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046B1 - 트레이 - Google Patents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046B1
KR102140046B1 KR1020180135310A KR20180135310A KR102140046B1 KR 102140046 B1 KR102140046 B1 KR 102140046B1 KR 1020180135310 A KR1020180135310 A KR 1020180135310A KR 20180135310 A KR20180135310 A KR 20180135310A KR 102140046 B1 KR102140046 B1 KR 10214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pport
tray
boundary
contac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114A (ko
Inventor
김숙희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비젼 filed Critical (주)오케이비젼
Priority to KR102018013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0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85/545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는, 외측 경계를 규정하는 경계부; 외측 단부와 중앙 사이에 걸쳐 위치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 및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돌기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이격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이{Tray}
본 발명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적재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있어서, 소정의 콘택트 렌즈 성형 몰드에 성형액을 주입하여 콘택트 렌즈를 성형한 후, 상기 콘택트 렌즈로부터 콘택트 렌즈 성형 몰드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콘택트 렌즈의 비전 검사를 실시하며, 콘택트 렌즈를 정렬하여 반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생산이 완료된 콘택트 렌즈는 트레이에 위치된 상태로 임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몰드에서 분리 된 후 추가적이 공정이 요구되는 콘택트 렌즈는 트레이에 수용된 후 다음 공정을 수행할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는 넓은 판 형상의 지지부에 복수 개의 반원형 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콘택트 렌즈는 반구형 홈에 적재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보관되게 된다.
콘택트 렌즈는 그 중심이 반구형 홈의 중심에 정렬되도록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콘택트 렌즈와 반구형 홈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콘택트 렌즈의 중심이 반구형 홈의 중심에서 어긋나도록 적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콘택트 렌즈에 묻어 있던 성형액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으면서 콘택트 렌즈가 반구형 홈에 흡착될 수 있다.
트레이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꺼내는 후속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 흡착을 이용한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 장치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픽앤플레이스 장치는 콘택트 렌즈가 반구형 홈의 중심에 정렬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계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콘택트 렌즈가 반구형 홈의 중심에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반구형 홈에 흡착되어 있으면, 콘택트 렌즈가 파손되거나, 픽앤플레이스 장치에 의해 원활하게 픽업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가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된 콘택트 렌즈를 픽업할 때, 효과적으로 픽업이 이루어 지는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놓여지면, 올바른 위치로 이동 되는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는, 외측 경계를 규정하는 경계부; 외측 단부와 중앙 사이에 걸쳐 위치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 및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돌기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이격 홈을 포함하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경계부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경사부; 및 외측 단부가 상기 측면 경사부의 하단과 만나도록 위치되고, 경사가 상기 측면 경사부의 경사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렌즈 수용부의 중심 사이에 위치되고, 경사가 상기 하부 지지부의 경사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부는 설정 길이는 갖는 선형으로 복수가 제공되고, 링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는 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수용부는 8각형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경계부의 중앙과 상기 렌즈 수용부의 중심 사이에 설정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홈의 상단은 상기 경계부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은 둘레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요철 형상의 볼록한 부분에서만 접촉되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한 부분은 단면 상 상측 변곡점과 하측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하측 변곡점에서 상기 볼록한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콘택트 렌즈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콘택트 렌즈가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수용된 콘택트 렌즈를 픽업할 때, 효과적으로 픽업이 이루어 지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콘택트 렌즈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놓여지면, 올바른 위치로 이동 되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콘택트 렌즈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 2의 A-A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콘택트 렌즈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 2의 B-B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콘택트 렌즈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트레이에 위치될 때 콘택트 렌즈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레이(1000)는 지지부(1100) 및 렌즈 수용부(1300)를 포함하다.
