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198A -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198A
KR20200047198A KR1020180129339A KR20180129339A KR20200047198A KR 20200047198 A KR20200047198 A KR 20200047198A KR 1020180129339 A KR1020180129339 A KR 1020180129339A KR 20180129339 A KR20180129339 A KR 20180129339A KR 20200047198 A KR20200047198 A KR 20200047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hord
sound
rhythm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591B1 (ko
Inventor
이종현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to KR10201801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자동작곡장치는 반복구조패턴을 선택하고,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임의 선택하고, 선택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하고,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일부는 해당 마디에 부여된 코드에 따라 음 높이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선택한다.

Description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osing music}
본 발명은 자동으로 작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작곡 이론이 존재한다. 작곡가는 이러한 작곡 이론에 창의성을 결합하여 다양한 음악을 작곡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곡하고 이를 다양한 소리로 출력하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장치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MIDI 장치는 사용자의 작업을 도와주는 역할에 그칠 뿐 전체 곡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없다. 또한, 스피커 등과 같은 컴퓨팅 자원이 한정된 소리 출력장치는 미리 녹음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을 뿐 악보를 기초로 실시간 악기음을 만들어 재생할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4706호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매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프라인에서 최소한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곡을 작곡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의 일 예는, 코드패턴을 포함하는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 리듬패턴을 포함하는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 반복구조패턴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상기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 및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에서 임의 선택하고, 선택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하는 패턴배치부; 및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일부는 해당 마디에 부여된 코드를 기초로 음 높이를 가지는 코드톤으로 선택하고, 나머지는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가지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하는 톤선택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방법의 일 예는, 반복구조패턴을 선택하는 단계;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임의 선택하고, 선택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하는 단계; 및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일부는 해당 마디에 부여된 코드에 따라 음 높이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컴퓨팅 자원으로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곡을 자동으로 만들 수 있다. 자동 작곡한 음악을 다양한 악기음으로 바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 등과 같이 휴대가능한 장치에 본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EDM(Electronic Dance Music)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음악 장르에 본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곡 템플릿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와 리듬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 높이 결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반주를 위한 작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리듬패턴의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르페지오 리듬패턴과 베이스 리듬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음생성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곡 템플릿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곡 템플릿(100)은 멜로디(110), 코드(패드) 반주(120), 아르페지오 반주(130), 베이스 반주(140) 및 드럼 반주(150)를 포함한다. 자동작곡장치는 작곡 템플릿(100)에 포함된 각 요소를 위한 곡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자동작곡장치가 멜로디를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코드 반주를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아르페지오 반주 및 베이스 반주를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작곡 템플릿(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작곡 템플릿(100)에 포함되는 요소(110,120,130,140,15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곡 템플릿(100)은 멜로디(110)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멜로디(110)와 코드반주(120)의 두 개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서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작곡 템플릿(10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장르별(예를 들어, EDM, 재즈, 힙합 등) 서로 다른 작곡 템플릿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작곡장치(200)는 자동작곡부(210), 악기음생성부(230), 코드와 리듬 등의 각종 패턴을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220)와 악기샘플음을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한다. 자동작곡장치(200)는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최소한의 컴퓨팅 자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작곡장치(200)는 스피커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작곡부(210)는 제1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각종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이용하여 작곡 템플릿(100)에 포함된 각 요소(110,120,130,140,150)를 위한 곡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자동작곡부(210)는 멜로디(110), 코드반주(120), 아르페지오 반주(130), 베이스 반주(140) 등을 위한 곡을 자동으로 만든다. 자동작곡부(210)의 상세 구성에 대해 도 3에서 다시 설명한다.
