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312Y1 -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312Y1
KR200439312Y1 KR2020070006914U KR20070006914U KR200439312Y1 KR 200439312 Y1 KR200439312 Y1 KR 200439312Y1 KR 2020070006914 U KR2020070006914 U KR 2020070006914U KR 20070006914 U KR20070006914 U KR 20070006914U KR 200439312 Y1 KR200439312 Y1 KR 200439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illar member
specific gravity
pilla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형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윤세형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세형, 이상기 filed Critical 윤세형
Priority to KR2020070006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상측이 축전지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하측이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체의 기둥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서 케이싱 내부의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 또는 침하하는 하나 이상의 채색 비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채색 비중볼의 부상 또는 침하에 따른 광 전달의 변화를 기둥 부재의 상단면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기둥 부재는, 그 상측이 상기 축전지의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는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단부면에는 기둥 부재의 안쪽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둥 부재의 중심축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기둥 부재의 플랜지 상측 단부면에 갖추어진 볼록 구면에 의해 영상이 확대되어 보이므로 축전지 상태의 관찰이 쉽고 명확해진다.
축전지, 배터리, 상태, 표시, 광학, 투명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Battery condition indicator improved sight cognigance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기의 기둥 부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서 충전 양호 상태인 경우의 표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서 방전 상태인 경우의 표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기의 기둥 부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표시기의 기둥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서 충전 양호 상태인 경우의 표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서 방전 상태인 경우의 표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기의 기둥 부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서 충전 양호 상태인 경우의 표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1, 11a, 12, 13, 13a, 14: 축전지 상태 표시기
100, 120, 130: 기둥 부재 101, 121, 131: 플랜지부
102, 122, 132: 기둥부 103, 123, 133: 나사부
104,: 원뿔형 경사면 105, 126, 136: 볼록 구면
106, 106a, 127, 127a, 137: 공구 삽입홈
110, 111, 128, 138: 요홈 124, 134: 돌기부
125, 135: 중심 경사면 200, 230: 캡
201: 바닥면 202: 안내 통로
300, 310, 320, 330: 채색 비중볼
400: 패킹
본 고안은 축전지의 상태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상태 표시 영상이 더욱 크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극대화한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따른 광 굴절률의 변화 관계를 이용하여 축전지의 충전 양호상태와 방전상태 및 전해액 부족 상태를 광학적인 색깔로 표시함으로써, 관찰자 축전지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대한 종래의 다양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966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533074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643651호 공보, 실용신안등록 제20-040657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 등에 개시된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들은, 축전지의 케이싱에 투명체의 기둥 부재를 그 표면이 드러나도록 설치하고, 케이싱 내부에 침지된 기둥 부재의 단부에 유색의 비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비중볼이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浮上) 또는 침하(沈下)하도록 하여, 비중볼이 기둥 부재에 접촉하거나 이로부터 멀리 떨어짐에 따라 비중볼이 가지는 색깔이 기둥 부재의 표면으로 전달되 는지의 유무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양호상태나 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들을 포함하여 종래에 개시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있어서는, 기둥 부재의 단부에 여러 가지 경사면(반사면)을 구성함으로써 비중볼의 크기보다 좀 더 큰 크기의 영상을 얻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영상의 크기가 기둥 부재의 단면적을 넘어설 정도로 커질 수는 없고, 빛이 희미하기 때문에, 여전히 시인성이 불량하여 희미한 빛을 세심하게 살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축전지의 상태 표시 영상이 더욱 크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극대화한 축전지 상태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측이 축전지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하측이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체의 기둥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서 케이싱 내부의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 또는 침하하는 하나 이상의 채색 비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채색 비중볼의 부상 또는 침하에 따른 광 전달의 변화를 기둥 부재의 상단면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기둥 부재는 그 상측이 상기 축전지의 케이 싱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는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단부면에는 기둥 부재의 안쪽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둥 부재의 중심축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의하면, 기둥 부재의 플랜지 상측 단부면에 갖추어진 볼록 구면에 의해 영상이 확대되어 보이므로 축전지 상태의 관찰이 쉽고 명확해진다.
