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020A - 장기 단단 처치구 - Google Patents

장기 단단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020A
KR20200046020A KR1020207004391A KR20207004391A KR20200046020A KR 20200046020 A KR20200046020 A KR 20200046020A KR 1020207004391 A KR1020207004391 A KR 1020207004391A KR 20207004391 A KR20207004391 A KR 20207004391A KR 20200046020 A KR20200046020 A KR 2020004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rtion
long
band
term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423B1 (ko
Inventor
유지 가네다
Original Assignee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0004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7Tensioning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제 1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제 2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1 래칫 클로를 갖는 제 1 로킹부를 갖고, 제 1 로킹부는 제 2 밴드부의 원위단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이 접합되어 있고, 또한 제 1 밴드부의 외면에는 제 1 래칫 클로와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래칫 투스가 적어도 1 개 형성되어 있는, 래칫 투스와 제 1 래칫 클로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편평한 고리를 이루고,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하기 위한, 장기 단단 처치구.

Description

장기 단단 처치구
본 발명은, 장기 단단 (斷端)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간장, 췌장 등의 장기의 일부 절제에 있어서, 여러 가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침습이 적은 장기 단단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간장 종양 또는 췌장 종양의 유력한 치료법으로서, 간 또는 췌 절제술이 알려져 있다. 췌장은, 췌두부, 췌체부, 췌미부라고 불리는 3 개의 부위로 이루어진다. 췌두부는 십이지장에 접하고 있고, 췌미부는 비장에 접하고 있다. 췌체부 또는 췌미부의 절제술에서는, 예를 들어, 자동 봉합기라고 불리는 기기로, 췌장의 절리와 동시에 단단을 폐쇄하는 처치가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자동 봉합기에 의한 절제술 후에, 높은 비율로 단단의 폐쇄가 풀려, 췌액루를 발생시킨다. 또, 자동 봉합기에 의한 절제술은, 단단의 폐쇄에 있어서, 췌실질 조직을 많은 스테이플이 관통하므로 췌실질 손상, 췌관 손상을 피할 수 없다.
비특허문헌 1 은, 췌미부 절제 후의 처치법으로서, 단단을 쐐기형으로 절입하여 췌관을 결찰하고 다시 창면 (創面) 끼리가 접합되도록 폐쇄 봉합하는 방법 (피시 마우스법), 단단의 췌 전체 둘레를 결찰사로 묶는 방법 (집속 결찰법), 췌관을 결찰하고 다시 단면을 장막 또는 대망막으로 덮는 방법 등을 들고 있다. 이것 이외에도, 소장벽을 절리하여 췌단단을 소장벽으로 봉합 피복하는 방법, 폴리글루콜산제의 부직포를 피브린 풀로 첩부하는 방법 등도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집속 결찰법은, 바늘이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이나 스테이플의 관통에 의한 침습이 없어, 췌액루의 발생 빈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긴박할 때의 장력 조정이 곤란하고, 또한, 결찰시에 긴박이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 결찰사가 췌표면으로부터 췌실질 조직에 파고들기 때문에, 췌피막이나 췌실질 조직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결찰을 실시하기 위한 의료 기구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은, 소정 길이의 지혈대체를 갖고, 동 지혈대체의 길이 방향의 체결 대역이 되는 범위에는, 빠짐 방지 맞물림부를 연속 형성하고, 동 빠짐 방지 맞물림부의 형성 범위에 걸친 지혈대체의 적소에, 미끄럼 방지 리브를 연속 형성한 후, 지혈대체 기단에는, 일방에 삽입구, 타방에 조출구를 개구시킨 단척 터널상을 이루고, 내측 적소에, 선단으로부터 들여보내진 지혈대체의 빠짐 방지 맞물림부를 탈발 (脫拔) 불능하게 걸 수 있는 걸기 갈고리를 형성한 버클부를 일체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전체가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찰용 밴드를 개시하고 있다. 인용 문헌 1 은 생분해성 합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고 서술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는, 전방측부, 후방측부, 선단부, 및 후속단부를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밴드로서,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 안에 획정된 천공부 및 가로대부를 갖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상기 후속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로킹 케이스로서, 상기 로킹 케이스는, 상기 밴드의 수용을 위해 치수 결정된 채널을 갖는, 로킹 케이스와, 상기 로킹 케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로킹 부재로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채널에 관련하여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밴드 안에 획정되어 있는 천공부 및 가로대부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케이스 안의 상기 채널은, 상기 로킹 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아칭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밴드의 가로대부와 걸어 맞춰질 때에, 상기 로킹 부재의 상방에 아치상이 되고, 상기 아칭 부분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결찰을 위한 의료용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는, 상기 의료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L-락티드, 폴리-p-디옥사논,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그리고 글리콜라이드, L-락티드, p-디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되어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85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523144호
노가미「췌비합병 절제술에 있어서의 췌단단 처치법에 관한 연구」치바 의학회 잡지 제32권 제1호 제108 ∼ 113페이지
본 발명의 과제는, 간장, 췌장 등의 장기의 일부 절제에 있어서, 여러 가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침습이 적은 장기 단단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의 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2 맞물림부를 갖는 로킹부를 갖고,
로킹부는 밴드부의 원위단에 형성되어 있고,
밴드부는,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에 굴곡부를 갖고, 또한 굴곡부와 근위단 사이에 제 2 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제 1 맞물림부를 갖는,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하였을 때에, 안으로 오목한 굴곡부를 적어도 1 개 갖는 편평한 고리를 이루고,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하기 위한, 장기 단단 처치구.
