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944A -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 블록 결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0944A KR20200040944A KR1020180120157A KR20180120157A KR20200040944A KR 20200040944 A KR20200040944 A KR 20200040944A KR 1020180120157 A KR1020180120157 A KR 1020180120157A KR 20180120157 A KR20180120157 A KR 20180120157A KR 20200040944 A KR20200040944 A KR 202000409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portion
- coupling
- protrusion
- assembly
- assembly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의 결합 구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조립 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와 다른 하나의 조립 블록의 상기 제2결합부는 슬라이딩 식, 끼움 식, 또는 회전식으로 결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로 구성된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 완구는 육면체 형상에 상부에 결합 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 결합 홈이 구비되어 하나의 블록의 결합 돌기를 다른 블록의 결합 홈에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가능하다.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을 이용한 조립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조립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부의 결합 돌기와 하부의 결합 홈을 사용하는 경우 결합이 상하방향으로 한정되므로 좌우방향 결합을 위해서는 측면에도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을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을 사용한 결합은 조립 후에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분해되거나, 크기가 다른 블록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4642호는 단위 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통한 다양한 다면체 형상의 조립 블록을 조립 가능한 조립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 유닛은 원하는 단위 블록을 자유자재로 만들어서 사용자의 활용도 및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정된 결합 모드만을 제공하는 종래의 결합 돌기/결합 홈의 결합 구조는 이와 같은 조립 유닛의 자유도를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의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임의의 크기의 블록이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크기의 블록이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구비한 조립 블록, 조립 유닛, 조립 완구, 및 스마트 토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조립 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와 다른 하나의 조립 블록의 상기 제2결합부는 슬라이딩 식, 끼움 식, 또는 회전식으로 결합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ㄷ"자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결합부의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열의 제1돌출부와 상기 두 열의 제1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한 열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한 열의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상기 홈,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상기 홈,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길이 방향에 수직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략 구형의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열 이상의 "T"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두 열의 "T"형 레일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한 열 이상의 "T"형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나사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 면 이상의 외측면에 상기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통한 다면체 형상의 조립 블록을 구성 가능한 조립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플레이트는 외측면에 상기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립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토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프레임 구조와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 완화 구조는 상호 결합되어 건축물 내진 구조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크기의 블록이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크기의 블록이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구비한 조립 블록, 조립 유닛, 조립 완구, 및 스마트 토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사용한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사용한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100)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100)는,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이다.
조립 블록 결합 구조(100)는,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120) 및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130)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네 개의 측면 플레이트,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로 구성된 육면체의 조립 블록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된 원통형, 네 개의 삼각형 플레이트로 구성된 피라미드형, 또는 다섯 개 이상의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된 다각 기둥형 등의 다면체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제1결합부(120)와 다른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제2결합부(130)는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한다.
도 1(b)에서는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제1결합부(120)와 다른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제2결합부(130)는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하는 결합 모드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는 끼움 식 또는 회전식으로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화 같이, 제1결합부(12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ㄷ"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제2결합부(13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결합부(120)의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결합부(120)의 레일 구조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형성되고, 제2결합부(130)의 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결합부(120)의 레일 구조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제2결합부(130)의 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제1결합부(120)와 다른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110)의 제2결합부(130)를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200)조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210)의 제1결합부(22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열의 제1돌출부와 두 열의 제1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한 열의 홈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23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220)의 홈에 삽입되는 한 열의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220)의 제1돌출부와 홈 및 제2결합부(2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결합부(220)의 제1돌출부와 홈 및 제2결합부(2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에 평행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결합부(220)의 제1돌출부와 홈 및 제2결합부(2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제1결합부(220)의 제1돌출부와 홈 및 제2결합부(230)의 제2돌출부가 플레이트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에 평행하게 외측면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결합부(220)의 제1돌출부와 홈 및 제2결합부(2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에 평행하게 외측면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210)의 제1결합부(220)와 다른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210)의 제2결합부(230)를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300)의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310)의 제1결합부(32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열의 제1돌출부와 두 열의 제1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한 열의 홈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33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320)의 홈에 삽입되는 한 열의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제1결합부(320)의 제1돌출부와 홈 및 제2결합부(3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310)의 제1결합부(320)와 다른 하나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310)의 제2결합부(330)를 소정의 각도로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300) 및 조립 블록 결합 구조(400)의 개념도이다.