상기한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하측 단부에는 원뿔형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경사면은 그 선단 일부가 절단되어 그 절단면으로부터 상기 채색 비중볼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채색 비중볼이 요홈에 삽입되어 기둥부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게 되므로 비중볼이 가지는 색깔이 더욱 선명하게 전달된다.
상기 요홈은 상기 채색 비중볼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구면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뿔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는 상기 축전지 케이싱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앙에는 기둥 부재의 분리 및 체결을 위한 공구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대칭되는 양측 상면에는 기둥 부재의 분리 및 체결을 위한 공구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는 아래서부터 위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모 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이퍼진 기둥부를 통하여 비중볼로부터 반사되는 일부의 빛이 난반사 되어 나오므로 영상이 크고 선명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상부가 축전지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하측이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체의 기둥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서 케이싱 내부의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 또는 침하하는 하나 이상의 채색 비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채색 비중볼의 부상 또는 침하에 따른 광 전달의 변화를 기둥 부재의 상단면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기둥 부재는 그 상측이 상기 축전지의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는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는 상기 축전지 케이싱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단부면에는 기둥 부재의 안쪽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둥 부재의 중심축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하측 단부에는 원뿔형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경사면은 그 선단 일부가 절단되어 그 절단면으로부터 상기 채색 비중볼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기둥 부재의 플랜지부 상측 단부면에 볼록 구면을 형성하여 기둥 부재의 내부로부터 전달되는 축전지 상태 표시 영상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함으로써 축전지 상태의 관찰이 쉽고 명확해지도록 하며, 이에 더하여 기둥부재의 하측 단부에는 채색 비중볼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도록 하는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채색 비중볼이 가지는 색깔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0)는 투명체의 기둥 부재(100)와, 이 기둥 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200), 그리고 캡(20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채색 비중볼(300)을 포함한다.
기둥 부재(100)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AS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서 그 상측이 축전지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하측이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기둥 부재(100)는 그 상측이 축전지의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101)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101)로부터 아래로 기둥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01)에 근접한 상기 기둥부(102)의 상측에는 축전지 케이싱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103)가 형성되며, 기둥부(102)의 하측 단부에는 원뿔형 경사면(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전지 케이싱과의 밀봉을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101)와 나사부(103) 사이에는 패킹(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200)은 그의 바닥면(201)이 소정의 색깔(예: 검은색)로 채색되거나 자체가 소정의 색채를 가져 상기 기둥 부재(100)의 하측에 끼워진다. 