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717A -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717A
KR20200048717A KR1020180131108A KR20180131108A KR20200048717A KR 20200048717 A KR20200048717 A KR 20200048717A KR 1020180131108 A KR1020180131108 A KR 1020180131108A KR 20180131108 A KR20180131108 A KR 20180131108A KR 20200048717 A KR20200048717 A KR 20200048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bridge
rhythm pattern
rang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to KR102018013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717A/ko
Publication of KR2020004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11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는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고,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브릿지 음악의 음악요소를 결정하고, 제1 음악의 끝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Description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bridge music that connect two music}
본 발명은 곡과 곡 사이의 빈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작곡 이론이 존재한다. 작곡가는 이러한 작곡 이론에 창의성을 결합하여 다양한 음악을 작곡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곡하고 이를 다양한 소리로 출력하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장치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MIDI 장치는 사용자의 작업을 도와주는 역할에 그칠 뿐 곡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4706호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매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 생성 방법의 일 예는,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로 구성된 브릿지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음악의 끝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장치의 일 예는,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악요소분석부; 상기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로 구성된 브릿지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음악요소결정부; 제1 음악의 끝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패턴선택부; 및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하여 결정하는 음높이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릿지 음악을 이용하여 두 음악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장치가 구현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의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의 멜로디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장치가 구현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재생리스트(110)에 존재하는 각 음악(112,114) 사이의 간격을 매울 수 있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한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재생리스트(110)에 존재하는 각 음악의 조성, 템포, 박자, 음역대, 코드 등 다양한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두 음악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재생리스트(110)에 포함된 각 음악(112,114)은 MP3(MPEG-1 audio layer III), MIDI 등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파일은 박자, 코드 등의 다양한 음악요소정보를 메타데이터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각 음악의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오디오 파일이 음악요소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일부의 음악요소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브릿음악생성장치(100)는 인터넷(120)을 검색하여 해당 음악에 대한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재생리스트(110)에 포함된 각 음악의 음악요소정보는 별도의 파일로 사용자에 의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각 음악의 음악요소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릿지 음악(200)은 서로 다른 두 음악(112,114)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음악이다. 브릿지 음악(200)이 생성되면, 음악1(112) - 브릿지 음악(200) - 음악2(114)가 순차적으로 재생되므로 음악1(112)과 음악2(114)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브릿지 음악(200)은 음악1(112)과 음악2(114)의 간격(즉, 음악1의 재생 종료시점과 음악2의 재생 시작시점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거나, 음악1(112)의 마지막 부분 또는 음악2(114)의 시작 부분과 일부 겹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음악1(112) 및 음악2(114)에 각각 중첩하는 영역(A,C)을 가지는 브릿지 음악(200)을 도시하고 있다. 중첩되는 영역(A,C)의 경우에, 음악1(112) 또는 음악2(114)와 브릿지 음악(200)이 동시에 재생된다. 브릿지 음악(200)은 음악1(112)과 음악2(114)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의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음악1(112)의 음악요소정보와 음악2(114)의 음악요소정보를 기초로 두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는 브릿지음악(200)의 음악요소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음악1(112)의 조성이 a이고, 음악2(114)의 조성이 b이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200)는 미리 정의되어 저장된 작곡이론에 따라 두 조성 사이에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성을 파악하여 브릿지 음악(200)의 조성으로 선택한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두 음악(112,114)의 조성 사이에 선택가능한 조성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 임의로 하나 이상의 조성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음악1(112)과 음악2(114)의 조성이 서로 동일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음악1(112) 및 음악2(114)의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브릿지 음악(200)의 조성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음악1(112)과 음악2(114)의 조성이 서로 동일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200)는 미리 정의되어 저장된 작곡이론에 따라 음악1,2(112,114)의 조성과 어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성을 파악하여 브릿지 음악(200)의 조성으로 선택할 수 있다.
템포, 박자, 음역대, 코드 등의 다양한 음악요소에 대해서도 앞서 살핀 조성의 선택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브릿지 음악(200)의 음악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브릿지 음악(200)의 음악요소의 선택에 사용되는 작곡이론은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에 미리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조성, 템포, 박자, 음역대, 코드 등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위한 조성, 템포, 박자, 음역대, 코드 등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음악1(112)과 음악2(114)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는 조성이나 템포, 음역대 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효과음 요소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두 음악 사이의 템포가 조금 다르다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템포를 브릿지 음악(200)의 템포로 선택하고, 두 음악 사이의 템포가 크게 다르다면 분위기 전환 효과를 유도하는 효과음을 브릿지 음악(200) 내에 추가하고, 크게 차이가 나는 템포를 효과음의 앞뒤에 위치하도록 선택한다. 즉, 브릿지 음악(200)은 효과음을 기준으로 템포가 극적으로 변화된다. 이 외에도, 두 음악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한 음역대 등이 존재하지 않으며, 효과음을 이용하여 극적인 변화가 발생하도록 한다.
