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788A -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788A
KR20200038788A KR1020180118448A KR20180118448A KR20200038788A KR 20200038788 A KR20200038788 A KR 20200038788A KR 1020180118448 A KR1020180118448 A KR 1020180118448A KR 20180118448 A KR20180118448 A KR 20180118448A KR 20200038788 A KR20200038788 A KR 2020003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lens
tray
contact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철
Original Assignee
뉴바이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바이오 (주) filed Critical 뉴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18011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8788A/ko
Publication of KR2020003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완료된 콘택트렌즈를 보관하거나 또는 이동중에 상기 성형 완료된 콘택트렌즈로 이물질이 침입하여 콘택트렌즈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콘택트렌즈 보관용 트레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렌즈성형 홈의 상단에는 하부단턱이 형성되고, 하부단턱의 외주 연에는 하부수직벽이 형성되며, 하부수직벽의 상단에는 상부단턱이 형성되고, 상부단턱의 상단 외주 연에는 상부수지벽이 형성되며, 상부수지벽의 상단은 표면부가 형성되고, 외곽에는 표면부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의 하단부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외곽지지부가 형성되며, 외곽지지부의 끝단에는 플렌지를 형성시켜 된 트레이본체; 하부에는 상기 렌즈성형 홈에 안착된 콘택트렌즈와 접촉되지 않는 높이를 갖는 상기 렌즈성형 홈과 준하는 형상의 호형홈부가 형성되고, 호형홈부의 상단에는 하부단턱에 얹어지는 하부안착턱이 형성되며, 하부안착턱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수직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결합부의 상단에는 상부안착턱이 형성되며, 상부안착턱의 상단에는 상부수지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부결합부의 상단에는 상기 표면부에 걸쳐지는 걸리부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Tray set for contactlens figuration mould}
본 발명은 성형 완료된 콘택트렌즈를 보관하거나 또는 이동중에 상기 성형 완료된 콘택트렌즈로 이물질이 침입하여 콘택트렌즈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안경과 달리 사용자의 안구 표면에 직접 밀착되어 착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콘택트렌즈의 사용법에 따라 렌즈에 결함이 있다면 사용자의 안구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렌즈가 설계 사양에 맞게 제조된 것인지, 렌즈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없는지 등을 철저하게 확인하여야 한다.
이에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유통 전 다양한 검사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완제품으로 선별된 콘택 렌즈만이 사용자들에게 유통된다.
이와 같은 콘택트렌즈는 안구를 덮을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형성되고, 투명한 소재로 매우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고 운반하고 검사하는 과정에서 그 취급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콘택트렌즈는 건조된 상태에서 깨지거나 긁히는 등의 손상을 입기 쉽기 때문에, 운반하고 검사하는 과정에서 콘택트렌즈는 렌즈의 보습, 세척, 헹굼의 기능을 하는 다용도 용액(이하, 렌즈 보존액으로 지칭) 등에 담겨있게 되고, 특수 제작된 운반용 트레이를 통하여 운반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택트렌즈 운반용 트레이(10)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상기 도 1의 종래의 운반용 트레이(10)에는 콘택트렌즈와 렌즈 수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홈(11)에는 하나의 콘택트렌즈와 그 콘택트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보존액이 수용된다.
상기의 도 1과 같은 운반용 트레이(10)를 사용하는 경우 콘택트렌즈의 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하여 렌즈를 운반할 수는 있지만, 유동적인 액체인 렌즈 보존액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운반용 트레이 밖으로 쏟아져버리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렌즈 보존액이 쏟아지는 경우, 수용 홈에 남아 있는 콘택트렌즈의 표면이 마르게 되거나, 렌즈 보존액과 함께 콘택트렌즈도 트레이 외부로 유실되어 콘택트렌즈의 제조 수율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운반용 트레이(1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 공법으로 제조된다.
