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373A - 클렌징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렌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373A
KR20200047373A KR1020190132033A KR20190132033A KR20200047373A KR 20200047373 A KR20200047373 A KR 20200047373A KR 1020190132033 A KR1020190132033 A KR 1020190132033A KR 20190132033 A KR20190132033 A KR 20190132033A KR 20200047373 A KR20200047373 A KR 2020004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leansing
component
polyoxyethyle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무라이
고지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4Hydroxides or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6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07Polyethers, e.g. polyalkylene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49Polyolefins; Halogenated polyolefins; Natural or synthetic rubber; Polyarylolefins or halogenated polyaryl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7(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 C11D3/3765(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in liqui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8Sulfonation products derived from fatty acids or their derivatives, e.g. esters,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과제)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도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또 물의 혼입 전후에 있어서, 외관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있고, 나아가 씻어낼 때의 헹굼성이 양호한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이하의 성분 (A) 를 5 ∼ 35 질량%, 성분 (B) 를 5 ∼ 20 질량%, 성분 (C) 를 10 ∼ 35 질량%, 성분 (D) 를 10 ∼ 4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조성물.
(A) 폴리옥시에틸렌 (5 ∼ 30) 모노 지방산 글리세릴
(B) 폴리옥시에틸렌 (5 ∼ 30) 글리세린
(C) 탄소수가 2 ∼ 6 인 다가 알코올
(D) 25 ℃ 에서 액상인 유성 성분

Description

클렌징 조성물 {CLEANS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시에 소량의 물에 젖은 상태이더라도, 높은 클렌징력을 유지함과 함께, 외관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나아가 씻어낼 때의 헹굼성이 양호한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메이크의 내구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것에 의해, 수성 클렌징 화장료보다 클렌징력이 강한 유성 클렌징 화장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성 클렌징 화장료는 다량의 유성 성분과 계면 활성제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메이크와의 어우러짐이 좋아, 우수한 클렌징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성 클렌징 화장료를 손이나 얼굴이 젖은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 소량이라도 물이 혼입되면, 유화 상태가 되어, 현저하게 클렌징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클렌징 후의 헹굼시에 있어서, 피부에 유성 성분 특유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남음으로써, 사용감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한 배경하, 피부가 소량의 물에 젖은 상태이더라도, 높은 클렌징력을 유지하고, 우수하게 씻어낼 수 있는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가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젖은 피부에 사용해도 메이크와의 어우러짐이 좋아,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며, 물로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고,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클렌징 화장료가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2).
한편, 최근에는 외형의 고급감 및 고순도 성분의 사용을 상기시킨다는 부가가치 향상의 관점에서 외관의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유성 클렌징 화장료에서는, 물의 혼입시에 있어서, 클렌징력은 우수하지만, 외관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고, 물의 혼입시에 있어서의 클렌징력과 외관의 투명성을 양립시킨 유성 클렌징 화장료는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376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275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유화에 대해 안정적이고, 내수성이 우수한 점에서,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도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또 물의 혼입 전후에 있어서, 외관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있고, 나아가 씻어낼 때의 헹굼성이 양호한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특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다가 알코올 등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 (A) 를 5 ∼ 35 질량%, 성분 (B) 를 5 ∼ 20 질량%, 성분 (C) 를 10 ∼ 35 질량%, 성분 (D) 를 10 ∼ 4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폴리옥시에틸렌 (5 ∼ 30) 모노 지방산 글리세릴
(B) 폴리옥시에틸렌 (5 ∼ 30) 글리세린
(C) 탄소수가 2 ∼ 6 인 다가 알코올
(D) 25 ℃ 에서 액상인 유성 성분
추가로,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성분 (E) 로서 HLB 가 2 ∼ 6 이고, 다가 알코올 골격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5 ∼ 25 질량%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성분 (F) 로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0.1 ∼ 10 질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근, 메이크의 내구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것에 대응하여, 많이 사용되게 된 유성 클렌징 화장료의 분야에 있어서, 물의 혼입시에 유화 상태가 되어, 클렌징력 및 외관의 투명성이 모두 저하되는 것, 나아가 클렌징 후의 헹굼시에 있어서, 사용감이 나쁘다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에 대해, 물의 혼입시라 하더라도, 유화에 대해 안정적인 내수성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메이크와의 어우러짐이 좋아, 클렌징력이 우수한 것, 또 물의 혼입 전후에 있어서, 외관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형의 고급감 및 고순도 성분의 사용을 상기시킨다는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있는 것, 나아가 씻어낼 때의 헹굼성이 양호한 점에서, 피부에 유성 성분 특유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남지 않고, 사용감이 좋은 것이라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성분 (A) 폴리옥시에틸렌 (5 ∼ 30) 모노 지방산 글리세릴>
