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148A -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 Google Patents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148A
KR20200046148A KR1020180122852A KR20180122852A KR20200046148A KR 20200046148 A KR20200046148 A KR 20200046148A KR 1020180122852 A KR1020180122852 A KR 1020180122852A KR 20180122852 A KR20180122852 A KR 20180122852A KR 20200046148 A KR20200046148 A KR 2020004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target
poin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033B1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0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 e.g. multi-arm co-operation, assembly, gras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또는 로봇의 주행 방법은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은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당 로봇이 수행하는 작업을 인계받을 대상 로봇을 선택하고, 대상 로봇에게 작업을 인계하기 위한 중간 지점으로 로봇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METHOD OF ROBOT'S COOPERATION BASED ON RESOURCE DISTRIBUTION AND ROBOT WITH COOPERATING EACH OTHER}
본 발명은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에 관한 기술이다.
공항, 학교, 관공서, 호텔, 사무실, 공장, 체육관, 공연장과 같은 문화시설 등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공간에서 로봇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센싱하여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에는 항상 보행자들 혹은 보행자들과 동반하여 이동하는 다양한 사물들이 다수 배치될 수 있으므로, 로봇은 이들을 회피하여 주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공간에서는 사람들이 다양한 방향에서 출몰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에 동반한 사물들 역시 로봇이 회피해야 하는 대상이다. 그런데, 로봇이 이들 이동하는 장애물들과의 거리를 유지하는 방식 및 회피하는 방식은 로봇의 이동 경로와 작업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동 과정에서 로봇이 특정한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은 로봇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도 1은 한국 등록 특허 1170686호의 로봇이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관제서버(1001)는 각각의 이동로봇(1005a~1005c)의 안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03)에 탑재하고, 각 이동로봇(1005a~1005c)에 맞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관제 단말기(1002)는 각 이동로봇(1005a~1005c)을 관제한다.
이들 이동로봇(1005a~5c)들은 관제서버(1001) 및 관제 단말기(1002)에 의해 전람회, 박람회 등의 실내외 행사장과, 놀이공원, 동식물원, 미술관 또는 박물관 등의 주요 지점에서 대기하며, 방문객의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며, 패치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실행 한 후 지정된 출근위치(안내업무 대기위치)로 이동한다.
도 1과 같은 구성에서는 한 대의 로봇이 가이드를 마친 후 최초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하는데, 만약 로봇의 대기 위치가 각각 다른 경우, 대기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이드를 하면 해당 위치의 서비스 공백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다수의 로봇들이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경우, 이들 로봇들이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협업하여 동작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봇이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 후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리소스를 줄이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로봇이 작업을 처리하는데 투입하는 리소스를 줄이고 이를 다른 로봇들과 배분하여 각 로봇이 담당하는 영역에서의 서비스 공백을 줄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은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당 로봇이 수행하는 작업을 인계받을 대상 로봇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은 대상 로봇에게 작업을 인계하기 위한 중간 지점으로 로봇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은 수신한 정보에서 제1지점 및 제2지점의 경로에서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의 대상 로봇을 근접한 순서로 정렬하여 대상 로봇의 상태 정보와 대상 로봇의 협업 가치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은 로봇과 대상 로봇과의 거리, 로봇과 제2지점의 거리, 및 대상 로봇과 제2지점의 거리 중 어느 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협업 가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대상 로봇은 다른 로봇으로부터 작업을 인계받기 위한 중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대상 로봇을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전체 로봇들의 총 리소스와 개별 로봇의 리소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특정 서비스을 수행함에 있어서 경로상에 있는 로봇들이 리소스 분배를 하기 때문에 가이드를 시작하는 로봇이 제공해야 하는 리소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한국 등록 특허 1170686호의 로봇이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업에 의한 로봇의 이동 경로와 협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가이드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협업 가능한 로봇을 검색 및 선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간에 인계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특정한 목적(청소, 보안, 모니터링, 안내 등)을 가지거나 혹은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의 특성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며 이동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로봇은 소정의 정보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보유하며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맵을 보유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맵은 공간에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고정된 벽, 계단 등 고정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이동 장애물, 즉 동적인 객체들에 대한 정보도 맵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봇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 배치된 장애물들에 대한 정보도 맵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고정 객체가 저장되는 맵과 달리 임시적으로 장애물들의 정보가 맵에 등록되고 이후 로봇이 이동한 후 맵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외부의 동적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의 동적 객체를 확인하면, 보행자로 붐비는 환경에서 로봇이 목적지까지 주행할 때, 목적지까지 거쳐가야 하는 경유 지점(Waypoint)의 장애물에 의한 점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경유 지점의 방향 변경 정도에 따라 유연하게 경유 지점을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경유 