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415A -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415A
KR20200040415A KR1020180120257A KR20180120257A KR20200040415A KR 20200040415 A KR20200040415 A KR 20200040415A KR 1020180120257 A KR1020180120257 A KR 1020180120257A KR 20180120257 A KR20180120257 A KR 20180120257A KR 20200040415 A KR20200040415 A KR 2020004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aramid
fiber
tent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840B1 (ko
Inventor
이병두
권춘근
김성용
안희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8012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8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염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둥근 반 실린더 형상의 상단 보호부 및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하단 보호부를 포함하여 복사열 방호뿐만 아니라 화염과 대류열에 대한 방호도 개선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of Flame Retardant Tent}
본 발명은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염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염텐트는 복사열을 반사하고 차가운 공기를 몇 분 동안 가두어 산불진화대원이 안에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방염텐트에 사용되는 방염시트는 유리섬유와 알루미늄 호일로 만들어져 복사열에는 방호가 가능하였지만 직접 화염에는 빠르게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복사열 방호뿐만 아니라 화염과 대류열에 대한 방호가 필요하며, 무게, 용적, 강도, 내구성이 강하고, 화재 시 독성이 발생하지 않는 방염시트의 적층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로 방염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둥근 반 실린더 형상의 상단 보호부 및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하단 보호부를 포함하여 복사열 방호뿐만 아니라 화염과 대류열에 대한 방호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난연 섬유 소재는 섬유자체가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전파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섬유로써, 섬유의 화재에 의한 질식을 막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는, 방염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둥근 반 실린더 형상의 상단 보호부 및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하단 보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단 보호부의 상기 반 실린더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 프레임, 상기 반원형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단 보호부의 측면을 방어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하단 보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하단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단 보호부는,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가 다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홀드다운 스트랩 및 상기 하단 보호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대지를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개의 스커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중 봉제 되는 솔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솔기부는, 내열 섬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염시트는, 화염과 접촉 시 복사열을 반사하는 복사열 반사층, 상기 복사열 반사층의 하단에 위치하며, 연쇄 연소 반응을 중단하는 난연 시트층 및 상기 난연 시트층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방염텐트 안의 재복사로부터의 발생된 열을 방호하는 재복사열 방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사열 반사층은,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호일이 접합된 알루미늄 복합시트이다.
여기서, 상기 난연 시트층은,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를 혼방시킨 혼방 섬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는, PAN 섬유를 섭씨 200~240도에서 산화시킨 후 1 N NaOH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시켜 제조되는 oxidized-PAN 섬유(oxy-PAN)이며,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시아노기(-CN)가 치환된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이다.
여기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20~26 g/d 수준의 인장강도인 파라 아라미드(p-Aramid)섬유와 열수축률이 섭씨 230~270도에서 0.001~0.99%인 메타 아라미드(m-Aramid)섬유가 혼방된다.
여기서, 상기 난연 시트층은,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와, 파라 아라미드(p-Aramid)섬유, 메타 아라미드(m-Aramid)섬유가 혼방된 것이고,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파라 아라미드 섬유는 40~60중량부이고, 상기 메타 아라미드 섬유는 40~60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복사열 반사층과 상기 난연 시트층이 접합한 두께는 1.0 내지 1.1mm이고, 중량은 210 내지 220g/㎡이다.
여기서, 상기 복사열 반사층, 상기 난연 시트층 및 상기 재복사열 방호층이 접합한 두께는 1.1 내지 1.2mm이고, 중량은 320 내지 330g/㎡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방염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둥근 반 실린더 형상의 상단 보호부 및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하단 보호부를 포함하여 복사열 방호뿐만 아니라 화염과 대류열에 대한 방호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난연 섬유 소재는 섬유자체가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전파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섬유로써, 섬유의 화재에 의한 질식을 막을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화염 직접 접촉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TPP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RPP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TPP+RPP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화상 예측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화재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공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10)는 보호부(100, 300),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10)는 방염 텐트를 효과적으로 전개하고 산불 진화 대원이 공간에서 화염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방염텐트는 산불진화대원이 산불진화 시 산불의 급속한 전파에 의해 화염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둘려 쌓였을 때 생명을 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된다. 방염텐트의 기능은 복사열을 반사하고 차가운 공기를 몇 분 동안 가둬 산불진화대원이 안에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보호부(100, 300)는 방염시트로 이루어진다.
