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422A -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 Google Patents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422A
KR20200048422A KR1020180130513A KR20180130513A KR20200048422A KR 20200048422 A KR20200048422 A KR 20200048422A KR 1020180130513 A KR1020180130513 A KR 1020180130513A KR 20180130513 A KR20180130513 A KR 20180130513A KR 20200048422 A KR20200048422 A KR 2020004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mote
scraper
contro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복 filed Critical 이재복
Priority to KR102018013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422A/ko
Publication of KR2020004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본체 양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본체에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한 곳으로 모으는 스크레퍼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사용자측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바퀴의 구동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선신호수신기와,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과 방향전환을 위한 전후진버튼과 좌우회전버튼,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 및 전원제어를 위한 전원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무선신호수신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신호송신부 내장된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원격지에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Electric motorized salt collect apparatus possible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 및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동작되는 전동식대파를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직접 작업영역에 들어가지 않고도 필요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에 관한 것이다.
대파(밀대)는 평평한 바닥면에 널려져 있는 수거 대상물을 한곳으로 모으는데 이용되는 작업도구로, 예로부터 농업용, 제설용 및 염전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대파의 일 사용예로, 염전에서 석출된 소금을 채취할 때 대파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즉, 천일염 생산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둬 증발시킨 후에 석출된 소금결정을 채취하는 과정을 거쳐 생산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생산되는 천일염은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결정체를 염전의 일측 제방쪽으로 대파(밀대)를 이용해 밀어부쳐 한곳에 모은 후에, 제방에 준비된 이동대차로 천일염을 퍼 올려 소금보관창고로 이송 및 포장되어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작업을 할 경우, 종래의 대부분은 작업자가 직접 염전에 들어가 대파를 밀고 다니면서 소금 채취작업을 수행하였다.
대파의 종류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근래에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동식이 안출된 바 있으며, 그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전동식 대파를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작업자가 염전에 들어가 전동식 대파를 양손으로 잡고 운전을 하면서 소금 채취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전동식 대파의 출현으로 작업자가 대파를 힘으로 밀고 다녀야 하는 노동력을 많이 경감시킬 수 있었지만, 간수가 채워진 염전을 작업자가 전동식 대파를 따라 다니면서 걸어 다니는 것 조차도 매우 힘들어 여전히 작업자의 노동력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농촌 뿐만 아니라 어촌 등지에서는 인구 노령화에 따라 작업자들이 대부분 고령화 인구가 대부분이어서 전동식 대파가 공급된다 하더라도 여전히 작업자가 염전에 들어가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방식의 전동식 대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대파의 또 다른 사용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연습장에서 골프 볼을 수거하는데 대파를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 다양한 스포츠 활동인구가 증가하면서 골프 인구도 함께 늘어나고 있으며, 골프 인구의 증가와 함께 골프 연습장 또한 증가추세에 있다.
골퍼들이 스윙을 연습하거나 타격감을 익히기 위해 골프연습장을 찾아 골프볼을 쳐 내는 연습을 하면서 골프연습장 바닥에는 많은 골프공이 널려져 있게 된다.
따라서, 골프연습장 관리인은 수시로 골프 볼을 수거하여 골프 볼 자동공급장치로 공급해줘야 하기 때문에, 골퍼들이 연습하는 중간에 수시로 바닥에 널려진 골프 볼을 수거하기 위해 골프 연습을 중단시키고 골프 볼을 수거하는 작업을 할때 대파를 사용하고 있다.
