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57B1 -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 Google Patents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57B1
KR102496157B1 KR1020220109333A KR20220109333A KR102496157B1 KR 102496157 B1 KR102496157 B1 KR 102496157B1 KR 1020220109333 A KR1020220109333 A KR 1020220109333A KR 20220109333 A KR20220109333 A KR 20220109333A KR 102496157 B1 KR102496157 B1 KR 10249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layer
flame
retardant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욱
Original Assignee
한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욱 filed Critical 한승욱
Priority to KR102022010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06M2101/36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는, 알루미늄 증착층과 아라미드 섬유층 및 에어포켓으로 형성된 방염층을 삼중으로 구성하여 높은 방염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는, 방염 재질로써 전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방염시트; 및 방염시트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방염시트는, 직사각형으로 일단 및 타단은 반원형으로 연장되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배치되는 상부보호시트; 및 상부보호시트의 대응 형상으로 중심에 개구부 형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보호시트와 테두리 결합되며 지면을 향해 배치되는 하부보호시트;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보호시트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아라미드 섬유층 위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이되, 제1 알루미늄 증착층과 제1 아라미드 섬유층이 적층되는 제1 방염층; 및 제2 알루미늄 증착층과 제2 아라미드 섬유층이 적층되는 제2 방염층;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포켓을 포함하며,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이 각 보호시트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이중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022년도 정부(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재원의 경기도 섬유(피혁)기업 사업화 촉진 기술개발사업에 따라 연구된 결과물에 관한 것이다.(과제번호 : D2222037, 과제명 : 국내산 고기능성 소재를 활용하여 복사열 및 화염에 대한 방호성능이 우수한 3중 구조 에어포켓 방화텐트 개발)

Description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A Fire Shelter with a Triple Structure Air Pocket}
본 발명은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전신을 수용하여 화염에 의한 사고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인명구조용 방염 텐트로써, 상부의 알루미늄 증착층과 하부의 아라미드 섬유층으로 적층된 방염층이 상층의 제1방염층과 하층의 제2방염층, 및 그 사이의 에어포켓의 삼중 구조 중첩 형성되고, 상기 삼중 중첩 방염층으로 상부보호시트와 하부보호시트로 구성된 방염 텐트를 형성하여 방염 효과를 향상시키며, 제1방염층과 제2방염층 사이에는 각 방염층을 연결하며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부착부가 구비되어 화재로 인해 각 방염층 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상부보호시트의 양 단은 반원형 테두리에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의 양 반지름을 이어붙이며 봉제하는 직립봉제라인이 형성되어 전신 수용 후 지면에 엎드린 상태에서 상부보호시트의 양 단을 지면으로부터 직립되게 함으로써 방염 텐트 내의 전신 수용공간 및 공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화재현장에 있는 생존자는 소방관 등의 인명구조 손길이 미치기 전까지 스스로 화염의 피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방염텐트는 화재 발생 시 사람을 수용하고 화염으로부터 사람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구조 요청자는 방염텐트 안에 몸을 넣고 텐트와 함께 지면에 엎드려 밀착함으로써 외부 화염이 텐트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인명구조 활동이 이뤄지기 전까지 최대한 화염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방염텐트는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직접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고온의 복사열을 역반사 시켜 방염텐트 내의 사람이 화염의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의 방염텐트는 일반적으로 유리섬유와 알루미늄 호일로 만들어져 복사열에 대한 방호는 가능한 반면 화염에 빠르게 손상되어 구조 요청자를 오랜 시간 보호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이의 보완을 위해 방염텐트의 재질을 고내열성의 두껍고 무거운 소재로 사용하면 무게와 부피가 높아지게 되어 휴대성이 저하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큰 제약이 따르게 되어 효용성이 떨어진다.
