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781A -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781A
KR20200040781A KR1020207005687A KR20207005687A KR20200040781A KR 20200040781 A KR20200040781 A KR 20200040781A KR 1020207005687 A KR1020207005687 A KR 1020207005687A KR 20207005687 A KR20207005687 A KR 20207005687A KR 20200040781 A KR20200040781 A KR 20200040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ata
initial
analysis
centr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342B1 (ko
Inventor
히데마사 미야우치
히토시 쿠사노
Original Assignee
파마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마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8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artificial tissue or for ex-vivo cultivation of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38Stomach; Intestine; Goblet cells; Oral mucosa; Sali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과제] 퀄리티·바이·디자인(Quality-by-Design: QbD)의 수법을 이용한 「재생 의료 등 제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의료용 제품의 제조 및 원재료의 분석 등을 행하는 제조 장치와, 당해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가공 조건을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별개로 설치한다. 그리고, 당해 제조 장치와 당해 중앙 관리 장치 데이터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원재료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면서 당해 의료용 제품을 제조한다. 이것에 의하여, 세포 또는 조직의 경시 변화, 및, 수송 시의 진동의 영향 및 온도 변화 등의 주위 환경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저감하여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 및, 원재료에 개체차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소망하는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에 가공을 행한 것이며, 신체의 구조 혹은 기능의 재건, 수복 혹은 형성을 목적으로서, 또는, 질병의 치료 혹은 예방을 목적으로서 사용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의약품의 승인을 받기 위하여 대량 또한 장기에 걸치는 비임상 시험 및 임상 시험(치험(治驗))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일이 많다. 그 때문에, 유효한 의약품이 발명되었을 경우여도, 환자는 그 승인이 얻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이 많다.
2014년에 일본의 약사법이 개정되었다. 당해 개정에 의하여, 약사법에 「재생 의료 등 제품」이라고 하는 카테고리가 신설되었다. 새롭게 도입된 「재생 의료 등 제품」에 관하여는, 안전성이 확인되고, 유효성이 추정되면 조기에 승인될 수 있는 조건부 승인 제도가 도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여러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약을 조기에 제공할 수 있을 가능성이 커졌다.
「재생 의료 등 제품」 중 생물 유래의 세포 또는 조직을 원재료로 하는 제품은, 「자가(自家) 제품」과 「타가(他家) 제품」으로 대별(大別)된다. 「자가 제품」은, 환자로부터 채취한 원재료를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고, 또한, 동일한 환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타가 제품」은, (환자와는 다른) 정상인으로부터 채취한 원재료를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고, 또한, 환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포 또는 조직에는 개체차가 존재하고, 또한, 그것은 경시적으로, 또는, 수송에 수반하는 진동 등의 외력 혹은 주위 환경의 변화가 더하여지는 것에 의하여 성능 및 품질이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균일한 성능 및 품질을 구비한 원재료를 대량으로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현저하게 곤란하다. 또한, 원재료가 불균일한 것이 되는 경우, 적절한 제조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연구 단계(소량 또는 전용적인 제조)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포 배양법)를, 상용 단계(대량 또는 범용적인 제조)로 전용하였을 경우에, 마찬가지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는 할 수 없다. 최악의 경우에는, 당해 프로세스 중에, 당해 세포 또는 당해 조직의 성능 및 품질이 일탈하여, 「재생 의료 등 제품」의 제조가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재생 의료 등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를 확립하기 위하여, 퀄리티·바이·디자인(Quality-by-Design: QbD)의 수법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1 참조). QbD의 수법이란, 과학적 지견과 리스크 매니지먼트에 기초하는 의약품의 품질 매니지먼트 수법이다(의약품 규제 조화 국제 회의(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에서 정하여진 안전성과 품질 보지(保持)를 위한 운용 가이드 라인 Q8(제제(製劑) 개발), Q9(품질 리스크 매니지먼트) 및 Q10(의약품 품질 시스템) 참조).
단적으로는, QbD의 수법에 있어서는, 이하의 순서로 제조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I) 최종 제품의 목표 제품 품질 프로파일(Quality Target Product Profile: QTPP)과 QTPP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최종 제품의 중요 품질 특성(Critical Quality Attribute: CQA)을 설정한다.
(II) 리스크 어세스먼트 및 다변량 실험에 기초하여 최종 제품의 성능 및 품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 프로세스 파라미터(Critical Process Parameter: CPP)를 특정한다.
(III) QTPP를 담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CQA 및 CPP의 범위(이하 「디자인 스페이스」라고 한다.)를 정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QTPP란, 제품의 설계 기준을 기술한 것이다. 즉, QTPP란, 제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고려하였을 경우에 요구되는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달성되어야 할, 제제의 기대되는 품질 특성의 요약을 의미한다. 또한, CQA란, 요구되는 제품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적절한 한도 내, 범위 내, 분포 내여야 할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또는 성질을 의미한다. 또한, CPP란, 프로세스 파라미터 중, 그 변동이 CQA에 영향을 미치는 것, 따라서, 그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품질이 얻어지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이나 관리를 요하는 것을 의미한다.
