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748A - 검체 용기 - Google Patents

검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748A
KR20200046748A KR1020180128319A KR20180128319A KR20200046748A KR 20200046748 A KR20200046748 A KR 20200046748A KR 1020180128319 A KR1020180128319 A KR 1020180128319A KR 20180128319 A KR20180128319 A KR 20180128319A KR 20200046748 A KR20200046748 A KR 2020004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fixing
sample
contain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428B1 (ko
Inventor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12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4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샘플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샘플을 채취하는 채취수단을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검체 용기{CLINICAL SPECIMEN VESS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검진시 피검사자로부터 혈액이나 타액 또는 신체기관의 조직 등의 검체를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에 대하여 생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혈액학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여 피검사자의 건강상태 및 질환여부를 검진하게 된다.
한편, 최근 자궁경부세포검사가 보편화되면서 자궁경부암은 감소되는 추세이다.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세포검사(Pap smear)를 시행하는 방법도 발전하면서 종래 일반적으로는 유리 슬라이드에 세포도말하였으나 세포병리판독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액체 세포고정액에 자궁경부에서 채취한 세포를 떨어뜨려 운반하는 Liquid-based Pap test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자궁경부 세포채취는 세포 채취 브러쉬를 이용하여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하게 되는데, 이후 세포 채취용 브러쉬를 액체세포 고정액 용기에 마찰시키어 세포를 용기 내측에 떨어뜨려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세포 채취 과정을 수행한 용기는 외부를 커버부로 덮어 보관 및 이동하여 각종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검체 용기는 단순히 액체 세포고정액을 담는 수용공간만 구비하고 있어, 액체 세포고정액에 자궁경부 세포 채취용 브러쉬를 단순히 흔들거나 액체 세포 고정액 용기의 벽에 대고 약하게 자궁경부 세포 채취용 브러쉬를 돌리면 세포가 액체 고정액 내에 탈락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포 채취용 브러쉬로부터 세포의 탈락을 최대한 유도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샘플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샘플을 채취하는 채취수단을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채취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반구형의 곡면을 갖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단위유닛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대칭되는 반구형의 곡면을 갖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단위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채취수단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하부에 중앙으로 하향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평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채취수단의 다른 위치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채취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용기는 채취수단을 용기 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검체 용기를 진동시킬 때, 채취수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효과적으로 검체를 탈락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채취수단으로부터 검체인 세포를 충분히 채집할 수 있어 판독할 세포 부족에 따른 재검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취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 본체(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뚜껑 및 고정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 내부에 샘플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01)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110)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뚜껑(200)과 결합되는 결합부(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103)는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져 뚜껑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100)는 수용 공간(101)의 하부에 중앙으로 하향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수용 공간(101)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부(104)를 통해 수용 공간(101)을 상광하협(上廣下峽)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샘플, 예를 들면, 검체 세포가 액체 세포고정액 내에서 중력에 의해 수용 공간(101)의 하부로 쌓이게 되는데, 용기 본체(100)의 하부에 경사부(10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검체 세포가 수용공간(101) 하부의 중앙에 집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사기 또는 스포이드와 같은 채집 수단을 통해 수용공간(101) 하부에 적재된 검체 세포를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하부에 경사부(104)를 둘러싸며 용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다리부(10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 본체(100)는 수용공간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뚜껑(20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뚜껑(200)은 용기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103)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샘플을 채취하는 채취수단(20)을 수용 공간(101) 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샘플을 채취하는 채취수단(20)은 솔과 같은 채취부(22)와 채취부(22)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21)를 구비하는 브러쉬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채취수단(20)은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부재(120)는 채취수단(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22)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내측면으로부터 고정부(122)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22)는 채취수단(20) 중 손잡이부(2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부터 채취수단(20)을 끼워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공간(121)은 채취수단(20)의 손잡이부(2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3)는 고정부(122)를 용기 본체(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122)에 고정되는 채취 수단(20)이 용기 본체(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채취 수단(20)으로부터 검체인 세포를 분리시킬 때, 채취 수단(20)이 용기 본체(100)의 내벽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체 용기(10)를 흔들어 채취 수단(20)으로부터 검체를 분리시킬 때, 채취 수단(20)의 채취부(22)에도 용기 본체(100) 내벽의 간섭없이 진동이 가해져 검체가 채취부(22)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3)의 길이, 즉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채취수단(20)의 채취부(22)의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고정부(122)까지의 거리가 채취부(22)의 반지름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것에 의해, 채취부(22)가 용기 본체(100) 내벽와 닿지 않도록 일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채취부(22)의 반지름은 채취부(22)의 단면 중 가장 큰 면적을 갖는 