 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부품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차량부품 도장방법에 의한 차량부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은 크롬도금된 차량부품; 상기 차량부품의 크롬도금 표면에 형성된 모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 코팅층은 상기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도장된 차량부품(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차량 부품용 기재(10) 표면에 모노 코팅층(20)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10)는 폴리올레핀계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소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노 코팅층(20)은 전술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모노 코팅층(20)은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10)의 크롬도금된 표면에 10 내지 20㎛의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형성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10) 표면과 부착성이 우수하고 색상 표현 및 물성이 우수하며 외관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부품으로는 예를들면, 범퍼(bumper), 사이드 실 몰딩(side sill moulding),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사이드 프로텍터(side protector) 및 기타 폴리올리핀계 소재를 포함하는 바디(body) 색상 도장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에 있어서, 비반응형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노루비케미칼에서 제조된 N4-1190을 사용하였고,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노루비케미칼에서 제조된 G1-2133을 사용하였다.
부착증진제는 Lubrizol社의 Lubrizol®2063를 사용하였다.
안료는 노루비케미칼에서 제조된 S4 serise Colorant를 사용하였다.
반응촉매제는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첨가제로써 광안정제(HALS인 Tinuvin292, UV Absorber로 Tinuvin 1130)를 사용하였다.
용제는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를 사용하였다.
경화제용 수지는 BASF社에서 제조된 HI-100을 사용하였다.
경화제용 용제로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이, 도료조성물 주제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 30중량부,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0.5중량부, 안료 0.5중량부, 반응촉매제 1중량부, 첨가제 3중량부 및 용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의 주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경화제용 수지 15중량부, 경화제용 용매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고, 이후 상기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4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완성하였다.
그 다음 상기 도료조성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세정하여 전처리된 차량부품용 ABS 기재의 크롬도금면에 도장하여 14 내지 16㎛ 두께의 모노 코팅층을 형성하였고, 이후 이를 80℃에서 30분동안 경화(베이킹)을 실시하여 차량부품 기재의 도장을 완료하였다.
비교예 1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작게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범위를 벗어나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의 함량범위에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크게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범위를 벗어나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의 함량범위에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크게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범위를 벗어나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의 함량범위에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작게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범위를 벗어나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의 함량범위에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부착증진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범위를 벗어나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의 함량범위에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부착증진제의 함량을 크게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범위를 벗어나게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의 함량범위에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부)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주제 아크릴 폴리올
수지(비반응형)
30 42 36 24 18 30 30
아크릴 폴리올
수지(반응형)
30 18 24 36 42 30 30
부착증진제 0.5 0.5 0.5 0.5 0.5 - 1
안료 0.5 0.5 0.5 0.5 0.5 0.5 0.5
반응촉매제 1 1 1 1 1 1 1
첨가제 3 3 3 3 3 3 3
용제 35 35 35 35 35 35.5 34.5
총 함량
(주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경화제 경화제용 수지 15 20 17 20 18 15 5
경화제용 용매 10 15 14 10 7 8 15
총 함량
(경화제)
25 35 31 30 25 23 20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도장된 차량부품 기재 시편의 부착성 등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외관 : 변색, 광택저하, 내처짐(Sagging)성 Orange Peel 등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결함이 없는지 평가하였다.
(2) 부착성 : 도막면에 소지에 도달하도록 커터로 절취선을 그어, 크기 2mm×2mm의 네모칸을 100개 만들고 그 표면에 점착 셀로판 테이프로 접착하고, 90℃에서 그것을 급격하게 박리한 후의 네모 칸의 잔존 도막 수를 평가하였다.
(3) 내썬크림성 : SPF47 썬크림을 0.25g 도막에 5x5cm 크기로 도포 후 100℃ 1시간 방치 후 부착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4) 내스크래치성 : JISK 6718에 따라 500g 하중으로 0.5R의 곡률을 지닌 샤파이어 팁을 이용하여 도막을 그은 후 시간 경과에 발생된 스크래치 발생 상태를 확인하였다 (평가수준: 1~5 Level (1: 스크래치 심함, 5 : 완전복원))
(5) 내마모성 : 왕복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500g, 60회/분의 속도로 10,000회 실시 후 소지의 노출여부를 확인하였다.
(6) 내열성 : 시험온도 90±2℃ 조건의 챔버에 시험편을 110도, 300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외관평가(색차 dE <2.0) 및 부착 이상여부 등을 확인하였다.
(7) 내습성 : 시험온도 50±2℃, 상대 습도 95±2% RH 조건의 챔버에 시험편을 240시간으로 방치한 후 꺼내어 외관평가(색차 dE <2.0) 및 초기부착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8) 내광성 : 1050 kJ/m2 광량 조사 후 색차 dE <2.0, 부착이상 여부 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외관 × × ×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95/100 80/100 100/100 100/100
내썬크림성 × × × ×
내스크래치성 × ×
내마모성 × ×
내열성 ×
내습성 × ×
내광성  ○ ×  ○  ○  ○ ×   ○
물성평가 결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높아지고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낮아지면, 경화밀도가 낮아져 내썬크림성(도막 녹음), 내마모성(소지 노출), 내열성(변색), 내습성(변색)이 저하되며 작업성의 악화로 외관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4를 통해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낮아지고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높아지면, 부착성 및 내썬크림성 후 부착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를 통해 부착증진제가 첨가되어 있는 실시예 1과 비교시 내썬크림성 후 부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고, 비교예 6을 통해 부착증진제가 1% 이상 투입시 도료 및 도막의 Haze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사용으로 도금층과의 부착성을 확보하고 썬크림성에서 부족한 부착성을 부착증진제로 보완할 수 있었으며,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사용으로 경화밀도를 조절하여 내썬크림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열성 및 내습성 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사용한 차량부품 기재의 경우 외관, 부착성, 내썬크린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습성 및 내광성 등 거의 모든 물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 차량부품용 기재 12: 프라이머 코팅층
20: 모노 코팅층 22: 베이스 코팅층
30: 클리어 코팅층 100: 차량부품
200: 범퍼 기재

