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709A - 차량용 인터쿨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터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709A
KR20200042709A KR1020180123189A KR20180123189A KR20200042709A KR 20200042709 A KR20200042709 A KR 20200042709A KR 1020180123189 A KR1020180123189 A KR 1020180123189A KR 20180123189 A KR20180123189 A KR 20180123189A KR 20200042709 A KR20200042709 A KR 2020004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cooler body
vehicle
condensat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재
박현진
최원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709A/ko
Publication of KR2020004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35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means for cleaning or treating the recirculated gases, e.g. catalysts, condensate traps, particle filters o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02M26/32Liquid-cooled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를 제공한다. 차량의 이지알 시스템에 구비되는 차량용 인터쿨러로서, 상기 혼합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혼합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유출부가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쿨러 본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연결 튜브들 및 상기 쿨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쿨러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설치된 칸막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인터쿨러{Intercool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인터쿨러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정의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차량용 인터쿨러에 관한 것이다.
디젤 차량에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기 매니폴드로 재순환시켜 배기 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를 저감하며 엔진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지알(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지알 시스템은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matter Filter, DPF)와 같은 촉매를 거친 배기 가스를 흡기와 함께 흡기 매니폴드로 재순환시키는 저압 이지알(LP-EGR)에 적용된다.
저압 이지알에는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를 거친 배기 가스와 흡기가 혼합된 가스를 냉각시켜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하는 인터쿨러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주행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부스트 압력에 의해 연소실로 빨려들어간다. 그러나, 추운 날씨에 주행한 차량의 시동 오프(OFF)시, 인터쿨러 내부 공간에 남아 있던 응축수가 인터쿨러 하단에 쌓이게 되고 그대로 결빙이 된다. 응축수가 결빙이 된 상태로 추운 날씨에 다시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추가적으로 응축수가 결빙되어 결빙된 응축수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결국에는 인터쿨러 탱크 및 튜브를 막게 된다. 이에 따라, 인터쿨러의 차압이 증가하고 냉각성능이 떨어지게 되며, 튜브가 팽창해 인터쿨러가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터쿨러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배플을 포함하는 차량용 인터쿨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터쿨러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특정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쿨러 본체를 일정 각도로 기울려 차량 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를 제공한다. 차량의 이지알 시스템에 구비되는 차량용 인터쿨러로서, 상기 혼합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혼합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유출부가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쿨러 본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연결 튜브들 및 상기 쿨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쿨러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설치된 칸막이이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 가스가 상기 응축수로 유동되도록 홀들을 가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배플은 상기 쿨러 본체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배플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개방부를 가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쿨러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응축수가 유동되는 응축수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유로의 끝단은 상기 개방부를 향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쿨러 본체는 상기 유입구가 제공되는 전면, 상기 유출구가 제공되는 후면, 상기 연결 튜브들이 배열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연결 튜브들이 배열되는 방향과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들을 가지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가 제공되는 상기 쿨러 본체의 전면 및 측면들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쿨러 본체는 상기 일정 각도는 90도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쿨러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배플은 상기 저장부가 정의하는 내부 공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 가스가 상기 응축수로 유동되도록 홀들을 가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배플은 상기 쿨러 본체가 상기 차량의 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되는 판 형상이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쿨러 본체는 상기 차량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져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쿨러 본체 차량의 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하여 쿨러 본체 내부에 남아있던 응축수가 쿨러 본체의 하부에 모일 수 있다. 배플은 유입되는 혼합 가스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배플에 형성된 홀은 배플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 내에 결빙된 응축수를 향해 혼합 가스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응축수는 인터쿨러의 유출구 근처에서 결빙되지 않고 배플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 내부에서 결빙되어 결빙된 응축수가 유출구를 막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된 판 형상을 가지므로 유입되는 혼합 가스가 인터쿨러 하부를 향해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플은 저장 공간에 유동되지 않고 인터쿨러 하부에 잔존하여 결빙된 응축수를 향해 혼합 가스가 유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수 결빙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저압 이지알이 사용되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고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인터쿨러(10)는 쿨러 본체(100), 연결 튜브들(200) 및 배플(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인터쿨러(10)는 디젤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기 매니폴드로 재순환시키며,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는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이하 이지알)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10)는 저압 이지알(LP-EGR)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용 인터쿨러(10)는 이지알에서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되는 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쿨러 본체(100)는 차량의 저면(5)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저면(5)은 지표면과 인접하는 차량의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닥면은 지표면과 평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쿨러 본체(100)의 회전 각도를 정의하기 위해 차량의 저면(5)이 평평한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쿨러 본체(100)는 차량의 저면(5)과 평행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θ1) 기울어져서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쿨러 본체(100)는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를 거친 배기 가스와 흡기가 혼합된 가스(이하, 혼합 가스로 통칭한다)가 유입되는 유입구(110) 및 냉각된 혼합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130)를 가질 수 있다. 