이의 대안으로 얇은 알루미늄 방호층의 시트를 이중으로 중첩한 후 봉제하여 방호 효과를 높이는 방식의 방염텐트가 제시된 바 있으나, 화재 현장에서 실제 화염에 접하게 되면 이중 시트의 봉제가 녹거나 끊어져 풀어짐으로써 이중 방호의 기능이 저감되고 오히려 구조 요청자의 안전에 역효과를 일으키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염 텐트는 설치와 피난의 방법이 복잡하여 사용을 위해 텐트를 펼치는 데 상당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위급 상황 시 긴박하게 정확히 사용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있었다.
게다가 방염 텐트가 유연성 재질로 제작되므로 전신을 수용하고 엎드렸을 때 방염텐트도 함께 신체에 밀착되면서 낮아지므로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매우 제한적인데다 방염 텐트 내에 산소량이 부족해져 호흡 곤란까지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방염 기능은 더욱 향상되면서, 방염 텐트 내에서 최대한 장시간 안전하게 머무르면서 구조활동을 대기하여 원활한 인명구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염 텐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5784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부의 알루미늄 증착층과 하부의 아라미드 섬유층으로 적층된 방염층이 상층의 제1방염층과 하층의 제2방염층, 및 그 사이의 에어포켓의 삼중 구조 중첩 형성되고, 상기 삼중 중첩 방염층으로 상부보호시트와 하부보호시트로 구성된 방염 텐트를 형성하여 방염 효과를 향상시키며, 제1방염층과 제2방염층 사이에는 각 방염층을 연결하며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부착부가 구비되어 화재로 인해 각 방염층 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상부보호시트의 양 단은 반원형 테두리에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의 양 반지름을 이어붙이며 봉제하는 직립봉제라인이 형성되어 전신 수용 후 지면에 엎드린 상태에서 상부보호시트의 양 단을 지면으로부터 직립되게 함으로써 방염 텐트 내의 전신 수용공간 및 공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재 발생 시 전신을 수용하여 화염에 의한 사고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인명구조용 방염 텐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는, 방염 재질로써 전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방염시트; 및 방염시트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방염시트는, 직사각형으로 일단 및 타단은 반원형으로 연장되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배치되는 상부보호시트; 및 상부보호시트의 대응 형상으로 중심에 개구부 형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보호시트와 테두리 결합되며 지면을 향해 배치되는 하부보호시트;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보호시트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아라미드 섬유층 위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이되, 제1 알루미늄 증착층과 제1 아라미드 섬유층이 적층되는 제1 방염층; 및 제2 알루미늄 증착층과 제2 아라미드 섬유층이 적층되는 제2 방염층; 및 제1 방염층과 제2 방염층 사이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며,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이 각 보호시트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삼중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는, 반원형 테두리로부터 내측 중앙을 향해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의 양 반지름을 이어붙이며 형성되는 직립봉제라인;을 더 포함하고, 직립봉제라인은 전단 내지 후단지지부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여 방염시트 내부 수용공간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을 연결하는 다수의 부착부;를 더 포함하되, 부착부는, 소정 너비와 길이의 방염 재질 직선형 밴드 형상으로, 일단은 제1 아라미드 섬유층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2 알루미늄 증착층에 부착되면서,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이 상호 밀착되거나 이격될 때 부착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소정 간격 초과 이격 및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는, 중심부에 너비 방향으로 통공 형성되는 부착공;을 더 포함하고, 방염시트는, 방염끈으로써 제1 방염층과 제2 방염층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착공을 연속 관통하며 일단은 제1 방염층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제2 방염층 내측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공간확장라인; 공간확장라인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확장패드; 및 각 확장패드에 대향되도록 제1 방염층 외표면과 제2 방염층 내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확장패드를 탈부착하는 복수의 패드벨크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은 끈 형태로써 제1 아라미드 섬유층에 부착되고 타측은 원형 고리로써 부착공 일측에 대향되는 다수의 제1 고리; 및 일측은 끈 형태로써 제2 알루미늄 증착층에 부착되고 타측은 원형 고리로써 부착공 타측에 대향되는 다수의 제2 고리;를 더 포함하여, 공간확장라인이 제1 고리, 부착공 및 제2고리를 연속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알루미늄 증착층과 아라미드 섬유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 방염층이 제1 및 제2 방염층, 및 에어포켓층으로 나란히 삼중 중첩되어 방염시트를 형성함으로써 방염 효과가 극대화 되어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둘째, 상부보호시트의 전단 및 후단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부채꼴의 절개부로 절개된 후 양 반지름을 이어붙이며 봉제되어 직립봉제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방염텐트를 뒤집어쓰고 지면에 엎드렸을 시 상부보호시트의 전단과 후단은 직립봉제라인에 의해 직립될 수 있는 지지력이 발생하여 상부보호시트가 전신에 밀착되는 것을 막고 방염 텐트 내에 산소 함유량이 증대된다.