트레이(1000)는 복수의 콘택트 렌즈(도 3의 L)를 수용한다. 트레이(1000)는 일 위치에서, 복수의 콘택트 렌즈(L)를 수용한 후, 다른 위치로 콘택트 렌즈(L)를 이송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1100)는 설정 면적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 렌즈(L)들이 위치되는 지지면을 구비한다. 일 예로, 지지부(1100)는 수직 상방에서 아래쪽을 향해 바라볼 때 사각형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100)에는 렌즈 수용부(1300)들이 형성된다. 렌즈 수용부(1300)들은 각각 1개의 콘택트 렌즈(L)를 수용한다.
지지부(1100)의 외측에는 리브(1200)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200)는 설정 폭을 가지고 지지부(1100) 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리브(1200)는 지지부(1100)의 외측에 1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리브(1200)는 지지부(11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되어, 지지부(1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리브(1200)는 지지부(1100)의 강도를 보강하여, 트레이(1000)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지지부(11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콘택트 렌즈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 2의 A-A 방향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콘택트 렌즈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 2의 B-B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렌즈 수용부(1300)는 외측 경계를 규정하는 경계부(1310)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들어간 홈 형태로 제공된다. 경계부(1310)는 설정 길이를 갖는 선형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경계부(1310)들은 링 형상으로 배열되어, 렌즈 수용부(1300)는 다각형 모양을 갖는다.
렌즈 수용부(1300)의 측면은 둘레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렌즈 수용부(1300)는 요철 형상의 볼록한 부분을 통해 콘택트 렌즈(도 3의 L)를 지지한다. 렌즈 수용부(1300)에는 지지 돌기(1320) 및 이격 홈(1330)이 형성된다.
지지 돌기(1320)는 렌즈 수용부(1300)의 외측 단부와 렌즈 수용부(1300)의 중앙 사이에 형성된다. 이격 홈(1330)은 인접한 지지 돌기(1320)들 사이에 형성되고, 지지 돌기(1320) 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된다.
지지 돌기(1320)는 경계부(1310)의 중앙과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 사이의 영역에 설정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기(1320)는 경계부(1310)와의 거리가 증가되면 폭이 좁아 질 수 있다.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에서 경계부(1310) 중심까지의 수직 상방에서 바라볼 때의 평면상 거리는 콘택트 렌즈(L)의 평면상 반지름 보다 설정 치수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L)가 렌즈 수용부(1300)의 중앙에 위치되면, 콘택트 렌즈(L)의 외측 둘레는 렌즈 수용부(1300)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돌기(1320)는 측면 경사부(1321) 및 하부 지지부(1322)를 포함한다.
측면 경사부(1321)는 경계부(1310)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면 경사부(1321)는 경계부(1310)의 중심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경사부(1321)의 경사는 콘택트 렌즈(L)의 외면의 임의의 일 지점에서의 접선의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L)가 렌즈 수용부(1300)의 중앙에 위치되면, 콘택트 렌즈(L)는 측면 경사부(1321)와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322)는 외측 단부가 측면 경사부(1321)의 하단과 만나도록 위치되어, 측면 경사부(1321)와 하부 지지부(1322)가 만나는 영역에는 상측 변곡점이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1322)의 경사는 측면 경사부(1321)의 경사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L)는 하부 지지부(13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322)의 내측 단부와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 사이에는 하부 경사부(1323)가 형성되어, 하부 지지부(1322)와 하부 경사부(1323)가 만나는 지점에는 하측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경사부(1323)의 경사는 하부 지지부(1322)의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L)는 하부 지지부(1322)의 내측 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콘택트 렌즈(L)는 트레이(1000)와 접하는 부분이 최소화 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1322)의 내측 단부는 설정 폭을 갖는다. 일 예로, 하부 지지부(1322)는 외측 단부에서 내측 단부로 갈수로 폭이 좁하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지지부(1322)와 렌즈(L)가 접하는 영역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1322)는 폭 방향을 따른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있다. 