골프 볼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하나씩 주워서 수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좌우로 길다랗게 구성된 대파를 바닥에 밀고 다니면서 널려져 있는 골프 볼을 한쪽으로 모으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골프 연습자들은 운동중에 수시로 운동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관리자 역시 넓은 지역을 최대한 짧은 시간에 골프 볼을 회수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들을 동원하여 골프 볼 수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 연습자들은 운동 중에 잠시 쉬어야 하므로 운동 리듬감이 떨어지고, 관리자들은 골프 볼을 수거하는 작업자들의 준비와 노동력이 소요되고, 골프 볼을 수거하는 시간동안 운동시간이 연장되므로 골프연습장의 이용과 관리측면에서 많은 비용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골프 볼을 수거하는 자동시스템이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대파의 또 다른 사용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철 눈이 내리게 되면 아파트 단지의 인도와 차도, 그리고 주택단지의 골목길 등에서 경비원이나 거주자들이 눈을 치우기 위해 대파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주거 문화가 아파트형태로 바뀌면서 아파트 단지가 대단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아파트 내 인도나 차도 등에 눈이 쌓이게 되면, 경비원들은 하루 종일 눈치우기에 매달리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 아파트 경비원들이나 주민들은 눈을 치우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들여야 하며, 눈을 치우고 나서 밤에 인도나 차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설제나 소금을 바닥에 뿌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눈을 치우는데 있어서 좀더 편리하고 노동력이 절감될 수 있는 제설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대로나 공공시설물의 경우 중장비를 동원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골목길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비좁은 도로에서 중장비를 이용할 수도 없어서 수작업에 의한 제설작업만 가능한 실정이어서 노동력 절감이 가능한 주거지역용 제설작업이 가능한 장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 특허등록 제10-1426234호(등록일: 2014.07.29, 발명의 명칭: 염전용 전동 밀대) - 특허등록 제10-1541090호(등록일:2015.07.27, 발명의 명칭: 염전용 전동 밀대) - 특허공개 제10-2016-0015466호(공개일: 2016.02.15. 발명의 명칭: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식 대파)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대파 사용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동식으로 동작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을 경감하면서 특히 리모컨을 이용한 원격조종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를 제공함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대파가 주로 사용되는 염전이나 골프연습장 및 제설작업시 그 이용이 가능한 다용도 대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는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본체 양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본체에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한 곳으로 모으는 스크레퍼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사용자측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바퀴의 구동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선신호수신기와,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과 방향전환을 위한 전후진버튼과 좌우회전버튼,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 및 전원제어를 위한 전원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무선신호수신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신호송신부가 내장된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원격지에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는 손잡이부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 고정구에는 고동모터의 속도제어를 위한 속도조절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스위치와, 양측 손잡이대에 구비되어 본체의 좌우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좌/우회전스위치를 구비된 기능조작부가 구비된 손잡이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본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본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후방 지지롤러가 각각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레퍼의 좌우 양쪽에는 스크레퍼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좌/우 신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신축실린더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전/후 이동버튼 또는 좌/우 회전버튼을 동시에 누를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신축실린더가 신장되어 스크레퍼의 전/후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제설제 살포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제설제 살포장치는 내부에 일정량의 제설제를 채울 수 있는 제설제 적재함과,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테두리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제설제를 외부로 살포하기 위한 제설제 살포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절세 적재함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면서 제설제를 원심력 방향으로 살포시키는 회전팬과, 상기 제설제 적재함 상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설제 적재함 내측으로 제설제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설제 투입호퍼;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레퍼와 본체 사이에는 작업영역인 바닥면에 대한 높이나 기울기 또는 금속제를 실시간 감지하여 위험구간으로 본체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감시센서가 설치되고, 양쪽 구동바퀴의 상부와 본체의 상부에는 외부 충격시 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제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조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는 염전에 석출된 소금을 수거하는 작업을 할때나 골프연습장에서 바닥에 산재해 있는 골프 볼을 수거하거나 또는 아파트단지 내의 인도나 이면도로 등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데 이용가능하며, 특히 작업자가 손수 전동대파를 운전하지 않고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한 원격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노동력 감소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파를 염전에서 사용할 경우 고령화된 작업자들이 직접 염전에 들어가지 않고 소금 채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여성 뿐만 아니라 고령자들까지도 소금채취작업을 무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파를 골프연습장에서 이용할 경우, 골프연습장을 운영하는 관리인은 골프볼을 수거하는데 많은 인원을 동원하지 않아도 되고, 운동하는 시간을 중단없이 이어갈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많은 사람들이 운동할 수 있는 시간확보가 가능하여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골프 연습자들은 운동중간에 끊김이 없이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어 운동 리듬감을 유지하는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대파를 아파트단지내의 이면도로등의 제설작업을 하는데 이용할 경우 경비원들이 많은 시간 육체적 노동력을 투여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줄이고, 짧은 시간에 제설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이나 사람들의 통행이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제설작업과 동시에 제설제 살포가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제설작업 후에 제설제 살포작업을 해야하는 수고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염전에서 전동대파를 이용한 소금채취작업을 도시한 작업사진,