방염시트는,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는 복사열 반사층(111), 난연 시트층(112), 재복사열 방호층(113)을 포함하여 알루미늄 호일과 부직포 등을 조합하여 성능을 우선시 한 기본형과 복사열 반사층(111), 난연 시트층(112)만을 포함하여, 전체 중량을 감소시킨 경량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보호부는 상단 보호부(100)와 하단 보호부(300)를 포함한다.
상단 보호부(100)는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둥근 반 실린더 형상이다.
종래의 방염텐트는 삼각형 모양의 텐트 형태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10)는 모서리가 둥근 반실린더 형태로 만들어졌다. 둥근 디자인은 표면 대 용적 비율을 감소시키고 방염텐트 내부의 충분한 용적을 확보하기 위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염텐트보다 가로는 좀 더 좁고, 세로는 좀 더 길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둥근 디자인을 이용하여 감소된 표면 대 용적비는 복사열을 흡수하는 표면이 적어서 방호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단 보호부(100)는 빠르게 펼칠 수 있도록 펼쳐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이며 진화대원이 핸들을 잡고 흔들면 방염텐트는 빠르게 펴진다. 또한 상단 보호부(100)는 머리 쪽의 구분을 없애 어느 방향으로도 펼칠 수 있고, 어느 방향에서도 누워서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보호부(100)의 웜반사 표면에는 어떠한 제품표지도 부착되지 않도록 재질을 마련할 수 있다.
하단 보호부(300)는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된다.
하단 보호부(300)는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어 땅에 바짝 붙어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북이처럼 기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외부가 안전해 질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구조는 신체가 복사열에 대해서는 노출을 적게 하고 차가운 대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노출이 가능케 한다. 얼굴을 대지에 밀착 할수록 차갑고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다.
하단 보호부(300)는 홀드다운 스트랩(310), 개구부(320), 스커트(330)를 포함한다.
보호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중 봉제 되는 솔기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솔기부는, 내열 섬유를 포함한다.
방염텐트의 윗부분을 가로지르는 솔기부(Seams)는 주요 쉘(Main shell)을 지지하며 바깥쪽 호일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한다. 방염텐트가 260 ℃에 도달하면 호일과 실리카를 부착한 접착제가 녹아내리고 층을 분리시킨다. 난류가 있는 조건에서는 호일이 찢기거나 벗겨질 수 있지만 솔기부는 호일 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부(320)는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개구부(320)는 하단 보호부(3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홀드다운 스트랩(310)은 개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가 다리를 끼워 넣을 수 있다. 홀드다운 스트랩(310)은 직선형으로 마련되어 양측면이 하단 보호부(300)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드다운 스트랩(310)은 산불진화대원이 산불과 함께 불어오는 난기류에 대해서 대지에서 방염텐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랩은 종래의 방염 텐트에서는 방염텐트의 개구부 쪽에 크로스 형태로 있었기 때문에 산불진화대원이 방염텐트를 전개하는데 방해가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 스트랩(310)은 개구부의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산불진화대원이 방염텐트를 전개할 때 손을 잘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커트(330)는 하단 보호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대지를 누를 수 있도록 다수개 마련된다.
방염텐트의 홀드 스트랩과 주변부의 스커트는 높은 바람에도 쉽게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스커트는 연기, 화염, 열의 침투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
프레임(200)은 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보호부를 지지한다.
프레임(200)은 반원형 프레임(210), 측면 프레임(220, 230), 하단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반원형 프레임(210)은 상단 보호부의 상기 반 실린더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반원형 프레임(210)은 상단 보호부의 형태를 유지하며, 양 끝은 하단 보호부(300)에 접합하여 대지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반원형 프레임(210)은 양측에 위치하는 프레임(211, 215), 중앙부에 위치하는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20, 230)은 반원형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단 보호부의 측면을 방어한다.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은, 상단 보호부의 측면에 반구 형태로 구부러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 보호부의 반 실린더 형상과 접합되는 접합 프레임(221, 231)과 접합 프레임(221, 231)으로부터 방사되는 형태로 구부러지는 다수개의 측면 프레임들(222, 223, 224, 232, 233)을 포함한다.