〔2〕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제 1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제 2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1 래칫 클로를 갖는 제 1 로킹부를 갖고,
제 1 로킹부는 제 2 밴드부의 원위단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이 굴곡되도록 접합되어 있고, 또한
제 1 밴드부의 외면에는 제 1 래칫 클로에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래칫 투스가 적어도 1 개 형성되어 있는,
래칫 투스와 제 1 래칫 클로를 맞물리게 하였을 때에, 안으로 오목한 굴곡부를 적어도 1 개 갖는 편평한 고리를 이루고,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하기 위한, 장기 단단 처치구.
〔3〕제 1 밴드부 및 제 2 밴드부는, 그것들의 적어도 일방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볼록조를 갖는,〔2〕에 기재된 장기 단단 처치구.
〔4〕제 1 로킹부의 근방에 장기 조직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텅부를 추가로 갖는,〔2〕또는〔3〕에 기재된 장기 단단 처치구.
〔5〕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은, 제 1 밴드부와 제 2 밴드부가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또한 각이 없는 매끄러운 내면이 되도록 접합되어 있는,〔2〕∼〔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기 단단 처치구.
〔6〕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2 래칫 클로를 갖는 제 2 로킹부를 추가로 갖고,
제 1 래칫 클로는 맞물린 래칫 투스로부터 맞물림을 해방할 수 있고, 제 2 래칫 클로는 맞물린 래칫 투스로부터 맞물림을 해방할 수 없는,〔2〕∼〔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기 단단 처치구.
〔7〕제 1 밴드부 또는 제 2 밴드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가 늘어서는 홀을 갖는,〔2〕∼〔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기 단단 처치구.
〔8〕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를 추가로 갖는,〔1〕∼〔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기 단단 처치구.
결찰용의 종래의 밴드는, 결찰시에 진원에 가까운 고리를 이루므로, 편평한 단면 형상을 한 장기에 대한 가압이, 단경 부분에서 낮고, 장경 부분에서 높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편평한 고리를 이루므로, 편평한 단면 형상을 한 장기 전체를 균일한 가압으로 결찰할 수 있고, 또한 장기를 잘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간장, 췌장 등의 장기의 일부 절제에 있어서, 적은 침습으로, 여러 가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췌장 등의 부드러운 장기에 무리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결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췌실질에 바늘이나 의료용 호치키스를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췌실질·췌관을 잘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수기 (手技) 가 간단하여, 시술자의 기량 레벨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불필요한 소화관 절리, 문합을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생체 내 분해 흡수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의료 경제적으로 유용하다.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를 병용하면, 감염의 리스크가 낮아지기 때문에, 장기로부터의 누액이나 출혈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텅부 및 제 2 밴드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췌장 체미부 절제 후, 췌단단을 조르도록,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를 장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췌장 단단에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를 장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췌장 단단에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를 장착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췌장 단단에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를 장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췌장 단단에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를 장착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피복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일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도 1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텅부 및 제 2 밴드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2 밴드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일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텅부 및 제 2 밴드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2 밴드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의 측면으로부 터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21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의 외면으로부터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일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도 22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에 형성한 홀의 외면으로부터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일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에 형성한 홀의 측면으로부터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28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의 제 1 밴드부에 형성한 홀의 외면으로부터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29 는, 피복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은, 피복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은, 피복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밴드부 (2, 3) 와 로킹부를 갖는다.