셋째, 제1 방염층과 제2 방염층은 다수의 부착부로 연결되어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재 피난 시 화염에 의해 복수의 방염층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염층이 훼손되어 인체가 화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제1 방염층과 제2 방염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보호시트의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공간확장라인이 구비되어, 화염 대피공간이 넓은 경우에는 공간확장라인을 풀어 당김으로써 제1 내지 제2 방염층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하여 방염층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방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의 형태 및 사용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보호시트 및 하부보호시트 각각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 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 그리고 절개부 및 직립봉제라인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라인, 확장패드 및 패드벨크로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의 형태 및 사용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보호시트 및 하부보호시트 각각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 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 그리고 절개부 및 직립봉제라인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라인, 확장패드 및 패드벨크로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10)는 방염 재질로써 전신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 방염시트(100)와 방염시트(100)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구 형성되는 손잡이(200)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염시트(100)는 상부보호시트(110) 및 하부보호시트(120)로 구성되어 각 보호시트 사이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면서 사람이 들어가 전신을 숨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바람직하게는 양 팔을 벌려서 잡을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보호시트(110)와 하부보호시트(120)가 접합된 측면 봉제선에 맞춰 부착될 수 있다.
상부보호시트(110)는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일단 및 타단은 반원형으로 연장되면서 각각 전단지지부(111) 및 후단지지부(11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마치 육상 트랙과 같은 타원 형상을 갖출 수 있다.
상부보호시트(110)는 사람이 들어가 지면에 엎드렸을 때 상부, 즉 화염에 대향되는 외부를 향해 배치되며, 하부보호시트(120)는 지면을 향해 배치된다.
하부보호시트(120)는 상부보호시트(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보호시트(110)와 테두리가 봉제되어 결합되면서 각 보호시트 사이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하부보호시트(120)의 중심에는 타원형의 출입구(121)가 사람이 몸을 숙여 출입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써 상부보호시트(110) 및 하부보호시트(120)는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그 사이의 에어포켓이 중첩되는 삼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각 방염층(130,140)은 알루미늄 증착층이 아라미드 섬유층 위에 겹치면서 배치되는 적층 구조로써, 제1 방염층(130)은 제1 알루미늄 증착층(131)과 제1 아라미드 섬유층(132)이 적층되고, 제2 방염층(140)은 제2 알루미늄 증착층(141)과 제2 아라미드 섬유층(142)이 적층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각 보호시트(110,120)는 화염에 대향되는 외측에서 수용공간(101)에 접하는 내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및 그 사이에 에어포켓이 적층됨으로써, 제1 알루미늄 증착층(131), 제1 아라미드 섬유층(132), 에어포켓, 제2 알루미늄 증착층(141), 제2 아라미드 섬유층(142)이 순서대로 중첩되면서 각 방염층의 이중 구조, 그리고 방염층의 복수 중첩에 따른 삼중 구조를 모두 가지게 된다.
알루미늄 증착층(131,141)은 반사체로서 복사열, 화염 및 금속 용융물에 대한 피해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알루미늄 증착층(131,141)은, 연질 테프론(e-PTF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하이브리드(hybrid) 필름 위에 알루미늄 입자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폴리머 수지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일 수 있다.