유입구(110)에서 유출구(130)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방향(x)일 수 있다. 일 예로, 쿨러 본체(100)는 유출구(130)가 유입구(110)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쿨러 본체(100)는 유입구(110)가 제공되는 전면(100b), 유출구(130)가 제공되는 후면(100c), 연결 튜브들(200)이 배열되는 상하 방향에 위치하는 상면(미도시)과 하면(100a) 및 그 외의 면인 측면들(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측면들(미도시)은 후술하는 연결 튜브들(200)이 배열되는 방향 및 연결 튜브들(2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튜브들(200)은 혼합 가스를 유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 튜브들(200) 각각은 쿨러 본체(100)의 유입구(110)에서 유출구(130)를 향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 튜브들(200)은 쿨러 본체(100)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 튜브들(200)이 배열되는 방향은 연결 튜브들(200)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2 방향(y)과 교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튜브들(200)이 배열되는 방향은 제2 방향(y)과 수직할 수 있다. 쿨러 본체(100)가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연결 튜브들(200)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2 방향(y)과 제1 방향(x)은 일정 각도(θ1)를 이룰 수 있다. 즉, 연결 튜브들(200)은 차량의 저면(5)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θ1)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내부 공간(350)을 정의할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 내부에서 내부 공간(350)을 정의하기 위해 유입구(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칸막이일 수 있다. 내부 공간(350)은 쿨러 본체(100)의 최하부의 특정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 내에서 유입구(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의 전면(100b) 및 측면들(미도시)과 접촉할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가 차량의 저면(5)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배플(300)은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배플(300)과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의 사이를 통해 응축수가 유동될 수 있고, 응축수는 내부 공간(3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쿨러 본체(100)는 차량의 저면(5)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쿨러 본체(100) 내부에 남아있던 응축수가 쿨러 본체(100)의 하부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응축수는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되어 내부 공간(350) 내부에서 결빙될 수 있다. 따라서, 결빙된 응축수가 유출구(130)를 막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플(300)은 응축수가 쿨러 본체(100)의 하부에 머물러 있도록 할 수 있다. 배플(300)은 판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된 응축수가 유입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응축수가 흐르는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을 향해 혼합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 내부에서 혼합 가스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되지 못해 결빙된 응축수는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배플(300)이 제공되는 각도에 의해 차량의 시동 온(on) 시에 유입되는 혼합 가스가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배플(300)은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 가스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되지 못해 결빙된 응축수를 녹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인터쿨러(10)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고, 결빙된 응축수에 의해 차량용 인터쿨러(1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응축수 결빙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저압 이지알이 사용되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고 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플(300)은 유입구(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의 측면들(미도시) 및 전면(100b)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플(300)은 차량의 시동 온(on) 시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 가스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홀들(305)을 가질 수 있다. 홀들(305)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 가스는 내부 공간(350) 내부에 존재하는 결빙된 응축수를 녹일 수 있다. 차량의 시동 온(on) 시에, 터보 차저에서 압축된 뜨거운 혼합 가스에 의해 녹은 응축수는 엔진의 흡기 압력인 부스트 압력에 의해 연소실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배플(300)은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과 이격될 수 있고, 배플(300)과 쿨러 본체(100) 사이의 빈 공간은 개방부(310)로 정의될 수 있다. 개방부(310)는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을 따라 유동되는 응축수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입되는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300)에 형성된 홀들(305)에 의해 뜨거운 혼합 가스가 배플(300)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배플(300)이 정의하는 개방부(310)는 응축수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개방부(310)에 의해 내부 공간(350)으로 응축수가 유동될 수 있고 홀들(305)에 의해 내부 공간(350)에서 결빙된 응축수가 녹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인터쿨러(10)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고, 결빙된 응축수에 의해 차량용 인터쿨러(1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쿨러 본체(100)의 하부에는 유출구(130) 측에 남아있던 응축수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되게 하는 응축수 유로(400)가 제공될 수 있다. 응축수 유로(400)는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과 인접하거나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유로(400)의 일단은 유출구(130)와 인접하고 응축수 유로(400)의 타단은 유입구(110)와 인접할 수 있다. 응축수 유로(400)의 타단은 배플(300)과 쿨러 본체(100)의 하면(100a) 사이의 공간인 개방부(310)를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 유로(400)를 통해 유동된 응축수는 개방부(310)를 통해 내부 공간(3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터쿨러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차량용 인터쿨러의 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차량용 인터쿨러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쿨러 본체(100)는 차량의 저면(5)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θ2)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 튜브들(200)이 연장되는 제2 방향(y)은 차량의 저면(5) 및 제1 방향(x)과 일정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각도(θ2)는 90도일 수 있다. 