본 발명은, 성분 (A) 로서 폴리옥시에틸렌 (5 ∼ 30) 모노 지방산 글리세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구체적인 폴리옥시에틸렌 (5 ∼ 30) 모노 지방산 글리세릴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모노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르산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산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폴리옥시에틸렌 (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모노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배합량은, 5 ∼ 3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3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 질량% 이다. 5 질량% 미만이면, 클렌징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35 질량% 를 초과하면, 헹굼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괄호 내의 수치는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있고, 성분 (A) 의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는, 5 ∼ 30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2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이다. 5 미만이면,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없고, 30 을 초과하면 클렌징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성분 (B) 폴리옥시에틸렌 (5 ∼ 30) 글리세린>
본 발명은, 성분 (B) 로서 폴리옥시에틸렌 (5 ∼ 30)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성분 (B) 의 배합량은, 5 ∼ 2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15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 질량% 이다. 5 질량% 미만이면,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없고, 20 질량% 를 초과하면,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조성물의 투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성분 (B) 의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는, 5 ∼ 30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2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이다. 5 미만이면,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없고, 30 을 초과하면, 끈적거림의 요인이 되어, 헹굼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A)/(B) 의 비율로는 1 ∼ 5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 이다. (A)/(B) 의 비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조성물의 투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클렌징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성분 (C) 탄소수가 2 ∼ 6 인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은, 성분 (C) 로서 탄소수가 2 ∼ 6 인 다가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구체적인 탄소수가 2 ∼ 6 인 다가 알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다. 이들 성분 (C) 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성분 (C) 의 함유량은, 10 ∼ 3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30 질량% 이다. 10 질량% 미만이면, 안정적인 제제가 얻어지지 않고,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조성물의 투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35 질량% 를 초과하면, 헹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성분 (D) 25 ℃ 에서 액상인 유성 성분>
본 발명은, 성분 (D) 로서 25 ℃ 에서 액상인 유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25 ℃ 에서 액상인 유제로는, 에스테르유나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극성유, 탄화수소유나 실리콘유 등의 비극성유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에스테르유나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극성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 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로는, 올레산에틸, 리놀레산에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이소세틸,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이소스테아릴, 팔미트산세틸, 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라우르산헥실, 올레산데실, 올레산옥틸도데실, 피발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에루크산옥틸도데실, 디데칸산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아디프산디데실,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바틸, 모노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라놀린 지방산 이소스테아릴,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 지방산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산세틸,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노난산프로필렌글리콜, 디 (카프릴·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이소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에스테르유로서, 이것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을 들 수 있다.
25 ℃ 에서 액상인 트리글리세리드로는,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2-에틸헥산산, 이소트리데칸산, 이소팔미트산, 이소스테아르산, 에이코산산, 올레산 등 탄소수 6 이상의 고급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세리드 ;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서플라워유, 피마자유, 동백유 등의 동식물 유지류 ;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이것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트리글리세리드로는,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2-에틸헥산산 등의 탄소수 6 ∼ 10 의 고급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 고급 지방산의 혼합물과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세리드, 예를 들어 트리 (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리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을 들 수 있다.