사출 성형 공법은 분말 상의 플라스틱을 금형 내로 주입한 후 경화시켜 제품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성형공법이나, 금형 내로의 플라스틱 주입 위치에 따라 빈번하게 트레이의 밑면이 평평하지 못하게 제조된다거나 전체 골격이 휘어지게 제조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종래의 운반용 트레이(10)를 복수 개 상하로 적층하면, 적층 안정성이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적층된 트레이(10)가 무너지게 되거나 렌즈 보존액이 쏟아져 버리게 되고, 결국 콘택트렌즈의 제조 수율이 낮아지게 되는 등 콘택트렌즈의 운반 및 검사 시에 예기치 못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8-0018027호의 콘택트렌즈 운반용 트레이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얇은 플라스틱판이 프레스성형 공법으로 가공되어 형성된 콘택트렌즈 운반용 트레이에 있어서,
콘택트렌즈와 렌즈 보존액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 홈(111)이 형성된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용 홈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에 형 성된 테두리부(120); 및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두리부의 나머지 부분과 단차를 이루도록 후퇴되어 형성된 걸림부(130); 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되는 경우, 상측 트레이의 걸림부가 하측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걸쳐져 상기 상측 트레이의 수용 홈의 배면이 상기 하측 트레이의 수용 홈에 수용되는 콘택트렌즈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의 수치가 결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내측면(121), 상기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123),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부면(122)을 포함하여 하방이 개방된 “ㄷ”자의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상부면 및 상기 외측면의 일부가 후퇴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저면과 상기 상부면이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8-0018027호의 콘택트렌즈 운반용 트레이도 그 트레이와 트레이가 적층되었을 때 기밀성을 취약함은 물론, 상기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의 수용 홈(111)을 형성하는 하부와 하부에 위치한 트레이의 수용 홈(111)에 안착된 콘택트렌즈 간에 이동 중 마찰이 일어나 콘택트렌즈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8-0018027 : 콘택트렌즈 운반용 트레이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레이의 렌즈성형 홈에 몰드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그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상기 몰드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보관 및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로 이물질이 침입 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콘택트렌즈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콘택트렌즈와 부합하는 형상의 렌즈성형 홈이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상단에는 하부단턱(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단턱의 외주 연에는 하부수직벽(23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수직벽의 상단에는 상부단턱(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턱의 상단 외주 연에는 상부수직벽(25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직벽의 상단은 표면부(260)가 형성되고, 외곽에는 상기 표면부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의 하단부 높이(T)보다 높은 높이(T')를 갖는 외곽지지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지지부의 끝단에는 플렌지(280)를 형성시켜 된 트레이본체(200);
상기 하부에는 상기 렌즈성형 홈에 안착된 콘택트렌즈(L)와 접촉되지 않는 높이를 갖는 상기 렌즈성형 홈과 준하는 형상의 호형홈부(310)가 형성되고, 그 호형홈부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단턱에 얹어지는 하부안착턱(3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안착턱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수직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단에는 상부안착턱(34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안착턱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수직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상부결합부(3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의 상단에는 상기 표면부에 걸쳐지는 걸리부(360)를 형성시켜 된 몰드(300);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이의 렌즈성형 홈에 몰드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그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상기 몰드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보관 및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로 이물질이 침입 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콘택트렌즈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콘택트렌즈 보관 트레이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콘택트렌즈 보관 트레이 사시도,
도 3은 종래 제2실시 예의 콘택트렌즈 보관 트레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서 하나의 몰드를 트레이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서 하나의 몰드를 트레이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구성도,
8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서 렌즈성형 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 단면도,
