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053A -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053A
KR20200041053A KR1020180120993A KR20180120993A KR20200041053A KR 20200041053 A KR20200041053 A KR 20200041053A KR 1020180120993 A KR1020180120993 A KR 1020180120993A KR 20180120993 A KR20180120993 A KR 20180120993A KR 20200041053 A KR20200041053 A KR 2020004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fluid
air
aquacultur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446B1 (ko
Inventor
최태천
Original Assignee
최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천 filed Critical 최태천
Priority to KR102018012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4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61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 F04D29/2288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for comminuting, mixing or sepa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6Multi-stage pumps
    • F04D1/08Multi-stage pumps the stages being situated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05Conventional flow pattern
    • F04D29/2222Construction and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장의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는 임펠라를 포함하는 믹싱유닛,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어 유체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펌프본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공급부가 더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가 공기와 혼합되어 양식장의 유체, 즉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양식하는 대상물에게 산소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MIXING PUMP ASSEMBLY}
본 발명은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장의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는 임펠라를 포함하는 믹싱유닛,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어 유체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펌프본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공급부가 더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가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체로 배출됨에 따라 양식장의 유체, 즉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양식하는 대상물에게 산소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반적으로 펌프는 유입되는 유체를 승압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다단식으로 이루어져 승압효과를 향상시키는 펌프가 있으며, 특히 유체가 하나의 유체가 아니라 둘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펌핑하는 경우에는 와류를 형성하여 이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시키기 위한 임펠라가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임펠라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36468호 『임펠라의 직렬깃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직렬깃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깃과 깃 사이에 틈새를 형성시킨 분리형 직렬깃을 갖는 임펠라의 직렬깃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임펠라는 종래의 임펠라와 달리 임펠라 깃을 둘로 분할하고 분할된 깃과 깃은 서로 약간 엇갈리게 직렬 배열시키어 직렬 배열시키어 깃과 깃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직렬깃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실용신안공보 제20-1992-0007308호 『직립식 원심다단펌프의 와류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원심다단펌프의 관 내부에 적층 조립되도록 된 챔버와 임펠라에 있어서, 챔버 상면 일측에 경사각이 형성된 경사판을 장설하고, 내부 상측에는 만곡되게 형성된 다수의 안내베인과 칸막이판을 고착시켜 구성된 직림식 원심 다단펌프의 와류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1545호 『원슈라우드 양면토출 임펠라』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슬러지 펌프의 임펠라에 잇어서,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제1 날개 및 후면에 복수개의 제2 날개를 포함하는 구조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커팅하는 커팅부가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날개를 더 포함하여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유입되는 유체를 와류회전에 의해 승압 및 혼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체 내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한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양식장에서는 양식 대상체의 호흡을 위하여 물 속에 산소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급방식은 일반적으로 공기 펌프를 이용하여 물 속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보단, 물 속에 단순히 공기방울이 발생하도록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를 주입하면, 설치되는 공기주입관을 따라 물고기가 모여들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양식 대상물의 생태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양식장의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양식장에 구비되어 양식장 내의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는 믹싱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와 공기를 서로 혼합시킨 혼합체를 배출하여 양식장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양식작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라는 유입되는 유체와 공기의 혼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유체가 상승할 때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와류돌기와 믹싱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혼합체(공기와 혼합된 유체)가 배출되는 혼합체배출부에는 혼합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볼밸브가 더 구비되며, 이 볼밸브에 혼합유닛이 더 구비되어 배출되는 혼합체에 공기를 한 번 더 혼합시킬 수 있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펌프본체를 양식장 수면예 띄울 수 있도록 부유유닛을 더 구비하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는
유체가 유입되며 하부에 구비되는 유체유입부와, 공기가 혼합된 유체인 혼합체가 배출되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체배출부 및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공기공급부가 구비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승시키는 임펠라를 포함하는 믹싱유닛;