하단 프레임(240)은 하단 보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방염텐트를 단단히 쥐고 있을 수 있도록 방염텐트의 내부의 사용자의 손이 닿는 곳에 홀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는 전방에서 발생하는 화염 때문에 발생하는 강한 바람 때문에 방염텐트가 날아갈 위험에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은 겨울철 등 기온 변화 등에 변형되지 않으며, 내식성이 있고 녹 방지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텐트(10)는 방염텐트 안에 들어간 산불진화대원(20)이 완전히 엎드린 형태 또는 웅크린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둥근 디자인을 이용하여 감소된 표면 대 용적비는 복사열을 흡수하는 표면이 적어서 방호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단 보호부(100)는 빠르게 펼칠 수 있도록 펼쳐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이며 진화대원이 핸들을 잡고 흔들면 방염텐트는 빠르게 펴진다. 또한 상단 보호부(100)는 머리 쪽의 구분을 없애 어느 방향으로도 펼칠 수 있고, 어느 방향에서도 누워서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보호부(100)의 웜반사 표면에는 어떠한 제품표지도 부착되지 않도록 재질을 마련할 수 있다.
하단 보호부(300)는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된다.
하단 보호부(300)는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어 땅에 바짝 붙어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북이처럼 기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외부가 안전해 질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구조는 신체가 복사열에 대해서는 노출을 적게 하고 차가운 대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노출이 가능케 한다. 얼굴을 대지에 밀착 할수록 차갑고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다.
또한 길이(L)은 1200~2500mm, 너비(W)는 600~900mm, 높이(H)는 300~6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기본형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경량형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는 복사열 반사층(111), 난연 시트층(112), 재복사열 방호층(113)을 포함하여 알루미늄 호일과 부직포 등을 조합하여 성능을 우선시 한 기본형과 복사열 반사층(111), 난연 시트층(112)만을 포함하여, 전체 중량을 감소시킨 경량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는 산불 진화를 위한 산불 진화 대원용 안전장비에 사용되는 방염시트의 구조이다.
방염시트가 사용되는 방염텐트는 산불진화대원이 산불 진화 시 산불의 급속한 전파에 의해 화염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둘러 쌓였을 때 생명을 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된다.
방염텐트의 기능은 복사열을 반사하고 차가운 공기를 몇 분 동안 가둬 산불진화대원이 안에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복사열 반사층(111)은 화염과 접촉 시 복사열을 반사한다.
복사열 반사층(111)은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호일이 접합된 알루미늄 복합시트이다.
복사열 반사층(111)의 상부표면필름을 두께가 두꺼운 알루미늄계 복합펠트나 두께가 얇은 상부표면필름을 복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입사하는 복사열에 대해 높은 반사율을 발휘하여 1차적으로 열을 차단하고 또 상부표면필름의 반대면이 갖는 저방사 기능으로 인하여 상부표면필름이 단열재 내부로 방출하는 복사열을 50% 내지 많게는 90%까지 줄여서 화재 시 발생되는 강한 복사열에 의한 단열재의 가열속도를 획기적으로 지연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단열재의 내부구조를 보호하고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어서 화재발생시 단열재의 유지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됨은 물론 단열재의 난연성 시험조건에서도 보다 높은 등급의 난연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복사열 반사층(111)은 2층 이상의 복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난연 시트층(112)은 복사열 반사층의 하단에 위치하며, 연쇄 연소 반응을 중단한다.
난연 섬유 소재는 섬유 제품이 불꽃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타지만 불꽃을 제거하면 스스로 불꽃을 내면서 연소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하는 섬유소재이다.
섬유자체가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전파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섬유로써, 섬유의 화재에 의한 질식을 막을 수 있다.