Claims (9)

  1. 아크릴 폴리올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와, 부착증진제 0.1 내지 0.5 중량부와, 안료 0.01 내지 0.5 중량부와, 반응촉매제 0.1 내지 1.5 중량부와, 첨가제 0.5 내지 8.0 중량부와, 용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100 중량부; 및
    경화제용 수지와, 경화제용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 50 내지 60℃, 고형분 함량 40 내지 60 중량%, 중량평균 분자량 25,000 내지 40,000g/mol인 비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고형분 함량 60 내지 80 중량%, 수산기 함량 3 내지 5 중량%, 중량평균 분자량 9,000 내지 18,000g/mol인 반응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경화제용 수지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이고,
    상기 경화제용 용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증진제는 인산계 부착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4. 크롬 도금된 차량부품용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의 크롬 도금면에 상기 청구항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을 도장하여 모노(mono)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노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도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조성물을 도장하기 전에, 상기 크롬 도금면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전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도장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50분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도장방법.
  7. 크롬도금된 차량부품; 및
    상기 차량부품의 크롬도금 표면에 형성된 모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 코팅층은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차량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코팅층은 그 두께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품은 범퍼, 사이드 실 몰딩, 사이드 가니쉬 또는 사이드 프로텍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KR1020140126698A 2014-09-23 2014-09-23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KR10175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98A KR101757316B1 (ko) 2014-09-23 2014-09-23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98A KR101757316B1 (ko) 2014-09-23 2014-09-23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45A KR20160035645A (ko) 2016-04-01
KR101757316B1 true KR101757316B1 (ko) 2017-07-13

Family

ID=5579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698A KR101757316B1 (ko) 2014-09-23 2014-09-23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07B1 (ko) 2018-09-28 2019-02-01 박도선 차량의 판금도장방법
KR101944706B1 (ko) 2018-09-28 2019-04-17 박도선 차량의 보수도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043A (zh) * 2016-10-31 2019-07-23 Agc株式会社 车辆内饰构件用涂料组合物、车辆内饰构件及车辆内饰构件的制造方法
KR101947240B1 (ko) * 2016-11-21 2019-02-12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KR102417527B1 (ko) * 2017-08-18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메탈릭 도료 조성물
KR102081371B1 (ko) * 2018-03-09 2020-02-25 (주)노루페인트 수성 2액형 폴리우레탄 코팅도료 및 이를 이용한 상도용 우레탄 코팅막 형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07B1 (ko) 2018-09-28 2019-02-01 박도선 차량의 판금도장방법
KR101944706B1 (ko) 2018-09-28 2019-04-17 박도선 차량의 보수도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45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316B1 (ko) 차량부품용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KR101463179B1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1회 도장용 2액형 은폐 도료 조성물
JP5143078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
US10828823B2 (en) Laminated film for decorating three-dimensional molded product by vacuum forming,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decorating three-dimensional molded product
US20170073446A1 (en) Adhesion promoters for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EP2188341B1 (en) Paint compositions, a method of finish-painting and painted objects
KR102229058B1 (ko) 상도 도료 조성물
US10150883B2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m
EP3165582A1 (en) Clear paint composition for hot stamping film and pain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9312189B (zh) 水性涂料组合物
JP6977226B2 (ja) 塗料組成物、塗膜の形成方法、及び塗装体
US1043454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consisting of surfacer and topcoat
JP2005042001A (ja) 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JP4873831B2 (ja) 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ウレタン樹脂フィルム
CN111032793B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涂料组合物
JP6762209B2 (ja) アクリル樹脂及びメラミン樹脂を主体樹脂とするトップコート用塗料組成物
KR20170132555A (ko) 크롬 코팅 표면에 적용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73402B (zh) 多层涂层及其形成方法
KR20150004093A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이중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2321795B1 (ko) 유색도금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JP5342457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
GB2456893A (en) Clear coating composition for multilayered coating film
KR101776304B1 (ko) 금 나노입자를 함유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
JP2008001036A (ja) 上塗塗料、塗装方法および自動車用外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