연질 테프론 하이브리드 필름은 싱글 타입(single type)의 연질 테프론 필름에 PU(폴리우레탄)를 합포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PU는 바람직하게 바이오(bio)-PU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연질 테프론 하이브리드 필름은 종래의 기능성 필름(예: PET 필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석유계 PU 필름이 가지는 약한 저온 내구성과 PTFE 필름의 약한 고온 내구성을 동시에 보완활 수 있다.
또한, 연질 테프론 하이브리드 필름(121)은, 종래의 PTFE 필름의 단점인 신축성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면서, PTFE 필름의 장점인 발수성 및 코팅 내구성은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금속 반사층은 PET 필름 위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형성하는데 이 경우 굴곡 시 금속 반사층에 크랙이 발생하여 복사열 등에 대한 내열성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던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연질 테프론 하이브리드 필름 위에 알루미늄 입자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증착하여 형성되는 알루미늄 증착층은, 굴곡 시 크랙이 쉽게 발생하여 복사열 등의 내열성이 급격히 감소되는 종래의 금속반사층과는 달리 우수한 내마모성과 유연성 및 내굴곡성을 가지게 되어 굴곡시 크랙 또는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층(131,141)의 적외선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증착 시 구조설계 및 입자배향(orientation) 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알루미늄 입자의 형상(com, flake, doller), 크기 및 입도 분포 등을 적절히 한정할 수 있다.
아라미드 섬유층(132,142)은 고내열 및 난연성의 특성을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지고, 알루미늄 증착층에 의해 차단된 복사열 중 잔열과 화염을 최종적으로 차단하여 방열 구조체(100)의 안쪽에 위치하는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아라미드 고내열 섬유를 활용한 고밀도 직물로 아라미드 섬유층(132,142)을 형성할 수 있는데, 직물의 밀도는 원사의 섬도(굵기), 가연(꼬임수) 및 직물의 조직(fabric pattern) 등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아라미드 섬유층(132,142) 위에 배치되는 알루미늄 증착층(131,141)을 아라미드 섬유층(132,142) 상에 효과적으로 라미네이팅하기 위해서는 직물의 단면적 당 교차점 수, 공극 수 및 원사 배열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아라미드는 고리화합물(벤젠고리로 구성된 유기화합물)이 85% 이상 함유된 폴리아미드(Polyamide)섬유로서, 인장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하며 고강력, 고탄성률이 특징이다.
아라미드 섬유층(132,142)과 알루미늄 증착층(131,141) 사이에는 고내열성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미도시)이 배치되어 아라미드 섬유층(132,142)과 알루미늄 증착증(131,141) 사이에 접착 상태를 원활히 하고 오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단지지부(111) 및 후단지지부(112)는 상부보호시트(110)의 직사각형 전단 및 후단에 반원형으로 연장 형성된 부위인데, 반원형 테두리로부터 내측 중앙을 향해서 부채꼴의 절개부(111b,112b)가 다수 형성된 후 절개부(111b,112b)의 양 반지름을 이어붙여 봉제함으로써 다수의 직립봉제라인(111a,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직립봉제라인(111a,112a)은 전단지지부(111) 및 후단지지부(112)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부보호시트(110)의 전단 및 후단의 반원형 곡면 구간을 양 측에서 당기면서 봉제되기 때문에 전단 및 후단이 평평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되며 직립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수의 직립봉제라인(111a,112a)으로 인해 상부보호시트(110)의 전단지지부(111) 및 후단지지부(112)는 지면에 맞닿는 하부보호시트(120)에 이격되면서 일종의 기둥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방염시트(100)의 내부 수용공간(101)을 확장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로써 사람이 방염텐트 내에 들어갔을 때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여유 공간이 생겨 호흡을 할 수 있는 공기를 한층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머리와 발이 움직일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염층(130) 및 제2 방염층(140) 각각은 알루미늄 증착층(131,141)과 아라미드 섬유층(132,142)이 접착된 상태로 구성되나, 각 방염층(130,140) 간에는 봉제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지니며 별도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각 방염층(130,14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부착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부착부(150)는 방염 재질로써 소정 너비와 길이를 지니는 직선형 밴드 형상일 수 있으며, 일단은 제1 아라미드 섬유층(132)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2 알루미늄 증착층(141)에 부착 고정되면서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을 연결할 수 있다.