난연 시트층(112)은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를 혼방시킨 혼방 섬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는, PAN 섬유를 섭씨 200~240도에서 산화시킨 후 1 N NaOH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시켜 제조되는 oxidized-PAN 섬유(oxy-PAN)이며, 아라미드 섬유는, 시아노기(-CN)가 치환된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아라미드 섬유는, 20~26 g/d 수준의 인장강도인 파라 아라미드(p-Aramid)섬유와 열수축률이 섭씨 230~270도에서 0.001~0.99%인 메타 아라미드(m-Aramid)섬유가 혼방된 것이다.
아라미드 직물의 원재료는 두 개의 방향족 고리에 직접 연결된 아미드기(-CONH-) 결합이 85% 이상인 방향족 폴리아미드로서, 메타 아라미드(m-Aramid) 섬유와 파라 아라미드(p-Aramid) 섬유로 구분된다.
파라 아라미드 섬유는 20~26 g/d 수준의 높은 인장강도와 460~1,100 g/d 수준의 인장 탄성률을 가지면서도 다른 초고강력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인해 초고강도 섬유 시장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슈퍼섬유이다. 이에 비해 메타 아라미드 섬유는 강도와 탄성률은 폴리에스터와 비교될 정도로 낮은 수준이지만 섭씨 250도에서 1,000시간 노출 뒤에도 70% 이상 강도를 유지하며, 열수축률이 1% 이하일 정도로 내열성과 치수안정성이 좋다.
난연 시트층은,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와, 파라 아라미드(p-Aramid)섬유, 메타 아라미드(m-Aramid)섬유가 혼방된 것이고,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파라 아라미드 섬유는 40~60중량부이고, 상기 메타 아라미드 섬유는 40~60중량부이다.
구체적으로, Oxidized PAN 50%와 m-Aramid 25%와 p-Aramid 25%로 혼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는 산화안정화공정에서 PAN 섬유에 붙은 작용기(산소)를 1000℃내외에서 열을 이용하여 분해하여 제조한다. 즉 C(탄소)로 이루어진 안정한 육각형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oxidized-PAN 섬유(oxy-PAN)는 일반 PAN 섬유를 섭씨 240도에서 산화시킨 후 1 N NaOH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시켜 제조된다. 가수분해에 의하여 -COOH 기를 포함한다.
난연 시트층은, 잔염, 잔진 2s 이하 용융, 적하, 분리잔해 발생이 없도록 한다.
알루미늄은 600도에서 용융되고 탄소섬유는 산소한계지수 95로 난연성이 있다. 아라미드도 29-30으로 난연성과 방염성이 있다.
재복사열 방호층(113)은 난연 시트층의 하단에 위치하며, 방염텐트 안의 재복사로부터의 발생된 열을 방호한다.
재복사열 방호층(113)은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호일이 접합된 알루미늄 복합시트이다.
상기 복사열 반사층, 상기 난연 시트층 및 상기 재복사열 방호층이 접합한 두께는 1.1 내지 1.2mm이고, 중량은 320 내지 3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연 시트층의 적어도 일부에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핫멜트 필름을 도포하여 상기 복사열 반사층과 접착되는 라미네이트 접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측면이 라미네이팅 된 방염시트에 패턴이 설계될 수 있다.
종래의 방염텐트에 사용되는 방염시트는 유리섬유와 알루미늄 호일로 만들어져 복사열에는 방호가 가능하였지만 직접 화염에는 빠르게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는 복사열 방호뿐만 아니라 화염과 대류열에 대한 방호도 개선하였다. 또한 무게, 용적, 강도, 내구성, 사용편의성, 잠재적인 독성까지도 고려하였다.
도 4 내지 도 10은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방염시트의 열적 방호성능을 평가한 것이다.
방염텐트 및 소방관용 보호복 등의 열적 방호성능 평가는 대류열에 대한 방호(TPP)와 복사열에 의한 방호(RPP)를 평가한다.