악기음생성부(230)는 자동작곡부(210)에 의해 생성된 곡의 연주를 위한 다양한 악기음을 생성한다. 악기음생성부(230)는 제2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악기별 샘플음을 자동 작곡된 음의 길이 또는 높이에 맞게 변형하여 악기음을 생성하고 이를 곡에 맞추어 배치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리듬패턴1의 음 높이가 '도미솔도미솔'이고 이를 피아노로 연주하는 경우라면, 악기음생성부(230)는 피아노 샘플음을 변형하여 '도', '미', '솔'의 음 높이를 만들고 또한 리듬패턴1의 음 길이에 맞도록 악기음의 길이를 변형한 후, 그 악기음을 '도미솔도미솔'에 맞추어 배치한다. 배치된 각 악기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때 자연스럽게 들리도록 두 악기음이 겹쳐지는 구간에서 앞쪽 악기음은 페이드아웃(fade-out)하고 뒤쪽 악기음은 페이드인(fade-in)되도록 할 수 있다. 악기음생성부(23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3 및 도 14에서 다시 살펴본다.
다른 실시 예로, 자동작곡장치(200)는 피드백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자동 작곡된 음악의 선호도를 입력받고 이를 다음 작곡에 이용할 수 있다. 피드백부(250)는 선호도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 터치스크린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피드백부(25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선호도는 미리 몇 단계로 정의되거나 일정 범위 내의 숫자일 수 있다. 피드백부(250)는 입력받은 선호도를 해당 음악의 작곡에 사용된 코드패턴, 리듬패턴, 반주리듬패턴 등에 반영한다. 즉, 제1 데이터베이스(220)는 각 패턴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함께 맵핑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자동작곡부(210)는 선호도가 높은 코드패턴, 리드패턴 등을 이용하여 작곡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작곡부(210)는 멜로디 작곡을 위한 구성으로,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300),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10),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320), 패턴배치부(330) 및 톤선택부(340)를 포함한다. 이 외에 자동작곡부(210)는 작곡 템플릿(도 1의 100)의 코드반주(120), 아르페이지오 반주(130), 베이스 반주(140), 드럼 반주(150)의 작곡을 위한 코드리듬패턴(332), 베이스리듬패턴(334), 아르페지오 리듬패턴(336), 드럼패턴(338)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코드리듬패턴(332)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30)는 생략될 수 있다.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300)는 음악 장르별 코드진행 패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300)는 EDM 음악의 다양한 4마디 코드진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300)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10)는 음악 장르별 리듬패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10)는 EDM 음악의 다양한 마디별 리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10)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320)는 음악 장르별 마디 반복 패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320)는 EMD 음악의 다양한 4마디 배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320)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300),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10),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320)는 어느 하나의 음악 장르(예를 들어, EDM)의 패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여러 음악 장르의 패턴이 저장된 경우에, 자동작곡부(210)는 사용자가 음악장르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 터치스크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자동작곡부(210)는 음악장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패턴배치부(340)는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320)에서 반복구조패턴을 임의 선택하고,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300)와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10)에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임의 선택하여 복수의 마디에 배치한다. 패턴배치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톤선택부(350)는 복수의 마디에 배치된 리듬패턴의 각 음의 높이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한다. 코드톤은 코드(예를 들어, Cm, D 등)에 해당하는 음 높이를 의미하고, 논코드톤은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의미한다. 각 마디 내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은 미리 정의되어 있거나, 톤선택부(350)가 매번 임의적으로 선택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이 50%로 지정되었다면, 톤선택부(350)는 마디를 구성하는 음의 개수 중 50%는 코드톤을 선택하고 나머지 50%는 논코드톤을 선택한다. 마디 내 코드톤과 논코드톤이 적용되는 음의 위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톤선택부(350)는 도 8과 같이 첫 번째, 두 번째 및 네 번째 음을 코드톤(810)으로 지정하고, 세 번째,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음을 논코드톤(820)으로 지정할 수 있다.
드럼패턴 데이터베이스(338)는 드럼의 악기소리를 녹음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패턴배치부(340)는 드럼패턴 데이터베이스(338)에서 드럼 패턴을 임의 선택한 후 이를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한다. 드럼 패턴은 악기소리를 녹음한 데이터 그 자체이므로 드럼을 위한 별도의 샘픔음을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악기음생성부(230)는 리듬 패턴의 녹음 데이터를 자동 작곡된 곡에 배치하면 된다.
