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762A -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762A
KR20200046762A KR1020180128345A KR20180128345A KR20200046762A KR 20200046762 A KR20200046762 A KR 20200046762A KR 1020180128345 A KR1020180128345 A KR 1020180128345A KR 20180128345 A KR20180128345 A KR 20180128345A KR 20200046762 A KR20200046762 A KR 20200046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acid battery
electrolyte
foreign matter
lea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798B1 (ko
Inventor
최석모
김진구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18012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7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05Acid electrolytes
    • H01M2300/0011Sulfuric acid-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순환시 비산하는 부유물 등 전해액 내의 이물질이 인디게이터 내부의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 인디게이터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 작동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의 하측 및 양측면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순수한 전해액만 인디게이터 지시 공간에 잔존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Prevent malfunction of lead accumulator indicator caused by foreign matter contamination}
본 발명은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순환시 비산하는 부유물 등 전해액 내의 이물질이 인디게이터 내부의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 인디게이터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 작동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의 하측 및 양측면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순수한 전해액만 인디게이터 지시 공간에 잔존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축전지는, 가장 대표적인 납축전지의 경우를 예로 들면, 화학반응식 PbO2 + H2SO4 ↔ PbSO4 + 2H2O의 가역반응을 통해 방전과 충전을 반복하는 원리로 전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즉, 이산화납(PbO2)으로 만든 극판에 황산액(H2SO4) 성분의 전해액을 넣으면, 황산화 납(PbSO4)과 물(H2O)로 변화하는 화학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황산화 납(PbSO4)과 물(H2O)로 변화할 때 전기가 방출되고, 반대로 치환될때 충전이 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축전지는 이와 같은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6개의 셀(cell)을 가지고 있으며, 각 셀당 전압은 2.1V로 되어있어서 그 합이 12V가 되며 통상 12V 축전지라 칭한다.
따라서, 전기 생성과 충전 반응이 안정적으로 잘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해액의 상태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때, 납축전지는 내부에 존재하는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한 인디게이터를 갖추고 있다.
이 인디게이터는 대개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따라 부침(浮沈)하는 여러 색상의 비중볼을 이용하는 장치로서, 방전에 의해 전해액의 비중이 낮아지면, 비중볼들의 위치가 변하여 육안으로 보이는 색상이 바뀌게 되고, 그것으로부터 전해액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와 같은 납축전지에서의 인디게이터는 비중에 따라 떠오르는 비중볼의 특성을 이용하여 납축전지 전해액의 비중을 표현하는 장치로 이를 통해 납축전지의 정상 여부를 납축전지 외부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납축전지의 지속 사용에 따라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이 인디게이터 내부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는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디게이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4130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순환시 비산하는 부유물 등 전해액 내의 이물질이 인디게이터 내부의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 인디게이터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 작동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의 하측 및 양측면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순수한 전해액만 인디게이터 지시 공간에 잔존할 수 있게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는,
납축전지케이스(1)에 형성된 설치공(10)에 삽입되는 인디게이터(1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3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전해액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비중볼(200);과
상기 하부홀더의 하측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납축전지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이 하부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디게이터 내부 공간에 부유물들이 흡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디게이터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를 통해,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순환시 비산하는 부유물 등 전해액 내의 이물질이 인디게이터 내부의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 인디게이터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 작동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의 하측 및 양측면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순수한 전해액만 인디게이터 지시 공간에 잔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의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는,
납축전지케이스(1)에 형성된 설치공(10)에 삽입되는 인디게이터(1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3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전해액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비중볼(200);과
상기 하부홀더의 하측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납축전지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이 하부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디게이터 내부 공간에 부유물들이 흡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디게이터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하부홀더(300) 내부에 순수한 전해액만 잔존하도록 함으로써, 비중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하부홀더(300)의,
양측면에도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납축전지에는 납축전지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2)는 인디케이터(2)의 상부에 설치구(3)가 결합되고, 상기 설치구(3)가 납축전지의 케이스(1)에 형성된 인디케이터 설치공(10)에 억지끼움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구(3)는 인디케이터(2)가 삽입되는 통공(30)과, 통공의 외주연에 설치공(1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다수의 리브(31)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리브(31)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리브(31)가 접촉되는 설치공(10) 또한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는,
납축전지케이스(1)에 형성된 설치공(10)에 삽입되는 인디게이터(1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3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전해액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비중볼(200);과
상기 하부홀더의 하측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인디게이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축전지케이스(1)에 형성된 설치공(10)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하부홀더(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디게이터의 내부에는 비중볼(200)이 형성되어 전해액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현재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납축전지에서 상기 인디게이터는 비중에 따라 떠오르는 비중볼의 특성을 이용하여 납축전지 전해액의 비중을 표현하는 장치로 이를 통해 납축전지의 정상여부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납축전지는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순환시 비산하는 부유물 등 전해액 내의 이물질이 인디게이터 내부의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 인디게이터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 작동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디게이터 구조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홀더의 하측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납축전지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이 하부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디게이터 내부 공간에 부유물들이 흡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디게이터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하부홀더(300) 내부에 순수한 전해액만 잔존하도록 함으로써, 비중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부홀더 내부에 이물질들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순수한 전해액만이 잔존하게 되므로 비중볼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하부홀더(300)의,
양측면에도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국, 하부홀더의 하부 및 양측면에 미세한 구멍을 가진 구조물을 적용, 필터 역할을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순수한 전해액만 인디게이터 지시 공간에 잔존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납축전지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을 막는 구조를 적용하여 인디게이터 내부 공간에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의 흡착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를 통해, 격리판 제조시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순환시 비산하는 부유물 등 전해액 내의 이물질이 인디게이터 내부의 공간에 흡착되는 경우 인디게이터 볼의 이동을 막아 인디게이터 작동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의 하측 및 양측면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필터 역할을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순수한 전해액만 인디게이터 지시 공간에 잔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의 정상적인 납축전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으로 지시하므로 사용자에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 : 납축전지케이스
10 : 설치공
100 : 인디게이터
200 : 비중볼
300 : 하부홀더
400 : 미세구멍형필터부
410 : 다수의 통공