Yonatan Y Lipsitz 외 2명 저, 「Quality cell therapy manufactureing by design」, nature biotechnology, 2016년 4월, 제34권, 제4호, p.393-400
상술한 대로, 균일한 성능 및 품질을 구비한 원재료(세포 또는 조직)를 대량으로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 또는 현저하게 곤란하기 때문에, QbD의 수법을 「재생 의료 등 제품」에 적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QbD의 수법을 이용한 「재생 의료 등 제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의료용 제품의 제조 및 원재료의 분석 등을 행하는 제조 장치와, 당해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가공 조건을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별개로 설치한다. 그리고, 당해 제조 장치와 당해 중앙 관리 장치 데이터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원재료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여 당해 의료용 제품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초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와, 당해 초기 분석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또한, 당해 원재료의 가공 조건으로서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당해 중앙 관리 장치가 당해 초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화한 당해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초기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당해 초기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당해 원재료를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이다.
또한, 중앙 관리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당해 제조 장치가, 당해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초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당해 제조 장치가, 당해 초기 분석 데이터를 당해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스텝과, 당해 중앙 관리 장치가, 당해 원재료의 가공 조건으로서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당해 초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화한 당해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초기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당해 중앙 관리 장치가, 당해 초기 가공 데이터를 제조 장치로 송신하는 스텝과, 당해 제조 장치가, 당해 초기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당해 원재료를 가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일 태양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의료용 제품의 제조 및 원재료의 분석 등을 행하는 제조 장치와, 당해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가공 조건을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가 별개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원재료가 되는 세포 또는 조직을 채집한 장소에서의 의료용 제품의 제조(온 사이트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세포 또는 조직의 경시 변화, 및, 수송 시의 진동의 영향 및 온도 변화 등의 주위 환경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저감하여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당해 의료용 제품은, 당해 의료용 제품을 사용하는 환자의 근처에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당해 의료용 제품을 구성하는 세포 또는 조직의 경시 변화, 및, 수송 시의 진동의 영향 및 온도 변화 등의 주위 환경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저감하여 당해 의료용 제품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제조 장치와 중앙 관리 장치 데이터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원재료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여 당해 의료용 제품을 제조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당해 원재료 자체의 성능 및 품질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원재료에 개체차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소망하는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의 구성 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의 기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의 구성 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의 기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1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은, 복수의 제조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제조 장치(10)의 각각과 통신 가능한 중앙 관리 장치(2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당해 네트워크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의 어느 것에 의하여 구축되어도 무방하고, 또한, 일부를 유선 접속으로 구축하고 또한 잔부(殘部)를 무선 접속으로 구축하여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 및 중앙 관리 장치(20)의 각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면,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조 장치(10)를 병원, 진료소 또는 약국 등의 의료 기관에 설치하는 것, 및, 중앙 관리 장치(20)를 기업의 본사 등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제조 장치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의 구성 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는, 중앙 처리 장치(CPU)(101)와 회선 종단 장치(102)와 기억 장치(103)와 입출력 장치(104)와 분석 장치(105)와 가공 장치(106)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구성 요소는, 버스(107)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제조 장치는, 도 2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의 구성 요소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제조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에 더하여, 분석 장치(105) 및 가공 장치(106)의 일방(一方)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재료, 중간 생성물 또는 의료용 제품을 분석 장치(105) 및 가공 장치(106)의 타방(他方)의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예를 들어, 로봇 암)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중앙 처리 장치(CPU)(101)는, 기억 장치(103)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101)는, 중앙 관리 장치(20)로 송신되는 각종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생성, 조작자에 의한 입출력 장치(104)(의 입력 장치)의 조작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 및 특정의 정보를 당해 조작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104)(의 출력 장치)의 제어,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분석, 당해 원재료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및/또는 당해 의료용 제품의 분석을 행하기 위한 분석 장치(105)의 제어, 및, 당해 원재료의 가공 및/또는 당해 중간 생성물의 가공을 행하기 위한 가공 장치(106)의 제어 등을 위하여 이용된다.
회선 종단 장치(102)는, 중앙 처리 장치(CPU)(101)가 생성한 각종의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20)로 송신하고, 또한, 중앙 관리 장치(20)가 송신하는 상기의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포함하는 신호 및/또는 상기의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회선 종단 장치(102)로서는, 모뎀 및 광 회선 종단 장치(ONU) 등을 들 수 있다.