25 ℃ 에서 액상인 탄화수소유로는, 유동 파라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수소 첨가 폴리데센, 스쿠알란, 스쿠알렌, 프리스탄,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테트라데센,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이다. 이러한 탄화수소유로서, 이것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25 ℃ 에서 액상인 실리콘유로는, 디메티콘, 시클로메티콘, 페닐디메티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시클로메티콘이다. 이러한 실리콘유로서, 이것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D) 의 함유량은, 10 ∼ 4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35 질량%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30 질량% 이다. 10 질량% 미만인 경우, 클렌징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4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 헹굼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성분 (E) HLB 가 2 ∼ 6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성분 (E) 로서 HLB 가 2 ∼ 6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해도 된다. 성분 (E) 를 사용함으로써, 클렌징력이 향상되고, 씻어낼 때의 헹굼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성분 (E) 의 HLB 는, 2 ∼ 6 이고, 바람직하게는 3 ∼ 6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6 이다. HLB 가 2 미만인 경우에는 안정적인 조성물이 얻어지지 않고, HLB 가 6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클렌징력을 부여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인 HLB 가 2 ∼ 6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PEG-2 수소 첨가 피마자유, PEG-10 수소 첨가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5 ∼ 15) 트리 (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5 ∼ 15) 트리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5 ∼ 10) 트리올레산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5 ∼ 10) 트리스테아르산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5 ∼ 10)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클렌징력의 관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5 ∼ 10) 트리 (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5 ∼ 10) 트리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이 바람직하다.
성분 (E) 의 배합량은, 5 ∼ 25 질량% 이면, 클렌징력이나 헹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이다.
여기서, 상기 HLB 값은, 카와카미가 제창한 하기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카와카미 : 과학, 23, 546 (1953)).
HLB 값 = 7 + 11.7·Log (MW/MO)
(여기서 MW 는 친수기부의 분자량, MO 는 친유기부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성분 (F)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성분 (F) 로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해도 된다. 성분 (F) 를 사용함으로써, 클렌징력이 향상되고, 씻어낼 때의 헹굼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미드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이세티온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폴리펩티드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알킬기, 혹은 아실기의 탄소수는, 클렌징력의 관점에서, 10 ∼ 18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14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기나 아실기는, 포화 지방산 유래, 불포화 지방산 유래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인 혼합 지방산 유래의 것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혼합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카운터 이온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알칸올아민염,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F) 의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PEG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코코일글루탐산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클렌징력과 씻어낼 때의 헹굼성의 관점에서,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성분 (F) 로서, 상기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F) 의 배합량은, 0.1 ∼ 10 질량% 이면, 클렌징력이나 헹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2 질량%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수성이란 욕실 등에서의 사용을 상정하여, 물이 혼입된 상태에서도 클렌징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고, 클렌징력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성분, 예를 들어, 에탄올 등의 성분 (C) 이외의 알코올, 비타민류, 자외선 흡수제, 수용성 고분자, 산화 방지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다른 비이온 계면 활성제, 금속 이온 봉쇄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증점제, 방부제, 색소, 분체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 이다.
(시료의 조제)
표 1 ∼ 2 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6 의 클렌징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의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 표 2 에 병기하였다. 또한, 표 1 그리고 표 2 중의 성분 (A) 및 성분 (B) 의 괄호 내의 수치는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a) 조제 직후의 외관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시료를 유리제 샘플병 (입구 내경 × 동체 직경 × 높이 : Φ41 × Φ55 × 95 mm) 에 넣고, 조제 직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투명하다.
△ : 약간 탁함이 있지만 투명하거나, 또는 탁함이 있고 투명하지 않다 (유화되어 있다).
(b) 물이 혼입된 상태의 클렌징 조성물의 외관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시료에 대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의 물을 첨가, 혼합한 경우의 외관을, 조제 직후와 동일한 방법으로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투명하다.