지점으로 넘어 가도록 하여 목적지까지 성공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외관에 해당하며, 도 2의 외관 외에도 다양한 외관으로 본 발명의 로봇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구성요소는 로봇의 형상에 따라 상하좌우 전후 등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슬림해지는 오뚝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로봇(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는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31), 상기 탑 커버(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미들 커버(32),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미들 커버(33) 및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미들 커버(32)와 상기 제2 미들 커버(33)는 하나의 미들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로봇(1)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반구 또는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 받기 위하여 성인의 키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31)는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 커버(31)와 그 내부의 헤드부(15)는, 로봇(1)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사람의 헤드(head)와 유사한 형상과 기능을 가지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커버(31)와 그 내부의 헤드부(15)는 헤드(head)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의 하측에 배치되는 나머지 부분은 바디(body)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전면 일측에 조작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부(31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디스플레이(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311)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312)는 헤드 디스플레이(312)로 명명하고, 바디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20)는 바디 디스플레이부(20)로 명명한다. 바디 디스플레이부(20)는 지지부(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 부재(138)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11)는 사용자가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를 아래로 내려다보면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311)는 상기 탑 커버(31)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는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11)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작부(311)는 사람의 얼굴 형상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작부(311)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작부(311) 상에는 사람의 눈, 코, 입, 눈썹 등을 표현하기 위한 구조물이 하나 이상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311) 상에는 사람의 눈, 코, 입, 눈썹 등을 표현하기 위하여 특정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고 또는 특정 페인트가 도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1)는 사람의 얼굴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사람의 얼굴 형상을 가지는 로봇이 주행하는 경우, 마치 사람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어 로봇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 상에는 사람의 눈, 코, 입, 눈썹 등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가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 상에는 길 안내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사람의 얼굴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 상에는 일정 시간 간격 또는 특정 시각에 정해진 얼굴 표정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11)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전방"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311)는 사람과 사물 인식을 위한 헤드 카메라부(3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카메라부(313)는 상기 헤드 디스플레이(3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카메라부(313)는 2D 카메라(313a) 및 RGBD 센서(313b, 3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D 카메라(313a)는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사람 또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GBD 센서(Red, Green, Blue, Distance)(313b, 313c)는 사람의 위치 또는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RGBD 센서(313b, 313c)는 RGBD 센서들을 갖는 카메라 또는 다른 유사한 3D 이미징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깊이(Depth) 데이터를 갖는 캡쳐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사람 또는 사물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사람의 위치 또는 얼굴 이미지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RGBD 센서(313b, 313c)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RGBD 센서(313b, 313c)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2D 카메라(313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조작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직접 입력 받기 위한 물리적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31)는 마이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14)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314)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탑 커버(31)의 상단부 어느 지점에 4개소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봇(1)이 주행 중이거나 또는 상기 탑 커버(31)가 회전 중에도, 사용자로부터 음성의 길 안내 요청을 정확히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로봇(1)이 주행 중에는 상기 조작부(311)가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로봇(1)이 주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예: 음성 명령 등)을 수신하면, 상기 조작부(311)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로봇(1)이 주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로봇(1)의 주행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바디 디스플레이부(20)가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바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서비스 정보 등을 보면서 상기 조작부(311)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1 미들 커버(32)는 RGBD 센서(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GBD 센서(321)는 상기 로봇(1)이 주행 중에, 상기 로봇(1)과 장애물 사이의 충돌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RGBD 센서(321)는 상기 로봇(1)이 주행하는 방향, 즉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RGBD 센서(321)는 상기 로봇(1)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 