기억 장치(103)는, 중앙 처리 장치(101)에 의하여 실행되는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 중앙 처리 장치(101)가 생성하는 각종의 데이터를 격납(格納)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기억 장치(103)로서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그것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103)는, DRAM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휘발성 기억부와, HDD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휘발성 기억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101)에 의하여 실행되는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기 위하여 당해 비휘발성 기억부를 이용하고, 또한, 중앙 처리 장치(101)가 생성하는 각종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하여 당해 휘발성 기억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출력 장치(104)는, 조작자가 제조 장치(10)를 조작하고, 또한, 조작자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장치(104)로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104)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로 분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당해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키보드, 버튼 및 마이크, 또는, 그것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출력 장치로서는, 디스플레이(모니터) 및 스피커, 또는, 그것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분석 장치(105)는,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 당해 원재료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 및 의료용 제품, 및, 당해 원재료를 제공한 사람 또는 동물로부터 채집되는 혈액 및 타액 등의 체액, 머리카락 등의 체모 및 손톱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분석 장치(105)로서는, 동결 건조 장치, 검체 분취 장치, 혈액 분석 장치, 플로 사이토미터(flow cytometer),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 장치, 화상 분석 장치, 세포 분석 장치, 유전자 증폭 장치, 유전자 해석 장치, 효소 면역 반응 장치, 분광 광도계, 흡광 광도계, 중량계, 온도계, 농도계, 침투압계, pH 미터, 광전 센서, 전압계, 전류계, 화상 촬영 장치, 미생물 배양 장치, 미생물 분석 장치, 핵자기 공명 장치, X선 조사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초음파 단층 촬영 장치 및 X선 촬영 장치, 및, 이것들 2개 이상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가공 장치(106)는, 상기의 원재료 및 중간 생성물을 가공(예를 들어, 배양)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가공 장치(106)로서는, 동결 건조 장치, 레이저 마이크로다이섹션 장치, 분산 장치, 파쇄 장치, 원심 분리(엘루트리에이션(elutriation)을 포함한다) 장치, 부착 또는 자기 비즈에 의한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각종의 세포 분리 장치, 세포 분취 장치, 유전자 증폭 장치, 전기 천공법, 리포펙션(lipofection)법, 파티클 건(particle gun)법, 초음파법 혹은 바이러스 벡터법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이것들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하는 유전자 도입 장치, 뉴클레아제(nuclease)를 이용한 유전자 개변 장치, 항온 장치, 액체 배지 투석 장치, 흡착 장치, 액체 배지 순환 장치, 미량 물질 첨가 장치, 가감압 장치, 진탕 장치, 진동 발생 장치, 초음파 발생 장치, 자장 발생 장치, 프로그램 냉동 장치, 세포 해동 장치, 가온 장치, 냉각 장치, 무균적 충전 장치, 무균 유지 장치, 공조 장치 및 방사선 조사 장치, 및, 이것들 2개 이상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의 기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는, 입출력부(121)와 기억부(122)와 분석부(123)와 통신부(124)와 가공부(125)를 구비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제조 장치는, 도 3에 도시되는 제조 장치(10)의 기능부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제조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기능부에 더하여, 제조 장치(10)의 내부에 있어서, 원재료, 중간 생성물 또는 의료용 제품을 소망하는 장소(예를 들어, 분석부 및 가공부의 일방으로부터 분석부 및 가공부의 타방)로 이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송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입출력부(121)는, 조작자로부터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 관한 지시 등을 수령하고, 또한, 조작자에게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21)는, 조작자에게, 현재,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의료용 제품의 제조가 행하여져 있지 않는 것을 제시하는 것과 함께, 그것을 개시할지 여부의 선택지를 제시하고, 또한, 조작자가 의료용 제품의 제조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그 지시를 수령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입출력부(121)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101) 및 입출력 장치(104)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기억부(122)는,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기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22)는, 원재료, 중간 생성물 및 의료용 제품을 분석하여 얻어진 분석 데이터, 및, 중앙 관리 장치(20)로부터 보내져 온 원재료 및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가공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이것들의 분석을 행할 때의 조건을 변경하는 신호 및/또는 특정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디자인 스페이스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중앙 관리 장치(20)로부터 보내져 왔을 경우에 그것들을 갱신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기억부(122)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101) 및 기억 장치(103)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분석부(123)는, 원재료, 중간 생성물 및 의료용 제품(본 단락에 있어서 「원재료 등」이라고 한다.)을 분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분석부(123)는, 원재료 등을 구성하는 세포 또는 조직의 크기, 색조, 중량, 세포 입도, 각종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률, 각종 유전자 발현량, 생세포수, 생세포율 및 발현 유전자, 및, 원재료 등에 포함되는 병원 미생물 및 증식성 바이러스 등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분석부(123)는, 혈액 및 타액 등의 체액, 머리카락 등의 체모 및 손톱 등(본 단락에 있어서 「체액 등」이라고 한다.)