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091A -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091A
KR20200048091A KR1020180129785A KR20180129785A KR20200048091A KR 20200048091 A KR20200048091 A KR 20200048091A KR 1020180129785 A KR1020180129785 A KR 1020180129785A KR 20180129785 A KR20180129785 A KR 20180129785A KR 20200048091 A KR20200048091 A KR 2020004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rimary
membrane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345B1 (ko
Inventor
장인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3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3Reducing manufacturing time or eff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은, 액화천연가스를 밀봉시키는 1차 멤브레인; 1차 멤브레인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1차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1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1 텅부를 포함하고, 제1 텅부는 1차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 부재 및 제1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 마련되어 1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1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LIQUEFIED NATURAL GAS CARGO INSULATION SYSTEM}
본 발명은 단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텅 부재의 연결 시에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작업 공정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이러한 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 예컨대 대략 -163℃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LNG는 LNG 수송선에 실려서 바다를 통해 운반되어 육상 소요처에 하역되거나,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에 실려서 바다를 통해 운반되어 육상 소요처에 도달한 후 재기화되어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될 수 있는데, LNG 수송선과 LNG RV에는 LNG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화물창'이라고도 함)가 마련된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은 크게 독립 탱크 타입과 멤브레인 타입으로 분류된다. 독립 탱크 타입의 화물창에는 MOSS 타입과 IHI-SPB 타입이 있고, 멤브레인 타입 화물창에는 GTT NO96 타입과 TGZ Mark Ⅲ 타입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GTT NO96 타입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TT NO96 타입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은, 플라이우드(plywood) 재질의 박스에 단열재가 채워진 형태의 1차 단열박스(10) 및 2차 단열박스(20)와, 1차 단열박스(10)와 2차 단열박스(20)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1차 멤브레인(30, Primary Membrane) 및 2차 멤브레인(40, Secondary Membrane)을 포함한다.
1차 단열박스(10)의 상판은 3개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 1차 단열박스(10)의 바디에 스테이플 등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3개의 분리된 상판을 1차 단열박스(10)의 바디에 각각 결합해야 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1차 멤브레인(30) 및 2차 멤브레인(40)은 0.5 ~ 0.7mm의 인바(invar) 강(36% Ni)으로 이루어지며, 1차 멤브레인(30)과 2차 멤브레인(40)은 각각 1차 단열박스(10)와 2차 단열박스(20)의 상판에 마련되는 텅부재에 인바 스트레이크의 양쪽 가장자리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1차 멤브레인(30) 및 2차 멤브레인(40)은 1차 밀봉벽 및 2차 밀봉벽이라고도 한다.
도 1의 상측 확대도에 1차 멤브레인(30)의 고정을 위한 제1 텅부재(50)와 제2 텅부재(60)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텅부재(50)와 제2 텅부재(60)는 대략 "J"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서로 후크처럼 걸린 구조이다. 이는 상하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1차 멤브레인(30)의 수축 또는 팽창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도 1의 하측 확대도에는 2차 멤브레인(40)의 고정을 위한 제3 텅부재(60)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텅부재(7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측부가 2차 단열박스(20)에 마련된 홈에 삽입된다. 이때 제3 텅부재(70)의 하측부는 2차 단열박스(20)에 마련된 홈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텅부재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텅부재(50)는 1차 단열박스(10)에 결합되는 스테이플(80)에 의해 1차 단열박스(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단열박스(10)에는 스테이플(80)이 삽입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홀(11)이 마련된다.
그런데 이때 작업중에 스테이플(80)의 연결 불량이 발생하거나, 또는 스테이플(80)의 결합이 생략된 경우, 1차 단열박스(10)의 상판을 분리해서 보완작업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텅부재와 제2 텅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텅부재(60)의 후크 형상이 네거티브(negative) 형상이거나, 제1 텅부재(50)와 제2 텅부재(60)의 길이의 합(L)이 일정 길이, 예를 들어 5mm 이상이면, 제1 텅부재(50)와 제2 텅부재(60)의 체결이 어려워 양자간의 연결성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 텅부재와, 제3 텅부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피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텅부재(70)의 일측부에 제2 멤브레인(40)과의 용접을 위해 홀을 가공하고, 고정 피스를 이용하여 제3 텅부재(7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L"자형 타입의 제3 텅부재(70)의 하측부가 2차 단열박스(20)의 상부에 마련되는 홈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3 텅부재(70)의 설치를 위해, 제3 텅부재(70)의 홀 가공 및 고정 피스 설치를 위한 추가 작업이 불가피하여, 작업이 복잡해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텅부재(50) 및 제2 텅부재(60)를 "J"자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 장비도 필요하며, 제1 텅부재(50) 및 제2 텅부재(6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네버티브 형상의 불량품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8-0001313호(2018. 05. 08.)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8-0001647호(2018. 06. 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텅 부재의 연결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공정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를 밀봉시키는 1차 멤브레인;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상기 1차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1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1 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텅부는 상기 1차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 부재; 및 상기 제1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1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1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부재와 접하는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마련되어, 상기 1차 단열박스에 마련된 제1 결합홈에 하측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1차 단열박스는, 제1 박스 바디; 및 상기 제1 박스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부에는 제1 절개홀 및 상기 제1 절개홀에서 연장 마련되는 제1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단열박스와 상기 선체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액화천연가스를 밀봉하는 