여기서, 국산, 북미산, 유럽산은 종래의 방염시트를 이용한 방염텐트로 시험한 것이며, 기본형, 경량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를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110)는 복사열 반사층(111), 난연 시트층(112), 재복사열 방호층(113)을 포함하여 알루미늄 호일과 부직포 등을 조합하여 성능을 우선시 한 기본형과 복사열 반사층(111), 난연 시트층(112)만을 포함하여, 전체 중량을 감소시킨 경량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화염 직접 접촉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화염 직접 접촉시험 (ISO 15025) 시험은 열 및 불꽃에 대한 보호복의 한계불꽃 확산속도시험방법으로서 소재에 직접 불꽃을 접염하여 10초 동안 노출시킨 후 방염성을 평가하는 시험방법이다. 여기서, 시험 결과는 값이 낮을수록 좋다.
원단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 중 화염을 직접 접촉하는 ISO 15025 시험결과는 국산 방염텐트가 잔염시간이 7.2초가 나왔으며 북미산 및 유럽산은 0초, 개발품 중 기본형은 1.9초, 경량형은 2.1초의 결과를 보여 국내산의 성능이 가장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개발품은 국내산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TPP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TPP(ISO 9151)은 보호복이 불꽃에 노출시 열 전달측정 시험방법으로서 원단에 대류열을 접촉하였을 때 열이 원단을 통과하여 원단 뒤쪽의 온도를 24 ℃까지 상승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가한다. 이것을 HTI(Heat Transfer Index)라고 하며 불꽃에 의한 열을 원단이 지연시키는 능력에 대한 등급을 정할 때 사용된다.
시험결과 대류열에 의한 방호를 평가하는 ISO 9151 시험에서는 국산 방염텐트기 6.5초, 북미산 11.5초, 유럽산 7.8초, 개발품 중 기본형이 12.5초 경량형이 10.7초로 기본형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RPP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RPP(ISO 6942)는 보호복이 복사열(40kw/㎡)원에 노출 시 재료 및 재료 구성품 평가시험방법으로서 원단에 복사열을 접촉하였을 때 열이 원단을 통과하여 원단 뒤쪽의 온도를 24 ℃까지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가한다. 이것을 RHTI(Radiant Heat Transfer Index)라고 하며 복사열에 의한 열을 원단이 지연시키는 능력에 대한 등급을 정할 때 사용된다.
시험결과 복사열에 대한 방호를 평가하는 ISO 6942시험에서는 국산 방염텐트가 112.6초, 북미산 125.3초 유럽산이 114.5초 개발품 중 기본형이 241.1초, 경량형이 217.1초로 기본형과 경량형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TPP+RPP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TPP+RPP(ISO 17492)는 보호복이 불꽃 및 복사열에 동시 노출시 열 투과성을 측정하는 시험방법으로서 원단에 대류열(불꽃) 및 복사열을 접촉하였을 때 열이 원단을 통과하여 원단 뒤쪽의 온도를 24 ℃까지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가한다. 이것을 HTI(Heat Transfer Index)라고 하며 대류열(불꽃) 및 복사열에 의한 열을 원단이 지연시키는 능력에 대한 등급을 정할 때 사용된다.
대류열과 복사열 모두에 대한 방호를 평가하는 ISO 17492시험에서는 국산 방염텐트가 8.6초 북미산이 15.5초 유럽산이 10.1초 개발품중 기본형이 16.9초 경량형이 7.5초로 기본형은 국내산 및 북미산, 유럽산에 비해 우수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화상 예측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a)는 국산, (b)는 북미산, (c)유럽산은 종래의 방염시트를 이용한 방염텐트로 시험한 것이며, (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방염시트를 이용한 것이다.
화상예측시험(ISO 13506)은 인체모형을 이용한 화상예측 시험방법으로서 인체를 모사한 마네킹에 122개의 센서를 장착하고 보호복 등을 입힌 마네킹에 84 kW/㎡의 열유속을 가했을 때 마네킹이 입는 화상의 예측정도를 추정하는 평가방법이다. 보통 인체의 전신을 100 %로 하여 2도 및 3도 화상을 입는 범위를 %로 나타낸다. 이것은 고온의 화 염에 노출되었을 때 원단이 화염으로부터 얼마나 보호 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척도의 하나로 사용된다.