밴드부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띠상 부재이다.
로킹부 (7) 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2 맞물림부를 갖고, 밴드부의 원위단에, 바람직하게는 밴드부의 원위단에 외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는,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에 굴곡부 (4) 를 갖고 또한 굴곡부와 근위단 사이에 제 2 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제 1 맞물림부 (5) 를 갖는다. 도 1 의 장기 단단 처치구에 있어서 굴곡부 (4) 는 1 개 형성되어 있지만, 2 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굴곡부를 2 개 이상 형성한 경우, 제 1 맞물림부는 근위단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한 굴곡부와 근위단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맞물림부는 밴드부의 외면 또는 밴드부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는, 안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 바람직하게는 안으로 오목하게 각이 없거나 혹은 매끄러운 내면을 갖도록 절곡된 부분이다. 굴곡부는, 수지 성형에 있어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하여 얻어도 되고, 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을 굴곡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얻어도 되고, 가요성을 갖는 밴드 부재의 일부를 절곡하고, 이어서 거기에 가요성을 억제하는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얻어도 되고, 밴드부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또는 두껍게 하거나 하여, 탄성력을 다른 부분에 비해 약하게 하거나 또는 강하게 함으로써 얻어도 된다. 밴드부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임의로 만곡시킬 수 있지만, 밴드부 안에 있어서 굴곡부는 상기와 같은 절곡된 부분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다른 부분보다 가요성이 낮게 되어 있는, 즉 탄성력이 강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가요성을 억제하는 부재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는, 그것들이 서로 대응하는 맞물림 형상을 이루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밴드부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래칫 투스와 로킹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래칫 클로의 조합, 밴드부의 좌우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래칫 투스와 로킹부에 형성된 적어도 좌우 1 세트의 래칫 클로의 조합, 밴드부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과 로킹부에 형성된 핀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 (3) 의 내면이 밴드부 (2) 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밴드부 (3) 의 근위단이 밴드부 (2) 의 원위단으로부터 근위단측을 향하도록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 6).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하였을 때에, 안으로 오목한 굴곡부 (4) 를 적어도 1 개 갖는 편평한 고리를 이루어,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할 수 있다. 편평한 고리는, 편평한 단면 형상을 한 장기 전체를 균일한 가압으로 결찰할 수 있고, 또한 장기를 잘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형성된다.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락트산 폴리머, 락트산-글리콜산 폴리머,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디옥사논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머, 락톤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디옥사논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를 공지된 수지 성형법에 의해 각 부의 모양을 만듦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 (1) 는, 제 1 밴드부 (3) 와, 제 2 밴드부 (2) 와, 제 1 로킹부 (7) 를 갖는다 (도 1).
제 1 밴드부 (3) 및 제 2 밴드부 (2) 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띠상 부재이다.
제 1 밴드부 (3) 및 제 2 밴드부 (2) 는 제 1 밴드부 (3) 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 (2) 의 근위단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접합 (4) 은, 융착, 접착, 축착 (軸着) 하거나 함으로써 형성해도 되고, 제 1 밴드부 (3) 와 제 2 밴드부 (2) 가 접합된 형상으로 일체로 수지 성형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은, 제 1 밴드부와 제 2 밴드부가 굴곡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굴곡된 접합은, 상기의 형성법 이외에, 굴곡이 없는 곧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제 밴드에 열 등을 가하면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시켜도 된다. 접합 (4) 의 내면은 각이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이 없는 매끄러운 면은, 장기 전체를 균일한 가압으로 결찰하는 것에 기여하고, 또한, 장기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 1 밴드부 (3) 의 장축 방향과 제 2 밴드부 (2) 의 장축 방향이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교차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이, 예를 들어, 췌장 등의 단면이 편평한 모양의 장기를 묶는 데에 적합하다.
제 1 로킹부 (7) 는, 제 2 밴드부 (2) 의 원위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로킹부 (7) 의 케이싱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로킹부 (7) 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1 래칫 클로 (6) 를 적어도 갖는다.