또는 사람의 키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RGBD 센서(321)는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전방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미들 커버(32)에 RGBD 센서(321)가 배치되지 않고, RGBD 센서(321)의 기능도 헤드 카메라부(313)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들 커버(32)는 스피커용 홀(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용 홀(322)은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상기 스피커용 홀(322)은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스피커용 홀(322)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들 커버(32)는 스테레오 카메라용 홀(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용 홀(323)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테레오 카메라(미도시)의 작동을 위한 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용 홀(323)은 상기 제1 미들 커버(32)의 전방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37)는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용 홀(323)을 통해 상기 로봇(1)의 전방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들 커버(33)는 제1 절개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331)는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외주면의 전방에서 측방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331)는 전방 라이더 센서(미도시)가 동작 가능하도록 제2 미들 커버(33)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부(331)는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전방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절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라이더(136)는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개부(331)는 상기 전방 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절개부(331)와 상기 전방 라이더는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라이더는 상기 제1 절개부(33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절개부(331)는 상기 제2 미들 커버(33)의 전방에서 둘레를 따라 270도만큼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331)가 상기 제2 미들 커버(33)에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상기 전방 라이더에서 방출된 레이저가 성인의 눈 또는 어린이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의 로봇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로봇의 다양한 카메라들과 센서들 역시 로봇(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로봇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안내하고 특정 지점까지 이동하여 사용자를 안내하는 안내 로봇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외에도 청소, 보안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로봇 역시 도 2의 로봇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내 로봇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일 실시예로 하는 로봇이 서비스 공간 내에 다수 배치된 상태에서 로봇이 안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대기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이드를 하는 경우, 로봇이 가이드의 목적지로 이동한 후, 안내 기능을 종료하고 다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 동안 해당 로봇의 대기 위치에서의 서비스 공백이 커진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목적지로 가이드 하는 것을 한 대의 로봇이 모두 처리 하지 않고,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인접한 다른 로봇이 안내 기능을 대신 수행하도록 협업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상에 있는 다른 로봇에게 안내 업무를 인계하는 방식으로 각 로봇이 처리해야 하는 작업을 분배하면 특정 위치의 서비스 공백이 커지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로봇이 이동하는 거리와 이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로봇이 투입하는 자원, 즉 리소스(resource)라고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로봇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기능을 수행 후 설정된 장소로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거리 또는 시간 또는 이 둘을 합한 것을 리소스라 지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업에 의한 로봇의 이동 경로와 협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3개의 로봇(R1, R2, R3)가 배치된 구성이다. S는 출발지를, E는 목적지를 지시한다. 만약 하나의 로봇(예를 들어 R1)이 S->E 까지의 안내를 전담할 경우 R1만이 화살표를 따라 안내를 수행하고(S11), 그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S12)을 진행한다.
도 4는 도 3에서 R1이 수행한 안내 기능을 R2 및 R3가 분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특정 사용자를 S에서 E까지 안내하는 기능을 다수의 로봇들(R1, R2, R3)이 수행한다. 최초에 가이드를 시작하는 로봇(R1)은 앞서 도 3에서 살펴본 경로(S11)에 배치되었거나, 해당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된 로봇들 중에서 협업이 가능한 로봇(R2, R3)를 선정한다. 선정 기준은 인접한 순서가 될 수 있다. 또는 전체 가이드에 소요되는 리소스에서 각 로봇이 원래의 위치 또는 설정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공백을 줄일 수 있는 기준치(예를 들어 10분 또는 20미터 등 시간과 거리에 기반한 리소스 투입량)에 따라 로봇의 수가 정해지고, 그에 따라 선정하는 로봇이 결정된다. 가까운 거리(예를 들어 5분 이내)인 경우 하나의 로봇이 수행하고 기준치의 두배인 경우 두 개의 로봇이 투입될 수 있다. 또는 로봇의 위치에 따라 달리 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R1이 R2 및 R3를 선택하였으며, R2가 대기 상태라면 R1은 S-E 사이의 최소 거리(S11)에서 일정 거리 이하로 유지하면서 R2 쪽으로 이동한다(S51). R2도 R1쪽으로 이동해서(S61) P1 지점에서 만난다. 이때 R1은 지금까지 안내한 사용자에게 R2를 통해 안내를 진행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R1은 로봇이 원래 위치했던 대기 지점으로 복귀한다(S52). 그리고 R2는 새로운 가이드기능을 제공 하는 로봇이 되어 앞서 R1이 수행한 인접 로봇을 선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R2가 P1의 위치에서 E까지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에서 협업 가능한 가장 가까운 로봇을 선정한다. 도 4에서 R3를 선정한다. R3가 대기 상태라면, R2는 P1-E 사이의 최소거리에서 일정 거리 이ㅇ하로 유지하면서 R3쪽으로 이동한다(S62). R3도 R2쪽으로 이동해서(S71) P2 지점에서 만난다. 이때 R2는 지금까지 안내한 사용자에게 R3를 통해 안내를 진행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R2는 로봇이 원래 위치했던 대기 지점으로 복귀한다(S63). 그리고 R3는 새로운 가이드기능을 제공하는 로봇이 되어 앞서 R2가 수행한 인접 로봇을 선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혹은 E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E까지 이동하고(S72), 사용자 가이드 기능을 종료한 후 다시 원래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S73).
만약, R1이 로봇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R2가 대기 상태가 아닌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서비스 중인 상태)였다면, R1은 목적지인 E로 이동하면서 R2가 대기 상태인지 상시 체크할 수 있다.