Claims (4)

  1.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에 있어서,
    납축전지케이스(1)에 형성된 설치공(10)에 삽입되는 인디게이터(1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홀더(300);와
    상기 인디게이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전해액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비중볼(200);과
    상기 하부홀더의 하측에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납축전지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일 및 전해액 내의 비산하는 부유물이 하부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디게이터 내부 공간에 부유물들이 흡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디게이터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통해,
    하부홀더(300) 내부에 순수한 전해액만 잔존하도록 함으로써, 비중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300)의,
    양측면에도 다수의 통공(410)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오염물이 걸러진 전해액만 상기 비중볼 주변에 잔존시키기 위한 미세구멍형필터부(400)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KR1020180128345A 2018-10-25 2018-10-25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KR10211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45A KR102111798B1 (ko) 2018-10-25 2018-10-25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45A KR102111798B1 (ko) 2018-10-25 2018-10-25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62A true KR20200046762A (ko) 2020-05-07
KR102111798B1 KR102111798B1 (ko) 2020-05-15

Family

ID=7067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345A KR102111798B1 (ko) 2018-10-25 2018-10-25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7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9670A1 (en) * 1987-07-11 1989-01-18 Miyagawa Kasei Industry Co. Ltd. Storage battery with indicating device
KR20050041308A (ko)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용 인디케이터
KR100643651B1 (ko) * 2005-06-09 2006-11-10 황철애 범용 결합헤드를 갖는 축전지 인디케이터
KR20090004783U (ko) * 2007-11-15 2009-05-20 세방전지주식회사 자동차용 축전지
KR101238644B1 (ko) * 2011-06-08 2013-02-28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KR20130040300A (ko) * 2011-10-14 2013-04-24 (주)턴투 납산 배터리 전해액 여과장치 및 이를 활용한 재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9670A1 (en) * 1987-07-11 1989-01-18 Miyagawa Kasei Industry Co. Ltd. Storage battery with indicating device
KR20050041308A (ko)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용 인디케이터
KR100643651B1 (ko) * 2005-06-09 2006-11-10 황철애 범용 결합헤드를 갖는 축전지 인디케이터
KR20090004783U (ko) * 2007-11-15 2009-05-20 세방전지주식회사 자동차용 축전지
KR101238644B1 (ko) * 2011-06-08 2013-02-28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KR20130040300A (ko) * 2011-10-14 2013-04-24 (주)턴투 납산 배터리 전해액 여과장치 및 이를 활용한 재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798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679A (en) Storage battery with indicating device
US20150162649A1 (en) Battery condition indicator
US20170047757A1 (en) Method of operating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electrodeposited fuel
KR102111798B1 (ko)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JP6744704B2 (ja) 金属空気電池、電解液槽、及び、金属空気電池の使用方法
JP2010537374A (ja) 電池電量表示装置
US3977908A (en) Indicator in use with a lead storage battery for indicating the overdischarge of the same and the lowered level of the electrolyte therein
US8944087B2 (en) Emergency drainage device for enclosed compartments
KR101775346B1 (ko) 전해액 지시경을 포함하는 축전지
KR101580103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WO2012127789A1 (ja) 鉛蓄電池
CA2327144C (en) One-piece battery charge indicator cage
KR101737317B1 (ko) 자동차용 납축전지
KR102165598B1 (ko) 배터리
JP2007317560A (ja) 鉛蓄電池
US3741811A (en) Battery actuated by linear and angular acceleration
JP2008027670A (ja) 鉛蓄電池
KR102666288B1 (ko) 이중 누액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본체
US4614694A (en) Electrolyte battery anti-splash system
KR20230044878A (ko) 플레임 어레스터를 포함한 다목적 에스오씨 인디게이터
WO2022145381A1 (ja) 電極及び鉛蓄電池
JP2004087138A (ja) 蓄電池用液面指示装置
JP2022085707A (ja) 液式鉛蓄電池
US4192909A (en) Motorcycle battery indicator
ES2255391B1 (es) Detector de nivel y carga de bateri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