일 예로, 하부 지지부(1322)는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렌즈(L)는 점 접촉의 형태로 지지 돌기(1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1000)는 콘택트 렌즈(L)가 트레이(1000)와 접하는 영역이 최소화 된 상태로 지지되어, 콘택트 렌즈(L)가 트레이(1000)에 흡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격 홈(1330)은 상측 부분(1331) 및 하측 부분(1332)을 포함한다. 상측 부분(1331)은 측면 경사부(1321)보다 렌즈 수용부(1300)의 외측 방향으로 들어간 홈 형태로 제공된다. 하측 부분(1332)은 하부 지지부(1322)보다 아래쪽 방향으로 들어간 홈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렌즈 수용부(1300)에 콘택트 렌즈(L)가 위치되면, 콘택트 렌즈(L)는 이격 홈(1330)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격 홈(1330)의 상단이 경계부(131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면, 렌즈 수용부(1300)에 위치된 콘택트 렌즈(L)의 외측 둘레와 이격 홈(1330)의 상단은 항상 이격 되고, 이격 홈(1330)은 외부와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L)를 렌즈 수용부(1300)에서 반출될 때, 렌즈 수용부(1300)와 콘택트 렌즈(L) 사이 공간으로 원활하게 기체가 공급되어, 콘택트 렌즈(L)와 렌즈 수용부(1300) 사이에 진공 흡착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및 도 6은 콘택트 렌즈가 올바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트레이에 위치될 때 콘택트 렌즈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택트 렌즈(L)는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에 대해 어긋난 상태로 트레이에 놓여질 수 있다.
이 때, 콘택트 렌즈(L)의 무게 중심(G)은 렌즈 수용부(13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콘택트 렌즈(L)는 경계부(1310)와 접하는 영역에 의해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을 향하는 형태로 힘을 받아,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경계부(1310)가 선형으로 제공되고, 렌즈 수용부(1300)가 다각형 모양을 가지에 따라, 콘택트 렌즈(L)가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으로 이동될 때, 콘택트 렌즈(L)와 경계부(1310)는 접촉 영역은 최소화 된다. 또한, 렌즈 수용부(1300)가 다각형으로 제공됨에 따라, 콘택트 렌즈(L)가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에 대해 벗어난 방향과 관계없이 콘택트 렌즈(L)에 힘을 가하는 경계부(1310) 는 복수가 되어, 경계부(1310)들이 가하는 힘은 콘택트 렌즈(L)를 효과적으로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이 때, 측면 경사부(1321)는 상술한 설정 경사를 갖도록 제공됨에 따라, 콘택트 렌즈(L)는 측면 경사부(1321)와는 접하지 않거나 접하는 정도가 최소화된 상태로, 경계부(1310)와 접하는 부분에 의해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콘택트 렌즈(L)가 어느 정도 이동되면, 콘택트 렌즈(L)와 렌즈 수용부(1300)가 접촉되는 것은 하부 지지부(1322)와 하부 경사부(1323)의 연결지점 밖에 없으므로, 콘택트 렌즈(L)는 종래의 트레이에서와는 달리 작은 마찰력을 받게 되는 바, 원활하게 렌즈 수용부(1300)의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렌즈 수용부(1300)가 다각형 중 8각형인 경우가 도시 되었으나, 다각형의 형상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렌즈 수용부(1300)는 6개의 경계부(1310)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6각형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제공될 수 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0: 지지부 1200: 리브
1300: 렌즈 수용부 1310: 경계부
1320: 지지 돌기 1330: 이격 홈

Claims (9)

  1. 성형 몰드에서 분리된 후 후속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콘택트 렌즈를 임시로 보관하는 트레이로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는,
    외측 경계를 규정하는 경계부;
    외측 단부와 중앙 사이에 걸쳐 위치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 및
    인접한 두개의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돌기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이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경계부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경사부; 및
    외측 단부가 상기 측면 경사부의 하단과 만나도록 위치되고, 경사가 상기 측면 경사부의 경사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홈의 상측 부분은 상기 측면 경사부보다 상기 렌즈 수용부의 외측 방향으로 들어간 홈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경계부는 설정 길이를 갖는 선형으로 복수가 제공되고, 링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는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이격 홈의 상단은 상기 경계부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는 트레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렌즈 수용부의 중심 사이에 위치되고, 경사가 상기 하부 지지부의 경사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수용부는 8각형 모양으로 제공되는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경계부의 중앙과 상기 렌즈 수용부의 중심 사이에 설정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트레이.
