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09Y1 - 축전지 상태 표시기 - Google Patents

축전지 상태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09Y1
KR200451009Y1 KR2020080009142U KR20080009142U KR200451009Y1 KR 200451009 Y1 KR200451009 Y1 KR 200451009Y1 KR 2020080009142 U KR2020080009142 U KR 2020080009142U KR 20080009142 U KR20080009142 U KR 20080009142U KR 200451009 Y1 KR200451009 Y1 KR 200451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ball
specific gravity
battery
pilla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569U (ko
Inventor
윤세형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이상기
윤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윤세형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2020080009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0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5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중볼의 유동이 원활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변형에 강하고 조립성과 장착성이 우수하며 확고한 기계적 결합상태와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하측 일부가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 기둥부재(100)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공에 압입되는 결합 헤드(200)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비중볼(400)이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300)를 포함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는, 상부 표면이 축전지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확장 플랜지부(110);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의 아래쪽으로 하향 연장되는 기둥부(120);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에 첨단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첨두부(130);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에 인접하여 위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기둥부(120)의 외경으로부터 지름이 점차 커지게 확장 연장되는 걸림턱부(121); 및 상기 기둥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비중볼(400)의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 렌즈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헤드(200)는, 상기 축전지 케이스의 삽입공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압입되어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환형돌기(211); 및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끼워져서 기둥부(120)에 형성된 걸림턱부(121)를 억지적 탄성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걸림턱부(121)의 상면에 걸려 멈추도록 상기 몸 체(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턱(212)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케이스(300)는,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부 외주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허브(310); 상기 허브(3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테두리 가드(320); 상기 테두리 가드(320)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하강하는 비중볼(4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내려가도록 안내하고, 부상하는 비중볼(400)이 투명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의 중앙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산형 돌출부(321); 상기 산형 돌출부(321)와 함께 비중볼(400)의 부상 및 하강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테두리 가드(320)의 내측을 횡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와 중심이 일치하면서 상기 비중볼(400)이 통과 가능한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횡단 판부(330); 전, 후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횡단 판부(330)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400)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연장 하단부는 상기 산형 돌출부(321)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341a)를 형성하는 하향 연장 펜스부(341); 및 전, 후면 중 나머지 한 면에서 상기 산형 돌출부(321)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400)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연장 상단부는 상기 횡단 판부(330)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342a)를 형성하는 상향 연장 펜스부(342)를 포함한다.
축전지, 상태, 표시, 충전, 방전, 전해액, 비중, 볼

Description

축전지 상태 표시기{Battery condition indicator}
본 고안은 축전지의 상태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볼의 유동이 원활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변형에 강하고 조립성과 장착성이 우수하며 확고한 기계적 결합상태와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따라 부상(浮上) 또는 침하(沈下)하는 비중볼을 투영하여 영상을 전달하는 과정에서의 광 굴절률의 변화 관계를 이용하여 축전지의 충전 양호상태와 방전상태 및 전해액 부족 상태를 광학적인 색깔로 나타냄으로써, 관찰자로 하여금 축전지의 충, 방전 상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대한 종래의 다양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966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533074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643651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704949호 공보, 실용신안등록 제20-040657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 등에 개시된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들은, 축전지의 케이싱 에 투명 기둥부재를 그의 상부 표면이 드러나도록 설치하고, 케이싱 내부에 침지된 투명 기둥부재의 단부에 유색의 비중 볼(ball)을 구비하여 상기 비중볼이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상 또는 침하하도록 함으로써, 비중볼이 투명 기둥부재에 접촉하거나 이로부터 멀리 떨어짐에 따라 비중볼이 가지는 색깔의 영상이 투명 기둥부재의 상부 표면으로 전달되는지의 유무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양호상태나 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들을 포함하여 종래에 알려진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서는, 축전지 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상단부의 체결나사가 기둥부재의 상단에 직접 일체로 형성한 형태 이외에도, 기둥부재에 별도의 결합 헤드를 조립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예; 상기 등록특허 제10-0643651호 공보 및 등록특허 제10-0704949호 공보), 이는 결합 헤드를 기둥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 