제 1 로킹부 (7) 의 근방에 텅 (tongue) 부 (10) 를 갖는다. 도 1 의 장기 단단 처치구에 있어서 텅부 (10) 는 제 1 로킹부 (7) 의 원위단을 사이에 두고 좌단 및 우단까지의 내면측의 가장자리에 부채상 혹은 라이온의 갈기상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 도 4). 도 11 의 장기 단단 처치구에 있어서 텅부 (10) 는 제 1 로킹부 (7) 의 원위단의 내면측의 가장자리에 장착 기부를 통하여 원위측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1 ∼ 도 13). 또, 텅부는 제 1 로킹부의 근위측의 내면측의 가장자리 또는 제 2 밴드부의 원위단측의 내면에 텅부의 주면이 제 1 로킹부의 내면과 병행하여 원위측을 향하여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6 ∼ 도 18). 텅부 (10) 는, 텅부 (10) 의 내면이 밴드부 (2) 의 원위단의 내면에 각 없이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텅부 (10) 에 의해, 제 1 로킹부 (7) 에 제 1 밴드부 (3) 를 삽입하고, 체결하였을 때, 장기 조직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텅부 (10) 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밴드부 (3) 의 외면에는 래칫 투스 (5) 가 적어도 1 개 형성되어 있다. 래칫은 동작 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 중 하나이다. 래칫 투스 (5) 는 제 1 로킹부 (7) 에 있는 제 1 래칫 클로 (6) 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래칫 투스와 제 1 래칫 클로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편평한 고리를 이루고,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할 수 있고, 그 때의 장력 조정도 용이하다 (도 5, 6 참조).
도 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 (1) 에 있어서는, 제 1 래칫 클로 (6) 를 제 1 로킹부 (7) 의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시키고 있지만, 제 2 래칫 클로와 같이 제 1 래칫 클로 (6) 를 회동 불능하게 고정시켜도 된다.
제 1 래칫 클로 (6) 를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시킨 경우, 도 1 또는 도 6 중의 실선의 상태에 있어서는, 래칫 투스 (5) 에 제 1 래칫 클로 (6) 를 맞물리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제 1 밴드부 (3) 와 제 2 밴드부 (2) 로 형성되는 고리가 수축되는 방향으로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도 1 또는 도 6 중의 파선의 상태에 있어서는, 래칫 투스 (5) 를 제 1 래칫 클로 (6) 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방하고, 이로써 제 1 밴드부 (3) 와 제 2 밴드부 (2) 의 조임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제 1 밴드부 및 제 2 밴드부는, 그 적어도 일방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볼록조를 갖는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밴드부 및 제 2 밴드부의 내면에 있어서는, 2 개의 볼록조 (13) 가 길이 방향으로 끊어짐 없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조 (13) 는 도 8 과 같이 장기를 묶었을 때에 마찰력이 높아져, 빠짐 방지의 효과에 기여한다. 볼록조는, 소정 범위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끊어짐 없이 1 개 또는 평행하게 복수 개를 형성시킨 것이어도 되고,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짧게 복수 개를 직렬로 형성시킨 것 (짧은 볼록조의 열) 이어도 된다. 볼록조 (13)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밴드부 (3) 및 제 2 밴드부 (2) 의 가장자리에 내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볼록조는 밴드의 옆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볼록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옆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에 제한은 없고, 볼록조는, 예를 들어, 돌기열, 오목조, 오목열 등으로 치환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 (1) 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2 래칫 클로 (8) 를 갖는 제 2 로킹부 (9) 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제 2 래칫 클로 (8) 는 제 2 로킹부 (9) 의 케이싱에 회동 불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래칫 투스 (5) 를 제 2 래칫 클로 (8) 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방할 수 없다. 수술 후, 복강 내에 들어간 장기 단단 처치구 (1) 가, 래칫의 느슨해짐에 의해 장기로부터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다른 형태는, 텅부 (10) 및 제 2 밴드부 (2) 의 외면에 오목조 (23) 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로 텅부 (10) 에 테라스부 (24)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한 것 (도 11 ∼ 도 15) 이외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와 동일하다.