도 2는 골프연습장에서 대파를 이용해 골프 볼을 수거하는 작업사진,
도 3은 아파트 이면도로에 쌓인 눈을 대파를 이용해 제설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의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의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동식 대파의 외부에 충격방지부재가 장착된 외관상태 및 일부 분리사시도,
도 8은 리모트컨트롤러와 무선신호수신기의 주요 구성 블럭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대파가 염전과 골프연습장에서 소금 수거작업과 골프 볼 수거작업을 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이하, ‘전동식 대파’라 약칭함)는 본체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본체 하부 양쪽에 설치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닥에 접촉 또는 근접되게 설치되어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한 쪽으로 모으는 스크레퍼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는 소금을 수거하거나 골프 볼을 수거하거나 또는 제설작업을 할때 스크레퍼 전방에 쌓이는 작업대상물의 중량에 의해 스크레퍼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레퍼의 후방 양쪽에 측방 보조롤러가 설치되고, 본체의 전후방에는 본체의 전후 이동과 방향 전환 및 경사로 등판시 본체의 전도방지와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후방 지지롤러가 각각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원격지에서 상기 본체를 무인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무선신호수신기가 구비되고, 본체의 일측에는 원격지의 관리자가 조작하는 리모트컨트롤러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설치되어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체를 동작시키면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무인 및 원격으로 동작되는 본체가 작업영역에 일정한 깊이의 고랑이 있을 경우 본체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스크레퍼의 후방측에는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어 바닥면과 스크레퍼 사이의 간격(높이)을 실시간 감지하는 바닥높이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위험구간에서는 스스로 본체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퍼 후면과 본체 사이에 좌/우 신축실린더가 설치되어 본체의 원격조정시 스크레퍼의 좌/우측 기울기를 리모트컨트롤러에 구비되는 기능스위치의 동작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의 전후단에는 필요시 작업자가 직접 본체를 운전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기능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손잡이고정구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겨울철 제설(除雪)작업과 동시에 또는 제설작업 후 바닥에 제설제를 뿌릴 수 있는 제설제살포장치가 추가로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대파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방향성 용어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스크레퍼퍼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표현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는 배터리(도시생략)가 내부에 내장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본체 하부에 구비된 구동모터(도시생략)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구동바퀴(20,21)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본체의 이동시 작업영역의 바닥면에 있는 작업대상물(소금, 골프 볼, 눈 등)을 수거하는 스크레퍼(3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는 작업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휴대하는 무선 리모트컨트롤러(40)와, 상기 무선 리모트컨트롤러(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의 이동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일측에 무선신호수신기(50) 및 전파수신안테나(6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퍼(30)의 후면 양단에는 작업대상물의 수거작업시 스크레퍼(30)의 전방에 쌓이는 작업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스크레퍼가 눌려 이동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측방보조롤러(32,33)가 구비되고, 본체(10)의 전후방으로는 본체(1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바닥면에 접촉하거나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본체(10)가 일정각도 전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본체(10)의 과도한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방 및 후방 지지롤러(15,17)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롤러(15,17)는 본체(10)의 과도한 전·후방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작업을 수행하거나 경사로 등판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작업자에 의해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영역의 바닥면 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바닥이 평평한 작업영역에서 작업하다가 다른 작업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염전의 경우에는 일정 높이의 제방이 쌓여져 있고, 도로나 인도 등에는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어서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경우 제방이나 과속방지턱 등을 넘어가야 하는데. 이때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롤러(15,17)가 본체(10)의 전방과 후방을 받쳐주게 되어 경사로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쪽으로 구비되는 이동바퀴(20,21)의 상면에는 보호커버(22,24)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이동바퀴(20,21) 내측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이동시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수거하는 스크레퍼(30)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레퍼(30)의 후면 양쪽과 본체(10) 사이에는 리모트컨트롤러(40)에 구비된 기능스위치의 조작으로 신축 조절이 가능한 좌/우측 신축실린더(70,71)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러(40)와 무선신호수신기(50)의 세부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로 후술한다.