을 구성하는 세포 또는 조직의 성상(性狀), 조성, 약제 농도 및 유전자, 및, 체액 등에 포함되는 증식성 바이러스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분석부(123)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101) 및 분석 장치(105)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통신부(124)는, 중앙 관리 장치(2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중앙 관리 장치(20)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4)는, 원재료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 및, 그에 대한 최적인 가공 조건을 교시하는 것을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중앙 관리 장치(20)가 송신하는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통신부(124)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101) 및 회선 종단 장치(102)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가공부(125)는, 중앙 관리 장치(20)로부터 보내진 가공 조건에 따라서 원재료 및/또는 중간 생성물을 가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가공부(125)는, 원재료 또는 중간 생성물이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을 가공(구체적으로는, 조직의 분산, 파쇄, 레이저 마이크로다이섹션, 원심 분리(엘루트리에이션을 포함한다), 부착 또는 자기 비즈에 의한 분리를 포함하는 각종 세포 분리, 전기 천공법, 리포펙션법, 파티클 건법, 초음파법, 바이러스 벡터법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이것들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의 유전자 도입, 각종 뉴클레아제를 이용한 유전자 개변, 배양, 가감압, 진탕, 진동의 조사, 초음파 조사, 자장 발생, 동결, 해동, 가온, 냉각, 배지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교환, 배양 용기 내 표면적의 조정, 배지의 양의 조절에 의한 세포 농도의 제어, 온도, 조도, 진동, 전류, 자장, 기압 및 분위기의 제어, 용매 또는 첨가물의 추가, 및, 무균적 충전 등)하고, 그 능력을 수식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가공부(125)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101) 및 가공 장치(106)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2) 중앙 관리 장치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20)의 구성 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20)는, 중앙 처리 장치(CPU)(201)와 회선 종단 장치(202)와 기억 장치(203)와 입출력 장치(204)와 병렬 처리 장치(20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 요소는, 버스(206)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제조 장치는, 도 4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20)의 구성 요소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중앙 관리 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에 더하여, 제조 장치(10)가 구비하는 분석 장치(105) 및 가공 장치(106)와 마찬가지의 장치를 실험용으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중앙 처리 장치(CPU)(201)는, 기억 장치(203)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명령(병렬 처리 장치(205)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제외한다)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201)는, 제조 장치(10)로 송신되는 각종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병렬 처리 장치(205)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제외한다)의 생성, 및, 조작자에 의한 입출력 장치(204)(의 입력 장치)의 조작에 기초하는 연산 처리 및 특정의 정보를 당해 조작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204)(의 출력 장치)의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회선 종단 장치(202)는, 중앙 처리 장치(CPU)(201) 및 병렬 처리 장치(205)가 생성한 각종의 신호를 제조 장치(10)로 송신하고, 또한, 제조 장치(10)가 송신하는 원재료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 및/또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회선 종단 장치(202)로서는, 모뎀 및 광 회선 종단 장치(ONU) 등을 들 수 있다.
기억 장치(203)는, 중앙 처리 장치(201) 및 병렬 처리 장치(205)에 의하여 실행되는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 중앙 처리 장치(201) 및 병렬 처리 장치(205)가 생성하는 각종의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기억 장치(203)로서는, DRAM, SRAM, HDD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그것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203)는, DRAM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휘발성 기억부와, HDD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휘발성 기억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201)에 의하여 실행되는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기 위하여 당해 비휘발성 기억부를 이용하고, 또한, 중앙 처리 장치(201)가 생성하는 각종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하여 당해 휘발성 기억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출력 장치(204)는, 조작자가 중앙 관리 장치(20)를 조작하고, 또한, 조작자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장치(204)로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204)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로 분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당해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키보드, 버튼 및 마이크, 또는, 그것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출력 장치로서는, 디스플레이(모니터) 및 스피커, 또는, 그것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병렬 처리 장치(205)는, 기억 장치(203)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명령(중앙 처리 장치(201)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제외한다)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병렬 처리 장치(205)는, 제조 장치(10)로부터 보내진 원재료 또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재료 또는 당해 중간 생성물에 최적인 가공 조건을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고, 또한, 원재료, 중간 생성물 및 의료용 제품의 분석 결과를 자료로 하여 기계 학습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20)의 기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20)는, 입출력부(221)와 기억부(222)와 해석부(223)와 통신부(224)를 구비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중앙 관리 장치는, 도 5에 도시되는 중앙 관리 장치(20)의 기능부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중앙 관리 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기능부에 더하여, 중앙 관리 장치(20)의 내부에 있어서, 원재료, 중간 생성물 또는 의료용 