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01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01A
KR20200038501A KR1020207006400A KR20207006400A KR20200038501A KR 20200038501 A KR20200038501 A KR 20200038501A KR 1020207006400 A KR1020207006400 A KR 1020207006400A KR 20207006400 A KR20207006400 A KR 20207006400A KR 20200038501 A KR20200038501 A KR 2020003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ower supply
valu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385B1 (ko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타케시 아카오
카즈마 미즈구치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전원과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제어부는,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측정값을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보다 적어지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전자 궐련이나 네뷸라이저(흡입기)와 같이, 에어로졸원이 되는 액체 또는 고체를, 히터나 액츄에이터 등의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동작하는 부하에 의해 무화(에어로졸화)하여, 사용자에게 흡인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전자 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화 장치에 있어서 흡입 가능한 증기를 생성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본 기술에서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히터에 상당하는 코일로의 전력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기화가 발생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코일을 조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이 저하되는 경우, 통상의 기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유체심(流體芯)에 충분한 액체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 에어로졸원을 내포하거나 또는 에어로졸원에 상당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요소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전력 또는 에너지를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과열 요소에 근접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존재를 검출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7-50180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5-507476호 특허문헌 3: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5-525131호 특허문헌 4: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1-515093호 특허문헌 5: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3-509160호 특허문헌 6: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5-531600호 특허문헌 7: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4-501105호 특허문헌 8: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4-501106호 특허문헌 9: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4-501107호 특허문헌 10: 국제공개 제2017/021550호 특허문헌 1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041654호 특허문헌 1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32481호 특허문헌 13: 국제공개 제2012/027350호 특허문헌 14: 국제공개 제1996/039879호 특허문헌 15: 국제공개 제2017/021550호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는, 히터의 온도가 에어로졸원의 비점 근방이 되도록, 전원으로부터 히터로의 급전을 제어한다.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히 남아 있고 또한 에어로졸 생성량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전원으로부터 히터에 급전되는 전력은 일정값 또는 연속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환언하면,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히 남아 있고, 또한 히터 온도가 목표 온도 또는 목표 온도역에 유지시키는 것과 같은 피드백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전원으로부터 히터에 급전되는 전력은 일정값 또는 연속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에어로졸원의 잔량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양한 제어에 이용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일례로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검출하지 않거나, 또는 충분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없는 경우, 이미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으로부터 히터로의 급전이 계속되어, 전원의 축전량을 낭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제안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는, 이 히터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전력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이 충분히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전력의 계측에 있어서는, 복수의 센서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센서들의 오차를 정확하게 교정하거나, 오차를 고려한 제어를 구축하지 않는 한, 계측된 전력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곤란했다.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검지하는 다른 수법으로서는, 히터의 온도나, 특허문헌 3, 4에 있어서의 히터의 전기 저항값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들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히 남아 있는 경우와, 고갈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값을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두 전용 센서나 복수의 센서를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전원과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제어부는,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旣定)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측정값을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보다 적어지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부하에 출력하는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을 추정할 때, 제어에 이용하는 측정값에 혼입하는 오차가 저감되어,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따른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로졸원이 소정의 기준보다 적게 되어 있다고 추정되기 때문에, 측정값을 감소시키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전원의 축전량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부하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원은, 정전압 전원이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로졸원의 고갈을 검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측정값을,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급전 회로를 제1 제어 모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제1 제어 모드보다 측정값의 변화량이 큰 제2 제어 모드로 급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측정값을,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지 않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전압 변환부가 정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면서 측정값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압 변환부에 정전압을 출력시킴으로써, 그 밖에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면, 저항값, 나아가서는 부하의 온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센서에 의해 검출한 측정값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어에 이용하는 변수에 혼입하는 오차를, 큰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급전 회로는, 측정값을 출력하지 않는 제1 급전로와, 측정값을 출력하는 제2 급전로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추정하고 싶은 경우에만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면 되기 때문에, 항상 잔량의 추정을 계속하는 것에 의한 전원의 축전량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급전 회로는, 부하에 대해서 직렬의 위치에 마련되고, 자신을 관류하는 전류값 또는 자신에게 인가되는 전압값을 측정값으로서 출력 가능한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측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또, 급전 회로는, 센서를 경유하지 않고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는 제1 급전로와, 센서를 경유하여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는 제2 급전로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1 급전로와 제2 급전로가 동시에 기능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2 급전로에 포함되는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급전로의 일방에 상기 설명한 센서를 마련하도록 할 수 있다.