상기 회전유닛 하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과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모두 제거하는 필터유닛;
상기 펌프본체의 혼합체배출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혼합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는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와 공기를 서로 혼합하는 믹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양식장 내에 설치되어 양식장의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배출함으로서 양식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산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믹싱유닛은 임펠라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라를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펌프본체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유체 내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용존산소량이 높아진 혼합체가 배출되는 곳에 혼합유닛을 포함하는 볼밸브를 더 구비함에 따라, 한 번 더 공기와 혼합체를 혼합시킴으로서 용존산소량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펌프본체를 양식장에 설치함에 있어, 부유유닛을 통하여 양식장에 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손쉽게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수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의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임펠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혼합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볼밸브의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부유유닛의 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A)는 양식장에 설치되어 양식장 내의 물과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의 유체는 일반적으로 양식장의 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펌프본체(10)는 내부에 혼합부(15)를 형성한 함체로서, 하부 일측에 양식장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체유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는 공기와 혼합된 유체, 즉 혼합체가 배출될 수 있는 혼합체배출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공급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본체(1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유입된 유체가 다시 배출되는 혼합체배출부(13)가 형성되고, 이 혼합체배출부(13)에 별도의 볼밸브(30)가 구비되어 유체의 배출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가 흐르는 유체유입부(11)와 혼합체배출부(13) 사이에는 혼합부(15)가 구비되어 유체와 공기를 서로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는 공기공급부(17)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혼합부(15)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공기공급부(17)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펌프가 더 연결되어 있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로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양식장 내에서 설치되는 구조를 보면, 상기 유체유입부(11)는 양식장 내에 잠기게 되고, 상기 혼합체배출부(13)는 양식장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구조이며, 상기 공기공급부(17)에는 공기펌프와 연결되는 공급관이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혼합부(15)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혼합부(15)의 하부, 보다 정확하게는 후술하는 믹싱유닛(20)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된 제1 필터(151)와 제2 필터(153)로 이루어지는 필터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필터(151)는 유체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게 되며, 제2 필터(153)는 유입되는 공기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필터(151)와 제2 필터(153)의 크기 및 개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펌프본체(10)에는 믹싱유닛(2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믹싱유닛(20)은 상기 펌프본체(10)에 구비되는 구동축(21)과, 상기 구동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 상기 구동축(21)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승시키는 임펠라(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구동축(21)은 상기 펌프본체(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23)는 상기 구동축(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1)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동축(21) 외면에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임펠라(25)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와류를 형성시켜 공기와 혼합시킨 후 혼합체배출부(13)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은 상기 임펠라(25)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임펠라(25)는 디스크(251)와, 상기 디스크(251)에 구비되는 와류돌기(252) 및 믹싱공(2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크(251)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구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21)이 관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홀은 상기 구동축(21)과 연동될 수 있도록 비원형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축(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251)의 외면에는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돌기(2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와류돌기(252)는 곡선형과 유사하게 이루어져 상기 디스크(251) 내측의 구동홀 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251)에는 복수개의 믹싱공(253)이 구비되어 잇는데, 상기 믹싱공(253)에 의해 디스크(251) 양면의 유체들이 서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공기와의 혼합률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와류돌기(252) 및 믹싱공(253)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믹싱공(253)은 상기 와류돌기(252)를 생성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디스크(25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와류돌기(252)는 상기 디스크(251)에 형성된 절개선(254)을 따라 절개시켜 이를 일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서, 디스크(251)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즉 상기 와류돌기(252)는 돌기분체(252A)가 복수개로 일정거리 이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돌기분체(252A)들이 나선형을 이루는 하나의 날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말은 복수개의 서로 이격된 돌기분체(252A)로 이루어진 날개는 그 