이러한 캡(200)에는 채색 비중볼(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통로(20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채색 비중볼(300)은 상기 안내 통로(202)를 따라 상기 기둥 부재(100)의 원뿔형 경사면(104)의 첨단부에 접촉하는 위치 및 그로부터 아래로 내려와 원뿔형 경사면(104)의 직하부로부터 벗어난 위치로의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채색 비중볼(300)은, 통상적으로 구(球) 형상 또는 이와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자체가 소정의 색채를 띠거나 표면에 소정의 색으로 채색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전해액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캡(200)의 안내 통로(20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채색 비중볼(300)은 녹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색 비중볼(300)은 축전지 전해액의 충전 상태에 따라 부상(浮上) 또는 침하(沈下)하도록 소정의 비중(통상적으로 1.20)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축전지의 전해액의 비중은 충전 양호상태일 때 1.19~1.26이고, 완전 충전시는 1.28을 보인다. 그러므로 채색 비중볼(300)의 비중을 1.20으로 하면 전해액의 비중이 1.20 이하로 내려가면(방전되면) 침하하여 재충전이나 교환을 알리게 되고, 전해액의 비중이 1.20 이상이 되면 부상하여 전술한 기둥 부재(100)의 원뿔형 경사면(104)의 첨단부에 닿아 그 색깔을 기둥 부재(100)의 상부 표면으로 전달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100) 상측의 플랜지부(101) 상단면 에는 볼록 구면(凸球面)(105)이 형성된다. 상기 볼록 구면(105)은 기둥 부재(100)의 안쪽으로부터 전달되어 나오는 영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기둥 부재(100) 안쪽에서 전달되어 나오는 영상 즉, 채색 비중볼(300)의 영상이나 캡(200)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찰자의 시야에 크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관찰자로 하여금 축전지의 상태를 더욱 확실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플랜지부(101)의 상단면 중앙 즉, 볼록 구면(105)의 중앙부에는 기둥부재(100)를 돌려 그의 나사부(103)를 축전지 케이싱에 체결하기 위한 공구 삽입홈(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 삽입홈(106)은, 전용 공구뿐만 아니라 동전과 같은 임시 공구도 삽입하여 돌릴 수 있도록 대략 반달 모양으로 깊이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표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의 충전 상태가 양호한 경우, 예컨대 전해액의 비중이 1.20 이상인 경우에는, 채색 비중볼(300)이 부상하여 기둥 부재(100)의 원뿔형 경사면(104)의 첨단부에 닿게 된다. 따라서,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 외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원뿔형 경사면(104)을 투과하고, 녹색의 채색 비중볼(300)에 반사되며, 다시 원뿔형 경사면(104)을 투과하여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으로 되돌아 온다. 이와 같이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으로 되돌아오는 광은 기둥 부재(100) 상측의 플랜지부(101)에 형성된 볼록 구면(105)에 의해 확대 된다. 따라서, 관찰자의 눈에는 확대된 영상이 보이게 되어 축전지의 상태를 매우 쉽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가 방전되어 재충전이나 교환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전해액의 비중이 1.20 미만인 경우에는, 채색 비중볼(300)은 캡(200)의 안내통로(202)를 따라 침하하여 기둥 부재(100)의 직하부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 외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원뿔형 경사면(104)을 투과하고, 캡(200)의 바닥면(201)에 반사되며, 다시 원뿔형 경사면(104)을 투과하여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으로 되돌아 온다. 따라서, 관찰자에게는 캡(200)이 가지는 색깔 즉, 캡(200)의 바닥면이 가지는 색깔(검은색)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영상도 기둥 부재(100) 상측의 플랜지부(101)에 형성된 볼록 구면(105)에 의해 확대되는 것에 의해, 관찰자에게는 확대된 영상이 보이게 되어 축전지의 상태를 매우 쉽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2)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1)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0)에서 원뿔형 경사면(104)의 선단에 요홈(110)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홈(110)을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요홈(110)은 기둥 부재(100)의 하측 단부 즉, 기둥부(102) 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원뿔형 경사면(104)의 선단 일부를 절단한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110)은 채색 비중볼(300)이 빛의 전달 경로인 기둥 부재(100)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넓은 면적으로 최대한 가까이 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축전지가 충전 양호 상태일 때, 부상하는 채색 비중볼(300)은 상기 요홈(110)에 삽입되어 기둥 부재(100)에 넓은 범위로 접촉하거나 또는 최대한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채색 비중볼(300)이 원뿔형 경사면(104)의 첨단부에만 접촉하여, 그 접촉부가 하나의 점과 같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원뿔형 경사면(104)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빛의 