코드리듬패턴(332), 아르페이지오 리듬패턴(336), 베이스 리듬패턴(334) 등을 각 마디에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400)는 음악 장르별 일정 개수의 마디에 대한 코드 진행 패턴(410,420,4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를 EDM 음악의 자동 작곡에 적용할 경우,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400)는 EMD 음악에 대한 다양한 코드 진행 패턴(410,420,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m, Dm, C 등 다양한 코드를 코드1, 코드2, 코드3 등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4마디의 코드 진행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400)는 2마디, 8마디 등 다양한 개수의 마디에 대한 코드 진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400)는 코드패턴을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코드패턴을 직접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작곡장치(200)는 악보 데이터(예를 들어, MIDI 규격 등)를 입력받으면, 악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정 마디의 코드 진행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한 코드패턴을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500)는 음악 장르별 멜로디의 한 마디 리듬패턴(510,520)을 저장한다. 리듬패턴(510,520)은 다양한 길이를 가진 음의 배치를 의미한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500)는 사용자에 의해 구축되거나, 자동작곡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작곡장치(200)는 악보 데이터를 자동 분석하여 각 마디의 리듬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음악 장르별 마디의 반복 패턴(610,620,6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610,620,630)은 AAAA', AAAB, AABA 등 다양하다. A,B는 서로 다른 마디를 의미하고, A' 마디는 A 마디를 일부 변형한 마디를 의미한다.
본 실시 예는 4마디의 배치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2마디, 8마디 등 다양한 마디의 배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자동작곡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작곡장치(200)는 악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마디의 리듬패턴이 어떻게 배치되었는지 파악하고 파악된 반복구조패턴을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와 리듬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복구조패턴이 AAAA'(610)이고,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이 각각 코드패턴2(420)와 리듬패턴1(510)인 경우에(710), 각 마디(700)에 코드1, 코드4, 코드5, 코드1이 배치되고 또한 각 마디(700)에 동일한 리듬패턴1(510)이 배치된다. 다만 A'이 배치된 네 번째 마디는 음의 높이 일부가 A가 배치된 앞의 세 마디와 다르게 변형된다. A' 마디를 위한 음 변형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에서 다시 설명한다.
반복구조패턴 AAAB(620)가 선택된 경우에(720), 서로 다른 종류의 마디가 2개이므로, 코드패턴1(410)과 서로 다른 두 개의 리듬패턴(즉, 리듬패턴1(510) 및 리듬패턴2(520))이 선택된다. 각 마디(700)에 코드패턴1(410)의 코드1, 코드2, 코드3, 코드4이 배치된다. 또한, A가 배치된 앞의 세 마디에는 리듬패턴1(510)이 배치되고, B가 배치된 네 번째 마디에는 리듬패턴2(520)가 배치된다. 즉, A와 B에 해당하는 각 마디에 서로 다른 리듬패턴이 배치된다.
드럼패턴의 경우, 반복구조패턴에 포함된 서로 다른 마디의 개수만큼 드럼패턴 데이터베이스(도 2의 338)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이 AAAA'(610)이면, 하나의 드럼패턴이 선택되고, 반복구조패턴이 AAAB(620)이면, 두 개의 서로 다른 드럼패턴이 선택된다. 드럼패턴은 녹음 데이터이므로, A' 마디의 드럼패턴과 A 마디의 드럼패턴은 별도 변형 없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 높이 결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자동작곡부(210)의 톤선택부(350)는 각 마디에 속한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톤선택부(350)는 리듬패턴1에 대해,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음은 코드톤(810)으로 선택하고, 세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음은 논코드톤(820)으로 선택한다.
도 7의 첫 번째 예(710)의 1~3번째 마디는 모두 동일한 마디(즉, A에 해당)이므로, 톤선택부(350)는 세 마디 모두의 리듬패턴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코드톤 및 논코드톤을 선택한다. 다시 말해, 세 마디 모두, 1,2,4번째 음은 코드톤(810), 3,5,6번째 음은 논코드톤(820)으로 선택한다.