올리는 축-구멍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결합 헤드의 외경 크기를 극소화하여야 하는 여건상 기둥부재를 전 길이에 걸쳐 직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태로 밖에 구성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위쪽의 지름을 크게 한 테이퍼 형태의 기둥부재를 채용한 것에 비해 비중볼의 영상 투영 단면적이 작고 난반사가 적어 비중볼의 영상이 작게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제20-0406571호 공보에 개시된 형태와 같이, 기둥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비중볼 수납 케이스에 비중볼 이동 통로가 한쪽으로만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비중볼의 부상 동작 완료지점 부근의 통로 바닥에 비중볼의 형상을 딴 원호형의 안착부(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부상한 비중볼은 수납 케이스의 내벽부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중볼이 부상한 다음 전해액의 점성이나 표면장력 등, 예기치 못한 힘에 의해 비중볼이 수납 케이스의 내벽부에 붙어버려 전해액의 비중이 낮아졌음에도 내려가지 못하고 부상된 상태 그대로 매달려 있게 되거나, 비중볼이 내려가다가 원호형의 안착부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되어 전해액의 비중이 낮아졌음에도 이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비중볼 수납 케이스에 비중볼 이동 통로가 좌,우 양쪽으로 형성된 형태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06571호 공보에 개시된 형태처럼, 비중볼의 수납을 위해 하부에 게이트를 설치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게이트 및 그의 여닫는 부위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전해액의 온도 상승에 의해 쉽게 변형되고, 그에 의해 비중볼의 원활한 유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비중볼을 수용하는 양쪽 측면 가이드판이, 전해액이 원활히 소통(출입)하고 비중볼이 원활히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고려가 뒷받침되어 있지 않아 비중볼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기둥부재와 결합 헤드의 기계적 결합이 확고하지 못하고 또한 틈새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부재와 결합 헤드가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기둥부재와 결합 헤드 사이에 생긴 미세한 틈새로 전해액이 누출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비중볼의 유동이 원활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변형에 강하고 조립성과 장착성이 우수하며 확고한 기계적 결합상태와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하측 일부가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 기둥부재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공에 압입되는 결합 헤드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비중볼이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를 포함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투명 기둥부재는, 상부 표면이 축전지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확장 플랜지부; 상기 확장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 하향 연장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첨단형 또는 절두형으로 형성되는 첨두부; 상기 확장 플랜지부에 인접하여 위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기둥부의 외경으로부터 지름이 점차 커지게 확장 연장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전달되는 비중볼의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 렌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헤드는, 상기 축전지 케이스의 삽입공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압입 되어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환형돌기;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끼워져서 기둥부에 형성된 걸림턱부를 억지적 탄성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걸림턱부의 상면에 걸려 멈추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 외주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허브; 상기 허브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테두리 가드; 상기 테두리 가드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하강하는 비중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내려가도록 안내하고, 부상하는 비중볼이 투명 기둥부재의 첨두부의 중앙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산형 돌출부; 및 상기 산형 돌출부와 함께 비중볼의 부상 및 하강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테두리 가드의 내측을 횡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기둥부재의 첨두부와 중심이 일치하면서 상기 비중볼이 통과 가능한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횡단 판부; 전, 후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횡단 판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연장 하단부는 상기 산형 돌출부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향 연장 펜스부; 및 전, 후면 중 나머지 한 면에서 상기 산형 돌출부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연장 상단부는 상기 횡단 판부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를 형성하는 상향 연장 펜스부를 포함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 헤드의 탄성 걸림턱 위쪽에는 몸체의 내면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향 연장되 어 그 연장 단부가 조립시에 상기 투명 기둥부재의 확장 플랜지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밀봉을 유지하는 연장 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출부의 좌우 양측으로 상기 비중볼이 하강하여 멈춰지는 지점의 상기 수납 케이스의 테두리 가드 하면에는 전해액 출입을 위한 전해액 출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결합 헤드를 기둥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삽입하는 축-구멍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하여야 하면서 동시에 결합 헤드의 외경 크기를 극소화하여야 하는 여건상 기둥부재를 전 길이에 걸쳐 직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태로 밖에 구성할 수가 없어 비중볼의 작게 보이기 쉬우나,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의하면, 기둥부재의 환형 플랜지부에 볼록 렌즈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비중볼의 영상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함으로써 축전지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를 더욱 명확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둥부에 대한 결합 헤드 및 수납 케이스의 결합이 일괄체결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되며, 그러면서도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고 밀봉성도 우수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가 비중볼의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전해액이 비중볼 유동 경로 전체에 걸쳐 골고루, 그리고 매우 활발하게 유입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대응하여 비중볼이 더욱 민활하게 반응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전해액의 비중 변화를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분리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조립 상태에서의 사시 단면도가, 도 4에는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투명 기둥부재(100)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 헤드(200)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수납 케이스(300)와, 상기 수납 케이스(300)의 내부에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수납되는 채색 비중볼(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아랫부분이 축전지의 내부에 잠입하고 그 상부 표면은 축전지 케이스(10)의 표면상에 노출된다. 