전달 경로가 길어지므로 채색 비중볼(300)이 가지는 색깔의 전달 강도가 약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채색 비중볼(300)이 요홈(110)에 삽입되어 매우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거나 매우 가깝게 위치하게 되므로, 채색 비중볼(300)의 색깔의 전달 강도가 크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요홈(110)의 구성과 함께 전술한 볼록 구면(105)에 의한 구성이 조합되면, 요홈(110)에 의해서는 채색 비중볼(300)이 가지는 색깔이 매우 선명하게 전달되고, 볼록 구면(105)에 의해서는 그 선명한 빛이 확대됨으로써, 관찰자에게는 더욱 선명하고도 큰 영상이 취득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요홈(110)은 상기 채색 비중볼(300)의 표면 모양에 상응하는 구면(球面)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면 형태의 요홈(110)을, 상기 채색 비중볼(300)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구성하면 채색 비중볼(300)의 표면이 구면의 요홈(110) 내면에 거의 완전히 일치하게 되고, 약간 다른 곡률 반경으로 구성하면 채색 비중볼(110)의 표면과 구면의 내면은 일부분은 밀착 접촉하고 일부분은 미소한 틈새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미소 틈새는, 채색 비중볼(300)의 색깔을 전달하는데에는 그다지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표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의 충전 상태가 양호하여 채색 비중볼(300)이 부상하면, 채색 비중볼(300)은 기둥 부재(100)의 원뿔형 경사면(104)의 선단에 형성된 요홈(11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 외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요홈(110)을 투과하여 녹색의 채색 비중볼(300)에 반사되어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으로 되돌아 온다. 이때, 채색 비중볼(300)은 요홈(110)에 삽입되어 매우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거나 매우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채색 비중볼(300)의 색깔이 거의 그대로 선명하게 전달된다. 그러는 한편, 기둥 부재(100)의 상단면에 형성된 볼록 구면(105, 도 5 내지 도 7 참조)에 의해 선명한 영상이 다시 한 번 확대됨으로써 관찰자에게는 매우 선명하고도 큰 영상이 보이게 된다.
이에 더하여, 위와 같이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 외측으로부터 입사한 대부분의 광은 채색 비중볼(300)에 반사되어 입사 경로를 따라 그대로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으로 되돌아 오지만, 일부의 광은 채색 비중볼(300)의 표면에서 난반사 되어 원뿔형 경사면(104)에 부딪혀 기둥부(102)를 통해 경로(A)와 같이 반사되어 나온다. 이와 같이 채색 비중볼(300)의 표면에 난반사 된 후 기둥부(102)의 측면에 부딪혀 반사되어 나오는 일부의 빛이 합쳐지므로 더욱 선명한 영 상이 확보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102)가 테이퍼 형태 즉, 아래에서부터 위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 빛의 전달 효과가 좋아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가 방전되어 재충전이나 교환이 필요하여 채색 비중볼(300)이 침하한 경우에는, 기둥 부재(100)의 상측 단부면 외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원뿔형 경사면(104)과 요홈(110)을 투과하여 캡(200)의 바닥면(201)에 반사되어 다시 되돌아 온다. 따라서, 관찰자에게는 캡(200)의 바닥면이 가지는 검은색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영상도 기둥 부재(100) 상측의 플랜지부(101)에 형성된 볼록 구면(105)에 의해 확대되는 것에 의해, 관찰자에게는 확대된 영상이 보이게 되어 축전지의 상태를 매우 쉽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3)
첨부 도면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2)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1)에서 원뿔형 경사면(104)의 선단에 형성된 요홈(111)의 형태만이 다르고, 요홈(111)을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요홈(111)은 원뿔형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요홈(110)은 채색 비중볼(300)의 표면에 대응하는 구면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요홈(111)은 원뿔형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채색 비중볼(300)이 접촉하는 요홈이 원뿔 모양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원뿔형 요홈(111)은 구면 요홈(110)에 비해 채색 비중볼(300)과 직접 접촉하는 면적은 작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면이 채색 비중볼(300)과 매우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면 요홈(110)과 유사한 형태로 광이 전달되어 구면 요홈(110)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원뿔형 요홈(111)은 채색 비중볼(300)과 일부분만이 접촉하기 때문에, 채색 비중볼(300)이 요홈(111)에 전해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붙어버리는 것과 같이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현상을 방지하는데에는 도움이 된다.