2차 멤브레인; 상기 2차 멤브레인과 상기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2차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상기 2차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2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2 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텅부는, 상기 2차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2 수평 부재; 및 상기 제2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 마련되어 상기 2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2 수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 부재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를 밀봉시키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상기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텅부를 포함하고, 상기 텅부는 상기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 마련되어 상기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수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부재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가져 상기 단열박스에 마련된 결합홈에 하측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텅 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마련하여 종래의 텅 부재를 연결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공정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GTT NO96 타입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텅부재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텅부재와 제2 텅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 텅부재와, 제3 텅부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피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에 적용되는 1차 단열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1차 단열박스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에 적용되는 2차 단열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2차 단열박스의 상부에 2차 멤브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에 적용되는 1차 단열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1차 단열박스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에 적용되는 2차 단열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2차 단열박스의 상부에 2차 멤브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은, 액화천연가스를 밀봉시키는 1차 멤브레인(100)과, 1차 멤브레인(100)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200)와, 일측부는 1차 단열박스(2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1차 멤브레인(100)에 결합되는 제1 텅부(300)와, 1차 단열박스(200)와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액화천연가스를 밀봉하는 2차 멤브레인(400)과, 2차 멤브레인(400)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2차 단열박스(500), 그리고 일측부는 2차 단열박스(5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2차 멤브레인(400)에 결합되는 제2 텅부(600)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은, 선체 내벽으로부터 2차 단열박스(500), 2차 멤브레인(400), 1차 단열박스(200), 1차 멤브레인(1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1차 단열박스(200)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100)의 결합을 위한 제1 텅부(300)가 마련되고, 2차 단열박스(500)의 상부에 2차 멤브레인(400)의 결합을 위한 제2 텅부(600)가 마련된다.
1차 멤브레인(100)은 액화천연가스가 직접 접촉되는 영역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단열박스(200)의 상면부에 배치된다.
1차 멤브레인(100)은 0.5 ~ 0.7mm 두께의 인바(invar) 강(36% Ni)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인바 스트레이크(invar strake)가 1차 단열박스(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텅부(3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1차 멤브레인(100)의 인바 스트레이크는, 제1 텅부(300)의 제1 수직부재(320)에 대응되는 양쪽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제1 수직부재(3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1차 단열박스(200)는 1차 멤브레인(100)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액화천연가스를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1차 단열박스(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박스 바디(210)와, 제1 박스 바디(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1차 단열박스(200)의 제1 박스 바디(210) 내부에는 복수의 제1 격벽(211)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제1 격벽(211)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종래에 1차 단열박스(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제1 커버 플레이트(220)에 대응되는 구성임)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3개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 1차 단열박스(200)의 바디에 스테이플 등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3개의 분리된 상판을 1차 단열박스(200)의 바디에 각각 결합해야 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원발명의 제1 커버 플레이트(220)는 분리됨이 없이 하나로 마련되어 하나의 제1 커버 플레이트(220)를 제1 박스 바디(21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작업 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차 단열박스(200)의 제1 커버 플레이트(220)의 상면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홀(221)과, 제1 절개홀(221)에서 연장 마련되는 제1 결합홈(222)이 마련된다. 제1 결합홈(222)에는 제1 수평 부재(310)가 삽입 결합되어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제1 텅부(300)는 제1 커버 플레이트(220)에 결합되어, 1차 멤브레인(100)을 1차 단열박스(200)의 상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텅부(300)는 상기와 같이 제1 수평 부재(310)가 제1 결합홈(220)에 걸림 지지됨으로써 제1 커버 플레이트(2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텅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커버 플레이트(220)의 제1 결합홈(222)에 삽입 결합되는 제1 수평 부재(310)와, 제1 수평 부재(310)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1차 멤브레인(100)에 결합되는 제1 수직 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 수평 부재(310)는, 제1 수직 부재(320)와 접하는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마련되어, 제1 결합홈(222)에 하측부가 접촉될 수 있다.
제1 텅부(300)는, 제1 수평 부재(310)와 제1 수직 부재(320)가 분리되지 않은 일체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의 텅 부재를 연결 시에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작업 공정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수평 부재(310)는 두께가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하 방향으로의 변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른 1차 멤브레인(100)의 수축 또는 팽창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부재(310)는 제1 결합홈(222)의 일측 영역, 즉 우측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제1 수평 부재(310)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2차 멤브레인(400)은 1차 단열박스(200)와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액화천연가스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단열박스(500)의 상면부에 배치된다.