조립 블록 결합 구조(400)은 기본적으로 조립 블록 결합 구조(300)과 동일한 구조이나 조립 블록 결합 구조(300)보다 크기가 작은 결합 구조로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와 동일한 구조이나 크기가 작은 제1결합부(420) 및 제2결합부(430)를 포함한다. 종래의 결합 돌기/결합 홈의 결합 구조로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조립 블록을 서로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크기가 다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300)와 조립 블록 결합 구조(400)를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사용한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500-1~500-7)를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조립 블록 결합 구조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두 개의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이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된 상태를 결합 방향과 수직인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6(a)에 도시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100)에 적용된 레일 결합 형식의 결합 구조로, "ㄷ"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120)와 제1결합부(120)의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130)가 서로 결합된 모양을 보여준다.
도 6(b), 6(c), 및 6(d)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에 적용된 돌출부 및 홈 결합 형식의 결합 구조를 보여준다.
도 6(b)에서는,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310)의 제1결합부(320)의 제1돌출부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돌출부(330)는 제1돌출부(320)의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c)에서는,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610)의 제1결합부(620)의 제1돌출부가 길이 방향에 수직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돌출부(630)는 제1돌출부(620)의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대략 구 형상이란, 완전한 구 형상에서 열기구의 풍선과 같이 외측으로 커지는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d)에서는,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610')의 제1결합부(650)의 제1결합부가 두 열 이상의 "T"형 레일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660)는 제1결합부(650)의 두 열의 "T"형 레일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한 열 이상의 "T"형 레일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700)의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700)는,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의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720) 및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730)를 구비한다.
제1결합부(72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73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720)의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략 구형의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략 구 형상이란, 완전한 구 형상에서 열기구의 풍선과 같이 외측으로 커지는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700)는 슬라이딩 식으로도 결합 가능할 뿐 아니라, 끼움 식으로도 결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결합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결합부(720)의 제1돌출부와 공간 및 제2결합부(7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결합부(720)의 제1돌출부와 공간 및 제2결합부(730)의 제2돌출부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제1결합부(720)의 공간에 제2결합부(730)의 제2돌출부를 슬라이딩 식 또는 끼움 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800)의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 결합 구조(800)는,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의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820) 및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830)를 구비한다.
제1결합부(82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830)는 플레이트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820)의 제1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나사산을 포함한다.
제1결합부(820)의 제1나사산과 제2결합부(830)의 제2나사산을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면체 형상의 조립 블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립 블록 사용하면, 다양한 형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조립된 블록을 떨어뜨리거나 해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체결이 풀어지지 않는 조립 완구를 제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4642호에 개시된 조립 유닛은,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통한 다면체 형상의 조립 블록을 구성 가능한 조립 유닛으로, 상부 플레이트(910-1), 하부 플레이트(910-6), 및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910-2~910-5)로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몸체가 상부 플레이트(910-1), 하부 플레이트(910-6), 및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910-2~910-5)를 포함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몸체는 공 모양의 구형일 수도 있고, 타원 형상의 구형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면을 가지는 다면체일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은 상부 플레이트(910-1), 하부 플레이트(910-6), 및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910-2~910-5)를 포함하고, 몸체가 육면체 형상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몸체를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910-1), 하부 플레이트(910-6), 및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910-2~910-5)는, 각각 끼움 홈 및 끼움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끼움 홈과 상기 끼움 돌기 간의 결합으로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몸체는 스마트 토이 플랫폼의 외관을 형성한다. 몸체는 베이스 유닛(미 도시), 응용 유닛(미 도시), 기능 유닛(미 도시), 및 전원 유닛(미 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몸체는 내외부가 구분되는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유닛, 응용 유닛, 및 전원 유닛은 몸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능 유닛은 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거나, 내외부에 걸쳐서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은 스마트 토이 플랫폼의 기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기능은 응용 유닛에 제공되는 응용 지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응용 지원 기능은 전원 공급 및 통신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은 응응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다. 통신 기능은 응용 유닛이 외부의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통신 기능에 포함된 유선 통신 기능은 UART(RS232-C), USB(Universal Serial Bus), SATA, 및 IEEE 129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 시리얼 통신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기능에 포함된 무선 통신 기능은 WiFi, Zig-bee, 3G, 4G, LTE, 및 RF통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일 수 있다.