(실시예 4)
도 13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3)는,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420966호의 도면18 ~ 도면21에 개시된 상태 표시기를 응용하여 볼록 구면(126)을 형성하거나, 볼록 구면(126)에 더하여 요홈(128)을 더 구비한 형태에 대한 실시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 상태 표시기(13)의 기둥 부재(120)는 플랜지부(121), 기둥부(122), 나사부(123)를 가지고, 기둥부(122)의 하단에 돌기부(124)가 형성되며, 돌기부(124)의 하단에 중심경사면(125)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둥부(122)의 선단에는 캡(220)이 끼워지고, 캡(220)의 내부에 2가지 색상의 채색 비중볼(310, 320)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전지 상태 표시기(13)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플랜지부(121)의 상단면에 볼록 구면(126)을 형성하여 영상의 확대를 도모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돌기부(124)의 하단에 있는 중심경사면(125)의 선단을 절단하여 거기에 요홈(128)을 형성함으로써 선명한 색깔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5)
도 14에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반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4)는,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420966호의 도면22 ~ 도면24에 개시된 상태 표시기에 볼록 구면(136)을 더 구비하거나, 볼록 구면(136)에 더하여 요홈(138)을 더 구비한 형태에 대한 실시예이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 상태 표시기(14)의 기둥 부재(130)는 플랜지부(131), 기둥부(132), 나사부(133)를 가지고, 기둥부(132)의 하단에 돌기부(134)가 형성되며, 돌기부(134)의 하단에 중심경사면(135)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둥부(132)의 선단에는 캡(230)이 끼워지고, 캡(230)의 내부에 하나의 채색 비중볼(330)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전지 상태 표시기(14)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플랜지부(131)의 상단면에 볼록 구면(136)을 형성하여 영상의 확대를 도모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돌기부(134)의 하단에 있는 중심경사면(135)의 선단을 절단하여 거기에 요홈(138)을 형성함으로써 선명한 색깔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6)
첨부 도면 도 15 및 도 16에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 시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0a)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0)에서 공구 삽입홈(106)을 공구 삽입홈(106a)으로 변형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공구 삽입홈(106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공구 삽입홈(106a)은 플랜지부(101)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다. 이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공구 삽입홈(106)이 플랜지부(101)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부(101)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사용하는 공구는 동전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가 아니라, 두 개의 날부(刃部)가 상기 공구 삽입홈(106a)이 이루는 간격으로 형성된 전용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구 삽입홈(106a)이 플랜지부(101)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면, 플랜지부(10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볼록 구면(105)을 피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온전한 형태의 볼록 구면(105)을 통해 축전지 상태가 왜곡 없이 온전하게 전달된 후 확대되므로 더욱 명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7)
도 17 및 도 18에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1a)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기둥부재(100) 하단부의 원뿔형 경사면(104)의 선단에 요홈(110)을 구비한 형태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11)에서, 그의 공구 삽입홈(106)을 공구 삽입홈(106a)으로 변형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공구 삽입홈(106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2실시예 와 동일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공구 삽입홈(106a)은, 전술한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101)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다. 이는 제2와 같이 플랜지부(101)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홈(106)의 형태가 아니라, 플랜지부(101)의 상단부 양측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공구 삽입홈(106a)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사용하는 공구는 동전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가 아니라, 두 개의 날부가 상기 공구 삽입홈(106a)이 이루는 간격으로 형성된 전용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9 및 도 20에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3a)는, 전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3, 도 13 참조)에서, 그의 공구 삽입홈(127)을 공구 삽입홈(127a)으로 변형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공구 삽입홈(127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4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공구 삽입홈(127a)은, 전술한 제6,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121)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13a)도 전술한 제6,7실시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10a, 11a)와 마찬가지로, 온전한 형태의 볼록 구면(126)을 통해 온전하고 명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의하면, 기둥 부재의 플랜지 상측 단부면에 볼록 구면을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영상이 확대되어 보이기 때문에 축전지 상태의 관찰이 쉽고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기둥부의 하측 단부에 원뿔형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경사면의 선단에 채색 비중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채색 비중볼이 요홈에 삽입되어 기둥부와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는 효과를 가져와 채색 비중볼이 가지는 색깔이 더욱 선명하게 전달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상측이 축전지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하측이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체의 기둥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서 케이싱 내부의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 또는 침하하는 하나 이상의 채색 비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채색 비중볼의 부상 또는 침하에 따른 광 전달의 변화를 기둥 부재의 상단면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기둥 부재는,