배열이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돌기분체(252A)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선(254)은 각각의 돌기분체(252A)에 구비되고, 이 돌기분체(252A)를 절곡시키면 자연스럽게 믹싱공(253)이 형성되며, 이러한 돌기분체(252A)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하나의 나선형을 이루는 와류돌기(25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돌기분체(252A)들은 상기 디스크(251)의 양면으로도 절곡될 수 있는데, 이는 돌기분체(252A) 사이의 이격된 부분 또한 절개하여 반대쪽으로 절곡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 인접하는 믹싱공(253)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하부 일측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펌프본체(10)를 통해 상승함에 따라 서로 혼합되어 유체의 용존산소량이 증가되게 되고, 이렇게 용존산소량이 증가된 유체는 상기 혼합체배출부(1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혼합체배출부(13)에는 볼밸브(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볼밸브(30)에는 혼합유닛(35)이 더 구비되어 과하는 혼합체를 한번 더 혼합시켜 공기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볼밸브(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볼밸브(30)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에 구비되는 개폐볼(3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볼밸브(30)에 혼합유닛(35)을 더 구비하여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밸브(30)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볼(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31) 상부에는 상기 개폐볼(33)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핸들조립체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핸들조립체가 상기 개폐볼(33)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홈(331)에 결합됨으로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핸들조립체를 회전시키면 볼밸브(30)가 회전하여 혼합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볼밸브(30)와 유사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혼합유닛(35)을 통하여 공기와 흐르는 혼합체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본 발명은 혼합유닛(35)을 통하여 개폐볼(33)의 유로(333)를 통과하는 혼합체를 공기와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혼합체내의 이물질을 걸러 유로(333)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유닛(3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혼합유닛(35)은 개폐볼(33)에 형성되는 유로(33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혼합체의 흐름에 따라 배출부를 후단으로 정하여 설명하면,
상기 혼합유닛(35)은 혼합체가 유입되는 제1 유로공(351a)이 형성된 인입부재(351)와, 상기 인입부재(351)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로공(351a)을 통과한 혼합체가 머무르는 공간부(352a)가 형성된 중간부재(352) 및 상기 공간부(352a)에 있는 혼합체가 유입되는 제2 유로공(353a)이 형성된 배출부재(3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입부재(351)는 본체(31)의 유입구(311) 방향에 위치하고, 배출부재(353)는 본체(31)의 배출구(313) 방향에 위치하도록 개폐볼(33)의 유로(333)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입부재(35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 직경은 상기 개폐볼(33)의 유로(333)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틈새를 만들지 않도록 하여 혼합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입부재(351)의 후단에는 중간부재(35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부재(352) 또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직경은 상기 유로(3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간부재(352) 외면에 공간부(352a)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간부재(352)의 직영은 상기 인입부재(351)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재(351)와 후술하는 배출부재(353) 사이에 공간부(352a)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유로공(351a)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공간부(352a)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로서, 제1 유로공(351a)을 통과한 혼합체는 공간부(352a) 내에 머무르게 된다.
다시 상기 중간부재(352)의 후단에는 상기 인입부재(351)와 직경이 동일하여 유로(333)를 막을 수 있는 배출부재(35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부재(353)에는 복수개의 제2 유로공(353a)이 형성되며, 이 또한 상기 공간부(352a)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로공(351a)의 위치에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즉, 개폐볼(33)이 혼합체의 흐름을 폐쇄하지 않도록 위치하는 경우, 본체(31)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혼합체는 상기 인입부재(351)의 제1 유로공(351a)을 관통하여 공간부(352a)로 인입되고, 이 공간부(352a)의 혼합체가 다시 제2 유로공(353a)을 통과하여 배출구(313)를 통해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로공(351a)을 통과한 혼합체는 공간부(352a)에 의하여 급격하게 배출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혼합체가 작은 입자로 공간부(352a)로 분사되게 되고, 이렇게 공간부(352a)에 분사된 혼합체는 다시 제2 유로공(353a)으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구조가 된다.
이는 벤츄리효과를 응용한 것으로서, 혼합체가 제1 유로공(351a)을 관통하면 공간부(352a)로 넓게 퍼지도록 분사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에 의해 제1 유로공(351a)을 통과한 혼합체는 직경의 차이로 분사됨에 따라 미세하게 입자가 쪼개져 녹아있던 공기와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고, 제2 유로공(353a)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경우에 한번 더 공기와의 혼합율을 높임에 따라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보다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별도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의 하부에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벌도의 에어펌프가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압에 의해 혼합체가 유입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352a)의 하단에는 유입공(335)이 연통되게 되는데,