오목조 (23) 는,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하였을 때에, 제 1 밴드부의 내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볼록조가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맞물림이 안정된다. 또, 적어도 좌우 1 세트의 테라스부 (24) 사이에 제 1 밴드부가 끼워져, 옆으로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볼록조와 오목조는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이면, 형성하는 장소가 반대로 되어 있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형상 등의 조합으로 치환이 되어 있거나, 복수의 볼록조를 1 개의 폭넓은 오목조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의 다른 형태는, 제 1 밴드부 또는 제 2 밴드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가 적어도 1 열로 늘어서는 홀 (새눈구멍, eyelet hole 이라고도 부르는 경우가 있다) (25) 이 형성되어 있는 점, 텅부 (10) 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으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한 것 (도 16) 이외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와 동일하다. 홀 (25) 은,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개구가 연통되어 U 자상의 강 (cavity) 을 이루고 있다. 홀 (25) 에 실을 통과시켜, 소화관이나 조직 등을 소화기 단단에 꿰매거나, 피복 부재 (20) 를 지지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장기 단단 처치구에 있어서는, 래칫 투스 (5) 가 홀 (25) 을 형성하는 위해 폭이 좁게 되어 있지만, 맞물림의 효과는 실질적으로 변함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홀 (25) 은 밴드부를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관통하는 강이어도 되고, 도 22 ∼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개구를 연통하여 U 자상의 강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 도 25 ∼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부를 외면으로부터 측면으로 관통하는 강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도 27 및 도 28 에서는, 외면으로부터 일방의 측면으로만 강이 관통하고 있지만, 외면으로부터 양 측면으로 교대로 관통하는 강으로 치환해도 되고, 외면으로부터 양 측면으로 관통하는 강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 도 23 및 24 에서는, 관통하는 강은 밴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밴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 (20) 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도 10 은 피복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밴드부에 의한 결찰에 의해 거의 췌액의 누출은 방지할 수 있지만, 췌액의 누출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피복 부재 (20) 를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단에 압착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피복 부재 (20) 에서는, 췌장 단단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을 한 편평원상의 시트와 그 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4 장의 뱅크부를 갖는다. 4 장의 뱅크부는 도면 중 좌측을 향하여 직경이 좁혀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가터 밴드 (21) 가 설치되어 있다. 가터 밴드 (21) 는,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밴드부 (3) 및 제 2 밴드부 (2) 와 장기 사이에서 협지하여, 피복 부재 (20) 가 장기로부터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터 밴드 (21) 의 외면 또는 내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가터 밴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밴드부를 통과시킬 수 있는 매달기 링을 형성한 가터 밴드여도 되고, 밴드부에 걸 수 있는 후크 등의 부분을 갖는 가터 밴드여도 된다. 가터 밴드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부재는 도 10 에 나타내는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9 에 나타내는 피복 부재 (20) 는, 가터 밴드 대신에, 외주에 홈 (27) 이 형성되어 있다. 홈 (27) 에 실, 벨트 등의 선재를 끼워 넣어, 피복 부재를 단단에 동여맬 수 있다. 도 30 및 31 에 나타내는 피복 부재는, 가터 밴드 대신에, 외주를 따라 개구가 늘어서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홀은 U 자상으로 연통되는 강이 형성되어 있다. 도 30 에 나타내는 피복 부재는 개구가 외주를 따라 1 열로 늘어서 있고, 이웃하는 개구 2 개를 1 세트로 하여 그것들이 연통되는 강을 이루고 있다. 도 31 에 나타내는 피복 부재는 개구가 외주를 따라 2 열 늘어서 있고, 각 열의 개구 1 개씩을 1 세트로 하여 그것들이 연통되는 강을 이루고 있다. 도 31 에 나타내는 피복 부재에 있어서의 홀 (28) 은, 연통되는 강이 외주의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고 있지만, 외주의 방향에 대해 비스듬해지도록 설치해도 된다. 피복 부재에 형성한 홀 (28) 과 밴드부에 형성한 새눈구멍 (25) 에 실 등을 통과시켜, 피복 부재와 밴드부를 묶어 놓을 수 있다.