    그의 상측이 상기 축전지의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는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단부면에는 기둥 부재의 안쪽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둥 부재의 중심축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하측 단부에는 원뿔형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경사면은 그 선단 일부가 절단되어 그 절단면으로부터 상기 채색 비중볼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채색 비중볼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구면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원뿔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는 상기 축전지 케이싱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앙에는 기둥 부재의 분리 및 체결을 위한 공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는 상기 축전지 케이싱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대칭되는 양측 상면에는 기둥 부재의 분리 및 체결을 위한 공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7.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아래서부터 위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8. 상부가 축전지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하측이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체의 기둥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서 케이싱 내부의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 또는 침하하는 하나 이상의 채색 비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채색 비중볼의 부상 또는 침하에 따른 광 전달의 변화를 기둥 부재의 상단면으로부터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기둥 부재는,
    그의 상측이 상기 축전지의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는 상기 축전지 케이싱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단부면에는 기둥 부재의 안쪽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둥 부재의 중심축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하측 단부에는 원뿔형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경사면은 그 선단 일부가 절단되어 그 절단면으로부터 상기 채색 비중볼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2020070006914U 2007-04-26 2007-04-26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200439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14U KR200439312Y1 (ko) 2007-04-26 2007-04-26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14U KR200439312Y1 (ko) 2007-04-26 2007-04-26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312Y1 true KR200439312Y1 (ko) 2008-04-01

Family

ID=416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14U KR200439312Y1 (ko) 2007-04-26 2007-04-26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3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29Y1 (ko) 2007-11-15 2010-01-15 세방전지주식회사 자동차용 축전지
KR200451009Y1 (ko) 2008-07-09 2010-11-17 이상기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101238644B1 (ko) * 2011-06-08 2013-02-28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29Y1 (ko) 2007-11-15 2010-01-15 세방전지주식회사 자동차용 축전지
KR200451009Y1 (ko) 2008-07-09 2010-11-17 이상기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101238644B1 (ko) * 2011-06-08 2013-02-28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6000B1 (en) Spirit level having horizontal bubble vial with improved bubble visibility
KR200439312Y1 (ko)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EP3417238B1 (en) Vial with improved visibility for level
JP2007532921A (ja) 水準器で使用される暗色バンド付き気泡管
KR200451009Y1 (ko)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100533074B1 (ko) 표시유닛, 그 제조를 위한 금형 및 표시유닛을 가지는축전지
JP4819405B2 (ja) インジケータおよび光透過性ボディ
US6393910B1 (en) One-piece battery charge indicator cage
KR101238644B1 (ko)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US8533964B1 (en) Vertical orientation indicator for use after an avalanche
KR2004473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
KR100533077B1 (ko) 표시유닛 및 그 표시유닛의 제작방법
ES2302877T3 (es) Indicador de estado de carga para una bateria.
KR200406571Y1 (ko) 차량용 축전지의 인디케이터
JPS63500894A (ja) 液化ガス容器のガスが間もなく空になること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ガスライタ−
WO2009157065A1 (ja) 表示装置
KR200335651Y1 (ko) 자동차용 밧데리 전해액량 표시구
TW322642B (ko)
CN201853782U (zh) 一种液体状态指示装置
CN219804236U (zh) 一种万花筒玩具
US20070240627A1 (en) Fluid lever indicator protection sleeve
CN215116933U (zh) 一种全玻高清车内专用记录仪镜头
CN2325875Y (zh) 蓄电池用指示器
JP3032685U (ja) 蓄電池の表示装置
JPH03230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