그리고, 스크레퍼(30)와 본체(10) 사이에는 작업대상물을 수거하기 위해 본체가 이동할때 스크레퍼(30)와 바닥면 사이의 높이(간격)나 기울기 금속제 등을 감지하는 바닥감시센서(18)가 설치되어 스크레퍼(30)가 작업영역의 바닥면에 대해 설정된 기준높이 이상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설정된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EH는 금속제 물질이 감지될 경우 본체(10)의 이동을 정지시켜 본체가 고랑 등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감시센서(18)는 높이센서, 금속감지센서, 기울기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실시간 바닥을 감지하여 불필요한 영역내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 겨울철 제설(除雪) 작업 후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는 제설제 살포장치(90)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전동식 대파(100)를 겨울철 제설작업용으로 사용할 경우, 본체(10)의 후방측에 일정 높이의 손잡이부(80)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부(80)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본체(10)의 운전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조작부(8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제설제를 살포하는 제설제살포장치(90)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80)에 구비되는 기능조작부(82)에는 배터리의 잔량, 즉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표시부(83)와, 구동모터의 속도제어스위치(84) 및 전/후진 제어스위치(85)가 구비되고, 손잡이대(88)의 양단에는 본체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좌/우 방향조절스위치(86,87)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대(88)를 양손으로 잡고 작업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80)에 구비되는 기능조작부(82)는 손잡이부(80)가 본체(10)에서 분리될 경우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설제 살포장치(90)는 내부에 일정량의 제설제를 채울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외주연에 복수개의 제설제살포구(93)가 관통 형성된 제설제적재함(92)과, 상기 제설제적재함(92)의 내부에 채워진 제설제를 외부로 살포할 수 있도록 제설제적재함(92)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도시생략)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도록 제설제적재함(92)의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팬(94)과, 상기 제설제적재함(92)의 상면 일측에 상방으로 설치되어 제설제적재함(92)의 내측으로 제설제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제설제 투입호퍼(96)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의 본체(10) 및 구동바퀴(20,21)의 외측면에 외부충격으로부터 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흡수제(25)가 씌여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를 골프연습장에서 골프 볼을 수거하는데 이용할 경우, 타석에서 골퍼들이 타격한 골프 볼이 날아와 본체(10)에 충돌하여 본체 뿐만 아니라 골프 볼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발생되므로 본체(10)의 외부 및 구동바퀴(20,21)의 보호커버(22,24) 상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 및 두께를 갖는 충격흡수제(25)가 더 씌여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제(25)는 인조잔디나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매트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를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40)와 본체 측에 설치되는 무선신호수신기(50)의 주요 기능 구성도가 간단한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40)에는 전원온/오프스위치(41)와, 본체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42)와, 본체의 좌우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좌회전 및 우회전 버튼(43,44)과, 본체의 전진 또는 후진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 이동버튼(45,46)과, 상기 각 기능버튼의 조작시 일정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본체측 무선신호수신기(5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신부(47)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0)측 무선신호수신기(50)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40)측에서 발생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신호수신부(51)와, 상기 무선신호수신부(51)에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각부 제어를 위한 신호를 파악하여 제어명령을 내리는 중앙제어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중앙제어부(52)에는 리모트컨트롤러(40)에서 전달된 신호가 속도신호일 경우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일 경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증감을 제어하도록 하는 속도제어부(53)와, 본체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본체의 전/후진 또는 좌/우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어부(54)와, 전원온/오프신호가 수신된 경우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55)가 구비된다.