실제 크기의 시험체와 마네킨을 이용한 화상예측시험에서는 국산 방염텐트가 전신에 2도 및 3도 화상을 입는 예측 비율이 88.0 %에 달했고 북미산은 0 %, 유럽산은 0%, 개발품 중 기본형은 0 %, 경량형은 33.3 %를 나타내어 국산 방염텐트가 가장 낮은 성능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발품 중에서 경량형은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두께를 줄인 결과로 기본형보다 화염에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국산이나 북미산, 유럽산, 방염텐트 개발품(기본형, 경량형)은 원단을 이용한 소재시험에서는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고온이 수반되는 화염시험에서는 성능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화염이 클수록 원단의 구성에 따른 차이가 성능을 좌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의 화재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방염시트가 적용된 방염텐트 내부의 온도변화 측정값이며 가연물에 착화한 후 5분 후에 방염텐트의 내부온도를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공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공정은 알루미늄, 내열원단 등을 라미네이팅 설비를 이용하여 서로 붙이고 이후 숙성 및 경화과정을 거쳐 방염텐트 원단을 만든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공정 방법은 난연 시트층을 제조하는 단계(S110)에서 시작한다.
단계 S120에서 난연 시트층의 일면을 복사열 반사층으로 라미네이팅 한다.
단계 S130에서 숙성 및 경화한다. 섭씨 160도에서 5시간 정도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40에서 난연 시트층의 타면을 재복사열 방호층으로 라미네이팅 한다.
단계 S150에서 숙성 및 경화한다. 섭씨 160도에서 5시간 정도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60에서 양측면이 라미네이팅 된 상기 방염시트에 패턴을 설계한다.
단계 S170에서 방염시트를 봉제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염시트 공정 방법은 종료된다.
단계 S130과 단계 S150에서 난연 시트층의 일면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는, 난연 시트층의 적어도 일부에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핫멜트 필름을 도포하여 상기 복사열 반사층을 접착한다.
경량형 제작의 경우 방염텐트 제조공정상에 있어서 라미네이팅시 접착방식을 전면도포방식에서 그라비아 방식을 통해 접착제 양을 총 130 ~ 150 gms 감소하여 80 ~ 90 gsm 정도로 한 경우 제품의 방염텐트 무게를 최소 200 g 경량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기본형보다 경량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방염텐트 제조 시 패턴 캐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적 텐트원단 패턴을 설계를 하면 방염텐트의 원단 소요량을 현용대비 약 20% 를 절감할 수 있다.
패턴은 방염텐트의 일정한 양식이나 유형, 기본 모형을 바탕으로 소재의 특성과 기타 요소를 고려하여 패턴을 설계한다.
방염텐트 원단을 라미네이팅시 전면접착방식에서 그라비아 접착방식으로 변경 시에 접착제 양을 줄이므로 전체중량에서 약 200 g 정도 경량화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100: 상단 보호부
110: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
200: 프레임
300: 하단 보호부

Claims (11)

  1. 방염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둥근 반 실린더 형상의 상단 보호부; 및
    대지에 대하여 평평하게 마련되는 하단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단 보호부의 상기 반 실린더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 프레임;
    상기 반원형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단 보호부의 측면을 방어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하단 보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하단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보호부는,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가 다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홀드다운 스트랩; 및
    상기 하단 보호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대지를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개의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중 봉제 되는 솔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솔기부는, 내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시트는,
    화염과 접촉 시 복사열을 반사하는 복사열 반사층;
    상기 복사열 반사층의 하단에 위치하며, 연쇄 연소 반응을 중단하는 난연 시트층; 및
    상기 난연 시트층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방염텐트 안의 재복사로부터의 발생된 열을 방호하는 재복사열 방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사열 반사층은,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호일이 접합된 알루미늄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시트층은,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를 혼방시킨 혼방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는,