상기 유입공(335)은 상기 개폐볼(33)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31)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볼(33) 하단부에 형성된 유입공(335)에 연통되는 별도의 통공(3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335)에는 별도의 에어펌프가 더 구비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혼합체가 유입공(335)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유입공(335)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공간부(352a)로 공급되게 되며,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는 혼합체와 만나 접촉하여 공기와 혼합체가 보다 혼합되어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유입되는 혼합체에는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이물질은 제1 유로공을 막을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즉, 이물질에 의해 제1 유로공이 막히면 혼합체의 흐름이 정지되는 바, 이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이물질이 제1 유로공을 막으면 상기 개폐볼(33)이 180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이 경우, 혼합체는 제2 유로공(353a)으로 유입되어 제1 유로공(351a)을 통과하여 관통됨에 따라, 이물질을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5[B] 참조)
이물질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볼(33)이 다시 원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A)에 구비되는 부유유닛(4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펌프본체(10)를 양식장 내에 설치함에 있어, 펌프본체(10)가 양식장에 띄울 수 있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부유유닛(40)은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부유구(43)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41)에는 상기 펌프본체(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공(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41)은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41)으로 구성되는 것이 상기 부유구(43)를 고정함에 있어 편리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1) 하부에는 부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부유구(43)가 프레임(41)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부유구(43)의 크기 및 설치 개수 또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공(411)에는 상기 펌프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 즉 체결볼트, 체결핀 등의 장치가 더 구비되어 펌프본체(10)의 상부 일부는 양식장 상부로 노출되고, 하부 일부는 양식장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10 : 펌프본체 11 : 유체유입부
13 : 혼합체배출부 15 : 혼합부
151 : 제1 필터 153 : 제2 필터
17 : 공기공급부 20 : 믹싱유닛
21 : 구동축 23 : 구동모터
25 : 임펠라 251 : 디스크
252 : 와류돌기 252A : 돌기분체
253 : 믹싱공 254 : 절개선
30 : 볼밸브 31 : 본체
311 : 유입구 313 : 배출구
315 : 통공 33 : 개폐볼
331 : 끼움홈 333 : 유로
335 : 유입공 35 : 혼합유닛
351 : 인입부재 351a : 제1 유로공
352 : 중간부재
352a : 공간부 353 : 배출부재
353a : 제2 유로공 40 : 부유유닛
41 : 프레임 411 : 결합공
43 : 부유구

Claims (4)

  1. 유체가 유입되며 하부에 구비되는 유체유입부와, 공기와 혼합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체배출부 및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공기공급부가 구비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에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승시키는 임펠라를 포함하는 믹싱유닛;
    상기 펌프본체의 혼합체배출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라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홀이 형성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곡선형의 와류돌기, 상기 디스크에 구비되어 디스크 양면을 연통시키는 믹싱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에는
    배출되는 유체에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부유구로 이루어지는 부유유닛;을 더 구비하여,
    상기 펌프본체가 부유유닛에 결합되어 양식장 수면에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KR1020180120993A 2018-10-11 2018-10-11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KR10213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93A KR102135446B1 (ko) 2018-10-11 2018-10-11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93A KR102135446B1 (ko) 2018-10-11 2018-10-11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53A true KR20200041053A (ko) 2020-04-21
KR102135446B1 KR102135446B1 (ko) 2020-07-17

Family

ID=7045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93A KR102135446B1 (ko) 2018-10-11 2018-10-11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4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794A (ja) * 1991-07-30 1993-02-09 Toto Ltd 多層円板フアン
JPH09133226A (ja) * 1995-11-10 1997-05-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キャビテーション発生弁
KR200176913Y1 (ko) * 1999-11-02 2000-04-15 김종목 수차가 부설된 에어레이터
KR101594086B1 (ko) * 2015-04-06 2016-04-01 주식회사 이엠비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794A (ja) * 1991-07-30 1993-02-09 Toto Ltd 多層円板フアン
JPH09133226A (ja) * 1995-11-10 1997-05-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キャビテーション発生弁
KR200176913Y1 (ko) * 1999-11-02 2000-04-15 김종목 수차가 부설된 에어레이터
KR101594086B1 (ko) * 2015-04-06 2016-04-01 주식회사 이엠비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446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2782B (zh) 分散器
US8545091B1 (en) Blender apparatus and method
CA2708505C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wo-phase homogenizing stage for centrifugal pump assembly
CN107638715B (zh) 一种适用于矿场的聚表剂溶液地面注入系统及其注入方法
CN104061184A (zh) 泵的改进和与泵有关的改进
PH12014502167B1 (en) Froth pump and method
AU2018200356B2 (en) Blender apparatus and method
JP3571722B2 (ja) 内部気体注入体付き遠心ポンプ
CN106481568B (zh) 自吸屏蔽复合泵
KR102135446B1 (ko) 양식장용 믹싱 펌프 어셈블리
CN206190547U (zh) 双级射流泵
US9168496B2 (en) Tub blender pressure booster method and apparatus
US7931398B2 (en) Fluid blending methods utilizing either or both passive and active mixing
CN104722222A (zh) 多点喷射气液混合器
US20180106270A1 (en) Diffuser for a fluid compress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vane with opening
CN206957988U (zh) 轴封式核主泵压水室
US6746219B1 (en) Water pump motor
CN102300630A (zh) 具有气体注入装置和/或导流板的降流式混合器
CN208718944U (zh) 一种可施肥自吸泵
CN207246031U (zh) 一种可自动回水的自吸泵
CN206329508U (zh) 一种潜水泵
KR200477418Y1 (ko)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CN220726597U (zh) 一种带有扰流板的固液混合离心泵
KR100997867B1 (ko) 와류 방지용 헤드부가 결합된 수중축류펌프
CN206290445U (zh) 一种高效轴流式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