또한 R1은 이 과정에서 R2와의 협업이 R3와 바로 협업하는 것보다 가치가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 R2의 서비스가 종료되면 R1-R2가 만나도록 P1 또는 경로(S11)에 인접한 지점으로 이동하여 협업을 완료한다.
만약 R1이 경로(S11)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체크한 R2의 상태가 계속 서비스 중이거나, 또는 R2의 협업가치가 없어지면, R1은 다시 새로운 로봇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R3가 선택될 수 있으며 R1-R3가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1이 S 지점에서 출발하기 전에 선정된 로봇이 R2 하나인 경우, R2가 R1으로부터 사용자를 인계받아 목적지 E로 안내한다. 만약, R2가 서비스 중이어서 사용자를 인계받을 수 없거나 협업 가치가 없어질 때까지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으면 R1이 목적지 E로 안내한다.
한편, 협업 가치가 없어지기 전에 R2의 서비스가 종료되면, R2는 R1으로부터 고객을 인계받아 목적지 E로 안내한다.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R2는 대기지점으로 복귀한다.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안내 로봇이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실시예에서 로봇 간에 협업을 통하여 수행해야 할 리소스를 분배한다. 그 결과 각각의 로봇이 투입하는 리소스가 줄어들며, 로봇 각각의 개별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로봇이 장거리 가이드로 20분 간의 공백이 발생한다면, 2개의 로봇 간 협업으로 평균 10분의 서비스 공백이 발생하도록 공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로봇 4대 간 협업으로 평균 5분의 서비스 공백으로 특정 로봇(의 대기위치)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공백을 줄일 수 있다.
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투입해야 하는 리소스 분배로 특정 로봇이 담당하는 대기 지역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 하며, 로봇이 대기위치에서 멀리 이동하는 일이 없어져 장거리 이동 중 배터리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로봇의 부재 시간을 줄임으로써 긴급 대응에 용이하다.
도 4는 안내로봇의 가이드 기능 수행 시 로봇 간 협업을 통한 리소스 분배로 개별 서비스 공백 최소화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이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업하는 동작 로직을 상세히 살펴본다.
일 실시예로, 협업 동작 로직의 전제 조건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서비스 공간에 배치될 로봇의 수만큼 대기위치가 있고, 각 대기위치 기준으로 대기위치 좌표와 해당 대기위치의 로봇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로봇의 번호), 로봇 상태, 해당 로봇의 위치 좌표를 데이터로 가진다. 로봇 상태는 대기 중, 고객 응대 중, 에스코트 중, 복귀 중, 인계 준비 중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대기위치의 데이터를 모든 로봇이 각자 관리한다. 그리고 이들 로봇들은 서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는 중앙의 서버가 일정한 간격으로 로봇의 식별 정보와 상태, 위치 좌표를 모든 로봇에게 전송할 수 있다. 로봇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이동 시 자신의 위치 좌표가 변경되는 것을 다른 로봇들에게 알리거나 중앙의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 로봇은 다음과 같이 모든 로봇들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R1, R1의 대기위치 좌표, R1의 상태, R1의 현재위치}, {R2, R2의 대기위치 좌표, R2의 상태, R2의 현재위치}, ..., {Rn, Rn의 대기위치 좌표, Rn의 상태, Rn의 현재위치}
각 로봇은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며 각 로봇들의 좌표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해당 거리는 직선거리가 아닌 이동경로를 측정한 것이다. 또한, 도착지점까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가 이동 경로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가이드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협업 가능한 로봇을 검색 및 선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가이드를 시작하는 로봇을 R1이라 지시할 때,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그리고 대기 위치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하기의 데이터를 다른 로봇과 공유할 수 있다.
{R1, R1의 대기위치 좌표, R1의 상태, R1의 현재위치}
여기서 현재 위치는 에스코트하는 로봇 R1의 현재 좌표이며, 현재 대기 위치는 에스코트하는 로봇 R1이 속해있는 대기 위치를 의미한다.
R1은 상태를 "에스코트 중"으로 변경하고(S80), 목적지까지 생성되는 경로에서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를 거리순으로 획득한다(S81). 일 실시예로, 후술할 R1의 세부 구성요소인 통신부(도 7의 280)가 공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그리고 대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방식은 다른 로봇들로부터 직접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미리 R1이 해당 정보를 저장하여 보유할 수 있다. R1은 자신의 대기위치에서 목적지로 이동하면서 경로상 대기 위치들을 탐색한다.