피복 부재는, 수술 전에 절제에 의해 형성되는 췌장 단단의 크기, 형상을 CT, MRI,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의 화상 검사로 추산해 두고, 그 추산된 크기, 형상에 맞춰 사전에 준비해도 되고, in situ forming 으로 제조해도 된다. in situ forming 은, 예를 들어,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를 생체 적합성의 유기 용매에 녹여 얻어지는 코팅재를, 장기 단단에 도포하고, 유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또는,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또는 프레폴리머와 광중합 개시제나 광산발생제 등의 합성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코팅재를, 장기 단단에 도포하고, 광을 조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기 단단 처치구는,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각 부재의 형상, 크기, 색, 재질을 변경한 것, 또는 밴드부, 로킹부 등의 상기 부재 이외의 주지 또는 관용의 부품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장기 단단 처치구
2 : 제 2 밴드부
3 : 제 1 밴드부
4 : 접합
5 : 래칫 투스
6 : 제 1 래칫 클로
7 : 제 1 로킹부
8 : 제 2 래칫 클로
9 : 제 2 로킹부
10 : 텅부
11 : 췌단단
12 : 췌관 개구
13 : 볼록조
14 : 총담관
15 : 십이지장
16 : 총간관
17 : 공장
18 : 췌장
19 : 담낭
20 : 피복 부재
21 : 가터 밴드
22 : 뱅크부
23 : 오목조
24 : 테라스부
25 : 새눈구멍
26 : 장착 기부
27 : 홈
28 : 홀

Claims (8)

  1.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2 맞물림부를 갖는 로킹부를 갖고,
    로킹부는 밴드부의 원위단에 형성되어 있고,
    밴드부는,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에 굴곡부를 갖고, 또한 굴곡부와 근위단 사이에 제 2 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제 1 맞물림부를 갖는,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하였을 때에, 안으로 오목한 굴곡부를 적어도 1 개 갖는 편평한 고리를 이루고,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하기 위한, 장기 단단 처치구.
  2.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제 1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원위단과 근위단을 갖는 가늘고 긴 가요성의 제 2 밴드부와,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1 래칫 클로를 갖는 제 1 로킹부를 갖고,
    제 1 로킹부는 제 2 밴드부의 원위단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이 굴곡되도록 접합되어 있고, 또한
    제 1 밴드부의 외면에는 제 1 래칫 클로에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래칫 투스가 적어도 1 개 형성되어 있는,
    래칫 투스와 제 1 래칫 클로를 맞물리게 하였을 때에, 안으로 오목한 굴곡부를 적어도 1 개 갖는 편평한 고리를 이루고, 그 고리로 장기를 긴박하여, 장기 단단에 개구되는 관 또는 강을 결찰하기 위한, 장기 단단 처치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밴드부 및 제 2 밴드부는, 그것들의 적어도 일방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볼록조를 갖는, 장기 단단 처치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로킹부의 근방에 장기 조직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텅부를 추가로 갖는, 장기 단단 처치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밴드부의 원위단과 제 2 밴드부의 근위단은, 제 1 밴드부와 제 2 밴드부가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또한 각이 없는 매끄러운 내면이 되도록 접합되어 있는, 장기 단단 처치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 2 래칫 클로를 갖는 제 2 로킹부를 추가로 갖고,
    제 1 래칫 클로는 맞물린 래칫 투스로부터 맞물림을 해방할 수 있고, 제 2 래칫 클로는 맞물린 래칫 투스로부터 맞물림을 해방할 수 없는, 장기 단단 처치구.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밴드부 또는 제 2 밴드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가 늘어서는 홀을 갖는, 장기 단단 처치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내 분해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를 추가로 갖는, 장기 단단 처치구.
KR1020207004391A 2017-08-24 2018-08-24 장기 단단 처치구 KR102589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1201 2017-08-24
JPJP-P-2017-161201 2017-08-24
PCT/JP2018/031328 WO2019039586A1 (ja) 2017-08-24 2018-08-24 臓器断端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020A true KR20200046020A (ko) 2020-05-06
KR102589423B1 KR102589423B1 (ko) 2023-10-13

Family

ID=6543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391A KR102589423B1 (ko) 2017-08-24 2018-08-24 장기 단단 처치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37704B2 (ko)
EP (1) EP3673836A4 (ko)
JP (1) JP7253744B2 (ko)
KR (1) KR102589423B1 (ko)
CN (1) CN111148478B (ko)
WO (1) WO2019039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52753C (en) * 2019-09-28 2023-01-03 Thomas A. Kramer Devices for tissue fixation and approximating tissue defects
KR102385674B1 (ko) * 2020-03-13 2022-04-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타공된 유기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기형 혈관의 감쇄 유도용 조성물