부착부(150)는 접히고 펼침이 원활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이 맞닿아 밀착될 때는 접혔다가, 상부보호시트(110)가 펼쳐지면 부착부(15)도 함께 펼쳐지면서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가 이격되는데 다만 부착부(150)의 길이만큼만 이격될 수 있어,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이 소정 간격을 초과 이격하거나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착부(150)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써 화염 현장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10)의 수용공간(101)에 들어가 화염을 피하게 될 때 화염에 의해 텐트가 훼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종래 발명의 방염 텐트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증착층과 같은 복사열 방지층과 본 발명의 아라미드와 같은 섬유층이 서로 봉제되어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복사열 방지층과 섬유층이 이중 결합되면서 봉제 결합되는 등의 형태로 구성되었는데, 화재 현장에서 화염에 노출되면 봉제 결합선이 고온의 열기에 의해 훼손되면서 풀림이 발생하여 복사열 방지층과 섬유층이 분리되거나, 이중 구조 결합된 각 층간이 분리되어 너덜너덜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서, 방염텐트가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대피자를 감싸지 못하게 되므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부착부(150)는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에 단단히 결합된 상태로써 화염에도 풀리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이고, 다수의 부착부(150)가 각 방염층(130,140) 사이에 다수 지점에서 상호 연결하고 있으므로 화재 현장에서 고온에 노출되어 설사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간 봉제선이 풀려 너덜거리게 되더라도 다수의 부착부(150)에 의해 방염층(130,140) 간 결합상태가 유지되면서 대피자를 보호하는 이중 구조 방염층 또한 그대로 유지되면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추가 실시예로써 공간확장라인(160), 확장패드(161) 및 패드벨크로(1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추가 실시예에 있어 부착부(150)는 중심부에 너비 방향으로 통공 형성되는 부착공(1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확장라인(160)은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착공(151)을 연속하여 관통하며, 일단은 수용공간(101) 일측 선단에 이르러 제1 방염층(130) 외측으로 연결되면서 노출되고, 타단은 수용공간(101) 타측 선단에 이르러 제2 방염측 내측 수용공간(101)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확장패드(161)는 공간확장라인(16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데, 일 실시예로써 실패와 벨크로 갈고리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공간확장라인(16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확장패드(161)의 실패 부위에 고정 결합된 후 여분의 라인이 감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패드벨크로(162)는 각 확장패드(161)에 대향되도록 제1 방염층(130) 외표면과 제2 방염층(140) 내표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벨크로 걸림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확장패드(161)를 탈부착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공간확장라인(160) 일단의 확장패드(161)는 제1 방염층(130) 외표면의 패드벨크로(162)에 부착되고, 공간확장라인(160) 타단의 확장패드(161)는 제2 방염층(140) 내표면의 패드벨크로(162)에 부착되며, 각 확장패드(161)에는 공간확장라인(160)이 실패 부위에 감긴 상태로 구비되고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은 서로 밀착 접촉된 상태여서, 공간확장라인(160)은 팽팽한 상태이고 상부보호시트(110)는 최대한 얇고 납작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제 위급상황으로써 화재 발생 현장에서 본 발명의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10)를 사용하게 될 때 대피자가 방염 텐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여유공간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보호시트(110)가 얇고 확장패드(161)가 패드벨크로(162)에 부착된 상태 그대로 수용공간(101)에 몸을 수용시킨 후 지면에 엎드려 방염 텐트 모양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주위 공간에 여유가 있어서 방염 텐트의 부피가 더 커져도 괜찮은 지점이라면 사용자는 우선 손잡이(200)를 잡고 상부보호시트(110)을 펼치고 난 후, 복수의 확장패드(161)를 