이러한 투명 기둥부재(100)의 재료로서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한 AS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이 전술한 축전지의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확장 플랜지부(110)와,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의 아래쪽으로 하향 연장되는 기둥부(120)와,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에 첨단원추형(尖端圓錐形 ; 끝이 뾰족한 원추 모양) 또는 절두원추형(切頭圓錐形 ; 끝이 일부 절단되어 없어진 원추 모양)으로 형성되는 첨두부(1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둥부(120)에는,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에 인접하여 위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커지게 확장하면서 연장되는 걸림턱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120)에는, 상기 첨두부(130)에 인접하여서는 돌출환(12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확장 플랜지부(110) 상부 표면에는 볼록 렌즈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볼록 렌즈부(140)는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의 표면을 구면(球面)의 형태로 돋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볼록 렌즈를 부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볼록 렌즈부(140)에 의하면,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기둥부(110) 하단으로부터 전달되어 나오는 채색 비중볼(400)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찰자의 시야에 크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해줌으로써 관찰자로 하여금 축전지의 상태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 헤드(200)는,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그 외부에 돌출된 환형 돌기(211) 부분이 축전지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공(11)(도 4 참조)에 압입(壓入)된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300)는,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수용된 채색 비중볼(400)을 보호하면서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채색 비중볼(400)이 자유롭게 부상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유지해주고 안내해준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 헤드(200)는 축전지 케이스(10)뿐만 아니라 투명 기둥부재(100)에 이른바 '일괄체결방식(또는 '압입방식'이라고도 한다)'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300)도 투명 기둥부재(100)에 일괄체결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일괄체결방식(또는 압입방식)이라함은, 나사를 돌려 결합하거나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압력을 가해 단숨에 끼워넣은 방식을 말하고, 이와 같은 일괄체결방식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조립성, 장착성 및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결합 헤드(200)와 수납 케이스(300)는, 압입 용이성과 밀봉성 향상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5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헤드(200)는, 그 몸체(210)의 외측에 복수의 환형돌기(211)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환형돌기(211)는 앞에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축전지 케이스(10)의 삽입공(11)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압입되고, 압입된 후에는 삽입공(11)에 밀착하여 복수의 차단벽을 형성함으로써 전해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밀봉(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 헤드(200)의 몸체(210) 내측에는 탄성 걸림턱(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헤드(200)는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하단 즉, 첨두부(130)(도 2 참조)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 걸림 턱(212)은, 상기 기둥부(120)에 형성된 걸림턱부(121)를 억지적 탄성적으로 통과한 후 걸림턱부(121) 그의 상면에 걸려 이탈이 불가하면서 견고한 결착상태를 유지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결합 헤드(200)의 탄성 걸림턱(212) 상측으로는 연장 립(lip)(213)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 립(213)의 연장단부(상단부)는 조립 시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확장 플랜지(110)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밀봉(sealing)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전해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300)와 투명 기둥부재(100)의 결합 관계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둥부재(100)의 기둥부(120) 하단부 외주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허브(hub)(310)와, 상기 허브(3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형태의 테두리 가드(guard)(32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310)의 내측에는 환형 요홈(311)이 형성되는데, 상기 환형 요홈(311)은 압입에 의해 상기 기둥부재(100)의 돌출환(122)이 탄성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가드(320)의 하면 중앙에는 산형 돌출부(321)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산형 돌출부(321)는, 하강하는 비중볼(4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내려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비중볼(400)이 하강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내려가면 투명 기둥부재(100)의 투영 영역을 벗어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비중볼(400)이 보이지 않게 되어 관찰자는 축전지가 방전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비중볼(400)이 부상할 때에는, 상기 산형 돌출부(321)를 따라 투명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 중앙에 일치하는 위치까지 안내한다. 비중볼(400)이 가장 높이 부상한 시점에서는, 상기 비중볼(400)은 상기 산형 돌출부(321)의 정상(頂上)보다 더 위로 떠올라 있게 된다(도 6의 왼쪽 도면의 점선 표시로 된 비중볼 참조).