  7. 삭제
  8. 성형 몰드에서 분리된 후 후속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콘택트 렌즈를 임시로 보관하는 트레이로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의 측면은 둘레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요철 형상의 볼록한 부분에서만 접촉되되,
    상기 렌즈 수용부는 외측 경계를 규정하는 경계부를 가지며,
    상기 경계부는 설정 길이는 갖는 선형으로 복수가 제공되고, 링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는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볼록한 부분은,
    상기 경계부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경사부; 및
    외측 단부가 상기 측면 경사부의 하단과 만나도록 위치되고, 경사가 상기 측면 경사부의 경사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한 부분의 상단은 상기 경계부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오목한 부분의 상측 부분은 상기 측면 경사부보다 상기 렌즈 수용부의 외측 방향으로 들어간 홈 형태로 제공되는 트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부분은 단면 상 상측 변곡점과 하측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하측 변곡점에서 상기 볼록한 부분에 접촉되는 트레이.
KR1020180135310A 2018-11-06 2018-11-06 트레이 KR10214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10A KR102140046B1 (ko) 2018-11-06 2018-11-06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10A KR102140046B1 (ko) 2018-11-06 2018-11-06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14A KR20200052114A (ko) 2020-05-14
KR102140046B1 true KR102140046B1 (ko) 2020-07-31

Family

ID=7073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310A KR102140046B1 (ko) 2018-11-06 2018-11-06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044B2 (ja) * 2002-08-12 2010-10-06 株式会社メニコン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水和処理装置及び水和処理方法
WO2012069615A1 (en) * 2010-11-26 2012-05-31 Daysoft Limited Contact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1810200B1 (ko) 2017-03-09 2017-12-18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용 파렛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027A (ko) * 2016-08-12 2018-02-21 에스케이옵틱스 주식회사 콘택트 렌즈 운반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044B2 (ja) * 2002-08-12 2010-10-06 株式会社メニコン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水和処理装置及び水和処理方法
WO2012069615A1 (en) * 2010-11-26 2012-05-31 Daysoft Limited Contact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1810200B1 (ko) 2017-03-09 2017-12-18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용 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14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6946A (en) Thin-plate supporting container
US5782361A (en) Thin-plate supporting container
US5791486A (en) Integrated circuit tray with self aligning pocket
KR101165611B1 (ko) 기판수납용기
US6981595B2 (en)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JPWO2007066384A1 (ja) 半導体ウェハの収納ケース及び半導体ウェハの収納方法
JP6139232B2 (ja) 試験管ラック
US7163104B2 (en)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5509276A (ja) ウェハキャリア
KR970705172A (ko) 웨이퍼 선적용 웨이퍼 큐션(wafer cushions for wafer shipper)
US10658212B2 (en) Ring spacer
US20070187286A1 (en) Wafer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KR102140046B1 (ko) 트레이
KR100332719B1 (ko) 웨이퍼수납박스내의웨이퍼배스킷
US11282738B2 (en) Lift pin module
US11335615B2 (en) Wafer accommodation container
KR100590230B1 (ko) 몰드 운반용 트레이
JPS6240435Y2 (ko)
JP2011189974A (ja) 配線基板用トレイおよび配線基板用容器
JPS63178972A (ja) 製品収納容器
EP3579265B1 (en) Substrate housing container
US6809936B2 (en) Integrated circuit component carrier with angled supporting and retaining surfaces
JP2000326948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トレイ
KR101743667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장착 가이더
JP2017143217A (ja) 基板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