또한 S81을 상세히 살펴보면, R1의 세부 구성요소인 중앙제어부(도 7의 250)가 앞서 수신한 정보에서 제1지점(출발 또는 현재 위치) 및 제2지점(목표지점)의 경로에서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의 대상 로봇을 근접한 순서로 정렬한 후, 대상 로봇들의 상태 정보와 대상 로봇의 협업 가치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가 없는 경우(S82), R1은 목적지로 계속 이동한다(S87). 그리고 가이드 업무를 완료하면 R1은 상태를 "복귀 중"으로 변경하고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S89).
다음으로, S82에서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대기위치에 R2라는 로봇이 있을 경이 R1은 R2의 상태를 확인한다. R1은 해당 대기 위치의 로봇(예를 들어 R2)의 상태가 "대기 중" 또는 "복귀 중"인지 확인한다(S83). 만약, R2가 대기 중/복귀 중인 경우에 R1은 R2에게 가이드 업무(에스코트 업무)를 인계하는 작업을 진행한다(S88). 일 실시예로, 통신부(도 7의 280)가 선택된 대상 로봇에게 작업 인계를 위한 중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중간 지점으로 두 로봇이 이동한다.
그리고 인계 작업이 끝나면 R1은 S89와 같이 복귀하며, R2가 인계된 작업(가이드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S83에서 R1이 판단하기에 복귀 중이거나 대기 중인 로봇이 없는 경우, 해당 대기 위치가 협업 가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R2가 가장 가까운 대기위치에 있지만 R2가 고객 응대 중이거나 에스코트 중이라면 당장 R1의 업무를 인계받을 수 없다. 이 경우, R1은 R2와의 협업 가치가 있는지 확인하여 없다면 R2 및 그의 대기 위치를 제거하고 그 다음 대기 위치에 대해 인계 가능성을 확인한다.
협업 가치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크게 변경하지 않는 경우, 또는 현재 R1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또는 R1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 보다 R2가 이동하는 것이 더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는 등의 기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협업 가치가 있는 경우, R1은 잠시 대기하고(S86) 다시 S82 단계로 진행한다.
판단 결과 해당 대기 위치가 협업 가치가 없는 경우, R1은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대기 위치, 즉 S83 및 S84에서 판단된 대기위치를 제거 하고 그 다음 대기 위치에 기반하여 S82 단계를 수행한다.
R2와 같은 대상 로봇은 가장 가까운 대기 위치에 있는 로봇을 의미한다. 협업 가치 및 잠시 대기하는 과정은 리소스 분배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대기위치의 로봇들이 해당 가이드 업무를 분산하여 수행함에 있어서 리소스 분배를 계산하여 전체 리소스를 줄이거나, 혹은 특정 로봇에게 과도하게 배분된 리소스를 재분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간에 인계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마찬가지로 에스코트 업무를 인계받는 대상 로봇은 현재 에스코트 하는 로봇에서 가장 가까운 대기 위치에 있는 로봇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재 에스코트하는 로봇은 R1, 인계받는 대상 로봇은 R2라 지시한다.
R1은 대상 로봇 R2에게 고객을 인계하거나 특정 업무를 인계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R1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체 로봇에게 알리거나 혹은 다이렉트 통신 방식으로 R2에게 알린다. 즉, 대상 로봇에게 인계 준비를 요청한다(S91).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체 로봇에게 알린 경우, 모든 로봇들은 R2의 상태를 인계 준비 중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R1은 현재 위치와 대상 로봇(R2) 위치의 중간 좌표를 R2에게 알린다(S92). 이때 중간 좌표는 직선 거리상으로도 결정할 수 있지만, 이동 경로상의 중간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에스코트 중인 R1과 인계 준비중인 대상 로봇 R2 모두 중간 좌표로 이동하는데(S93), 이 과정에서 장애물을 회피하는 등 새로운 상황의 발생으로 R1과 R2 사이의 이동 거리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R1은 주기적으로 중간 좌표를 재계산하여 R2에게 알린다. 즉, 대상 로봇인 R2로부터 R1의 통신부(도 7의 280)가 대상 로봇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데 여기서 경로 변경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로봇(R1)이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로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중간 지점에서 R1 및 R2가 만나기로 예정된 경로 상에서 변화가 발생한 경우, R1의 중앙제어부(도 7의 250)가 중간 지점을 재계산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를 대상 로봇인 R2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도 7의 280)를 제어할 수 있다.