손에 잡고 각 패드벨크로(162)에서 분리한 뒤 양 팔을 벌려 강하게 털어내면서 확장패드(161)에 묶인 공간확장라인(160)이 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공간확장라인(160)이 확장패드(161)의 실패 부위에서 풀어지면서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상부보호시트(110)에 털어내는 힘이 가해지면서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에는 각각 외측과 내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힘이 작용되므로, 각 방염층(130,140) 사이에는 부착부(150)의 최대 길이 만큼 최대한의 이격 공간이 확보되고 따라서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확장패드(161)를 패드벨크로(162)에 붙인 뒤 출입구(121)를 통해 수용공간(101)에 들어간 후 방염시트(100)를 뒤집어쓴 채 지면에 엎드리면, 상부보호시트(110)는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방염 효과는 더욱 높아지게 되고 대피자는 호흡할 수 있는 공기량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산에서 화재로 고립되어 본 발명의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10)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 대피자 주위에 나뭇가지가 우거져 공간 확보가 여의치 않다면 공간확장라인(160) 사용 없이 그대로 방염 텐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주위에 장애물이 없고 소정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면 공간확장라인(160)을 풀어 상부보호시트(110)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한 뒤 보다 안전한 조건에서 방염 텐트를 사용함으로써 화염 대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라 공간확장라인(160)이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에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제1 고리(133)와 제2 고리(143)가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리(133) 및 제2 고리(143)는 방염 재질로써 일측은 끈 형태이고 타측은 원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는데, 일측 끈 부분은 방염층에 부착되고 원형고리에는 공간확장라인(160)이 통과될 수 있다.
즉 제1 고리(133)는 일측 끈 부분이 제1 아라미드 섬유층(132)에 부착되고 타측 고리 부분은 부착공(151) 일측에 대향되어 구비되고, 제2 고리(143)는 일측 끈 부분이 제2 알루미늄 증착층(141)에 부착되고 타측 고리 부분은 부착공(151) 타측에 대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고리(133), 부착부(150), 제2 고리(143)가 연속 배치된 형상으로 상부보호시트(110)의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에 다수 구비되고, 공간확장라인(160)은 각 방염층 사이의 다수 지점에서 제1 고리(133), 부착공(151), 제2 고리(143)를 연속으로 관통하면서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확장라인(160)이 상부보호시트(110)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더욱 공고히 하고 연결된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정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확장패드(161)를 잡고 상부보호시트(110)를 확장시켰을 때 공간확장라인(160)이 일정한 영역을 유지하면서 상부보호시트(110)가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10)는 알루미늄 증착층(131,141)과 아라미드 섬유층(132,142)이 적층된 방염층(130,140)이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의 이중 구조를 이루면서 상부보호시트(110)와 하부보호시트(120)를 형성하고 각 방염층(130,140) 간 공기층이 형성되어 방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염 텐트는 유연한 재질로써 상부보호시트(110)와 하부보호시트(120)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접는선이 각각 구비되어 방염 텐트(10)를 일측에서부터 차곡차곡 접으면 최소한의 부피로 줄어들게 되며 작은 가방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손잡이(200)는 가방의 투입구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텐트 가방에서 방염 텐트(10)의 손잡이(200)를 잡고 가방을 분리한 뒤 양 손으로 두 개의 손잡이(200)를 각각 잡고 전방을 향해 강하게 탁 털어내면서 방염시트(100)를 펼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보호시트(12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출입구(121)를 등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전단지지부(111)를 손으로 잡고 머리 위로 향하게 한 후 뒤로 물러나듯이 출입구(121) 안으로 두 발을 넣고 이후 전단지지부(111) 내측 수용공간(101)으로 머리를 넣는다.