○ : 약간 탁함이 있지만 투명하다.
△ : 탁함이 있고 투명하지 않다 (유화되어 있다).
(c) 물이 혼입된 상태에서의 클렌징 조성물의 세정력 평가
피부가 물에 젖은 상태에서의 클렌징력을 확인하기 위해, 10 명의 패널리스트의 상완 내측부에, 아이라이너 (코프레 도르 (등록 상표), 카네보 화장품 주식회사 제조) 를 직경 2 cm 의 원이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고, 25 ℃, 상대 습도 50 % 의 항온 항습실에서, 30 분 건조시켰다. 젖은 손으로의 사용을 측정하여, 각 시료에 대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질량% 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각각 50 mg 을 손가락으로 5 초간, 건조된 아이라이너의 원에 어우러지게 하고, 그 후, 흐르는 물로 씻어냈다. 자연 건조 후, 아이라이너가 떨어지는 상태를 분광 측색계 (CM-2500c, 코니카 미놀타) 에 의해,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세정력의 평균이 70 % 이상을 「◎」, 70 % 미만 50 % 이상을 「○」, 50 % 미만을 「△」로 평가하였다.
세정력 = (1 ― (ΔE2)/(ΔE1)) × 100
ΔE1 (세정 전의 메이크와 상완 내부의 색차)
ΔE2 (세정 후의 메이크와 상완 내부의 색차)
(d) 헹굼성의 평가
상기의 (c) 의 세정력 평가를 실시한 후, 계속해서 약 37 ℃ 의 온수로 5 초간 씻어낸 직후의 상태를 패널리스트 각자가 하기 평가 기준으로 5 단계로 평가하고, 평점을 부여하였다. 10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의 합계 득점으로 25 점 이상을 「◎」, 18 점 이상 25 점 미만을 「○」, 18 점 미만을 「△」로 평가하였다.
3 : 유분이 완전히 씻겨내지고, 매우 산뜻한 감촉이다.
2 : 유분이 대부분 씻겨내지고, 산뜻한 감촉이다.
1 : 유분이 다소 남아 있고, 약간 끈적거리는 감촉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12 의 클렌징 조성물은 모두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성분 (A) 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의 클렌징 조성물은 물이 혼입된 상태의 클렌징 조성물의 외관이 나쁘고, 나아가 헹굼성이 나빠졌다.
본 발명의 성분 (A) 및 (B) 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2 의 클렌징 조성물은 조제 직후 및 물이 혼입된 상태의 외관이 나쁘고, 나아가 세정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성분 (B) 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3 의 클렌징 조성물은 물이 혼입된 상태의 클렌징 조성물의 외관이 나빠졌다.
성분 (C) 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4 및 5 에 대해, 모두 물이 혼입된 상태의 클렌징 조성물의 외관이 나빠졌다. 비교예 4 에 있어서는, 나아가 헹굼성이 나빠졌다.
성분 (D) 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6 의 클렌징 조성물은 세정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실시예 13 : 클렌징 리퀴드의 처방예]
실시예 13 으로서,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하는 구체적인 클렌징 리퀴드 (클렌징 조성물) 의 처방예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을 상온에서 조제함으로써, 물의 혼입 전후에 있어서, 외관의 투명성이 유지됨과 함께,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도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나아가 씻어낼 때의 헹굼성이 양호한 클렌징 리퀴드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14 : 클렌징 젤의 처방예]
실시예 14 로서,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하는 구체적인 클렌징 젤 (클렌징 조성물) 의 처방예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를 상온에서 조제함으로써, 물의 혼입 전후에 있어서, 외관의 투명성이 유지됨과 함께, 물이 혼입된 상태에 있어서도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나아가 씻어낼 때의 헹굼성이 양호한 클렌징 젤을 얻을 수 있었다.