두 로봇의 거리가 인계 가능한 거리 이내인 경우(S94), R1은 R2에게 브로드캐스트 또는 다이렉트 캐스트 방식으로 고객의 목표 지점을 전달하거나 가이드 업무의 목적 지점을 전달하고, R1은 UI를 통해 고객에게 R2가 대신 안내할 것임을 알린다. 그리고 에스코트 하던 R1은 상태를 복귀중으로 변경하고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S96). 이 과정에서 R1의 인터페이스부(도 7의 210)는 중간 지점(대상 로봇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경우)에서 대상 로봇으로 작업이 인계됨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대상 로봇의 방향으로 화살표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대상 로봇 역시 작업이 인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대상 로봇인 R2의 인터페이스부(도 7의 210)에서 이미지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인계받은 로봇 R2는 상태를 에스코트 중으로 변경하고 에스코트를 시작한다(S97). 이때 R1 및 R2 모두 자신의 변경된 상태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체 로봇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R2는 R1에게 전달받은 지점을 향해 에스코트를 시작한다.
S94에서 인계 가능한 거리가 아닌 경우 R1 또는 R2는 잠시 대기할 수 있다(S95).
도 5에서 협업 가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두 로봇의 위치와 목표지점 위치인 세 장소간의 거리(이동경로)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코트 중인 로봇을 R1, 협업 가치 측정 할 로봇을 R2라 했을 때 다음의 경우 협업 가치의 유무를 R1이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R1의 현재 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가 (R2의 현재 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R1이 목표지점까지 이동하는 것이 전체 리소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R1은 협업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R1의 현재 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가 (R2의 현재 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 보다 클 경우, 세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R1의 현재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 (R2의 현재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 * Var1 >= (R1~R2 사이의 거리)
Var1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2의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수학식 1은 현재 에스코트를 수행하는 로봇과 목표지점 사이의 거리에서 대상 로봇의 현재위치와 목표지점 사이의 거리를 뺀 값에 Var1을 곱한 것이, 두 로봇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이는 로봇 간의 거리가 밀접한 것으로 협업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로봇 사이의 거리가 큰 것으로 협업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2]
{(R1의 현재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 (R2의 현재위치~목표지점 사이의 거리)} * Var1 < (R1~R2 사이의 거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R1, R2, R3 등의 로봇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에서 살펴본 로봇의 외관을 일 실시예로 내부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도 2의 로봇의 외관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다양한 외형으로 로봇을 구성할 수 있다. 로봇의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는 사용자가 일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바디 디스플레이부(20) 및 헤드 디스플레이(312) 등이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로봇(200)의 대기위치 좌표, 상태, 현재위치 등을 저장한다. 또한 통신부(280)를 통해 수신된 다른 로봇의 대기위치 좌표, 상태, 현재위치 등을 저장한다.
이동부(230)는 로봇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맵저장부(260)는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의 고정 장애물, 예를 들어 벽, 기둥 등의 위치와 바닥의 재질, 혹은 공간의 특이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로봇(200)은 맵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을 확인하기 위해 로봇의 외부의 사물을 센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로봇의 진행방향 또는 인접한 영역 내에 배치된 사물들을 센싱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로봇이 다른 로봇 또는 서버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로봇의 위치 정보나 상태 정보를 다른 로봇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경우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로부터 로봇이 다른 로봇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로봇 간에 일대일의 다이렉트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봇은 자신의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다른 로봇에게 전송하거나 서버에게 전송하거나 다른 로봇과 일대일의 다이렉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5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중앙제어부(250)는 맵저장부(260)의 고정 장애물 정보 및 센싱부(270)가 센싱한 사물들에 기반하여 이동부(230)를 제어하여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로 정보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그래픽/영상으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명령을 터치 입력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부(220)는 상기 다른 로봇의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대기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다른 로봇은 하나 이상으로 하기의 정보는 하나 이상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R#, R#의 대기위치 좌표, R#의 상태, R#의 현재위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기의 정보 단위를 로봇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각 로봇이 브로드캐스팅 하여 제공하거나 다이렉트 통신으로 제공하는 경우, 또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다양한 장치들(로봇 또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50)는 도 5 및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맵저장부(260)의 고정 장애물 정보 및 센싱부(270)가 센싱한 사물들에 기반하여 이동부(230)를 제어하여 로봇(200)을 이동시킨다. 또한 로봇(200)이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인계받을 대상 로봇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로봇이 선택된 경우, 중앙제어부(250)는 대상 로봇에게 작업을 인계하기 위한 중간 지점으로 로봇(200)을 이동시키도록 이동부(230)를 제어하여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로봇이 투입할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란 로봇이 투입하는 시간, 또는 로봇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 또는 로봇이 작업 완료 후 원래의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또는 거리 등을 포함한다.