이렇게 수용공간(101)으로 들어가고 난 뒤 대피자는 하부보호시트(120)를 잡은 상태 그대로 바닥에 엎드려 출입구(121)가 지면에 밀착되게 하면 상부보호시트(110)는 대피자의 등 뒤에서 화염으로부터 대피자를 보호하고, 하부보호시트(120)는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 화염이 텐트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면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때 전단지지부(111)와 후단지지부(112)는 직립봉제라인(111a,112a)에 의해 소정 각도까지는 직립되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상부보호시트(110)는 하부보호시트(120)에 이격되면서 수용공간(101)을 원활히 형성하게 되고 특히 머리와 발을 수용하기가 수월해지면서, 웅크리고 엎드린 채 화염을 피하는 상황에서도 최대한 편안한 자세와 장시간 편안한 호흡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공간확장라인(160)이 구비된 경우라면 대피자는 주변의 공간을 살펴보고 여유공간을 확보한 뒤 확장패드(161)를 잡고 패드벨크로(162)에서 떼어낸 뒤 전방을 향해 강하게 방염시트(100)를 털어내듯 펼치게 되면 상부보호시트(110)의 부피가 확장되면서 내부에는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확장라인(160)이 풀린 확장패드(161)를 다시 패드벨크로(162)에 붙인 뒤 전술한 방법대로 출입구(1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공간(101)에 몸이 넣고 지면에 엎드려 화염을 피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의 경우 공기층이 형성되어 화염의 전달은 차단되어 방염 효과는 지속되면서 수용공간(101)에서의 호흡은 더욱 편안해져 대피 가능 시간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방염시트(100)는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 사이가 다수의 부착부(150)로 연결 고정됨으로써 화염 대피 중 고온의 열기가 지속되어 봉제선이 녹고 풀어진다 하더라도 제1 방염층(130)과 제2 방염층(140)의 이중 구조는 흐트러지지 않은 채 유지되어 안전한 대피 상황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추가 실시예가 적용된 경우에는 다수의 부착부(150) 뿐 아니라 다수의 제1 고리(133)와 제2 고리(143) 및 공간확장라인(160)까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합상태가 더욱 공고히 유지되면서 공기층까지 확장할 수 있는 추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100 : 방염시트
101 : 수용공간
110 : 상부보호시트
111 : 전단지지부
111a, 112a : 직립봉제라인
111b, 112b : 절개부
112 : 후단지지부
120 : 하부보호시트
121 : 출입구
130 : 제1 방염층
131 : 제1 알루미늄 증착층
132 : 제1 아라미드 섬유층
133 : 제1 고리
140 : 제2 방염층
141 : 제2 알루미늄 증착층
142 : 제2 아라미드 섬유층
143 : 제2 고리
150 : 부착부
151 : 부착공
160 : 공간확장라인
161 : 확장패드
162 : 패드벨크로
200 : 손잡이

Claims (5)

  1. 방염 재질로써 전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방염시트; 및
    방염시트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방염시트는,
    직사각형으로 일단 및 타단은 반원형으로 연장되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배치되는 상부보호시트; 및
    상부보호시트의 대응 형상으로 중심에 개구부 형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보호시트와 테두리 결합되며 지면을 향해 배치되는 하부보호시트;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보호시트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아라미드 섬유층 위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이되,
    제1 알루미늄 증착층과 제1 아라미드 섬유층이 적층되는 제1 방염층;
    제2 알루미늄 증착층과 제2 아라미드 섬유층이 적층되는 제2 방염층; 및
    상기 제1 방염층과 제2 방염층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포켓;을 포함하며,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이 각 보호시트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이중 중첩되고,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을 연결하는 다수의 부착부;를 더 포함하되,
    부착부는,
    소정 너비와 길이의 방염 재질 직선형 밴드 형상으로, 일단은 제1 아라미드 섬유층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2 알루미늄 증착층에 부착되면서,
    제1 방염층 및 제2 방염층이 상호 밀착되거나 이격될 때 부착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소정 간격 초과 이격 및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착부는, 중심부에 너비 방향으로 통공 형성되는 부착공;을 더 포함하고,
    방염시트는,
    방염끈으로써 제1 방염층과 제2 방염층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착공을 연속 관통하며 일단은 제1 방염층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제2 방염층 내측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공간확장라인;
    공간확장라인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확장패드; 및
    각 확장패드에 대향되도록 제1 방염층 외표면과 제2 방염층 내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확장패드를 탈부착하는 복수의 패드벨크로;를 포함하는,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는,