쿨러 본체(100)는 유입구(110) 및 유출구(130)를 가지고, 유입구(110)는 쿨러 본체(100)의 전면(100b)에 인접하는 쿨러 본체(100)의 일 측면(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고, 유출구(130)는 쿨러 본체(100)의 후면(100c)과 인접하는 인접하는 쿨러 본체(100)의 일 측면(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구(130)는 유입구(110)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쿨러 본체(100)가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연결 튜브들(200)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2 방향(y)과 제1 방향(x)은 일정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즉, 연결 튜브들(200)은 차량의 저면(5)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θ2)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튜브들(2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쿨러 본체(100)의 전면(100b)을 기준으로 제2 방향(y)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저장부(330)가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쿨러 본체(10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즉, 저장부(330)는 쿨러 본체(100)의 전면(100b)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쿨러 본체(100)에 남아있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 쿨러 본체(100)가 유출구(130)가 위에 위치하고 유입구(110)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쿨러 본체(100) 내에 잔존하는 응축수는 중력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응축수는 쿨러 본체(10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공간인 저장부(330)로 유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330)는 유입구(110)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배플(300)은 저장부(330) 상에 위치하여 저장부(330) 내의 공간인 내부 공간(350)을 정의할 수 있다. 배플(300)은 내부 공간(35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310)를 가질 수 있다. 개방부(310)를 통해 응축수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배플(300)은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뜨거운 혼합 가스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홀들(305)을 가질 수 있다. 저장부(330)는 쿨러 본체(100)의 전면(100b)에 돌출된 형상을 가지므로 혼합 가스의 유동성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플(300)은 저장부(330) 상에 배치된 판 형상을 가지므로, 저장부(330)의 오목한 형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혼합 가스의 와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배플(300)은 혼합 가스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300)에 형성된 홀들(305)에 의해 뜨거운 혼합 가스가 배플(300)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배플(300)이 정의하는 개방부(310)는 응축수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쿨러 본체(100)의 유출구(130)와 유입구(11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쿨러 본체(100)를 배치함에 따라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내부 공간(350)으로 유동될 수 있고, 홀들(305)에 의해 유입된 혼합 가스가 내부 공간(350)으로 유입되어 내부 공간(350) 내에서 결빙된 응축수가 녹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인터쿨러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고, 결빙된 응축수에 의해 차량용 인터쿨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차량의 이지알 시스템에 구비되는 차량용 인터쿨러로서,
    상기 혼합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혼합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유출부가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쿨러 본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연결 튜브들; 및
    상기 쿨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쿨러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설치된 칸막이인,
    차량용 인터쿨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 가스가 상기 응축수로 유동되도록 홀들을 가지는,
    차량용 인터쿨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쿨러 본체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배플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개방부를 가지는,
    차량용 인터쿨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응축수가 유동되는 응축수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유로의 끝단은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차량용 인터쿨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본체는 상기 유입구가 제공되는 전면, 상기 유출구가 제공되는 후면, 상기 연결 튜브들이 배열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연결 튜브들이 배열되는 방향과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들을 가지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가 제공되는 상기 쿨러 본체의 전면 및 측면들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인터쿨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본체는 상기 일정 각도는 90도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쿨러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에 배치되는,
    차량용 인터쿨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결 튜브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용 인터쿨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저장부가 정의하는 내부 공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 가스가 상기 응축수로 유동되도록 홀들을 가지는,
    차량용 인터쿨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쿨러 본체가 상기 차량의 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되는 판 형상인,
    차량용 인터쿨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본체는 상기 차량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져 배치된,
    차량용 인터쿨러.

KR1020180123189A 2018-10-16 2018-10-16 차량용 인터쿨러 KR20200042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189A KR20200042709A (ko) 2018-10-16 2018-10-16 차량용 인터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189A KR20200042709A (ko) 2018-10-16 2018-10-16 차량용 인터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09A true KR20200042709A (ko) 2020-04-24

Family

ID=7046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189A KR20200042709A (ko) 2018-10-16 2018-10-16 차량용 인터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27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304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of engine
US9249718B2 (en) Intercooler for vehicle
US8955497B2 (en) Air intake device
US10774793B2 (e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automotive engine
US10920657B2 (en) Air intake passage structure for engine
JP6536654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20170370329A1 (en) Vehicular egr cooler
US11085364B2 (en) Intercooler assembly
US10508627B2 (en) Anti-icing device for intake manifold
JP6197644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107201973A (zh) 一种增压汽油发动机的废气再循环系统及其使用方法及具有其的汽车发动机
JP6372343B2 (ja) インタークーラ制御装置
KR20200042709A (ko) 차량용 인터쿨러
JPH0988728A (ja) 機械式過給機付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JP6405983B2 (ja) インタークーラ制御装置
JP2012067696A (ja) インテークパイプ
US20230279828A1 (en) Egr system and vehicle
CN113685294B (zh) 进气系统和汽车
EP3896275A1 (en) Intake passage structure of in-vehicle engine
JP2021113531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7151208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216894687U (zh) 内燃机用换气装置
JP2014231778A (ja) ブローバイガス環流装置
CN112437835A (zh) 具有优化再循环气体混合设备的热力发动机进气歧管
CN204783362U (zh) 发动机进气组件、发动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