또한, 작업자가 스크레퍼(30)의 좌측 또는 우측 기울기를 조절하여 작업대상물의 수거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리모트컨트롤러(40)에서 전/후진버튼(45,46) 또는 좌/우 회전버튼(43,44)을 동시에 누를 경우 스크레퍼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 신축실린더의 신장 및 수축을 제어하는 스크레퍼 기울기제어부(5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크레퍼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높이감지센서에서 김지된 바닥높이 신호는 실시간으로 중앙제어부(52)로 전송되어 바닥높이판별부(57)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40)와 무선신호수신기(50)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리모트컨트롤러(40)에서 원격으로 작업명령을 내리게 되면 본체는 리모트컨트롤러(40)에서 전달된 명령을 통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작업자가 원격지에서 리모트컨트롤러(40)에 구비된 좌/우회전버튼(43,44), 전/후진버튼(45,46), 전원온/오프스위치(41), 속도조절스위치(42)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그 신호는 무선신호송신부(47)를 거쳐 무선신호수신기(50)의 무선신호수신부(51)로 전달되고, 무선신호수신부(51)로 수신된 신호는 중앙제어부(52)를 거쳐 속도제어부(53)나 방향제어부(54), 전원제어부(55)로 신호를 보내 본체의 필요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리모트컨트롤러(40)에 구비된 전/후진버튼(45,46)을 동시에 누르게 되면, 그 신호는 무선신호송신부(47)를 거쳐 본체측 무선신호수신부(51)로 전달되고, 무선신호수신부(51)로 수신된 신호는 중앙제어부(52)를 거쳐 좌측 신축실린더를 신장시켜 본체 전방에 위치한 스크레퍼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작업대상물을 우측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리모트컨트롤러(40)에서 좌/우 회전버튼(43,44)을 동시에 누르게 되면 우측 신축실린더를 신장시켜 스크레퍼가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작업대상물을 좌측방향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가 이동하면서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스크레퍼 후방에서 바닥면을 향해 설치된 바닥높이감지센서는 실시간으로 스크레퍼와 바닥면 사이의 간격, 즉 높이를 감지하여 중앙제어부로 신호를 보내 바닥높이 판별부(57)에서 실시간 설정기준높이와 스크레퍼의 높이를 비교 판단한 후에 기준범위 이내일 경우 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레퍼의 높이가 설정된 기준범위 이상으로 판별된 경우, 중앙제어부(52)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구동바퀴의 이동을 중지시켜 구동바퀴가 고랑 등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가 염전(C)에서 소금 수거작업을 하는데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골프연습장(G)에서 전동식 대파(100)를 골프 볼을 수거하는데 이용하는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를 염전에서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는 직접 간수가 채워진 염전에 들어갈 필요없이 염전 밖에서 리모트컨트롤러(40)를 조작하여 본체의 이동, 방향전환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면서 소금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소금수거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대파(100)를 골프연습장(G)에서 사용할 경우, 타석에서 골퍼들이 타격 연습을 하고 있는 중에도 원격지에서 본체의 이동을 제어하며 골프 볼(g) 수거작업을 할 수 있어서 수시로 운동을 중단시킨 후에 골프 볼 수거작업을 해야하는 불편을 줄이면서, 운동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100)는 염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그 대표적인 실시예로 골프연습장에서 인조잔디나 필드에 널려 있는 골프 볼을 무인으로 동작시켜 골프 볼을 한쪽으로 회수하도록 하여 골프 볼을 수거하는데 소요되었던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운동시간의 확대로 골프연습장 운영자는 더 많은 골퍼들의 유치를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를 겨울철 제설작업을 하는데 이용할 경우, 종래에는 제설작업을 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대파를 이용할 경우 한 사람이 전동식 대파를 원격 조정하면서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0 : 본체 12,13 : 손잡이부 고정구
15 : 전방지지롤러 17 : 후방지지롤러
18 : 바닥감시센서 20,21 : 구동바퀴
22,24 : 보호커버 25 : 충격흡수제
30 : 스크레퍼 32,33 : 측방보조롤러
40 : 리모트컨트롤러 41 : 전원온/오프스위치
42 : 속도조절스위치 43,44 : 좌/우 방향조절버튼
45,46 : 전/후이동버튼 47 : 무선신호송신부
50 : 무선신호수신기 51 : 무선신호수신부
52 : 중앙제어부 53 : 속도제어부
54 : 방향제어부 55 : 전원제어부
56 : 스크레퍼 기울기제어부 57 : 바닥높이판별부
60 : 전파수신안테나
70,71 : 좌/우측 신축실린더
80 : 손잡이부 82 : 기능조작부
83 : 충전량표시부 84 : 속도조절스위치
85 : 전/후진제어스위치 86,87 : 좌우방향조절스위치
88 : 손잡이대
90 : 제설제 살포장치 92 : 제설제 적재함
93 : 제설제 살포구 94 : 회전팬
96 : 제설제 투입호퍼
100 : 전동식 대파
C : 염전제방 G : 골프연습장
g : 골프 볼

Claims (5)

  1.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본체 양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본체에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영역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한 곳으로 모으는 스크레퍼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사용자측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바퀴의 구동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선신호수신기와,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과 방향전환을 위한 전후진버튼과 좌우회전버튼,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 및 전원제어를 위한 전원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무선신호수신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신호송신부가 내장된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원격지에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는 손잡이부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 