제품의 샘플을 분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분석부, 및, 원재료 및 중간 생성물의 샘플을 가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가공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입출력부(221)는, 조작자로부터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 관한 지시 등을 수령하고, 또한, 조작자에게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221)는, 병렬 처리 장치(205)에 의한 기계 학습의 결과로서 특정의 제조 프로세스의 디자인 스페이스를 변경하는 선택지를 조작자에게 제시하고, 또한, 조작자에 의한 당해 특정의 제조 프로세스의 디자인 스페이스를 변경하기 위한 지시를 수령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입출력부(221)의 기능은, 도 4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201) 및 입출력 장치(204)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기억부(222)는,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기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222)는, 지금까지 복수의 제조 장치(10)로부터 보내져 온 원재료, 중간 생성물 및 의료용 제품의 분석 데이터, 및, 병렬 처리 장치(205)를 이용하여 결정된 원재료 및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가공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조작자로부터 특정의 제조 프로세스의 디자인 스페이스를 변경하기 위한 지시를 수령하였을 경우에 그것을 갱신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기억부(222)의 기능은, 도 4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201) 및 기억 장치(203)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해석부(223)는, 원재료 또는 중간 생성물에 대하여 최적인 가공 조건을 도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해석부(223)는, 제조 장치(10)로부터 원재료 또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보내져 왔을 경우에, 그 가공 조건을 결정하고, 또한, 원재료 또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데이터, 그것에 대한 가공 데이터, 및, 그 결과 얻어진 의료용 제품의 분석 데이터를 자료로 하여 기계 학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덧붙여, 해석부(223)의 기능은, 도 4에 도시되는 병렬 처리 장치(205)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통신부(224)는, 제조 장치(1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제조 장치(10)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24)는,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 및, 그것에 따라서 당해 원재료를 가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조 장치(10)로 송신하고, 또한, 제조 장치(10)가 송신하는 원재료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통신부(224)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처리 장치(201) 및 회선 종단 장치(202)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2 시스템의 시퀀스
도 6 ~ 9는,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각각의 시퀀스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관하여
우선,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분석이 행하여진다(S11). 덧붙여, 당해 분석으로서는, 예를 들어, 당해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크기, 색조, 중량, 세포 입도, 각종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률, 각종 유전자 발현량, 생세포수 혹은 생세포율의 측정, 발현 유전자 혹은 발현 단백의 정성 및 정량, 또는, 당해 원재료의 함유 약제 농도의 측정, 또는, 당해 원재료에 포함되는 병원 미생물 혹은 증식성 바이러스의 검출 및 동정(同定)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장치(10)는, 원재료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초기 분석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2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중앙 관리 장치(20)에 있어서, 초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재료의 가공 조건이 결정된다(S21). 덧붙여, 당해 가공 조건은, 미리 설정된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결정된다.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20)는,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초기 가공 데이터)를 제조 장치(1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초기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재료의 가공이 행하여진다(S12). 덧붙여, 당해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건조, 침지, 분산, 파쇄, 원심 분리(엘루트리에이션을 포함한다), 부착 혹은 자기 비즈에 의한 분리를 포함하는 각종의 세포 분리, 전기 천공법, 리포펙션법, 파티클 건법, 초음파법, 바이러스 벡터법을 이용하는 방법 혹은 이것들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의 유전자 도입, 각종 뉴클레아제를 이용한 유전자 개변, 배양, 가감압, 진탕, 진동의 조사, 초음파 조사, 자장 발생, 동결, 해동, 가온, 냉각, 배지의 전부 혹은 일부의 교환, 배양 용기 내 표면적의 조정, 배지의 양의 조절에 의한 세포 농도의 제어, 온도, 조도, 진동, 전류, 자장, 기압 및 분위기의 제어, 용매 혹은 첨가물의 추가, 또는, 무균적 충전을 들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에서는,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의료용 제품이 완성된다(S13).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별개로 설치된 제조 장치(10)와 가공 조건을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20)와 별개로 설치된 제조 장치(10)가 의료용 제품을 제조한다. 이것에 의하여, 의료용 제품의 제조 장소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그 결과,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경시 변화, 및, 수송 시의 진동의 영향 및 온도 변화 등의 주위 환경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저감하여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당해 의료용 제품은, 당해 의료용 제품을 사용하는 환자의 근처에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당해 의료용 제품을 구성하는 세포 또는 조직의 경시 변화, 및, 수송 시의 진동의 영향 및 온도 변화 등의 주위 환경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저감하여 당해 의료용 제품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원재료의 가공 조건이 당해 원재료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원재료에 최적인 가공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원재료에 개체차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소망하는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덧붙여,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의하여 제조되는 의료용 제품은, 「자가 제품」 및 「타가 제품」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무엇보다, 당해 의료용 제품이 「자가 제품」인 경우에는, 환자로부터 채집되는 세포 또는 조직(원재료)이 병상(病狀)이나 병태(病態)의 차이에 수반하여, 그 품질에 큰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여도,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당해 원재료의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공 조건이 결정되기 때문에, 정도(精度) 좋게 의료용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2) 도 7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관하여
