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44B1 -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44B1
KR101238644B1 KR1020110054954A KR20110054954A KR101238644B1 KR 101238644 B1 KR101238644 B1 KR 101238644B1 KR 1020110054954 A KR1020110054954 A KR 1020110054954A KR 20110054954 A KR20110054954 A KR 20110054954A KR 101238644 B1 KR101238644 B1 KR 10123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indicator
battery
len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005A (ko
Inventor
이규형
김성준
박승복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05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4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 지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해액 지시경의 체결구조를 렌즈의 표면외에 형성하여 시안성을 향상시키고, 고무패킹의 기밀성을 향항하도록 리브를 구성하여 내누액 특성을 증대하는 전해액 지시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으로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헤드본체를 구비한 헤드; 상기 헤드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전해액의 누액방지를 위하여 결합되는 고무패킹; 상기 헤드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되는 원기둥; 상기 원기둥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축전지의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산; 및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하는 유색의 비중구를 수용하여 상기 원기둥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렌즈의 표면이 아닌 상기 헤드본체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Indicator of Battery}
본 발명은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의 체결구조를 렌즈의 표면 외에 형성하여 시안성을 향상시키고, 고무패킹의 기밀성을 향상하도록 리브를 구성하여 내누액 특성을 증대하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축전지의 전해액 지시경은 축전지의 전해액 상태를 전해액 비중과 굴절률의 관계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차량용 축전지의 전해액 지시경은 투명한 축전지의 상면 및 원주가 동일한 원기둥에 탄성의 고무패킹과 나사선을 구비하고 상기 축전지의 커버에 삽입 및 셀 내로 장착되며, 하부홀더가 캡식으로 몸체에 융착 결합되어 전해액의 상태를 축전지의 상면에 광학적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차량용 축전지의 전해액 지시경을 축전지의 셀내로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전해액 지시경의 상면에 형성되는 'ㅡ'자형의 체결구조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켜 인출입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차량용 축전지의 전해액의 상태는 상기 전해액 지시경의 투명한 상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전해액 지시경은 상면에 상기 체결구조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전해액 지시경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홀더에 수용되는 비중구에 의해 전해액의 상태를 광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해액 지시경의 지시면적을 축소시켜 시인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전해액 지시경은 헤드의 하면에서 고무패킹을 구성하여 상기 축전지에 전해액 지시경이 체결되었을 경우에 기밀성을 강화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해액 지시경은 상기 고무패킹의 장시간 사용시에 편평도가 유지되지 않아 축전지 커버와의 밀착력이 떨어지게 되어 기밀성의 저하로 전해액 및/또는 가스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 지시경의 체결구조를 지시경의 렌즈 표면이 아닌 표면 외측에 체결홈을 구성하여 전해액 지시경의 지시면적을 넓힐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이는 축전지의 전해액 지시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액 지시경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패킹과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누액의 특성을 증대시키고, 렌즈의 표면 외측에서 체결홈을 형성하여 시인성 및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면으로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헤드본체를 구비한 헤드; 상기 헤드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전해액의 누액방지를 위하여 결합되는 고무패킹; 상기 헤드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되는 원기둥; 상기 원기둥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축전지의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산; 및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하는 유색의 비중구를 수용하여 상기 원기둥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렌즈의 표면이 아닌 상기 헤드본체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볼록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헤드본체의 내측으로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는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무패킹의 상면에 밀착되는 돌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은 하면에서 하나 이상의 리브(Rib)가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은 원기둥 끝단부의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홀더에 수용되는 상기 비중구를 투영시키는 원뿔형 경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는 내측에서 상기 비중구가 전해액의 점도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이동로; 상기 비중구가 상기 하부홀더에서 인출입되도록 상기 하부홀더의 하부에서 개방되는 단부; 및 일측이 상기 하부홀더의 전후좌우면중 어느 한 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은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단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다 상기 일측이 고정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접착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내측을 밀폐시키는 홀더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액 지시경의 체결구조를 지시경의 렌즈 표면 외측에 체결홈을 구성하여 전해액 지시경 상면의 지시면적을 넓힐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의 렌즈 표면 외측에 내향된 경사면을 갖는 체결홈을 적용하기 때문에 상기 전해액 지시경의 착탈시에 체결공구의 체결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액 지시경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패킹에 리브를 구성하여 상기 고무패킹과 축전지 커버와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내누액의 특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액 지시경의 비중구를 수용하는 하부홀더를 원터치방식으로 원기둥에 삽입하여 체결하고, 단부를 개방 및 밀폐시킬 수 있어 비중구의 인출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헤드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고무패킹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고무패킹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하부홀더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하부홀더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은 축전지(예를 들면, 자동차의 축전지)의 커버(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 형성되는 삽입공(표시되지 않음)에 체결되어 전해액의 상태를 광학적으로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은 투명재질의 상면을 이루는 헤드(10)와, 상기 헤드(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투명재질의 원기둥(40)과, 상기 원기둥(40)의 하측 끝단에서 형광물질이 도포된 비중구(60)를 수용하는 하부홀더(50)와 상기 헤드(10)의 하측에서 축전지와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고무패킹(20)과, 상기 원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는 나사산(30)을 포함한다.