    반원형 테두리로부터 내측 중앙을 향해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의 양 반지름을 이어붙이며 형성되는 직립봉제라인;을 더 포함하고,
    직립봉제라인은 전단 내지 후단지지부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며 전단지지부 및 후단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여 방염시트 내부 수용공간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끈 형태로써 제1 아라미드 섬유층에 부착되고 타측은 원형 고리로써 부착공 일측에 대향되는 다수의 제1 고리; 및
    일측은 끈 형태로써 제2 알루미늄 증착층에 부착되고 타측은 원형 고리로써 부착공 타측에 대향되는 다수의 제2 고리;를 더 포함하여,
    공간확장라인이 제1 고리, 부착공 및 제2고리를 연속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KR1020220109333A 2022-08-30 2022-08-30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KR10249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33A KR102496157B1 (ko) 2022-08-30 2022-08-30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33A KR102496157B1 (ko) 2022-08-30 2022-08-30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157B1 true KR102496157B1 (ko) 2023-02-06

Family

ID=8522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333A KR102496157B1 (ko) 2022-08-30 2022-08-30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208A (ko) * 2013-06-18 2014-12-30 주식회사 티엘론 열 방출 기능을 갖는 건축물 벽면 설치용 단열시트
KR20200040415A (ko) * 2018-10-10 2020-04-20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20200095880A (ko) * 2019-02-01 2020-08-11 (주)에어박스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공기구조물
KR20210002592U (ko) * 2020-05-14 2021-11-23 김성규 메쉬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208A (ko) * 2013-06-18 2014-12-30 주식회사 티엘론 열 방출 기능을 갖는 건축물 벽면 설치용 단열시트
KR20200040415A (ko) * 2018-10-10 2020-04-20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102257840B1 (ko) 2018-10-10 2021-05-28 대한민국 방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20200095880A (ko) * 2019-02-01 2020-08-11 (주)에어박스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공기구조물
KR20210002592U (ko) * 2020-05-14 2021-11-23 김성규 메쉬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1506B2 (en) Radiant and convective heat resistant materials and emergency fire shelter made therefrom
US4449253A (en) Quick evacuation fireman's coat
US7356850B2 (en) Protective garment having a drag and rescue device accessible from the collar
US8430204B1 (en) Rapid rescue apparatus
US7594281B1 (en) Explosion and fire extraction safety garment
US6490733B1 (en) System for integrating a harness into a fire fighting protective garment
CA2576653C (en) Rapid intervention rescue harness
US8479321B2 (en) Suspenders
US8505789B2 (en) Rescue bag
US10016002B2 (en) Garments having evacuation harnes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5630296A (en) Inflatable emergency shelter
US20030213043A1 (en) Coat and harness combination
AU2007267090A1 (en) Multilayer fire-barrier canvases
US20110177733A1 (en) Fire/water rescue sled for handicapped and elderly
US20120233748A1 (en) Protective garment with comfort collar
KR102496157B1 (ko) 3중 구조 에어포켓 방염 텐트
US7744436B2 (en) Rescue mat
KR101446544B1 (ko) 구조효율성을 높인 소방복
JP6894633B2 (ja) 救命胴衣及び頭巾
US11783966B2 (en) Flame and heat resistant, releasably connectable wrap for a portable radio, remote speaker microphone, and the cord therebetween
JP2013039380A (ja) 消防ホース収納バッグ
WO2005039475A1 (en) Rescue underlay for rescuing people
US20210060365A1 (en) FireCoat FEDS (Fullbody Emergency Descent System)
CN214633493U (zh) 一种灭火毯
US6491038B1 (en) Physical restraining pad assembly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