9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서 몰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성형 완료된 콘택트렌즈를 보관하거나 또는 이동중에 상기 성형 완료된 콘택트렌즈로 이물질이 침입하여 콘택트렌즈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는,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성형 홈(210)이 형성된 트레이본체(200)와 상기 렌즈성형 홈(210)에 콘택트렌즈(L)를 성형하는 몰드(3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에서 트레이본체(200) 구성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하부에 콘택트렌즈(L)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렌즈성형 홈(210)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크기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몰드(300)의 호형홈부(310)가 상기 렌즈성형 홈(210)에 결합 되었을 때 콘택트렌즈(L)의 두께만큼 간극이 확보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상단에는 하부단턱(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단턱(220)의 외주 연에는 하부수직벽(23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수직벽(230)의 상단에는 상부단턱(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턱(240)의 상단 외주 연에는 상부수지벽(25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지벽의 상단은 표면부(260)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하부단턱(220)에 얹어지는 도 9의 몰드(300)에 형성된 하부안착턱(320)과 그 하부안착턱(320)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330)와 그 하부결합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안착턱(340)과 그 상부안착턱(34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결합부(350)가 긴밀히 접촉되어 이물질이 콘택트렌즈(L)로 침입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의 구성을 갖는 몰드(300)가 트레이본체(200)로부터 임으로 분리되어 콘택트렌즈(L)가 렌즈성형 홈(210)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콘택트렌즈(L)가 렌즈성형 홈(210)으로부터 노출되면 콘택트렌즈(L) 표면에 대기중의 이물질이 않착되게 되고 그 후 몰드(300)를 결합하게 되면 호형홈부(310)의 외부와 상기 이물질이 않착된 콘택트렌즈(L)간에 마찰이 발생하여 콘택트렌즈(L)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본체(200)에 하부단턱(220)과 상부단턱(240)이 형성되고, 또 하부수직벽(230)과 상부수지벽(250)을 각각 형성시킨 이유는, 몰드(300)의 하부안착턱(320)과 상부안착턱(340) 그리고 하부결합부(330)와 상부결합부(350)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본체(200)의 렌즈성형 홈(210)으로부터 몰드(300)가 임으로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상부수지벽(250)의 상단에 표면부(260)를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몰드(300)의 걸리부(360)가 상기 표면부(260)에 안정적으로 걸쳐지면서 지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면부(260)의 외곽 즉 트레이본체(200)의 외곽에 외곽지지부(270)를 형성하되 그 외곽지지부(270)의 높이(T)를 상기 표면부(260)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하단부 높이(T')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시킨 이유는, 트레이본체(200)가 상호 적측되었을 때 그 적층되는 트레이본체(200)의 표면부(260) 하면이 몰드(300)의 걸리부(360)를 누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상부에 위치하여 콘택트렌즈(L)에 압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외곽지지부(270)의 끝단에는 플렌지(280)를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트레이본체(200)가 상호 적층된 후 그 적층된 트레이본체(200)가 더욱 강한 적층 력을 발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상기 적층된 트레이본체(2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 용이한 분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단턱(220)의 폭(W)은 상기 상부단턱(240)의 폭(W')보다 좁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몰드(30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하부안착턱(320)은 상기 호형홈부(3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하부수직벽(230)과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30)의 외곽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370)을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몰드(300)의 하부안착턱(320) 하면이 콘택트렌즈(L)의 외곽 라인과 접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콘택트렌즈(L)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몰드(300)의 하부안착턱(320) 하면이 콘택트렌즈(L)의 상단 면과 접촉되면 그 접촉 면에서 상기 몰드(300)의 하부안착턱(320)과 콘택트렌즈(L)의 상단 면이 마찰을 일으켜 콘택트렌즈(L)의 상단 면을 훼손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외곽지지부(270)의 높이(T)는 상기 표면부(260)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하단부 높이(T')보다 높게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트레이본체(200)가 상호 적층되었을 때 그 적층되는 트레이본체(200)의 표면부(260) 하면이 몰드(300)의 걸리부(360)를 누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상부에 위치하여 콘택트렌즈(L)에 압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트레이본체(200)의 표면부(260) 하면이 몰드(300)의 걸리부(360)를 누르게 되면 몰드(300)의 누름 압이 발생되고 그 압이 콘택트렌즈(L)로 전달되어 콘택트렌즈(L)를 훼손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이의 렌즈성형 홈에 몰드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그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상기 몰드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보관 및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로 이물질이 침입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상기 콘택트렌즈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200 : 트레이본체 210 : 렌즈성형 홈
220 : 하부단턱 230 : 하부수직벽
240 : 상부단턱 250 : 상부수지벽
260 : 표면부 270 : 외곽지지부