앞서, 수학식 1 및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250)는 협업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이 R2의 협업 가치를 판단할 경우, 로봇(R1)과 대상 로봇(R2)과의 거리, 로봇(R1)과 제2지점(목표지점)의 거리, 대상 로봇(R2)과 제2지점(목표 지점)의 거리 중 어느 둘 이상을 비교하여 협업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중앙제어부(250)는 로봇(R1)이 제2지점(목표지점)까지 이동하여 작업을 완료한 후 로봇(R1)에게 설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데 투입되는 리소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로봇(R2)의 협업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시간으로 리소스를 환산한 경우, 대기 위치가 공백인 시간이 일정 기준(15분) 이상인 경우에 협업 가치를 증가시켜 잠시 대기하더라도 대상 로봇에게 작업을 인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구성은 대상 로봇, 즉 작업을 인계받는 로봇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80)가 다른 로봇으로부터 그 로봇의 작업을 인계받기 위한 중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중앙제어부(250)는 대상 로봇을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간 지점으로 이동을 시작하며 대상 로봇의 중앙제어부(250)는 대상 로봇을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대상 로봇의 상태 정보를 변경한다. 그리고, 통신부(280)는 변경된 상태 정보를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게 전송하여 다른 로봇들이 대상 로봇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7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1이 작업을 현재 수행하는 로봇이며 R2가 작업을 인계받는 대상 로봇으로 가정한다.
R1이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며 수행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인계받을 대상 로봇(R2)를 로봇(R1)의 중앙제어부(250)가 선택한다. 그리고 R1의 중앙제어부(250)가 대상 로봇(R2)에게 작업을 인계하기 위한 중간 지점을 산출한다. 이후, R1의 중앙제어부(250)가 로봇(R1)의 이동부(230)를 제어하여 R1을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중간 지점에 도달하거나 R1-R2 간의 거리가 근접한 경우, R1의 통신부(280)가 대상 로봇(R2)에게 작업을 인계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작업에 투입되는 리소스가 다수의 로봇에 분배되어 로봇의 협업에 기반하여 작업이 처리된다.
종래의 기술, 예를 들어 도 1의 사례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리소스의 분배 효율이 높아진다. 종래의 경우, 한 대의 로봇이 가이드를 마친 후 최초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종래의 방법에 의할 경우, 로봇의 대기 위치가 각각 다르면 대기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이드를 하며, 해당 로봇이 맡은 위치의 서비스 공백이 커진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전체 로봇들의 총 리소스(실제 이동거리 및 서비스 공백시간, 또는 배터리 사용 등)와 개별 로봇의 리소스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특정 서비스(안내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경로상에 있는 로봇들이 리소스 분배를 하기 때문에 가이드를 시작하는 로봇이 제공해야 하는 리소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00: 로봇
R1, R2, R3 : 로봇
250: 중앙제어부
280: 통신부

Claims (13)

  1.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에 배치된 고정 장애물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
    사물들을 센싱하는 센싱부;
    다른 로봇 또는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외부로 정보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다른 로봇의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대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맵저장부의 고정 장애물 정보 및 상기 센싱부가 센싱한 사물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로봇을 이동시키며, 상기 로봇이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인계받을 대상 로봇을 선택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대상 로봇에게 상기 작업을 인계하기 위한 중간 지점으로 상기 로봇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상기 로봇이 투입할 리소스를 줄이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그리고 대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정보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경로에서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의 대상 로봇을 근접한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대상 로봇의 상태 정보와 상기 대상 로봇의 협업 가치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대상 로봇에게 상기 중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로봇과 상기 대상 로봇과의 거리, 상기 로봇과 상기 제2지점의 거리, 및 상기 대상 로봇과 상기 제2지점의 거리 중 어느 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협업 가치를 판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로봇이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하여 상기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로봇에게 설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데 투입되는 리소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로봇의 협업 가치를 증가시키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중간 지점에서 상기 대상 로봇으로 작업이 인계됨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이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대상 로봇으로부터 상기 대상 로봇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로봇이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중간 지점을 재계산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상기 대상 로봇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7. 대상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에 배치된 고정 장애물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
    상기 대상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사물들을 센싱하는 센싱부;
    다른 로봇 또는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외부로 정보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맵저장부의 고정 장애물 정보 및 상기 센싱부가 센싱한 사물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 로봇을 이동시키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다른 로봇으로부터 상기 로봇의 작업을 인계받기 위한 중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대상 로봇을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대상 로봇을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 로봇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게 전송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협업하는 로봇.