위치에서의 반지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부(122)의 중심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로부터 용기 본체(100)의 중심을 잇는 용기 본체(100)의 반지름의 2/3보다 작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122)의 중심은 용기 본체(100)의 중심과 비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 본체(100) 하부에 적재된 검체를 채집할 때 고정부재(120)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재(120)는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고정부(122)를 통해 채취수단(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23)의 일단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지지부(123)의 타단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태의 고정부(122)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부재(120)는 용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01)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단위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20)는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 단위유닛과 제2 단위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단위 유닛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용기 본체(10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반구형의 곡면을 갖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단위유닛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용기 본체(100)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제2 지지부와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고정부와 대칭되는 반구형의 곡면을 갖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채취수단(20)은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121)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수용 공간(101)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재(120)는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채취수단(20)을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검체 용기(10)에 진동을 인가할 때, 채취수단(20)에도 그 진동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취 수단(20)에 포함된 검체가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수용공간 내로 탈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취수단(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뚜껑(200), 고정부재(120) 및 보조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보조 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검체 용기(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 본체(100)는 샘플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01)을 구비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뚜껑(200)과 결합되는 결합부(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103)는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져 뚜껑과 결합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수용 공간(101)의 하부에 중앙으로 하향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수용 공간(101)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부(104)를 통해 수용 공간(101)을 상광하협(上廣下峽)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뚜껑(20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샘플을 채취하는 채취수단(20)을 수용 공간(101) 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채취수단(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22)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내측면으로부터 고정부(122)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22)는 채취수단(20) 중 손잡이부(2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부터 채취수단(20)을 끼워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공간(121)은 채취수단(20)의 손잡이부(2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재(130)는 용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부재(120)와 평행하도록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부재(130)는 고정부재(120)에 의해 고정된 채취수단(20)의 다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부재(130)는 고정부재(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고정부재(120)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채취수단(20)을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부재(130)는 채취수단(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용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내측면으로부터 고정부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부재(130)의 지지부의 길이는 고정부재(120)의 지지부(123)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보조부재(130)는 고정부재(120)보다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부재(130)는 다시 말해, 용기 본체(100)의 결합부(10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부재(130)는 채취수단(20)을 절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검체 용기(10)에는 채쉬수단(20) 중 일부만 수용공간(101) 내에 수용될 수 있어, 채취수단(20)의 손잡이부(21) 중 일부(21')를 절단하여야 한다. 고정부재(120)만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21) 중 일부(21')를 절단하기 위해서 별도의 절단 수단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상기한 보조부재(130)를 통해 고정부재(120) 상부에서 손잡이부(21)를 지지하는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정부재(120)와 보조부재(130)에 고정된 채취수단(20)의 상부에 힘을 인가하여 일부(21')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부재(130)의 고정부는 고정부재(120)의 고정부와 달리 고정부의 중심으로 갈수록 단부가 날카로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재(130)는 이를 통해 채취수단(20)의 절단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취수단(20)은 손잡이부(21) 중 일 영역에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취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절취부(211)는 손잡이부(21)의 외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 부분을 통해 채취 수단(20)이 검체 용기(10) 내에 수용될 때 불필요한 부분을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이때, 보조부재(130)는 상기한 채취수단(20)의 절취부(211)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절취부(211)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조부재(130)는 용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부재(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한 채취수단(20)의 절취부(211)보다는 고정부재(1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고정부재(120)와 보조부재(130)에 의해 고정된 채취수단(20) 중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용기는 채취수단을 용기 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검체 용기를 진동시킬 때, 채취수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효과적으로 검체를 탈락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채취수단으로부터 검체인 세포를 충분히 채집할 수 있어 판독할 세포 부족에 따른 재검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검체 용기
100 : 용기 본체
101 : 수용공간
120 : 고정부재
122 : 고정부
123 : 지지부
130 : 보조부재