고정구에는 고동모터의 속도제어를 위한 속도조절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스위치와, 양측 손잡이대에 구비되어 본체의 좌우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좌/우회전스위치를 구비된 기능조작부가 구비된 손잡이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본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본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후방 지지롤러가 각각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의 좌우 양쪽에는 스크레퍼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좌우측신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신축실린더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전/후 이동버튼 또는 좌/우 회전버튼을 동시에 누를 경우 좌측 또는 우측이 신장되어 스크레퍼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제설제 살포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제설제 살포장치는 내부에 일정량의 제설제를 채울 수 있는 제설제 적재함과,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테두리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제설제를 외부로 살포하기 위한 제설제 살포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절세 적재함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면서 제설제를 원심력 방향으로 살포시키는 회전팬과,
    상기 제설제 적재함 상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설제 적재함 내측으로 제설제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설제 투입호퍼;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와 본체 사이에는 작업영역인 바닥면에 대한 높이나 기울기 또는 금속제를 실시간 감지하여 위험구간으로 본체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감시센서가 설치되고,
    양쪽 구동바퀴의 상부와 본체의 상부에는 외부 충격시 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제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KR1020180130513A 2018-10-30 2018-10-30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KR20200048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13A KR20200048422A (ko) 2018-10-30 2018-10-30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13A KR20200048422A (ko) 2018-10-30 2018-10-30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22A true KR20200048422A (ko) 2020-05-08

Family

ID=7067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13A KR20200048422A (ko) 2018-10-30 2018-10-30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005B1 (ko) * 2020-08-12 2021-07-23 홍진영 선박 운반 대차의 측간 이송 대차 바퀴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34B1 (ko) 2014-06-27 2014-08-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전동 밀대
KR101541090B1 (ko) 2014-08-29 2015-07-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전동 밀대
KR20160015466A (ko)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영백염전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34B1 (ko) 2014-06-27 2014-08-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전동 밀대
KR20160015466A (ko)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영백염전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KR101541090B1 (ko) 2014-08-29 2015-07-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전동 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005B1 (ko) * 2020-08-12 2021-07-23 홍진영 선박 운반 대차의 측간 이송 대차 바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1269A (zh) 智能多功能割草机
JPH0699889B2 (ja) 自走式海浜清掃作業車
CN106836095A (zh) 环保清洁机器人
JP6815538B2 (ja) 自動芝生トリマーおよび自動芝生トリミング方法
CN206815251U (zh) 环保清洁机器人
US4221018A (en) Lawn sweeper
US9480885B1 (en) Ball retriever
KR20200048422A (ko)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동식 대파
US10179982B2 (en) Snow removing system
US20200267883A1 (en) Stand-on outdoor power equipment for aerating soil
EP3680391B1 (en) Automatic self-moving snow removal device
CN107258203A (zh) 一种智能割草机
WO2016034652A1 (de)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r fläche
RU102221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учной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дворовых территорий
US5833009A (en) Lawn edg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
CN108330876A (zh) 多功能垃圾清扫机及其清扫方法
US5784872A (en) Trash pick-up and collection system
US7500284B2 (en) Turf sweeper and debris removal machine
CN213253594U (zh) 一种多功能的环保降尘设备
CN112673803A (zh) 一种多角度调节修草及拢草装置
CN210262619U (zh) 一种道路病害预判装置
CN111699772A (zh) 一种基于现代农业技术的覆土机
RU2709699C1 (ru) Руч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метла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льда, воды, земли, листьев и мусора
CN220897117U (zh) 一种微耕机牵引框总成
CN205276180U (zh) 一种平地滚轮式清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