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186A -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186A
KR20200043186A KR1020180123967A KR20180123967A KR20200043186A KR 20200043186 A KR20200043186 A KR 20200043186A KR 1020180123967 A KR1020180123967 A KR 1020180123967A KR 20180123967 A KR20180123967 A KR 20180123967A KR 20200043186 A KR20200043186 A KR 2020004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endoscope
endoscopic
guid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691B1 (ko
Inventor
김윤재
조재희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12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6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Abstract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장치(100)에 결합 가능한 내시경 보조 장치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200); 및 상기 캡(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개구부(320)가 형성되는 내시경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Endoscope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guide portion}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가이드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스텐트 등의 삽입이 가능한 내시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장치는 식도 등을 통해 내장 장기나 체강 내부로 삽입되어, 개복할 필요 없이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병변 부위의 관찰, 조직 검사 또는 기타 시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료 장치이다.
내시경 장치는 관찰 및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들이 있는데, 선단부에서 빛을 제공하는 광원 렌즈, 내시경으로 조직 검사나 기타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겸자공(biopsy channel)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시술 부위의 확장을 위해 내시경 장치와 함께 스텐트(stent)가 삽입되는 경우, 종래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장치는 그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는데, 스텐트를 가이드하기 위해 넓은 채널을 가진 고가의 이중 채널 내시경 장치가 요구되었다.
또한, TTS(Through The Scope) 스텐트 사용시 내시경 장치의 조작이 불편하고, 시야가 제한되며, 제한된 시야에서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므로 원하는 시술 부위에 정확하게 스텐트를 삽입하기 어렵다.
더 나아가, OTW(Over The WIre) 스텐트 사용시에는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시야 확보가 어려우므로, 내시경 장치의 외부 또는 내부에 표지자, 혹은 시야 확보를 위한 추가의 내시경 장치의 삽입이 필요한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조직 검사 또는 시술이 요구되어 추가 내시경 장치가 동시에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 종래의 내시경 장치는 각 내시경 장치가 체내에 각각 삽입되어야 하므로, 시술이 불가능하거나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시술 시간의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09601호는 주 협착 부위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체내에 삽입되어 주 협착 부위에 설치될 제1 스텐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스텐트 삽입 장치는 내시경 장치에 애드-온(add-on)되는 방식이 아닌, 내시경 장치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 와이어 등을 가이드함에 불과하여 추가 장치의 결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41267호는 외부 튜브로 유입되는 가이드 와이어의 진입 방향과 배출 방향이 변동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안내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가이드 와이어 안내 장치는 기존의 내시경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없고, 내시경 장치 자체에 구비되는 경우에만 활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09601호 (2017.02.2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41267호 (2013.03.15.)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내시경 장치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추가 내시경 장치 혹은 스텐트 삽입을 위한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할 수 있는 내시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100)에 결합 가능한 내시경 보조 장치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200); 및 상기 캡(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320)가 형성되는 내시경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320)는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내시경 장치(100)와 맞닿는 부분과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가이드 와이어(W)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스텐트(40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400)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스텐트(400)가 상기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텐트(400)의 진행 경로 상의 상기 가이드 와이어(W)의 부분은 상기 개구부(320)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30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200)은 상기 내시경 장치(100)가 삽입되는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200)은, 광섬유 채널 관통공(210), 렌즈 채널 관통공(220) 및 겸자공 관통공(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되는 내시경 장치로서, 광섬유 채널(110), 렌즈 채널(120) 및 겸자공(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내시경 장치에 내시경 보조 장치를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추가 내시경 장치 등이 함께 삽입될 수 있어, 내시경 장치와 함께 삽입되는 장치 또는 스텐트의 다양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부를 통해 내시경 장치의 외측을 따라 시술 부위로 안내되므로, 스텐트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스텐트의 내장을 위해 내시경 장치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겸자공 직경이 큰 추가의 전용 내시경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스텐트 삽입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이드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스텐트 삽입시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내시경 장치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크기가 큰 스텐트의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의해 스텐트 및 가이드 와이어가 내시경 장치의 시야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야 확보를 위한 추가 내시경 장치의 삽입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가 내시경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시경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시경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에 스텐트가 연결된 와이어가 삽입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텐트가 연결된 와이어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나중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여 스텐트를 삽입하는 장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여 스텐트를 삽입하는 장면을 보이는 엑스레이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식도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한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을 보이는 엑스레이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위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과정을 보이는 엑스레이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는 캡(200), 가이드부(300) 및 스텐트(400)를 포함하며, 내시경 장치(100)에 결합된다.