톤선택부(350)는 음이 코드톤이면 해당 마디에 할당된 코드음을 기초로 음 높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예에서, 첫 번째 마디에 할당된 코드1이 C 코드이면, 톤선택부(350)는 1,2,4번째 음의 높이를 C코드음 '도,미,솔' 중에서 임의 선택한다. 톤선택부(350)는 첫 번째 음을 '도', 두 번째 음을 '솔', 세 번째 음을 한 옥타브 높은 '미'로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 마디에 할당된 코드4가 D코드이면, 톤선택부(350)는 1,2,4번째 음의 높이를 D코드음 '레,파,라' 중에서 임의 선택한다.
톤선택부(3500는 음이 논코드톤이면 코드와 무관하게 음의 높이를 선택한다. 다만, 논코드톤이 코드톤 다음에 위치하는 경우에 부적합한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화성학 관점에서 적절하게 음 높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리듬패턴1(510)의 3번째 음은 코드톤 다음에 위치한 논코드톤이므로, 톤선택부(350)는 경과음, 보조음, 계류음, 전타음, 선행음, 이탈음, 지속중 중에 어느 하나를 3번째 음의 높이로 결정한다.
도 7의 첫 번째 예(710)에서 A'에 해당하는 네 번째 마디는 A에 해당하는 마디와 일부 다르게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톤선택부(350)는 1~3번째 마디의 각 리듬패턴의 음 높이 선택방법과 동일한 방법(즉, 코드톤과 논코드톤을 동일 형태로 적용)으로 4번째 마디의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선택한 후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 또는 2개)의 음 높이를 추가 변형한다. A' 마디를 위해 추가 변형되는 음의 위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7의 두 번째 예(720)에서 B가 배치된 네 번째 마디의 리듬패턴은 앞의 세 마디의 리듬패턴과 다르다. 즉, A 마디에는 리듬패턴1(510)이 배치되고 B 마디에는 리듬패턴2(520)가 배치되어 있다. 톤선택부(350)는 A 마디와 B 마디에 대해 서로 다른 형태로 코드톤과 논코드톤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A에 해당하는 1~3번째 마디의 리듬패턴1(510)에 대해 톤선택부(350)는 도 8과 같이 1,2,4번째 음을 코드톤으로 지정하고, 3,5,6번째 음을 논코드톤으로 지정하는 반면, B에 해당하는 4번째 마디의 리듬패턴2에 대해서는 1,3,4,5번째 음을 코드톤, 2,6번째 음을 논코드톤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반복구조패턴(620)의 서로 다른 마디(즉, A와 B)에 대해, 톤선택부(350)는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지정 위치 또는 지정 개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반주를 위한 작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2)는 코드반주 위치를 나타내는 다양한 코드리듬패턴(910,920)을 포함한다. 코드리듬패턴(910,920)은 한 마디를 16등분하고 코드리듬의 연주 위치를 '1'로 표시한다. 코드의 연주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한 마디를 몇 등분으로 나눌지도 실시 예에 다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한 마디의 코드리듬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2마디, 4마디 등 코드리듬패턴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패턴배치부(340)는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2)에서 코드리듬패턴(910,920)을 임의로 선택한다(930). 패턴배치부(340)는 선택한 코드리듬패턴을 반복구조패턴(940)에 따라 배치하고, 또한, 각 마디에 할당된 코드패턴(950)에 따라 코드음을 배치한다. 코드반주를 위한 코드리듬패턴의 배치에 대한 일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패턴배치부(340)는 코드리듬패턴에 코드 보이싱(voicing)(960)을 적용할 수 있다.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2)는 코드 보이싱 패턴을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패턴배치부(340)는 코드 보이싱 패턴을 임의 선택한 후 코드 보이싱 패턴에 따라 코드 보이싱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패턴배치부(340)는 코드 보이싱을 무작위로 적용할 수 있다.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2)의 코드리듬패턴(910,920)은 패드 반주를 위한 리듬 패턴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패드반주는 코드가 바뀌기 전까지 코드의 구성음을 동시에 길에 끌어 연주하여 은은하게 음악을 채우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리듬패턴의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복구조패턴 및 코드패턴이 도 7의 첫 번째 예(710)와 동일한 경우이다. 도 9의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2)에서 코드리듬패턴1(910)이 선택되면, 패턴배치부(340)는 코드리듬패턴1(910)을 4마디에 모두 배치한다.