우선,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분석(이하 「전자의 분석」이라고 한다.)뿐만 아니라, 그것을 제공한 사람 또는 동물로부터 채집되는 혈액 및 타액 등의 체액, 머리카락 등의 체모 및 손톱 등(본 단락에 있어서 「체액 등」이라고 한다.)의 분석(이하 「후자의 분석」이라고 한다.)이 행하여진다(S14). 덧붙여, 전자의 분석으로서는, 예를 들어, 세포 또는 조직의 크기, 색조, 중량, 세포 입도, 각종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률, 각종 유전자 발현량, 생세포수 또는 생세포율의 측정, 및, 발현 유전자의 분석, 및, 당해 원재료에 포함되는 병원 미생물의 검출 및 동정, 및, 증식성 바이러스의 검출 및 동정 등의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또한, 후자의 분석으로서는, 예를 들어, 세포 또는 조직의 성상, 조성, 약제 농도, 유전자 등의 분석, 및, 체액 등에 포함되는 증식성 바이러스의 검출 및 동정 등의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장치(10)는, 전자의 분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초기 분석 데이터) 및 후자의 분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임상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2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중앙 관리 장치(20)에 있어서, 초기 분석 데이터 및 임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재료의 가공 조건이 결정된다(S22). 덧붙여, 당해 가공 조건은, 미리 설정된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결정된다.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20)는,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초기 가공 데이터)를 제조 장치(1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되는 시퀀스에서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프로세스가 행하여지고(S12), 의료용 제품이 완성된다(S13).
도 7에 도시되는 시퀀스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이점을 구비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의하여 제조되는 의료용 제품은, 「자가 제품」 및 「타가 제품」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당해 의료용 제품이 「자가 제품」인 경우, 도 7에 도시되는 시퀀스에는 상술의 이점도 있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원재료의 가공 조건이, 당해 원재료의 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당해 원재료를 제공한 사람 또는 동물의 체액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원재료에 최적인 가공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원재료에 개체차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소망하는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3) 도 8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관하여
우선,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프로세스가 행하여지고(S11, S21 및 S12), 중간 생성물이 생성된다(S15).
그 다음으로, 중간 생성물의 분석이 행하여진다(S16). 덧붙여, 당해 분석으로서는, 예를 들어, 당해 중간 생성물에 있어서의 생세포수 또는 생세포율의 측정, 세포 표면 항원의 분석, 각종 발현 유전자의 분석, 각종 발현 유전자량의 분석,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농도, 및, 당해 중간 생성물에 포함되는 병원 미생물의 검출 및 동정, 및, 증식성 바이러스의 검출 및 동정 등의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장치(10)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중간 분석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2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중앙 관리 장치(20)에 있어서, 중간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이 결정된다(S23). 덧붙여, 당해 가공 조건은, 미리 설정된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결정된다.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20)는,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중간 가공 데이터)를 제조 장치(1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중간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간 생성물의 가공이 행하여진다(S17). 덧붙여, 당해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건조, 침지, 분산, 파쇄, 원심 분리(엘루트리에이션을 포함한다), 부착 혹은 자기 비즈에 의한 분리를 포함하는 각종의 세포 분리, 전기 천공법, 리포펙션법, 파티클 건법, 초음파법, 바이러스 벡터법을 이용하는 방법 혹은 이것들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의 유전자 도입, 각종 뉴클레아제를 이용한 유전자 개변, 배양, 가감압, 진탕, 진동의 조사, 초음파 조사, 자장 발생, 동결, 해동, 가온, 냉각, 배지의 전부 혹은 일부의 교환, 배양 용기 내 표면적의 조정, 배지의 양의 조절에 의한 세포 농도의 제어, 온도, 조도, 진동, 전류, 자장, 기압 및 분위기의 제어, 용매 혹은 첨가물의 추가, 또는, 무균적 충전을 들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시퀀스에서는,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의료용 제품이 완성된다(S13).
도 8에 도시되는 시퀀스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이점을 구비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의하여 제조되는 의료용 제품은, 「자가 제품」 및 「타가 제품」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당해 의료용 제품이 「자가 제품」인 경우, 도 8에 도시되는 시퀀스에는 상술의 이점도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의료용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가, 원재료의 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중간 생성물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중간 생성물에 있어서 최적인 가공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조 프로세스 중에, 중간 생성물의 성능 및 품질이 일탈하는 개연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도 9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관하여
우선,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프로세스가 행하여지고(S11, S21 및 S12), 의료용 제품이 완성된다(S13).