2차 멤브레인(400)은 1차 멤브레인(100)과 마찬가지로 0.5 ~ 0.7mm 두께의 인바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인바 스트레이크가 2차 단열박스(5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텅부(6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2차 멤브레인(400)의 인바 스트레이크는, 제2 텅부(600)의 제2 수직부재(620)에 대응되는 양쪽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제2 수직부재(6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2차 단열박스(500)는 2차 멤브레인(400)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액화천연가스를 2차적으로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2차 단열박스(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박스 바디(510)와, 제2 박스 바디(5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 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2차 단열박스(500)의 제2 박스 바디(510) 내부에는 복수의 제2 격벽(511)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제2 격벽(511)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2차 단열박스(500)의 제2 커버 플레이트(520)의 상면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개홀(521)과, 제2 절개홀(521)에서 연장 마련되는 제2 결합홈(522)이 마련된다.
제2 텅부(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2차 단열박스(5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2차 멤브레인(400)에 결합되어, 2차 멤브레인(400)을 2차 단열박스(500)의 상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텅부(600)는, 2차 커버 플레이트(520)의 제2 결합홈(522)에 삽입 결합되는 제2 수평 부재(610)와, 제2 수평 부재(610)의 단부에 연장되게 마련되어 2차 멤브레인(400)에 결합되는 제2 수직 부재(620)를 포함한다.
제2 수평 부재(610)는 저면부가 제2 결합홈(522)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제2 수평 부재(610)의 두께를 증가시켜 고정 피스에 의한 설치 작업의 생략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 부재(610)는 제2 결합홈(522)의 일측 영역 즉, 우측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제2 수평 부재(610)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텅 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마련하여 종래의 텅 부재를 연결 시에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작업 공정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1차 멤브레인 200 : 1차 단열박스
300 : 제1 텅부 400 : 2차 멤브레인
500 : 2차 단열박스 600 : 제2 텅부

Claims (8)

  1. 액화천연가스를 밀봉시키는 1차 멤브레인;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상기 1차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1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1 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텅부는,
    상기 1차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 부재; 및
    상기 제1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1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1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부재와 접하는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마련되어, 상기 1차 단열박스에 마련된 제1 결합홈에 하측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열박스는,
    제1 박스 바디; 및
    상기 제1 박스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부에는 제1 절개홀 및 상기 제1 절개홀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제1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부재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열박스와 상기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액화천연가스를 밀봉하는 2차 멤브레인;
    상기 2차 멤브레인과 상기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2차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상기 2차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2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2 텅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텅부는,
    상기 2차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제2 수평 부재; 및
    상기 제2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 마련되어 상기 2차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제2 수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 부재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8. 액화천연가스를 밀봉시키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과 선체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박스; 및
    일측부는 상기 단열박스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텅부를 포함하고,
    상기 텅부는 상기 단열박스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단부에 연장되게 마련되는 상기 멤브레인에 결합되는 수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부재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가져 상기 단열박스에 마련된 결합홈에 하측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1020180129785A 2018-10-29 2018-10-29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10249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85A KR102490345B1 (ko) 2018-10-29 2018-10-29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85A KR102490345B1 (ko) 2018-10-29 2018-10-29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91A true KR20200048091A (ko) 2020-05-08
KR102490345B1 KR102490345B1 (ko) 2023-01-20

Family

ID=7067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785A KR102490345B1 (ko) 2018-10-29 2018-10-29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3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765A (ko) * 2013-10-21 2015-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20150058645A (ko) * 2013-11-19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KR20170050584A (ko) *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20180001313A (ko) 2016-06-27 2018-01-04 정지홍 발모에 유용한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01647A (ko) 2016-06-24 2018-01-05 주식회사 피노스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765A (ko) * 2013-10-21 2015-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20150058645A (ko) * 2013-11-19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KR20170050584A (ko) *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20180001647A (ko) 2016-06-24 2018-01-05 주식회사 피노스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313A (ko) 2016-06-27 2018-01-04 정지홍 발모에 유용한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345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6627A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 패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US10023270B2 (en) Heat-insulation system for liquefied natural gas cargo hold
KR10186703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고정장치
US20170144733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secur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20150058645A (ko) 화물창
EP3901026A1 (en) Insulation wall fix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20170042873A (ko)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751839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20200048091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2016000475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681717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코너부 고정 시스템
KR20180065265A (ko) 멤브레인용 화물창의 단열박스 체결 구조 및 방법
EP3363727A1 (en) Membrane assembly for welding membrane of membrane type storage tank and membrane welding device guide system including same
US11480297B2 (en) Membrane bonding structure and liquefied gas storage tank comprising the same
KR102019273B1 (ko)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180011424A (ko) 독립형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185800B1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200493157Y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u자형 멤브레인을 이용한 텅 설치구조
KR20190081146A (ko) 강도 보강용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50069749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용 멤브레인
KR100765933B1 (ko) Lng 저장탱크 내에 밀봉벽 및 단열벽을 지지하기 위한지지 구조체
KR101713852B1 (ko) 2차 방벽 설치 구조 및 방법
KR10217654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21005805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KR20180092402A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코너부 단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