4번째 마디는 A를 일부 변형한 마디 A'이므로, 패턴배치부(340)는 코드리듬패턴1(910)의 일부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패턴배치부(340)는 코드리듬패턴1(910)의 일부에 대한 연주 위치 변경(1020), 연주 위치 삭제(1022), 또는 연주 위치 추가 등을 수행한다. A'마디를 위해 코드리듬패턴1(910)을 변경되는 위치 및 개수는 미리 정의되어 있으나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톤선택부(350)는 첫 번째 마디에 코드1의 코드음을 코드리듬패턴에 맞추어 배치하고, 두 번째 마디에 코드4의 코드음을 코드리듬패턴에 맞추어 배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체 마디에 코드반주를 위한 코드음을 배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르페지오 리듬패턴과 베이스 리듬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아르페지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6)와 베이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334)는 각 연주 위치를 나타내는 패턴(1102,1112)을 포함한다.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102)은 연주 위치를 '1'로 나타내고, 베이스 리듬패턴(1112)은 연주 위치를 '1' 이상의 정수로 나타낸다.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102)과 베이스 리듬패턴(1112)은 한 마디를 8등분하고 연주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한 마디를 몇 등분할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베이스 패턴(1112)에서 숫자 크기는 음의 상대적 높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은 코드의 시작음을 나타내고, '5'는 코드의 시작음으로부터 상대적으로 5도 높은 음을 나타낸다.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102)과 베이스 리듬패턴(1112)은 도 9 및 도 10에서 살핀 코드리듬패턴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마디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반복구조패턴이 AAAA'(610)이면,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102)과 베이스 리듬패턴(1112)을 4마디에 동일하게 배치하되, A'마디에 속한 아르페지오 리듬패턴과 베이스 리듬패턴은 그 일부를 변형한다. 예를 들어, A'마디에 속한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102)과 베이스 리듬패턴(1112)의 일부의 연주위치의 변경, 추가, 삭제를 통해 변형할 수 있다.
톤선택부(350)는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102)에서 연주되는 위치의 음을 주로 코드톤으로 배치한다. 일부 음은 코드톤과 반음관계로 부딪히지 않는 조성 내의 논코드톤인 경과음으로 배치한다. 논코드톤으로 배치되는 음의 위치 및 개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동작곡장치(200)는 복수 개의 반복구조패턴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 선택한다(S1200). 자동작곡장치(200)는 코드패턴을 무작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반복구조패턴에 필요한 서로 다른 마디의 개수만큼 리듬패턴을 무작위 선택한다(S1210).
자동작곡장치(200)는 선택한 코드패턴 및 리듬패턴을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한다(S1220). 그리고 자동작곡장치(200)는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한다(S123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곡 템플릿의 멜로디 부분의 작곡이 완료되면, 자동작곡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반주부분 등을 위한 작곡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주부분 등의 작곡 방법은 도 9 내지 도 11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작곡 템플릿(100)의 각 요소(110,120,130,140)에 대한 작곡이 완료되면, 자동작곡장치(200)는 악기 샘플음을 이용하여 자동 작곡된 각 음의 길이 및 높이에 맞도록 악기음을 생성하고 배치한다(S1240). 악기음의 생성에 대해서는 도 13 및 도 14에서 다시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음생성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악기음생성부(230)는 샘플음데이터베이스(13000, 악보해석부(1310), 음변형부(1320), 출력부(1330)를 포함한다.
샘플음데이터베이스(1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악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을 녹음한 샘픔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샘플음데이터베이스(1300)는 피아노, 베이스기타 등 다양한 악기의 한 음(예를 들어, '도')을 녹음한 샘플음을 저장할 수 있다.