그 다음으로, 의료용 제품의 분석이 행하여진다(S17). 덧붙여, 당해 분석으로서는, 예를 들어, 당해 의료용 제품에 있어서의 생세포수 또는 생세포율의 측정, 세포 표면 항원의 분석, 각종 발현 유전자의 분석, 각종 발현 유전자량의 분석, 각종 세포 기능의 분석, 용매 중의 물질의 농도의 측정, 침투압의 측정, 세포의 형태 및 입도와 그 분포의 분석, 색조의 분석, 중량의 측정, 및, 당해 의료용 제품에 포함되는 병원 미생물의 검출 및 동정, 및, 증식성 바이러스의 검출 및 동정 등의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장치(10)는, 의료용 제품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최종 분석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2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중앙 관리 장치(20)에 있어서, 금회의 시퀀스에서 수신 또는 생성한 초기 분석 데이터, 초기 가공 데이터 및 최종 분석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한다(S24). 그리고, 새롭게 기억된 이러한 데이터는, 중앙 관리 장치(20)에 있어서의 기계 학습의 자료로서 이용된다(S25).
도 9에 도시되는 시퀀스는, 도 6에 도시되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이점을 구비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의하여 제조되는 의료용 제품은, 「자가 제품」 및 「타가 제품」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당해 의료용 제품이 「자가 제품」인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되는 시퀀스에는 상술의 이점도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중앙 관리 장치(20)가, 새롭게 얻어진 분석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기계 학습의 자료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중앙 관리 장치(20)에 축적되는 분석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의 수에 비례하여, 중앙 관리 장치(20)에 의하여 결정되는 가공 조건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조 프로세스 중에,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성능 및 품질이 일탈하는 개연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변형예에 관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시스템의 시퀀스는, 도 6 ~ 도 9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시퀀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 ~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스의 모두(S11 ~ S17 및 S21 ~ 25)를 행하는 시퀀스도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시스템의 시퀀스에 포함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중간 생성물의 분석 및 가공에 관한 프로세스(S16, S23 및 S17)를 복수 회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초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와,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원재료의 가공 조건으로서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화한 상기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초기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원재료를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
  2.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초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사람 또는 상기 동물의 임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와,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임상 데이터를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원재료의 가공 조건으로서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임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최적화한 상기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초기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원재료를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원재료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의 중간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중간 분석 데이터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으로서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중간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화한 상기 중간 생성물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중간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중간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중간 생성물을 가공하는, 제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원재료의 생세포수 및 생세포율의 적어도 일방(一方)을 측정하는, 제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세포 또는 상기 조직을 배양하는, 제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분석부 및 상기 가공부의 일방으로부터 상기 분석부 및 상기 가공부의 타방(他方)으로 상기 원재료를 수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제품은 자가(自家) 제품인, 제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원재료로부터 제조된 상기 의료용 제품의 최종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최종 분석 데이터를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록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상기 최종 분석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조 장치.
  9. 제8항에 기재된 제조 장치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조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 및 상기 최종 분석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하는 중앙 기억부와,
    복수의 상기 제조 장치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새롭게 생성된 최신의 초기 분석 데이터를 상기 대상 제조 장치가 송신하였을 경우에, 상기 중앙 기억부에 있어서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 및 상기 최종 분석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최신의 초기 분석 데이터에 최적인 최신의 초기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 해석부와,
    상기 최신의 초기 가공 데이터를 상기 대상 제조 장치로 송신하는 중앙 통신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중앙 관리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의료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장치가, 의료용 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의 초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조 장치가,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원재료의 가공 조건으로서 미리 정하여진 디자인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초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화한 상기 원재료의 가공 조건을 나타내는 초기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를 상기 제조 장치로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조 장치가, 상기 초기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원재료를 가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05687A 2017-08-30 2018-08-20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5283 2017-08-30
JPJP-P-2017-165283 2017-08-30
PCT/JP2018/030656 WO2019044559A1 (ja) 2017-08-30 2018-08-20 製造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781A true KR20200040781A (ko) 2020-04-20
KR102617342B1 KR102617342B1 (ko) 2023-12-27

Family

ID=6552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687A KR102617342B1 (ko) 2017-08-30 2018-08-20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574709B2 (ko)
EP (1) EP3678139A4 (ko)
JP (2) JPWO2019044559A1 (ko)
KR (1) KR102617342B1 (ko)
CN (1) CN111201025B (ko)
AU (1) AU2018326894A1 (ko)
SG (1) SG11202001704SA (ko)
WO (1) WO2019044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4576B2 (ja) * 2019-10-04 2024-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培養装置セットアップ方法、支援装置及び培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1825A (ja) * 2007-04-27 2008-11-1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培養槽に関する制御因子決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物質生産方法
US20100256816A1 (en) * 2004-05-06 2010-10-07 Popp Shane M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MES)
WO2015181966A1 (ja) * 2014-05-30 2015-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医薬品製造支援システム及び医薬品製造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6008724A (es) * 2004-02-03 2007-02-16 Xcellerex Llc Sistema y metodo para elaboracion.