1. 내시경 장치(100)의 설명
내시경 장치(100)는 환자 또는 시술 대상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 대상 부위를 관찰 및 동시에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내시경 장치(100)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100)는 그 전방 측 일면에 광섬유 채널(110), 렌즈 채널(120) 및 겸자공(130)을 포함한다.
광섬유 채널(110)은 신체 기관 내부에 광원을 제공하며 렌즈 채널(120)은 광섬유 채널(110)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신체 기관 내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렌즈 채널(120)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를 통해 신체 기관 내부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겸자공(130)에는 시술 대상 부위에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 겸자(forceps)가 삽입된다. 겸자공(130)은 내시경 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겸자공(130)은 수술 겸자가 삽입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100)는 광섬유 채널(110), 렌즈 채널(120) 및 겸자공(130) 외에 보조 공들을 더 포함하며, 각 보조 공에는 필요에 따라 발광을 위한 광섬유, 영상 정보 획득을 위한 렌즈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2. 내시경 보조 장치의 구성의 설명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는 캡(200)을 포함한다.
캡(200)에는 내시경 장치(100)의 전방 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캡(200)의 일 측에는 후술될 가이드부(300)가 연결된다.
렌즈가 영상 정보를 획득할 때 캡(200)에 의한 빛의 차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캡(2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캡(200)은 광섬유 채널 관통공(210), 렌즈 채널 관통공(220), 겸자공 관통공(230) 및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를 포함한다.
캡(200)에 내시경 장치(100)의 전방 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면, 광섬유 채널 관통공(210), 렌즈 채널 관통공(220) 및 겸자공 관통공(230)은 상술한 광섬유 채널(110), 렌즈 채널(120) 및 겸자공(130)과 맞추어져서 각각 광섬유, 렌즈 및 겸자공이 연장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광섬유 채널 관통공(210), 렌즈 채널 관통공(220) 및 겸자공 관통공(230)은 그 형성 위치 및 형상이 각각 광섬유 채널(110), 렌즈 채널(120) 및 겸자공(130)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내시경 장치(100)는 보조 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캡(200)에도 각 보조 공들의 형성 위치 및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보조 관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는 일종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내시경 장치(100)의 전방 측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는 원통형의 공간으로서 구비되며, 내시경 장치(100)가 삽입된 후 불필요한 유격이 없도록 그 직경이 내시경 장치(100)의 전방 측 외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내시경 장치(100)는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 내의 전방 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 부위와의 거리가 좀더 멀어지게 되므로, 내시경 장치(100)에 의한 시술 부위의 촬영시 보다 넓은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의 형상 및 직경은 내시경 장치(100)의 형상 및 직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00)는 후술될 스텐트(400)가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W)가 내시경 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00)에는 가이드 와이어(W)가 삽입되며, 후술될 스텐트(400)는 이 가이드 와이어(W)에 관통 결합되어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체내에 삽입된다.
가이드부(300)는 캡(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내시경 장치(100)와 캡(200)이 결합되면 내시경 장치(100)에 인접하게 혹은 맞닿도록 위치되며, 내시경 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가이드부(300)의 직경은 후술될 스텐트(40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텐트(400)가 가이드부(300) 내측이 아닌 외측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내시경 장치(100)에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 직경을 감소시켜 시술의 편의성 향상 및 시술 대상인 환자의 부담 경감을 위함인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부(300)는 벽부(310) 및 개구부(320)를 포함한다.