상기 원기둥(40)은 투명재질로서 제작되어 하향연장되며, 하향 될수록 직경이 감소 되어 끝단에서 상기 하부홀더(50)가 체결된다. 상기 원기둥(40)은 투명재질로 제작됨에 따라서 상기 하부홀더(50)에 수용되는 비중구(60)가 상기 원기둥을 통해 상기 헤드(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홀더(50)는 상기 비중구(6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서 내측에 상기 비중구(6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원기둥(40)의 하측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산(30)은 상기 원기둥(40)의 상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축전지의 커버에 형성되는 삽입공의 나사산(30)과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해액 지시경을 축전지의 커버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중구(60)는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고무재질로서 전해액의 상태를 상기 헤드(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드(10)는 투명재질의 상면을 이루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40)을 통해 상기 비중구(60)를 통해 전해액의 상태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며, 그 상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지시경에서 헤드(10)는 상면에서 상기 비중구(60)를 표시하는 렌즈(11)와, 상기 렌즈(11)를 지지하는 헤드본체(12)와, 상기 헤드본체(12)에서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체결홈(13)과, 상기 헤드본체(12)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고무패킹(20)의 상면이 밀착되는 돌출면(14)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11)는 볼록형의 렌즈(11)로서 상기 원기둥(40)을 통해 상기 하부홀더(50)에 수용되는 비중구(6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11)는 종래와 달리 볼록형으로서 원기둥(40)을 통해 하부홀더(50)의 비중구(60)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헤드본체(12)는 중심부에 렌즈(11)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으로 중심부가 중공(22)되어 상면에 상기 렌즈(11)가 고정되고, 하측으로 상기 원기둥(40)의 상측 끝단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본체(12)는 상기 렌즈(11)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상면을 갖으며, 여기에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3)은 상기 렌즈(11)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헤드본체(12)의 상면에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홈(13)은 상기 헤드본체(12)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해액 지시경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체결되는 체결도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돌출면(14)은 상기 헤드본체(12)의 하부에서 하향되도록 돌출되는 하나의 면으로서 상기 고무패킹(20)의 상면을 가압한다. 상기 돌출면(14)은 상기 고무패킹(20)의 상면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출면(14)은 상기 고무패킹(20)의 중심부를 눌러주기 때문에 그 힘이 상기 고무패킹(20)의 하부에 전달되어 축전지의 커버와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10)의 하부에서 고정되어 상기 전해액 지시경이 축전지 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셀 내부와 밀착되어 내측으로부터 가스나 전해액의 누출됨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다른 고무패킹(2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고무패킹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고무패킹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무패킹(20)은 가운데가 중공(22) 되어 상기 원기둥(40)의 상측에 삽입되며, 하부에서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21)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21)는 상기 고무패킹(20)의 하부에서 동심원을 이루어 하나 이상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20)은 상기 전해액 지시경이 축전지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무패킹(20)의 하측에 형성되는 나사산(30)이 축전지 커버 내부의 삽입공에 형성되는 나사산(30)에 맞물려 체결되면 상기 축전지의 커버 상면(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의 상면)을 가압하여 밀착된다. 이때 상기 리브(21)는 상기 커버 상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리브(21) 사이의 빈 공간에 잔류된 공기가 압축되어 상기 커버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부홀더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하부홀더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에서 하부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홀더(50)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며, 개방되어 비중구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단부(51)와, 상기 단부를 개폐하는 홀더커버(53)와,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상기 비중구(6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이동로(52)가 구비된다.
한편 하부홀더(50) 내에 삽입되는 비중구(60)의 비중은 1.2 정도가 바람직하고, 유색은 녹색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51)는 상기 이동로(52)의 하측 바닥면으로서 상기 홀더커버(53)에 의해 개폐되도록 개방형성된다. 상기 단부(51)는 개방되어 상기 비중구(60)가 인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홀더(50)의 내측을 하부를 개방시킨다.
상기 홀더커버(53)는 상기 하부홀더(50)의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면에서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이 비접촉상태로서 상기 단부(5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단부(51)에 비중구(60)가 인입되면 비접촉 상태의 타측이 상기 한쪽이 접촉된 하부홀더(50)의 면에 대향되는 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홀더커버(53)의 타측은 열이나 접착제와 같은 수단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이동로(52)는 상기 하부홀더(53)의 내측에서 상기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이동되도록 내측면에서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통해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설명을 개시한다.