JPWO2021193463A1 (ko) * 2020-03-24 2021-09-30
JP7402473B2 (ja) * 2020-03-26 2023-12-21 学校法人自治医科大学 結紮などに適した医療器具
CN113712608B (zh) * 2021-05-14 2022-06-17 浙江大学 完全腹腔镜下绕肝带法二步切除病患侧肝的手术方法及其器械
WO2023042908A1 (ja) * 2021-09-17 2023-03-23 学校法人自治医科大学 結紮器具の標的臓器への留置を容易にするための補助器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786A (en) * 1991-06-19 1993-04-20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epatic resection clamp
US5649937A (en) * 1992-06-04 1997-07-22 Olympus Optical Co., Ltd. Tissue-fixing surgical device, and method of fixing tissues
US5741283A (en) * 1995-03-24 1998-04-21 Lrt, Inc. Vessel and duct salvage device and method
JP2004298501A (ja) 2003-03-31 2004-10-28 Hiroshi Koike 結紮用バンド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止血方法、臓器摘出方法、ならびに哺乳動物の卵巣子宮摘出方法
US20100234862A1 (en) * 2007-12-06 2010-09-16 Manoj Patel Surgical clamp and method of clamping an organ
JP2015523144A (ja) 2012-07-06 2015-08-13 リソーバブル・デバイシズ・アクチボラグ 組織結紮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93Y2 (ko) 1981-03-19 1986-05-13
JPH05337123A (ja) * 1992-06-04 1993-12-21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用縫合結紮具
US10098640B2 (en) 2001-12-04 2018-10-16 Atricure, Inc. Left atrial appendage devices and methods
US7164360B2 (en) * 2002-08-14 2007-01-16 Mark Schiebler Multi-use linkage device
FR2851451B1 (fr) 2003-02-24 2005-05-20 Sofradim Production Dispositif pour ligaturer une structure anatomique
JP4090058B2 (ja) 2004-09-24 2008-05-28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腸管挟締器
US10499909B2 (en) 2015-09-24 2019-12-10 Ethic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leating a bodily lum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786A (en) * 1991-06-19 1993-04-20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epatic resection clamp
US5649937A (en) * 1992-06-04 1997-07-22 Olympus Optical Co., Ltd. Tissue-fixing surgical device, and method of fixing tissues
US5741283A (en) * 1995-03-24 1998-04-21 Lrt, Inc. Vessel and duct salvage device and method
JP2004298501A (ja) 2003-03-31 2004-10-28 Hiroshi Koike 結紮用バンド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止血方法、臓器摘出方法、ならびに哺乳動物の卵巣子宮摘出方法
US20100234862A1 (en) * 2007-12-06 2010-09-16 Manoj Patel Surgical clamp and method of clamping an organ
JP2015523144A (ja) 2012-07-06 2015-08-13 リソーバブル・デバイシズ・アクチボラグ 組織結紮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노가미「췌비합병 절제술에 있어서의 췌단단 처치법에 관한 연구」치바 의학회 잡지 제32권 제1호 제108 ∼ 113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48478B (zh) 2023-08-25
JPWO2019039586A1 (ja) 2020-07-30
WO2019039586A1 (ja) 2019-02-28
KR102589423B1 (ko) 2023-10-13
JP7253744B2 (ja) 2023-04-07
US20220296246A1 (en) 2022-09-22
EP3673836A4 (en) 2021-03-17
US11337704B2 (en) 2022-05-24
CN111148478A (zh) 2020-05-12
US20210161534A1 (en) 2021-06-03
EP3673836A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6020A (ko) 장기 단단 처치구
EP0702934B1 (en) Tissue attachment device having elastomeric section
US97306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ligation
JP5975454B2 (ja) 血管穴閉鎖器具
CN110461247B (zh) 微创组织缝合装置
EP2234545A1 (en) Tissue ligation device
SE1550175A1 (sv) Medical device
KR101086488B1 (ko) 복강경수술용 견인장치
AU2020444017B2 (en) System and device for treating tissue
JP2004298501A (ja) 結紮用バンド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止血方法、臓器摘出方法、ならびに哺乳動物の卵巣子宮摘出方法
KR20150104168A (ko) 커넥터
KR20190131991A (ko) 봉합사 키트
EP4129208A1 (en) Medical instrument suitable for ligature or similar
EP4129211A1 (en) Medical instrument suitable for ligature or similar
WO2012169666A1 (ko) 복강경수술용 견인장치
EP1938762A1 (en) Surgical suture device
KR102599976B1 (ko) 결찰력이 향상된 의료용 클립
WO2017027143A1 (en) Endoluminal anastomosis and tissue closure devices
Brisson Decision-making in the management of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