벽부(310)는 가이드부(300)의 벽을 형성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스텐트(400)가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W)가 가이드부(300) 내에서 이동할 때, 벽부(310)는 가이드 와이어(W)가 후술될 개구부(320)를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개구부(320)는 가이드부(300) 내에서 이동하는 스텐트(400)가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W)가 가이드부(300)에서 이탈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구부(320)는 가이드부(300)의 내시경 장치(100)에 대향하는 일 측, 즉 가이드부(300)가 내시경 장치(100)와 맞닿는 부분과 마주하는 가이드부(300)의 부분에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00)는 내시경 장치(100)에 대향하는 일 측에 개구부(320)가 형성된 원통형이나, 그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가이드부(300)의 전방 측 단부는 캡(200)의 전방 측 단부와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캡(200) 또는 가이드부(300) 중 어느 하나가 전방 측으로 돌출될 경우, 내시경 장치(100)에 결합되어 체내에 삽입될 때 체내의 기관 등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텐트(400)는 신체 내의 좁아진 부위를 일정한 부피의 공간으로 확장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속으로 만든 구조물이다. 스텐트(400)의 구조 및 기능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텐트(400)는 가이드 와이어(W)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통해 내시경 장치(100)와 함께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3. 내시경 보조 장치의 기능의 설명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W) 및 스텐트(400)가 삽입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이드 와이어(W)는 스텐트(400)가 연결된 측에 대향하는 일 측부터 가이드부(300)를 관통하여 내시경 장치(100) 및 내시경 보조 장치와 함께 체내로 삽입된다. 가이드부(300)의 벽부(31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W)의 임의 이탈이 방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0)의 내경은 스텐트(4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스텐트(400)는 가이드부(300)를 관통하여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부(300)의 외측으로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이동한다.
즉, 스텐트(400)는 가이드 와이어(W)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가이드 와이어(W)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와이어(W)에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부(300)를 관통하는 가이드 와이어(W)는 스텐트(40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부(300)의 개구부(320)를 통해 가이드부(300)의 외측으로 이탈된다.
구체적으로, 스텐트(400)가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삽입될 때, 스텐트(400)의 진행 경로의 가이드 와이어(W)의 부분, 즉 스텐트(400)가 이미 지나간 가이드 와이어(W)의 부분은 가이드부(300)의 개구부(320)를 통해 가이드부(300)로부터 이탈된다.
스텐트(400)가 삽입될 위치에 도달하면, 스텐트(400)는 해당 위치에 설치되어 신체 내의 좁아진 부위를 일정한 부피의 공간으로 확장하고 유지하며, 가이드 와이어(W), 내시경 장치(100) 및 이에 결합된 내시경 보조 장치는 체내에서 배출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의 결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삽입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중앙에 위치하는 스텐트는 흰 색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가이드된 후 목표 위치에 설치된 상태이다.
이 때, 내시경 장치에 의해 촬영된 부위를 보면, 좌측 하단은 이물질 등에 의해 렌즈가 오염된 연유로 명확하게 인식이 어려우며, 전체적인 화각을 고려하면 삽입된 스텐트의 원주 방향의 외측으로 일부의 부위만 촬영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여 스텐트를 삽입할 경우 내시경 장치에 의한 스텐트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우므로 붉은색 화살표로 도시된 거리만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가 대상 부위에 정확하게 삽입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된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체내, 특히 식도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과정을 촬영한 실사 사진 및 엑스레이 사진이다.
도 8의 화면은 내시경 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및 스텐트의 위치 및 스텐트 삽입 과정이 명확하게 파악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된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가이드 와이어 및 스텐트가 삽입되는 과정이 엑스레이 사진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도 7 참조), 정확한 위치에 스텐트가 삽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삽입 과정을 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 6의 경우에 비해 스텐트 삽입 전후에 스텐트 주변이 더 명확하게 인식되고, 전체적인 화각 또한 스텐트의 원주 방향의 외측뿐만 아니라 더 넓은 범위가 촬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이용할 경우, 스텐트가 내시경 장치의 외부에서 삽입되어 시술 부위에 삽입되므로, 내시경 장치와 스텐트 사이에 시야 확보를 위한 공간이 충분하게 유지되므로, 넓은 화각으로 촬영이 가능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된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체내, 특히 위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과정을 촬영한 실사 사진 및 엑스레이 사진이다.
도 10의 화면 또한 내시경 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및 스텐트의 위치 및 스텐트의 삽입 과정이 명확하게 파악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된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가이드 와이어 및 스텐트가 삽입되는 과정이 엑스레이 사진으로 도시된다.
본 예시의 스텐트의 형상이 도 9에 도시된 예시의 스텐트의 형상과 다소 상이한 것은 스텐트가 삽입되는 신체 부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예시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도 7 참조), 정확한 위치에 스텐트가 삽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장치 자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내시경 보조 장치를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내시경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기능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스텐트가 가이드부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내시경 장치 내에 내장되거나 내시경 장치의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지 않으므로, 스텐트에 의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해지는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 내시경 장치의 기능 저하가 방지된다.