그리고 상기 테두리 가드(320)의 중간에는 횡단 판부(330)가 테두리 가드(320)의 내측을 좌우로 횡단하는 형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횡단 판부(330)는 가운데가 위로 더 올라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형 돌출부(321)와 함께 비중볼(400)의 부상, 하강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횡단 판부(33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와 중심이 일치하면서 상기 비중볼(400)이 통과 가능한 크기의 관통공(3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1)은 상기 비중볼(400)을 넣기 위한 출입구의 역할을 함과 더불어 비중볼(400)이 부상하는 경우 상기 관통공(331)에 일부분이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비중볼(400)의 중심과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도와 상기 비중볼(400)의 영상이 외부로 더욱 잘 전달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수납 케이스(300)의 좌우 양쪽 바닥 즉, 산형 돌출부(32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비중볼(400)이 하강한 후 멈춰지는 지점에 전해액 출입공(322)이 형성된다. 만일 상기 비중볼(400)이 내려와 있는 지점에 상기한 출입공(322)이 없다면 비중볼(400)과 수납 케이스(300)의 바닥면 또는/그리고 수납 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전해액의 표면장력과 같은 힘에 의해 비중볼(400)이 일시적으로 붙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출입공(322)을 통해 전해액이 비중볼(400)이 있는 내부까지 잘 유통됨으로써 위와 같은 염려가 없 게 되고, 그럼으로써 전해액의 충, 방전 상태에 비중볼(400)이 민감하게 응답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병행 참조하면, 상기 수납 케이스(300)의 전,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하향 연장 펜스부(341)(도 7 및 도 9 참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면에는 상향 연장 펜스부(342)(도 8 및 도 9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하향 연장 펜스부(341)는 상기 횡단 판부(330)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400)의 위쪽 부분을 막아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과 더불어 그의 연장 하단부는 상기 산형 돌출부(321)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341a)를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상기 상향 연장 펜스부(342)는, 상기 산형 돌출부(321)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400)의 아래쪽 부분을 막아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과 더불어 그의 연장 상단부는 상기 횡단 판부(330)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342a)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쪽에 하향 연장 펜스부(341)와 상향 연장 펜스부(342)를 형성함으로써 비중볼(4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비중볼(400)이 정해진 통로 내에서 안정적이고 자유롭게 움직일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하향 연장 펜스부(341)와 상향 연장 펜스부(342)는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한쪽의 하향 연장 펜스부(341)는 그의 아래쪽에 전해액 출입 통로(341a)를 형성하고 반대측의 상측 연장 펜스부(3342)는 그의 위쪽에 전해액 출입 통로(342a)를 형성함으로써 전해액이 비중볼(400) 유동 통로의 상부와 하부에 골고루 출입하고, 그러면서도 원활하고 충분히 출입할 수 있게 되어 비중볼(400)이 테두리 가드(320) 바닥 또는 횡단 판부(330)의 내면에 붙거나 이동을 방해받는 현상이 사라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는 결합 헤드를 기둥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끼워 올리는 축-구멍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하여야 하면서 동시에 결합 헤드의 외경 크기를 극소화하여야 하는 여건상 기둥부재를 전 길이에 걸쳐 직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태로 밖에 구성할 수가 없어 비중볼의 작게 보이기 쉬우나, 본 고안의 축전지 상태 표시기에 의하면, 기둥 부재의 환형 플랜지부에 볼록 렌즈부가 구비됨으로써, 이를 통해 비중볼의 영상이 확대되어 보여 충전 또는 방전 상태가 더욱 명확하고 쉽게 파악된다.