브릿지 음악(200)이 도 2에서 살핀 바와 같이 두 음악(112,114)의 일부와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중첩영역(A,C)과 중첩되지 않는 브릿지영역(B)의 음악요소의 선택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음악1(112)의 마지막 부분과 중첩되는 브릿지 음악의 앞 부분(A)에 대한 음악요소정보를 음악1(112)의 음악요소정보와 동일하게 선택하고, 음악2(114)의 처음 부분과 중첩되는 브릿지 음악의 뒷 부분(C)의 음악요소정보를 음악2의 음악요소정보와 동일하게 선택한다. 그리고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두 음악(112,114)과 중첩되지 않는 브릿지 음악(200)의 가운데 부분(B)에 대해 도 3에서 살핀 방법으로 두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는 음악요소정보를 선택한다.
브릿지 음악(200)의 음악요소정보의 결정과 함께 멜로디의 생성이 필요하다. 멜로디는 다양한 길이와 높이를 가진 음의 배치이다. 다양한 길이의 음을 배치한 것을 리듬패턴이라고 한다. 멜로디 생성 방법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음악의 멜로디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음악1(112)의 마지막 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400)과 음악2(114)의 앞 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410)에 유사한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420)에서 선택한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유클리드거리 등 종래의 다양한 데이터 비교 방법을 이용하여 리듬패턴 사이의 유사도를 파악할 수 있다.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추출한 리듬패턴이 제1 리듬패턴(400)과 매우 유사하나 제2 리듬패턴(410)과는 별로 유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추출한 리듬패턴은 두 음악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지 못할 수 있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두 음악(112,114)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하여 제1 리듬패턴(400) 및 제2 리듬패턴(410)에 대해 모두 일정 이상의 유사도를 가진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420)가 한 마디 단위의 다양한 리듬패턴을 저장하고 있고, 브릿지 음악(200)이 2마디로 구성되는 경우에,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음악1(112)의 마지막 마디의 제1 리듬패턴(400)과 음악2(114)의 첫 마디의 제2 리듬패턴(410)에 유사한 한 마디의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2번 추출하여 브릿지 음악(200)을 위한 2마디의 리듬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420)는 음악1,2(112,114)의 제1,2 리듬패턴(400,410)과 유사도 리듬패턴을 추출하면, 추출한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브릿지 음악에 부여된 코드에 맞추어 결정한다. 예를 들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도 3의 방법을 통해 브릿지 음악(200)에 C 코드를 선택하면, C 코드음 '도,미,솔' 중에서 리듬패턴의 각 음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브릿지 음악의 A,B,C 부분의 코드가 서로 다르면, A,B,C 부분의 각 코드에 따라 A,B,C 부분에 위치한 각 음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리듬패턴의 각 음의 일부를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음의 높이는 경과음, 보조음, 계류음, 전타음, 선행음, 이탈음, 지속중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코드음에 해당하는 음 높이를 가지는 것을 코드톤이라 하고, 코드와 상관없는 음 높이를 가지는 것을 논코드톤이라고 하며,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을 8:2로 설정하고 브릿지 음악(200)의 각 마디의 리듬패턴에 대한 음 높이를 그 비율에 따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결정할 수 있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연결하는 두 음악의 음역대와 음량을 고려하여 리듬패턴의 각 음의 높이를 추가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제1 음악(112)의 음역대보다 제2 음악(114)의 음역대가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에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고, 제1 음악(112)의 음역대가 제2 음악(114)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한다. 비화성음이나 화성음, 상승요소나 하강요소, 도약이나 순차진행 등을 적용할 음의 개수나 위치 등은 임의로 선택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한다(S500). 제1 음악과 제2 음악은 음악 재생 리스트에서 순차적으로 존재하는 음악이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제1 음악과 제2 음악 사이의 간격을 채울 브릿지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 등을 포함하는 음악요소를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결정한다(S510). 브릿지 음악의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멜로디 생성을 위하여 제1 음악의 끝 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 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다(S520). 그리고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브릿지 음악에 부여된 코드 등에 따라 리듬패턴의 각 음의 높이를 선택한다. 이때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고,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한다. 리듬패턴을 선택하여 멜로디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브릿지음악생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릿지음악생성장치(100)는 음악요소분석부(600), 음악요소결정부(610), 패턴선택부(620), 음높이선택부(630) 및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640)를 포함한다.