응용 유닛과 기능 유닛은 스마트 토이 플랫폼에 특정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유닛이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면, 응용 유닛은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고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을 처리하고, 이에 따라서 스마트 토이 플랫폼은 촬영 기능을 구비한 장난감이 될 수 있다.
기능 유닛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은 카메라 모듈, 사운드 출력 모듈, 발광 모듈, 센서 모듈, 모터 모듈, 화상 표시 모듈, 및 입력 모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모듈은, 스피커를 포함하며, 발광 모듈은, 발광 수단을 포함하며, 센서 모듈은, 접촉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광 센서, 및 터치 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화상 표시 모듈은, LCD 모듈, LED 모듈, 전자잉크 모듈, 및 CRT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입력 모듈은, 키패드 모듈, 스위치 모듈, 및 마이크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유닛이 플레이트에 탈부착 되거나, 기능 유닛이 결합된 플레이트를 몸체에 결합함으로써, 스마트 토이 플랫폼은 기능 유닛이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완구가 될 수 있다.
전원 유닛은 베이스 유닛, 응용 유닛, 및 기능 유닛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유닛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 또는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스마트 토이 플랫폼은 기능 유닛이 결합된 제1플레이트를 다른 기능 유닛이 결합된 제2플레이트로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가진 스마트 토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모두 장착하여, 제1플레이트가 제공하는 기능과 제2플레이트가 제공하는 기능 모두를 가진 스마트 토이가 될 수 있다. 또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모두 장착하여, 제1플레이트가 제공하는 기능과 제2플레이트가 제공하는 기능이 결합된 결합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토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조립 유닛은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도 1에서 도 8에 도시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토이는 위와 같은 조립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크기의 블록이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크기의 블록이 결합 가능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구비한 조립 블록, 조립 유닛, 조립 완구, 및 스마트 토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400, 500, 700, 800: 조립 블록 결합 구조
120, 220, 320, 420, 620, 650, 720, 820: 제1결합부
130, 230, 330, 430, 630, 660, 730, 830: 제2결합부
910-1: 상부 플레이트
910-2, 910-3, 910-4, 910-5: 측면 플레이트
910-6; 하부 플레이트
120, 220, 320, 420, 620, 650, 720, 820: 제1결합부
130, 230, 330, 430, 630, 660, 730, 830: 제2결합부
910-1: 상부 플레이트
910-2, 910-3, 910-4, 910-5: 측면 플레이트
910-6; 하부 플레이트
Claims (16)
-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다면체 형상 조립 블록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
를 구비하고,
하나의 조립 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와 다른 하나의 조립 블록의 상기 제2결합부는 슬라이딩 식, 끼움 식, 또는 회전식으로 결합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ㄷ"자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결합부의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형성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열의 제1돌출부와 상기 두 열의 제1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한 열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한 열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상기 홈,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에 평행하게 형성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상기 홈,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외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길이 방향에 수직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략 구형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 열 이상의 "T"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두 열의 "T"형 레일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한 열 이상의 "T"형 레일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다면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 면 이상의 외측면에 1항에서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 제13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완구.