먼저 작업자가 축전지의 커버를 개폐하여 상기 전해액 지시경을 커버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의 삽입홈(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나사산(30)에 일치되는 나사산을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전해액 지시경을 상기 삽입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하고, 착탈공구를 상기 체결홈(13)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전해액 지시경의 나사산(30)이 상기 삽입홈의 나사산(30)에 맞물려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13)은 바닥면이 내측으로 하향된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구의 끝단이 상기 체결홈(13)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브(21)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밀착되어 커버와 상기 전해액 지시경 사이에 공간을 밀폐시킨다. 아울러 상기 고무패킹(20)은 상기 돌출면(14)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서 상기 리브(21)가 형성되는 하부의 측방으로 힘을 고루 전달할 수 있어 상기 리브(21)에 의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전해액 지시경의 원기둥(40) 하부에 하부홀더(50)를 원터치 형태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홀더커버(53)의 한쪽을 비접촉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단부(51)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유색의 비중구(60)을 상기 하부홀더의 내측에서 인입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상기 홀더커버(53)의 비접촉 상태의 한쪽면을 열이나 접착제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홀더(50)의 어느 한 면에 접촉시켜 상기 하부홀더(50)의 내측을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홀더(50)가 결합된 전해액 지시경을 축전지의 커버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시킨다. 축전지 내부에 전해액이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홀더(50)가 결합된 전해액 지시경이 축전지의 커버 상부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전해액 지시경의 원기둥(40) 하부 축 방향과 원뿔형 경면(41)의 둘레로 인접하게 된다.
상기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 비중이 1.2 이상이면 하부홀더(50) 내에 포함된 비중구(60)가 이동로(51)를 이동하면서 원기둥(40) 하부의 원뿔형 경면(41) 중심부로 인접하게 된다.
상기 비중구(60)이 원뿔형 경면(41)의 중심부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비중구(60)의 유색이 원뿔형 경면(41) 중심부를 통해 전해액 지시경의 렌즈(11)로 표시 제공된다. 즉 사용자가 전해액 지시경의 렌즈(11)에서 주시할 경우 외경은 탄성고무패킹(20)의 유색, 예시적으로 흑색을 띠게 되며, 내경은 삽입홈 두께만큼의 절반이 나뉘어진 형상으로 비중구(60)의 유색 예시적으로 녹색을 띠게 된다.
한편 상기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 비중이 1.2 미만이면 하부홀더(50) 내에 포함된 비중구(60)가 이동로(51)로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전해액 지시경 렌즈(11)에 상기 하부홀더(50)의 유색 예시적으로 흑색을 띠게 된다.
아울러 상기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하한 레벨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해액 지시경 하부, 즉 원기둥(40)의 하부축 방향 및 원뿔형 경면(41)으로 전해액이 접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때는 전해액 지시경의 렌즈(11)로부터 빛이 하부홀더(50)의 유색 및 비중구(60)의 유색에 투과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해액 지시경 렌즈(11)에서 주시할 경우 전반사가 이루어져 투명색이 표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의 하한 레벨의 기준에 따라 전해액이 하한 레벨 이상의 기준일 때는 상기 전해액의 비중이 1.2 이상인 경우에는 비중구(60)이 하부홀더(50)의 이동로(52)를 통해 이동, 원기둥(40)의 하부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원뿔형 경면(41)의 중심 하부로 상승하여 비중구(60)의 유색이 전해액 지시경 렌즈(11)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해액의 비중이 1.2 미만인 경우에는 비중구(60)가 하부홀더(50)의 이동로(52)로 이동하지 못하고 하부홀더(50)의 유색이 상기 전해액 지시경 렌즈(11)에 표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해액의 비중이 1.2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전해액 지시경의 하부로 빛이 투과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반사가 이루어져 투명한 색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해액 지시경이 축전지에 장착되면, 작업자는 축전지의 커버를 다시 밀폐시키고 이후에 작업자 또는 상기 축전지가 장착된 차량의 운전자가 전해액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상기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헤드(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볼록형 렌즈(11)를 통해 내측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렌즈(11)를 볼록형으로 구성하고, 렌즈(11)의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렌즈(11)를 통해 원기둥(40)의 하측에 수용되는 비중구(60)의 상태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헤드 11 : 렌즈
12 : 헤드본체 13 : 체결홈
14 : 돌출면 20 : 고무패킹
21 : 리브 22 : 중공
30 : 나사산 40 : 원기둥
50 : 하부홀더 51 : 단부
52 : 이동로 53 : 홀더커버
60 : 비중구

Claims (7)

  1. 상면으로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헤드본체를 구비한 헤드;
    상기 헤드의 하면에 밀착되어 전해액의 누액방지를 위하여 결합되는 고무패킹;
    상기 헤드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되는 원기둥;
    상기 원기둥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축전지의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산; 및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하는 유색의 비중구를 수용하여 상기 원기둥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렌즈의 표면이 아닌 상기 헤드본체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볼록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은 하면에서 하나 이상의 리브(Rib)가 돌출되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헤드본체의 내측으로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는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무패킹의 상면에 밀착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인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은 원기둥 끝단부의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홀더에 수용되는 상기 비중구를 투영시키는 원뿔형 경면을 포함하는 축전지형 전해액 지시경.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는
    내측에서 상기 비중구가 전해액의 점도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이동로;
    상기 비중구가 상기 하부홀더에서 인출입되도록 상기 하부홀더의 하부에서 개방되는 단부; 및
    일측이 상기 하부홀더의 전후좌우면중 어느 한 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은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단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다 상기 일측이 고정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접착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내측을 밀폐시키는 홀더커버를 포함하는 축전지형 전해액 지시경.