악보해석부(1310)는 자동작곡부(210)에 의해 작곡된 음의 길이 및 높이를 파악한다. 또한, 악보해석부(1310)는 멜로디, 코드반주 등에 사용할 악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악보해석부(1310)는 멜로디, 코드반주 등에 사용할 기본 악기의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멜로디나 코드반주 등에 사용할 악기를 선택 받을 수도 있다.
음변형부(1320)는 작곡된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각 음의 길이 및 높이에 맞도록 악기 샘플음의 길이 및 높이를 변형한 악기음을 생성한다. 샘플음데이터베이스(1300)는 악기 소리를 일정한 샘플레이트(sample rate)로 추출하여 시간순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값을 샘플음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샘픔음을 추출할 때의 샘플레이트(이하, 기준 샘플레이트)로 샘플음을 재생하면, 녹음할 때의 원래 음이 출력된다. 기준 샘플레이트보다 더 높은 샘플레이트로 샘플음을 재생하면, 샘플음의 주파수가 높아져 음 높이가 높아지는 반면 길이는 줄어든다. 반대로 기준 샘플레이트보다 더 낮은 샘플레이트로 샘플음을 재생하면 주파수가 낮아져 음 높이가 낮아지는 반면 길이는 늘어난다. 따라서 음변형부(1320)는 샘플레이트를 조정하여 각 음의 높이에 맞는 악기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샘플레이트의 변경에 따라 샘플음의 길이도 함께 변화하므로, 음변형부(1320)는 샘플레이트를 변형하여 생성한 악기음의 길이를 변형한다. 예를 들어, 샘플레이트를 낮추어 악기음을 생성한 경우에 악기음의 길이가 원 샘플음의 길이보다 길어지므로, 음변형부(1320)는 음 길이에 맞도록 악기음의 일부를 잘라 낸다. 반대로, 샘플레이트를 높여 악기음을 생성한 경우에, 악기음의 길이가 원 샘플음의 길이보다 짧아지므로, 음변형부(1320)는 줄어든 악기음의 일부를 반복하여 음 길이에 맞도록 길이를 늘인다. 악기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출력부(1330)는 작곡된 음을 위해 생성된 각 악기음을 배치하고 이를 순서대로 재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330)는 작곡 템플릿의 멜로디, 코드반주 등의 각 음을 위한 악기음이 생성되면 이를 각 음의 순서에 맞추어 재생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든 악기음은 어택(attach)(A), 디케이(decay)(B), 서스테인(sustain)(C), 릴리즈(D)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1400). 샘플레이트의 증감과 악기음의 길이는 비례 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샘플레이트의 증감율에 따른 길이의 증감율을 알 수 있다.
샘플레이트의 증가로 악기음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에, 악기음생성부는 샘플레이트 증가로 줄어드는 길이를 고려하여 음 길이에 맞도록 미리 서스테인(C) 부분을 복사하여 늘려준다(1410). 즉, 악기음생성부(230)는 샘플레이트 증가로 줄어든 길이가 원하는 음 길이가 될 수 있도록 샘플레이트 증간 전에 미리 서스테인 부분(C)을 미리 늘려준다(l1->l2). 반대로 샘플레이트를 감소하는 경우, 악기음생성부(230)는 샘플레이트 감소 후 늘어난 서스테인 부분(C)을 잘라내어 원하는 음 길이로 만든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코드패턴을 포함하는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
    리듬패턴을 포함하는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
    반복구조패턴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상기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 및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에서 임의 선택하고, 선택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하는 패턴배치부; 및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일부는 해당 마디에 부여된 코드를 기초로 음 높이를 가지는 코드톤으로 선택하고, 나머지는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가지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하는 톤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구조패턴은 동일 마디의 반복 배치, 일부 변형 마디의 배치 또는 서로 다른 마디의 배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배치부는,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정의된 서로 다른 마디의 개수만큼 상기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로 다른 개수의 리듬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톤선택부는, 상기 일부 변형 마디에 속한 리듬패턴에 대해 일부 음의 높이를 추가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톤선택부는,
    상기 코드톤과 상기 논코드톤이 연속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경과음, 보조음, 계류음, 전타음, 선행음, 이탈음, 지속중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논코드톤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연주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리듬패턴, 베이스리듬패턴 또는 아르페지오리듬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배치부는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코드리듬패턴, 베이스패턴 또는 아프레지오패턴을 반복 배치, 일부 변형 배치 또는 서로 다르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기의 적어도 한 음이 녹음된 샘플음을 작곡된 음의 길이 또는 높이에 따라 변형하여 악기음을 생성하고 배치하는 악기음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음생성부는,