US10085643B2 (en) * 2007-01-05 2018-10-02 Jadran Bandic Analytic methods of tissue evaluation
DE102008013073B4 (de) 2008-03-06 2011-02-03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lienelements und Folienelement
US9069345B2 (en) * 2009-01-23 2015-06-30 Mks Instruments, Inc. Controlling a manufacturing process with a multivariate model
JP2015100309A (ja) * 2013-11-25 2015-06-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自動培養システム及び細胞管理システム
GB201501326D0 (en) * 2015-01-27 2015-03-11 Optimal Ind Automa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process analytical technology system
CN106591115A (zh) * 2017-03-02 2017-04-26 深圳汇创联合自动化控制有限公司 一种生物发酵罐在线监测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6816A1 (en) * 2004-05-06 2010-10-07 Popp Shane M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MES)
JP2008271825A (ja) * 2007-04-27 2008-11-1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培養槽に関する制御因子決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物質生産方法
WO2015181966A1 (ja) * 2014-05-30 2015-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医薬品製造支援システム及び医薬品製造支援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psitz. Quality cell therapy manufacturing by design. Nature biotechnology. 2016.4, vol34, no.4, pp.393-400 1부.* *
Yonatan Y Lipsitz 외 2명 저, 「Quality cell therapy manufactureing by design」, nature biotechnology, 2016년 4월, 제34권, 제4호, p.393-4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4709B2 (en) 2023-02-07
JP2024038129A (ja) 2024-03-19
WO2019044559A1 (ja) 2019-03-07
EP3678139A1 (en) 2020-07-08
CN111201025B (zh) 2024-04-12
US20230162822A1 (en) 2023-05-25
EP3678139A4 (en) 2021-06-09
US20200402621A1 (en) 2020-12-24
KR102617342B1 (ko) 2023-12-27
JPWO2019044559A1 (ja) 2020-12-24
AU2018326894A1 (en) 2020-03-26
CN111201025A (zh) 2020-05-26
SG11202001704SA (en)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38129A (ja) 製造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138924A1 (en) Automated cell culture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Baylor The regulatory evaluation of vaccines for human use
Huang et al. Novel techniques and future perspective for investigating critical-size bone defects
KR102344774B1 (ko) 자극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 제어 기술 플랫폼
Balasubramanian et al. Co-clinical trials: an innovative drug development platform for cholangiocarcinoma
Kropp et al. GMP-grade manufacturing and quality control of a non-virally engineered 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Mastrorocco et al. Investigating and modelling an engineered millifluidic in vitro oocyte maturation system reproducing the physiological ovary environment in the sheep model
Buonanno et al. Microbeam irradiation of C. elegans nematode in microfluidic channels
van Vloten et al. Quantifying antibody responses induced by Antigen-Agnostic immunotherapies
Kulkarni et al. Modulation of homology-directed repair in T98G glioblastoma cells due to interactions between wildtype p53, Rad51 and HCMV IE1-72
BéruBé et al. Human lung tissue engineering: a critical tool for safer medicines
Hirai et al. Country-specific regulation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cell-based therapeutic product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Dream Impact of ATMP manufacturing on process equipment and facility design
Szabłowska-Gadomska et al. Microbiological Aspects of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of Adipose-Derived Stem Cell-Based Medicinal Products
Martinez et al. In vivo phage display as a biomarker discovery tool for the complex neural injury microenvironment
Clarke et al. The Evolving Role of Starting Materials in Cell and Gene Therapy
Taylor et al. The Evolving Role of Starting Materials in Cell and Gene Therapy
Oh et al. Gene Delivery and Analysis of Optogenetic Induction of Lytic Cell Death
McMahon-Cole et al. Modeling and Remodeling the Cell: How Digital Twins and HCMV Can Elucidate the Complex Interactions of Viral Latency, Epigenetic Regulation, and Immune Responses
Hao et al. Exploring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Human Germinal Vesicle Oocytes Aiming at Fertility Preservation: Can We Increase the Yields of Competent Oocytes through IVM Combined with Vitrification?
Seng et al. Induction and scoring of graft-versus-host disease in a xenogeneic murine model and quantification of human t cells in mouse tissues using digital pcr
Ross et al. Delivery of in vivo acute intermittent hypoxia in neonatal rodents to prime subventricular zone-derived neural progenitor cell cultures
Lu et al. Integrating Ataxia Evaluation into Tumor-Induced Hearing Loss Model to Comprehensively Study NF2-Related Schwannomatosis
Machietto et al. Author Spotlight: Advancements in CAR-T Cell Manufacturing and Gene Therapy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