KR1020110054954A 2011-06-08 2011-06-08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KR10123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54A KR101238644B1 (ko) 2011-06-08 2011-06-08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54A KR101238644B1 (ko) 2011-06-08 2011-06-08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05A KR20120136005A (ko) 2012-12-18
KR101238644B1 true KR101238644B1 (ko) 2013-02-28

Family

ID=4790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954A KR101238644B1 (ko) 2011-06-08 2011-06-08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967A (ko) * 2014-03-14 2015-09-24 세방전지(주)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KR20200046762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733B (zh) * 2019-01-04 2023-12-29 泉州市一鸣交通电器有限公司 一种蓄电池状态指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46A (ko) * 2003-06-18 2004-12-31 이창근 표시유닛, 그 제조를 위한 금형 및 표시유닛을 가지는축전지
KR200406571Y1 (ko) * 2005-10-24 2006-01-23 세방전지주식회사 차량용 축전지의 인디케이터
KR100704949B1 (ko) 2005-09-05 2007-04-09 황철애 배기 플러그형 축전지 인디케이터
KR200439312Y1 (ko) * 2007-04-26 2008-04-01 윤세형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46A (ko) * 2003-06-18 2004-12-31 이창근 표시유닛, 그 제조를 위한 금형 및 표시유닛을 가지는축전지
KR100704949B1 (ko) 2005-09-05 2007-04-09 황철애 배기 플러그형 축전지 인디케이터
KR200406571Y1 (ko) * 2005-10-24 2006-01-23 세방전지주식회사 차량용 축전지의 인디케이터
KR200439312Y1 (ko) * 2007-04-26 2008-04-01 윤세형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967A (ko) * 2014-03-14 2015-09-24 세방전지(주)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KR101580103B1 (ko) * 2014-03-14 2015-12-29 세방전지(주)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KR20200046762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KR102111798B1 (ko) 2018-10-25 2020-05-15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이물질 오염에 의한 납축전지 인디게이터 오작동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05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670B2 (en) Rotation on/off-type brush-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KR101238644B1 (ko)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CN204786004U (zh) 一种置于汽车外后视镜内的投影灯
US10486177B2 (en) Spray structure for portable atomizer
PH12016501859B1 (en) Medical fluid container
JP2019141650A (ja) 点眼薬容器
KR2004473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
US20090229680A1 (en) Plug Structure of a Coupler
KR101251325B1 (ko) 밀폐 보존용기의 캡
CN102180305A (zh) 防冒酒瓶
KR200439312Y1 (ko)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US20180244002A1 (en) Flat Tire Repair Liquid Container
JP5771101B2 (ja) 筆記具用インキ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収容した筆記具
CN101956966B (zh) 防水密封灯具
KR20100123571A (ko) 화이트보드 마카 펜 잉크 충전장치
CN201151530Y (zh) 铅芯盒
KR200406571Y1 (ko) 차량용 축전지의 인디케이터
CN210911769U (zh) 一种水解粉笔
CN220994306U (zh) 一种家用螺丝刀
CN214566978U (zh) 一种高密封性检测试剂存放装置
CN209987684U (zh) 一种家居设计绘图工具
CN208937138U (zh) 一种车用液位显示结构
CN217337701U (zh) 一种具有两级密封结构的眼线液笔
KR20040110346A (ko) 표시유닛, 그 제조를 위한 금형 및 표시유닛을 가지는축전지
CN209112731U (zh) 一种防菌密封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