Claims (7)

  1. 샘플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샘플을 채취하는 채취수단을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채취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검체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반구형의 곡면을 갖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단위유닛;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대칭되는 반구형의 곡면을 갖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단위유닛;를 구비하며,
    상기 채취수단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고정되는, 검체 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하부에 중앙으로 하향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평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채취수단의 다른 위치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검체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검체 용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채취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검체 용기.
KR1020180128319A 2018-10-25 2018-10-25 검체 용기 KR10219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19A KR102199428B1 (ko) 2018-10-25 2018-10-25 검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19A KR102199428B1 (ko) 2018-10-25 2018-10-25 검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48A true KR20200046748A (ko) 2020-05-07
KR102199428B1 KR102199428B1 (ko) 2021-01-06

Family

ID=7073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319A KR102199428B1 (ko) 2018-10-25 2018-10-25 검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870A (ko) * 2019-05-20 2020-12-08 (의) 삼성의료재단 조직 고정용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845A (ja) * 1995-02-15 1996-11-01 Wako Pure Chem Ind Ltd 糞便採取用具
US20060115385A1 (en) * 2004-12-01 2006-06-01 Meridian Bioscience, Inc. Specimen collection system
KR20080076188A (ko) * 2007-02-15 2008-08-20 채진석 붓 보관함
US20110146420A1 (en) * 2008-08-29 2011-06-23 Olympus Corporation Container for specim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845A (ja) * 1995-02-15 1996-11-01 Wako Pure Chem Ind Ltd 糞便採取用具
US20060115385A1 (en) * 2004-12-01 2006-06-01 Meridian Bioscience, Inc. Specimen collection system
KR20080076188A (ko) * 2007-02-15 2008-08-20 채진석 붓 보관함
US20110146420A1 (en) * 2008-08-29 2011-06-23 Olympus Corporation Container for specim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870A (ko) * 2019-05-20 2020-12-08 (의) 삼성의료재단 조직 고정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428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0323B2 (ja) 体液試験
US657619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testing fluid specimens
US5370128A (en) Pap brush and pap unit container systems
KR10162496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1181396B1 (ko) 검체 용기
US10962450B2 (en) Specimen collection device, holder for specimen collection device, and specimen pre-processing method that uses specimen collection device
KR200489418Y1 (ko) 체외진단검체필터용 케이스
CN1950688B (zh) 用于分子测试的过滤组件
JPH10174682A (ja) 生物学的検体サンプルの採取および解析中毛管を保持するカセット、生物学的流体サンプルを収容しかつそれを解析するための組立体および毛管内の生物学的検体サンプルを解析する方法
US903963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ed cellular sample transfer
CN111133311B (zh) 血液采集器具
CN108780028A (zh) 包括血液采集器以及血液收容器的血液采集器具
JP5318746B2 (ja) 採集容器アッセンブリ
JP2012132897A (ja) 検体採取具及び検体採取キット
CN108291907B (zh) 用于血液样品保存和红细胞比容分离的系统及方法
JPS6244223B2 (ko)
KR20200046748A (ko) 검체 용기
JP7027272B2 (ja) 回収容器及び回収デバイス
JP2019100858A (ja) 血液検査用容器
EP0901817A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EP3734282A1 (en) Apparatus, reagent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misfolded protein
JP6696592B2 (ja) 試料採取チップ分割用器具
JP2005238158A (ja) 遠心管
JP7174723B2 (ja) 流体収集ユニットならびに関連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116685407A (zh) 显影剂溶液小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