-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통한 다면체 형상의 조립 블록을 구성 가능한 조립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플레이트는 외측면에 제1항에서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 제15항에 기재된 조립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토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157A KR20200040944A (ko) | 2018-10-10 | 2018-10-10 |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PCT/KR2018/011900 WO2020075883A1 (ko) | 2018-10-10 | 2018-10-10 |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US17/228,253 US11701598B2 (en) | 2018-10-10 | 2021-04-12 | Structure for coupling assembly block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157A KR20200040944A (ko) | 2018-10-10 | 2018-10-10 |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0944A true KR20200040944A (ko) | 2020-04-21 |
Family
ID=7016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0157A KR20200040944A (ko) | 2018-10-10 | 2018-10-10 |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701598B2 (ko) |
KR (1) | KR20200040944A (ko) |
WO (1) | WO202007588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032624A (ja) * | 2022-08-29 | 2024-03-12 | 良 小笠原 | 接続器具を含む遊戯娯楽キッ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4642B1 (ko) | 2015-07-27 | 2017-03-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립 유닛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0324A (en) * | 1913-08-22 | 1915-03-02 | Robert C D Owen | Building-block for wall constructions. |
US2800743A (en) * | 1955-03-08 | 1957-07-30 | Edward R Renouf | Toy building brick |
US2907137A (en) * | 1955-11-24 | 1959-10-06 | Nikocraft Ltd | Toy building element |
US2923551A (en) * | 1957-10-22 | 1960-02-02 | Delbert C Pope | Puzzle toy |
DE1290696B (de) * | 1965-12-01 | 1969-03-13 | Fischer Artur | Hohles Bauelement aus elastischem Werkstoff fuer Waende, Decken od. dgl. |
US4035947A (en) * | 1975-08-21 | 1977-07-19 | Burge David A | Toy construction set having interconnectible components with interfitting formations |
DE7628472U1 (de) * | 1976-09-11 | 1978-03-02 | Fischer, Artur, Dr.H.C., 7244 Waldachtal | Napffoermiger, durch eine kappe verschliessbarer hohlbaustein |
JPH0715594Y2 (ja) * | 1990-07-07 | 1995-04-12 | 共栄産業株式会社 | 積み木 |
US5853314A (en) * | 1997-02-18 | 1998-12-29 | Bora; Sunil K. | Toy building block |
JP3102975U (ja) * | 2004-01-23 | 2004-07-22 | 昭紀 原田 | ブロック玩具 |
US7988517B2 (en) * | 2007-05-11 | 2011-08-02 | Forrest Frederick Bishop | Construction and gaming cubes |
KR20100037725A (ko) * | 2008-10-02 | 2010-04-12 | 백의환 | 조합된 표현단위체의 표현장치 |
CN205549586U (zh) * | 2016-03-21 | 2016-09-07 | 沈珏翡 | 可搭接积木单元与积木结构 |
-
2018
- 2018-10-10 WO PCT/KR2018/011900 patent/WO202007588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0-10 KR KR1020180120157A patent/KR20200040944A/ko unknown
-
2021
- 2021-04-12 US US17/228,253 patent/US1170159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4642B1 (ko) | 2015-07-27 | 2017-03-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립 유닛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032624A (ja) * | 2022-08-29 | 2024-03-12 | 良 小笠原 | 接続器具を含む遊戯娯楽キ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268395A1 (en) | 2021-09-02 |
US11701598B2 (en) | 2023-07-18 |
WO2020075883A1 (ko) | 2020-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104992A1 (en) | Plaything | |
JP7100621B2 (ja) | 玩具組立要素 | |
JP5595492B2 (ja) | 連結可能なブロック | |
KR20120097088A (ko) | 자석 블록 완구의 블록 구성물 및 동 구성물을 포함한 자석 블록 완구 | |
KR20020029388A (ko) | 장난감 조립 세트 | |
KR20200040944A (ko) | 조립 블록 결합 구조 | |
CN107661637B (zh) | 一种拼插式积木 | |
KR101341613B1 (ko) | 블록완구 | |
JP6674569B1 (ja) | 組立玩具セットおよび組立玩具セット用の組立要素 | |
KR101714642B1 (ko) | 조립 유닛 | |
WO2008072025A1 (en) | Toy building blocks | |
KR20140100714A (ko) | 완구용 블럭 | |
CN207371118U (zh) | 一种连结积木 | |
CN202554946U (zh) | 一种插装玩具的积木块 | |
KR101327597B1 (ko) | 학습용 교구 | |
CN201200814Y (zh) | 镜子探索积木 | |
CN204891232U (zh) | 一种卡扣式活动磁力吸框 | |
CN102302862B (zh) | 便于拼接的组合件 | |
KR20110000019A (ko) |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 |
CN203710700U (zh) | 一种可拼插成多种形状的拼插玩具 | |
KR101556634B1 (ko) |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 |
CN218306155U (zh) | 用于拼搭球面的积木组件及球形玩具 | |
CN204840949U (zh) | 积木玩具 | |
CN218153367U (zh) | 一种万向球安装架及其电子积木主控制器 | |
CN205216168U (zh) | 多功能拼接积木构件及玩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