더 나아가, 스텐트 내장을 위해 내시경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그 크기에 따라 단가가 증가하는 고가의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텐트 삽입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내시경 장치
110 : 광섬유 채널
120 : 렌즈 채널
130 : 겸자공
200 : 캡
210 : 광섬유 채널 관통공
220 : 렌즈 채널 관통공
230 : 겸자공 관통공
240 : 내시경 장치 삽입부
300 : 가이드부
310 : 벽부
320 : 개구부
400 : 스텐트
W : 가이드 와이어

Claims (7)

  1. 내시경 장치(100)에 결합 가능한 내시경 보조 장치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200); 및
    상기 캡(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320)가 형성되는,
    내시경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0)는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내시경 장치(100)와 맞닿는 부분과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부분에 형성되는,
    내시경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가이드 와이어(W)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스텐트(400)가 삽입되는,
    내시경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400)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스텐트(400)가 상기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텐트(400)의 진행 경로 상의 상기 가이드 와이어(W)의 부분은 상기 개구부(320)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300)와 분리되는,
    내시경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0)은 상기 내시경 장치(100)가 삽입되는 내시경 장치 삽입부(240)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0)은,
    광섬유 채널 관통공(210), 렌즈 채널 관통공(220) 및 겸자공 관통공(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시경 보조 장치가 결합되는 내시경 장치로서,
    광섬유 채널(110), 렌즈 채널(120) 및 겸자공(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0180123967A 2018-10-17 2018-10-17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KR10219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67A KR102194691B1 (ko) 2018-10-17 2018-10-17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67A KR102194691B1 (ko) 2018-10-17 2018-10-17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86A true KR20200043186A (ko) 2020-04-27
KR102194691B1 KR102194691B1 (ko) 2020-12-23

Family

ID=7046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967A KR102194691B1 (ko) 2018-10-17 2018-10-17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603A (ja) * 1995-04-17 1996-10-2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バー式内視鏡
US20090105539A1 (en) * 2007-10-22 2009-04-23 Wilson-Cook Medical Inc. Endoscope cap with aperture
KR101139574B1 (ko) * 2010-01-19 2012-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및 내시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캡
KR101241267B1 (ko) 2011-08-24 2013-03-15 신경민 가이드와이어 안내 장치
KR101709601B1 (ko) 2016-05-30 2017-02-2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603A (ja) * 1995-04-17 1996-10-2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バー式内視鏡
US20090105539A1 (en) * 2007-10-22 2009-04-23 Wilson-Cook Medical Inc. Endoscope cap with aperture
KR101139574B1 (ko) * 2010-01-19 2012-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및 내시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캡
KR101241267B1 (ko) 2011-08-24 2013-03-15 신경민 가이드와이어 안내 장치
KR101709601B1 (ko) 2016-05-30 2017-02-23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691B1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67324A1 (en) Insertion shape detection apparatus
US20100292535A1 (en) Endoscope with multiple fields of view
US9521946B2 (en) Transparent endoscope head defining a focal length
US8016749B2 (en) Vision catheter having electromechanical navigation
US20050038318A1 (en) Gastrointestinal tool over guidewire
JPH05115425A (ja) 内視鏡
KR102385220B1 (ko) 마커를 포함하는 전개 카테터
WO2016013636A1 (ja) トロカール,ポート,手術支援システム
US20110251455A1 (en) Nested cannula configuration for use with endoscope
CN105050482A (zh) 双射成型光学填塞器
CN109219381A (zh) 医疗用器件
JP6233913B2 (ja) 内視鏡向け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21015386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necting non-adherent structures
JP2012090741A (ja) 内視鏡装置
JP4524393B2 (ja) ラパロポート
US10722212B2 (en) Guide sheath with window and markings indicating location thereof
KR20200043186A (ko)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보조 장치
US2020012931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ody lumens
JP5086661B2 (ja) 内視鏡アダプタ光学系及び内視鏡
US20200008657A1 (en) Endoscopic device
US10478046B2 (en) Endoscope
US20060173361A1 (en) Endoscopy capsule with site marking capability and application of the same
JP2003210392A (ja) 内視鏡の誘導方法
JP6023636B2 (ja) 胆道内視鏡システム
US9999443B2 (en) Instrument head single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