    PAN 섬유를 섭씨 200~240도에서 산화시킨 후 1 N NaOH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시켜 제조되는 oxidized-PAN 섬유(oxy-PAN)이며,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시아노기(-CN)가 치환된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20~26 g/d 수준의 인장강도인 파라 아라미드(p-Aramid)섬유와 열수축률이 섭씨 230~270도에서 0.001~0.99%인 메타 아라미드(m-Aramid)섬유가 혼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시트층은,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와, 파라 아라미드(p-Aramid)섬유, 메타 아라미드(m-Aramid)섬유가 혼방된 것이고, 상기 산화 안정화된 PAN 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파라 아라미드 섬유는 40~60중량부이고, 상기 메타 아라미드 섬유는 40~6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 반사층과 상기 난연 시트층이 접합한 두께는 1.0 내지 1.1mm이고, 중량은 210 내지 22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 반사층, 상기 난연 시트층 및 상기 재복사열 방호층이 접합한 두께는 1.1 내지 1.2mm이고, 중량은 320 내지 33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1020180120257A 2018-10-10 2018-10-10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10225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57A KR102257840B1 (ko) 2018-10-10 2018-10-10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57A KR102257840B1 (ko) 2018-10-10 2018-10-10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15A true KR20200040415A (ko) 2020-04-20
KR102257840B1 KR102257840B1 (ko) 2021-05-28

Family

ID=7046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257A KR102257840B1 (ko) 2018-10-10 2018-10-10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57B1 (ko) * 2022-08-30 2023-02-06 한승욱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7232A1 (en) * 2002-11-01 2004-05-06 Anderson Leslie Leah Radiant and convective heat resistant materials and emergency fire shelter made therefrom
KR20130001464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솔루에타 내열성이 우수한 내화 담요 및 그 제조방법
JP2016504209A (ja) * 2012-11-06 2016-02-1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motor Company 高耐熱吸遮音材の成形方法
KR101651229B1 (ko) * 2015-04-22 2016-08-25 주식회사 백일 댐퍼용 복합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5524A (ko) * 2014-09-29 2017-06-13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섬유의 열 안정화 방법 및 상기 유형의 안정화된 섬유
KR20170071705A (ko) * 2015-12-16 2017-06-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시아노기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섬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7232A1 (en) * 2002-11-01 2004-05-06 Anderson Leslie Leah Radiant and convective heat resistant materials and emergency fire shelter made therefrom
KR20130001464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솔루에타 내열성이 우수한 내화 담요 및 그 제조방법
JP2016504209A (ja) * 2012-11-06 2016-02-1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motor Company 高耐熱吸遮音材の成形方法
KR20170065524A (ko) * 2014-09-29 2017-06-13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섬유의 열 안정화 방법 및 상기 유형의 안정화된 섬유
KR101651229B1 (ko) * 2015-04-22 2016-08-25 주식회사 백일 댐퍼용 복합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1705A (ko) * 2015-12-16 2017-06-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시아노기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섬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57B1 (ko) * 2022-08-30 2023-02-06 한승욱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840B1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579B1 (ko) 내화성 라미네이트 및 이로 제조된 물품
US20090258180A1 (en) Layered thermally-insulating fabric with an insulating core
KR102430639B1 (ko) 난연성 복합 물품 및 방법
AU2001241491B2 (en) Firefighting garment
US6102128A (en) Fire-resistant blanket
US20090209155A1 (en) Layered thermally-insulating fabric with thin heat reflective and heat distributing core
US20120260396A1 (en) Protective clothing having a thermally reflective liner
JP2011505501A (ja) 火傷防止材料
US5948708A (en) Vapor protection suit and fabric having flash fire resistance
JP2011505881A (ja) 特に高視認性衣類のための難燃性材料を用いる材料構造
CN105101825A (zh) 由湿气不敏感型热保护材料制备的服装
TW202035207A (zh) 機車遮蓋物
EP3402355A1 (en) Improved flame resistant thermal liners and garments made with same
KR102257840B1 (ko)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CN110770378A (zh) 绝热和防火材料及其开发方法
AU2005200963B2 (en) Firefighting garment
KR102126797B1 (ko) 방염시트 적층 구조체
PT2186428E (pt) Estrutura de um tecido para um vestuário de proteção
AU3297702A (en) Protective fire blanket
JP2007077537A (ja) 耐熱性布帛及びそれからなる耐熱性防護服
Holmes Textiles for survival
JP3171957U (ja) 防火服
CN207072149U (zh) 防火纤维材料民俗多功能毯
CN213432695U (zh) 一种折叠式防火毯
Mehta et al. Development of a new fire services wool tun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