280 : 플렌지 300 : 몰드
310 : 호형홈부 320 : 하부안착턱
330 : 하부결합부 340 : 상부안착턱
350 : 상부결합부 360 : 걸리부
370 : 경사면
L : 콘택트렌즈 T : 외곽지지부 높이
T' : 표면부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W : 하부단턱의 폭 W' : 상부단턱의 폭

Claims (5)

  1. 콘택트렌즈와 부합하는 형상의 렌즈성형 홈이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콘택트렌즈 보관용 트레이에 있어서,
    콘택트렌즈와 부합하는 형상의 렌즈성형 홈이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콘택트렌즈 보관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상단에는 하부단턱(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단턱의 외주 연에는 하부수직벽(23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수직벽의 상단에는 상부단턱(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턱의 상단 외주 연에는 상부수지벽(25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지벽의 상단은 표면부(260)가 형성되고, 외곽에는 상기 표면부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의 하단부 높이(T)보다 높은 높이(T')를 갖는 외곽지지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지지부의 끝단에는 플렌지(280)를 형성시켜 된 트레이본체(200);
    상기 하부에는 상기 렌즈성형 홈에 안착된 콘택트렌즈(L)와 접촉되지 않는 높이를 갖는 상기 렌즈성형 홈과 준하는 형상의 호형홈부(310)가 형성되고, 그 호형홈부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단턱에 얹어지는 하부안착턱(3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안착턱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수직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단에는 상부안착턱(34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안착턱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수지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상부결합부(3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의 상단에는 상기 표면부에 걸쳐지는 걸리부(360)를 형성시켜 된 몰드(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턱(220)의 폭(W)은 상기 상부단턱(240)의 폭(W')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안착턱(320)은 상기 호형홈부(3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하부수직벽과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30)의 외곽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3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지지부(270)의 높이(T)는 상기 표면부(260)에서부터 상기 렌즈성형 홈의 하단부 높이와 상기 걸리부(360)의 높이를 합한 높이와 준하는 높이거나 또는 그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성형 홈(210)의 크기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몰드의 호형홈부(310)가 상기 렌즈성형 홈에 결합 되었을 때 콘택트렌즈(L)의 두께만큼 간극이 확보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KR1020180118448A 2018-10-04 2018-10-04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KR20200038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48A KR20200038788A (ko) 2018-10-04 2018-10-04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48A KR20200038788A (ko) 2018-10-04 2018-10-04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88A true KR20200038788A (ko) 2020-04-14

Family

ID=7029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48A KR20200038788A (ko) 2018-10-04 2018-10-04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87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027A (ko) 2016-08-12 2018-02-21 에스케이옵틱스 주식회사 콘택트 렌즈 운반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027A (ko) 2016-08-12 2018-02-21 에스케이옵틱스 주식회사 콘택트 렌즈 운반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2371B2 (ja) 重合生体医用器具から抽出可能な物質を抽出する器具、組立体及び方法
AU2013303168C1 (en) Injection molded tray for blood collection tubes
KR20180018027A (ko) 콘택트 렌즈 운반용 트레이
RU2550490C2 (ru)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для приема и фиксации складс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прямоуголь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US20120138488A1 (en) Contact lens carri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the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KR20200038788A (ko) 콘택트렌즈 성형 몰드용 트레이 세트
WO2008002051A1 (en) Chip scale package tray
KR102222115B1 (ko)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ITMI20110331U1 (it) Contenitore per la rimozione di liquido da una testa di pulizia
CN210593121U (zh) 一种电路板存储包装盒
CN216957978U (zh) 晶圆周转片盒
KR20190136523A (ko) 차량의 라이너 성형용 완충고무 제조장치를 이용한 완충고무 제조방법
CN204118153U (zh) 电池盒置放座
CN211167841U (zh) 一种电子元件运输托盘
CN109335209A (zh) 托盘
CN210083824U (zh) 一种用于物流托盘的滚轮装置
CN208915757U (zh) 一种玻璃容纳盒
JP6254871B2 (ja) ガスケット成形品の製造方法
CN210417379U (zh) 一种电子元器件运输托盘
KR200311973Y1 (ko) 휴대폰케이스 손상방지용 적재용기
CN102186730B (zh) 装载载体以及用于注射成型装载载体的方法
JP3104952U (ja) チップ包装ケース
KR102140046B1 (ko) 트레이
JP2009227309A (ja) 合成樹脂発泡体製の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JP2016003021A (ja) 板状物の梱包方法および板状物の梱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