음악요소분석부(600)는 재생리스트에 포함된 각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 등을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한다. 음악요소분석부(600)가 파악하는 음악요소정보의 종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음악요소분석부(600)는 음악 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음악요소결정부(610)는 두 음악 사이를 채우는 브릿지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 등을 포함하는 음악요소를 두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결정한다.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패턴선택부(620)는 제1 음악의 끝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640)에서 선택한다.
음높이선택부(630)는 브릿지 음악에 부여된 코드 등에 따라 리듬패턴의 각 음의 높이를 선택하되,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로 구성된 브릿지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음악의 끝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음악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음악은 상기 제1 음악의 마지막 마디와 중첩되는 제1 중첩영역과 상기 제2 음악의 시작 마디와 중첩되는 제2 중첩영역과, 상기 제1 중첩영역 및 상기 제2 중첩영역 사이에 위치한 브릿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첩영역 및 상기 제2 중첩영역의 조성, 템포, 박자 또는 코드를 상기 제1 음악의 끝마디 및 상기 제2 음악의 시작마디와 각각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음악 생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과 상기 제2 음악 사이에 서로 다른 음악요소를 파악하는 단계; 및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서로 다른 음악요소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유도하는 조성, 템포, 박자 또는 코드를 상기 브릿지영역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음악 생성 방법.
  4.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악요소분석부;
    상기 제1 음악과 제2 음악의 음악요소정보와 기 정의된 작곡이론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로 구성된 브릿지 음악의 조성, 템포, 음역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악요소를 결정하는 음악요소결정부;
    제1 음악의 끝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1 리듬패턴과 제2 음악의 앞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의 제2 리듬패턴에 가장 가까운 리듬패턴을 리듬패턴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패턴선택부; 및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보다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가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비화성음, 상승요소 또는 도약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 음악의 음역대가 상기 제2 음악의 음역대보다 높으면 상기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화성음, 하강요소 또는 순차진행을 적용하여 결정하는 음높이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음악생성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31108A 2018-10-30 2018-10-30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48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08A KR20200048717A (ko) 2018-10-30 2018-10-30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08A KR20200048717A (ko) 2018-10-30 2018-10-30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17A true KR20200048717A (ko) 2020-05-08

Family

ID=7067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108A KR20200048717A (ko) 2018-10-30 2018-10-30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14A1 (ko) * 2020-10-21 2022-04-28 송계순 인공지능 추천 교육용 뮤직비디오 믹싱 스트리밍 서비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14A1 (ko) * 2020-10-21 2022-04-28 송계순 인공지능 추천 교육용 뮤직비디오 믹싱 스트리밍 서비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3913B2 (ja) 音楽作曲の為のシステム
CN106708894B (zh) 电子书配置背景音乐的方法和装置
US20050223879A1 (en) Machine and process for generating music from user-specified criteria
AU731747B2 (en) Automatic improvisation system and method
CN104380371B (zh) 用于生成输入音乐数据的伴奏的装置、系统和方法
US7982121B2 (en) Drum loops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composition and recording
KR20200130710A (ko) 하모닉 코드 맵을 사용하여 오디오 또는 midi 출력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hew Playing with the edge: Tipping points and the role of tonality
JP3698057B2 (ja) 自動アレンジ装置及び方法
US10446126B1 (en) System for generation of musical audio composition
KR20100037955A (ko) 자동음악 작곡 방법
Madsen et al. Separating voices in MIDI.
JP2010026337A (ja) 歌唱曲生成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装置,歌唱曲提供システム
KR20200048717A (ko) 두 곡을 연결하는 브릿지 음악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osada The Process of Modulation in Musical Collage
KR102269591B1 (ko)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CN114005424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3623557B2 (ja) 自動作曲システムおよび自動作曲方法
KR102240872B1 (ko)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CN113140202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1113895A (ja) 伴奏音生成装置、電子楽器、伴奏音生成方法および伴奏音生成プログラム
Oliver In dub conference: Empathy, groove and technology in Jamaican popular music
JP3531507B2 (ja) 楽曲生成装置および楽曲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641955B2 (ja) 楽曲データ生成装置及びそのための記録媒体
RU280861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ыходного звукового файла или файла midi посредством гармонической карты аккор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