또한, 기둥부에 대한 결합 헤드의 결합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고, 전해액의 누출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는 개폐부가 없는 단일체의 견고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비중볼의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전해액이 비중볼 유동 경로 전체게 걸쳐 골고루, 그리고 매우 활발하게 유입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대응하여 비중볼이 더욱 민활하게 반응하여 움직임으로써 전해액의 비중 변화를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결합 헤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상태 표시기의 수납 케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납 케이스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축전지 케이스 11: 삽입공
100: 투명 기둥부재 110: 확장 플랜지부
120: 기둥부 121: 걸림턱부
122: 돌출환 130: 첨두부
200: 결합 헤드 210: 몸체
211: 황형돌기 212: 탄성 걸림턱
213: 연장 립 300: 수납 케이스
310: 허브 311: 환형 요홈
320: 테두리 가드 321: 산형 돌출부
322: 출입공 330: 횡단 판부
331: 관통공 341: 하향 연장 펜스부
341a: 전해액 출입통로 342: 상향 연장 펜스부
342a: 전해액 출입통로 400: 비중볼

Claims (3)

  1. 하측 일부가 축전지의 내부로 잠입하는 투명 기둥부재(100)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공에 압입되는 결합 헤드(200)와,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비중볼(400)이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300)를 포함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는,
    상부 표면이 축전지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확장 플랜지부(110);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의 아래쪽으로 하향 연장되는 기둥부(120);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에 첨단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첨두부(130);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에 인접하여 위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기둥부(120)의 외경으로부터 지름이 점차 커지게 확장 연장되는 걸림턱부(121); 및
    상기 기둥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비중볼(400)의 영상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 플랜지부(1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 렌즈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헤드(200)는,
    상기 축전지 케이스의 삽입공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압입되어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환형돌기(211); 및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끼워져서 기둥부(120)에 형성된 걸림턱부(121)를 억지적 탄성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걸림턱부(121)의 상면에 걸려 멈추도록 상기 몸체(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턱(212)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케이스(300)는,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부 외주에 억지적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허브(310);
    상기 허브(3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테두리 가드(320);
    상기 테두리 가드(320)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하강하는 비중볼(4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내려가도록 안내하고, 부상하는 비중볼(400)이 투명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의 중앙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산형 돌출부(321);
    상기 산형 돌출부(321)와 함께 비중볼(400)의 부상 및 하강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테두리 가드(320)의 내측을 횡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첨두부(130)와 중심이 일치하면서 상기 비중볼(400)이 통과 가능한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횡단 판부(330);
    전, 후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횡단 판부(330)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400)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연장 하단부는 상기 산형 돌출부(321)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341a)를 형성하는 하향 연장 펜스부(341); 및