Figure pat00004

Claims (3)

  1. 이하의 성분 (A) 를 5 ∼ 35 질량%, 성분 (B) 를 5 ∼ 20 질량%, 성분 (C) 를 10 ∼ 35 질량%, 성분 (D) 를 10 ∼ 4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조성물.
    (A) 폴리옥시에틸렌 (5 ∼ 30) 모노 지방산 글리세릴
    (B) 폴리옥시에틸렌 (5 ∼ 30) 글리세린
    (C) 탄소수가 2 ∼ 6 인 다가 알코올
    (D) 25 ℃ 에서 액상인 유성 성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성분 (E) 로서 HLB 가 2 ∼ 6 이고, 다가 알코올 골격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5 ∼ 25 질량% 함유하는, 클렌징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성분 (F) 로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0.1 ∼ 10 질량% 함유하는, 클렌징 조성물.
KR1020190132033A 2018-10-24 2019-10-23 클렌징 조성물 KR20200047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9703 2018-10-24
JP2018199703 2018-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373A true KR20200047373A (ko) 2020-05-07

Family

ID=7038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33A KR20200047373A (ko) 2018-10-24 2019-10-23 클렌징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15377B2 (ko)
KR (1) KR20200047373A (ko)
CN (1) CN111088118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529A (ja) 1999-05-17 2000-11-28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3237646A (ja) 2012-05-16 2013-11-28 Rohto Pharmaceutical Co Ltd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041B2 (ja) * 2002-03-28 2006-06-14 日本油脂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料
JP2009235001A (ja) * 2008-03-27 2009-10-15 Shiseido Co Ltd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2158550A (ja) * 2011-02-01 2012-08-23 Nof Corp クレンジング化粧料
FR3012330B1 (fr) * 2013-10-29 2015-10-23 Oreal Composition biphase comprenant un ester d'acide gras et de sucre ou un alkylpolyglucoside liquide, de hlb < 8, et un alcane ramifie en c8-c18
JP6163252B2 (ja) * 2014-02-20 2017-07-12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シート及び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6472981B2 (ja) * 2014-11-04 2019-02-20 ピアス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560519B2 (ja) * 2015-03-27 2019-08-14 株式会社コーセー 液状油性クレンジング料
KR20180084106A (ko) * 2015-11-19 2018-07-24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셀프 어셈블링 스킨 케어 에멀젼
JP6045734B1 (ja) * 2016-02-29 2016-12-14 株式会社 資生堂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772570B2 (ja) * 2016-06-13 2020-10-21 日油株式会社 オイルゲル状クレンジング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529A (ja) 1999-05-17 2000-11-28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3237646A (ja) 2012-05-16 2013-11-28 Rohto Pharmaceutical Co Ltd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88118A (zh) 2020-05-01
CN111088118B (zh) 2023-08-01
JP7215377B2 (ja) 2023-01-31
JP2020066623A (ja)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4755B2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JP5723188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JP5419506B2 (ja) 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100135334A (ko) 클렌징 화장료
KR101347727B1 (ko) 클렌징과 마사지가 가능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JP5002434B2 (ja) 乳化型浴用剤組成物
US7615231B2 (en) Methods for enhancing the morphology, tone, texture and/or appearance of skin or hair using a meadowlactone
CN108348426B (zh) 含壬酸酯的水性化妆品组合物
JP5709167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KR20150014279A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20060140890A1 (en) Oily solid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U713173B2 (en) Cold cream cosmetic composition
JP2003113024A (ja) 油性化粧料
WO2013021775A1 (ja) 液状皮膚外用剤組成物
JP6715396B1 (ja) 化粧料用組成物
JP2005314366A (ja) 彩色非水系組成物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KR20200047373A (ko) 클렌징 조성물
JP2001288036A (ja) 透明クレンジング料
JP5873330B2 (ja) 二層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3615670B2 (ja) 透明化粧料
JP7220957B2 (ja) 透明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686938B2 (ja) 油性皮膚洗浄料
KR100777592B1 (ko)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