  9.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며 수행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인계받을 대상 로봇을 로봇의 중앙제어부가 선택하는 단계;
    상기 중앙제어부가 상기 대상 로봇에게 상기 작업을 인계하기 위한 중간 지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제어부가 상기 로봇의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로봇을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로봇의 통신부가 상기 대상 로봇에게 상기 작업을 인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 그리고 대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정보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경로에서 경유 가능한 대기 위치의 대상 로봇을 근접한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대상 로봇의 상태 정보와 상기 대상 로봇의 협업 가치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상 로봇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대상 로봇에게 상기 중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가 상기 로봇과 상기 대상 로봇과의 거리, 상기 로봇과 상기 제2지점의 거리, 및 상기 대상 로봇과 상기 제2지점의 거리 중 어느 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협업 가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기 상기 로봇이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하여 상기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로봇에게 설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데 투입되는 리소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로봇의 협업 가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이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대상 로봇으로부터 상기 대상 로봇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로봇이 상기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중간 지점을 재계산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상기 대상 로봇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KR1020180122852A 2018-10-15 2018-10-15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KR10213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52A KR102137033B1 (ko) 2018-10-15 2018-10-15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52A KR102137033B1 (ko) 2018-10-15 2018-10-15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148A true KR20200046148A (ko) 2020-05-07
KR102137033B1 KR102137033B1 (ko) 2020-07-23

Family

ID=7073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52A KR102137033B1 (ko) 2018-10-15 2018-10-15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0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7251A (zh) * 2021-12-17 2022-03-25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目标地点的接力引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84865A (zh) * 2020-10-19 2022-04-22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业务移交系统及方法
KR20230081348A (ko) * 2021-11-30 2023-06-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친화형 건물, 복수의 로봇들을 이용한 협업 방법 및 시스템
WO2024017209A1 (zh) * 2022-07-18 2024-01-25 杭州海康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调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378A (ja) * 2004-03-18 2005-09-2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律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85536A (ko) * 2014-11-11 2017-07-24 엑스 디벨롭먼트 엘엘씨 로봇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경 내의 로봇 디바이스들의 선단의 지도의 동적 유지
KR20180039977A (ko) * 2016-10-11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보조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378A (ja) * 2004-03-18 2005-09-2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律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85536A (ko) * 2014-11-11 2017-07-24 엑스 디벨롭먼트 엘엘씨 로봇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경 내의 로봇 디바이스들의 선단의 지도의 동적 유지
KR20180039977A (ko) * 2016-10-11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보조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4865A (zh) * 2020-10-19 2022-04-22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业务移交系统及方法
KR20230081348A (ko) * 2021-11-30 2023-06-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친화형 건물, 복수의 로봇들을 이용한 협업 방법 및 시스템
WO2023101228A1 (ko) * 2021-11-30 2023-06-08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친화형 건물, 복수의 로봇들을 이용한 협업 방법 및 시스템
CN114237251A (zh) * 2021-12-17 2022-03-25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目标地点的接力引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4017209A1 (zh) * 2022-07-18 2024-01-25 杭州海康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调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033B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033B1 (ko) 리소스 분배에 기반하여 로봇이 협업하는 방법 및 협업하는 로봇
EP3400705B1 (en) Active speaker location detection
KR102391914B1 (ko)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
CN107925756B (zh) 用于显示依赖地点的内容的系统和方法
KR102090590B1 (ko) 장애물 회피에 기반하여 경유 지점을 주행하는 로봇 및 주행하는 방법
US11756307B2 (en) Vehicle video system
US9761139B2 (en) Location bas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10568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ll cell based augmented reality
KR102597216B1 (ko) 공항용 안내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59745B1 (ko) 공항 로봇 및 그를 포함하는 공항 로봇 시스템
Al-Wazzan et al. Tour-guide robot
KR20190143541A (ko)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
KR102063150B1 (ko) 사람을 식별하여 대인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KR20210150624A (ko)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CN109643208A (zh) 显示装置、程序、显示方法及控制装置
KR102599784B1 (ko) 공항 로봇
JP6609588B2 (ja) 自律型モビ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自律型モビリティの制御方法
KR102063149B1 (ko) 협업에 따라 대기위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 로봇
US20170295406A1 (en) Image information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device control method
US10928927B2 (en) Video interactive system
KR102040218B1 (ko) 대기열을 인식하는 이동식 로봇 및 이동식 로봇의 동작 방법
CN117178241A (zh) 一种展陈场景智能讲解的系统及其方法
CN106109188A (zh) 主动式手推导盲小车
TWI750821B (zh) 基於光通訊裝置的導航方法、系統、設備及介質
KR20210103414A (ko) 증강현실 표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