    전, 후면 중 나머지 한 면에서 상기 산형 돌출부(321)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중볼(400)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그 연장 상단부는 상기 횡단 판부(330)와 함께 전해액 출입 통로(342a)를 형성하는 상향 연장 펜스부(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헤드(200)의 탄성 걸림턱(212) 위쪽에는 몸체(210)의 내면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향 연장되어 그 연장 단부가 조립시에 상기 투명 기둥부재(100)의 확장 플랜지부(110)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밀봉을 유지하는 연장 립(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출부(321)의 좌우 양측으로 상기 비중볼(400)이 하강하여 멈춰지는 지점의 상기 수납 케이스(300)의 테두리 가드(320) 하면에는 전해액 출입을 위한 전해액 출입공(322)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2020080009142U 2008-07-09 2008-07-09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200451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142U KR200451009Y1 (ko) 2008-07-09 2008-07-09 축전지 상태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142U KR200451009Y1 (ko) 2008-07-09 2008-07-09 축전지 상태 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569U KR20100000569U (ko) 2010-01-19
KR200451009Y1 true KR200451009Y1 (ko) 2010-11-17

Family

ID=4419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142U KR200451009Y1 (ko) 2008-07-09 2008-07-09 축전지 상태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8217A1 (zh) * 2013-08-08 2015-02-12 泉州市一鸣交通电器有限公司 一种蓄电池状态指示器组合式安装套
KR20150107967A (ko) * 2014-03-14 2015-09-24 세방전지(주)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KR20150132687A (ko) * 2014-05-15 2015-11-26 세방전지(주) 차량용 배터리의 인디케이터
KR20150135607A (ko) * 2014-05-22 2015-12-03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인디케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733B (zh) * 2019-01-04 2023-12-29 泉州市一鸣交通电器有限公司 一种蓄电池状态指示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817A (en) 1980-08-19 1982-01-05 Illinois Tool Works Inc. State of charge battery monitor
KR200335651Y1 (ko) 2003-09-02 2003-12-11 한윤희 자동차용 밧데리 전해액량 표시구
KR200439312Y1 (ko) 2007-04-26 2008-04-01 윤세형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817A (en) 1980-08-19 1982-01-05 Illinois Tool Works Inc. State of charge battery monitor
KR200335651Y1 (ko) 2003-09-02 2003-12-11 한윤희 자동차용 밧데리 전해액량 표시구
KR200439312Y1 (ko) 2007-04-26 2008-04-01 윤세형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8217A1 (zh) * 2013-08-08 2015-02-12 泉州市一鸣交通电器有限公司 一种蓄电池状态指示器组合式安装套
KR20150107967A (ko) * 2014-03-14 2015-09-24 세방전지(주)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KR101580103B1 (ko) 2014-03-14 2015-12-29 세방전지(주) 기밀성이 향상된 인디케이터
KR20150132687A (ko) * 2014-05-15 2015-11-26 세방전지(주) 차량용 배터리의 인디케이터
KR101592215B1 (ko) 2014-05-15 2016-02-11 세방전지(주) 차량용 배터리의 인디케이터
KR20150135607A (ko) * 2014-05-22 2015-12-03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인디케이터
KR101589915B1 (ko) 2014-05-22 2016-02-01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인디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569U (ko)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009Y1 (ko) 축전지 상태 표시기
EP2148921B1 (en) Incubation container
US3893339A (en) Liquid level indicator
CA2318283C (en) Vessel for pouring out and applying a constant amount
US3923000A (en) Omni directional tell tale tilt indicator
US6702299B2 (en) Closure structure with a plug
US7430907B2 (en) Hydrometer/fluid level sensor
KR101592215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인디케이터
KR101747831B1 (ko) 누액 검출 장치 및 누액 검출 장치의 베이스
KR20110075546A (ko) 낙하식 위조방지 마개 조립체
US6851581B2 (en) Washing agent dispenser for a household a dishwasher
CN210295709U (zh) 显示装置及框架组件
KR200439312Y1 (ko)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2004473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
CN209230732U (zh) 液体传感器和液体传感器的管保持部件
US8869817B2 (en) Transmission sealing and drainage device
CN103225680B (zh) 传动装置的密封与排水装置
KR20040110346A (ko) 표시유닛, 그 제조를 위한 금형 및 표시유닛을 가지는축전지
KR20110020765A (ko) 표시 장치
KR100533077B1 (ko) 표시유닛 및 그 표시유닛의 제작방법
US4559530A (en) Overcurrent condition display
KR200234296Y1 (ko) 이중 병마개에 있어 겉마개의 결속구조
CN214387302U (zh) 液体自动分配装置
JP3032685U (ja) 蓄電池の表示装置
WO2023029053A1 (zh) 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