    샘플레이트 변경을 기초로 상기 샘플음의 음 높이를 변경하되, 상기 샘플레이트 증가로 줄어드는 음 길이를 고려하여 샘플레이트 변경 전에 상기 샘플음의 일정 구간을 복사하여 상기 샘플음의 길이를 늘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7. 반복구조패턴을 선택하는 단계;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임의 선택하고, 선택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하는 단계; 및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일부는 해당 마디에 부여된 코드에 따라 음 높이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기의 적어도 한 음이 녹음된 샘플음을 작곡된 음의 길이 또는 높이에 따라 변형하여 악기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29339A 2018-10-26 2018-10-26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KR10226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39A KR102269591B1 (ko) 2018-10-26 2018-10-26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39A KR102269591B1 (ko) 2018-10-26 2018-10-26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98A true KR20200047198A (ko) 2020-05-07
KR102269591B1 KR102269591B1 (ko) 2021-06-24

Family

ID=7073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39A KR102269591B1 (ko) 2018-10-26 2018-10-26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47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실시간 사용자 참여형 음악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9257B2 (ja) * 1988-05-25 1997-1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自動作曲機
JPH11161267A (ja) * 1997-11-26 1999-06-18 Yamaha Corp 自動作曲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368046B1 (ko) * 1995-01-18 2003-03-15 아이브이엘 테크놀로지즈 엘티디. 오디오 신호의 음색 및/또는 피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21879A (ko) * 2015-04-13 2016-10-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멜로디 자동 생성 방법 및 멜로디 자동 생성 시스템
WO2018002650A1 (en) * 2016-06-30 2018-01-04 Lifescor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positions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9257B2 (ja) * 1988-05-25 1997-1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自動作曲機
KR100368046B1 (ko) * 1995-01-18 2003-03-15 아이브이엘 테크놀로지즈 엘티디. 오디오 신호의 음색 및/또는 피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11161267A (ja) * 1997-11-26 1999-06-18 Yamaha Corp 自動作曲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20160121879A (ko) * 2015-04-13 2016-10-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멜로디 자동 생성 방법 및 멜로디 자동 생성 시스템
WO2018002650A1 (en) * 2016-06-30 2018-01-04 Lifescor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positions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47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실시간 사용자 참여형 음악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591B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5354B2 (ja) 音声信号または楽音信号の処理装置
US7094962B2 (en) Score data display/editing apparatus and program
JP6565530B2 (ja) 自動伴奏データ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036355B (zh) 自动作曲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382257B (zh) 一种音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5899833B2 (ja) 楽曲生成装置および楽曲生成方法
JP6175812B2 (ja) 楽音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698057B2 (ja) 自動アレンジ装置及び方法
JP2806351B2 (ja) 演奏情報分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編曲装置
JPH0631985B2 (ja) 楽譜の一連の音符に表現的ミクロ構造を付与す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2269591B1 (ko)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JP3239897B1 (ja) 作詞作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535273A (ja) 自動伴奏装置
JP4844623B2 (ja) 合唱合成装置、合唱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58594A (ja) 自動アレンジ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04934B2 (ja) 合唱合成装置、合唱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40872B1 (ko)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CN114005424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3623557B2 (ja) 自動作曲システムおよび自動作曲方法
CN115004294A (zh) 编曲生成方法、编曲生成装置以及生成程序
KR20200048717A (ko)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3096624A (zh) 交响乐曲自动创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9179277A (ja) 自動伴奏データ生成方法及び装置
JPH01288900A (ja) 歌声伴奏装置
Altmire Time Travel: Musical Metrics in Elliott Carter's Eight Pieces for Four Timpa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