또, 급전 회로는, 전원에 접속되어 제1 급전로와 제2 급전로에 분기하는 제1 노드와, 제1 급전로와 제2 급전로가 합류하여 부하에 접속되는 제2 노드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회로는 이러한 분기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제2 급전로에는, 제1 급전로보다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전압 변환부는, 제1 급전로보다 제2 급전로 쪽이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제1 급전로보다 제2 급전로 쪽이, 통전 시간이 짧아지도록, 제1 급전로 및 제2 급전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제1 급전로보다 제2 급전로 쪽이, 통전 빈도가 적어지도록, 제1 급전로 및 제2 급전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측정값의 취득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제2 급전로는, 측정값의 출력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측정값의 취득에 있어 전원의 축전량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제1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보다, 부하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감소하도록, 제2 급전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자장치의 단부에 마련되고 또한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구강 내에 송달 방출하기 위한 흡구단(吸口端)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흡구단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방출되지 않도록, 제2 급전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측정값의 취득을 행할 수 있으면 되고,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적어지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는,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부하가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2 급전로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측정값의 취득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전원의 축전량뿐만 아니라, 아울러 에어로졸원의 잔량의 낭비도 억제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압 변환부는,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리니어 레귤레이터는, 제2 급전로에 있어서 제1 노드와 센서의 사이에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급전로에 있어서는 리니어 레귤레이터에 의한 변환 손실(천이 손실), 도통 손실이나 스위칭 손실 등이 없어진다.
또, 전압 변환부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급전 회로에 있어서 전원과 제1 노드의 사이에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손실을 저감시키면서도, 회로 전체의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제1 급전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이,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보다 작아지도록,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제1 급전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직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급전로에 있어서는 에어로졸 생성에 관한 전원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 다른 측면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전원과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을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부하에 출력하는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을 추정할 때, 제어에 이용하는 변수에 혼입하는 오차가 저감되어, 측정값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을 추정하는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과제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조합할 수 있다. 또, 과제의 해결 수단의 내용은,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전기 회로 등을 포함하는 장치 혹은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 또는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당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당해 프로그램을 보지(保持)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에어로졸원의 양을 추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잔량 추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판정 기간의 길이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판정 기간의 설정을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도이다.
도 11은, 저류부, 공급부 및 부하에 있어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부하에 있어서 소비되는 에너지와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에어로졸의 잔량과, 부하의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구비하는 회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구비하는 회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것들의 상대적인 배치 등은 일례이다. 또, 처리의 순서도 일례이며, 본 발명의 과제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변경하거나 병렬로 실행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한정적인 설명이 없는 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예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형태>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전자 궐련이나 네뷸라이저 등이며, 사용자의 흡인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행하는 1회의 연속적인 흡인을 「퍼프」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생성한 에어로졸에 대해, 향미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자의 구강 내에 방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본체(2)와, 에어로졸원 보지부(3)와, 첨가 성분 보지부(4)를 구비한다. 본체(2)는,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에어로졸원 보지부(3)는,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을 보지한다. 첨가 성분 보지부(4)는, 향미나 니코틴 등의 성분을 보지한다. 사용자는, 첨가 성분 보지부(4) 측의 단부인 흡구를 입에 물고, 향미 등이 첨가된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본체(2), 에어로졸원 보지부(3) 및 첨가 성분 보지부(4)를, 사용자 등이 조립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2), 에어로졸원 보지부(3) 및 첨가 성분 보지부(4)는, 각각 직경이 소정의 크기인 원기둥 형상, 원뿔대 형상 등이며, 본체(2), 에어로졸원 보지부(3), 첨가 성분 보지부(4)의 순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체(2)와 에어로졸원 보지부(3)는, 예를 들면, 각각의 단부에 마련된 수나사 부분과 암나사 부분이 나합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또, 에어로졸원 보지부(3)와 첨가 성분 보지부(4)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 보지부(3)의 일단에 마련된 통형상의 부분에, 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첨가 성분 보지부(4)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또, 에어로졸원 보지부(3) 및 첨가 성분 보지부(4)는, 일회용의 교환 부품이어도 된다.
<내부 구성>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체(2)는, 전원(21)과, 제어부(22)와, 흡인 센서(23)를 구비한다. 제어부(22)는, 전원(21) 및 흡인 센서(23)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21)은, 이차 전지 등이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구비하는 전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2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Micro-Control Unit) 등의 프로세서이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구비하는 전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흡인 센서(23)는, 기압 센서나 유량 센서 등이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흡구로부터 흡인하면, 흡인 센서(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발생하는 부압이나 기체의 유량에 따른 값을 출력한다. 즉, 제어부(22)는, 흡인 센서(23)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흡인을 검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에어로졸원 보지부(3)는, 저류부(貯留部)(31)와, 공급부(32)와, 부하(33)와, 잔량 센서(34)를 구비한다. 저류부(31)는, 가열에 의해 무화하는 액체형의 에어로졸원을 저류하는 용기이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올계의 재료이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추가로 니코틴액, 물, 향료 등을 포함하는 혼합액(「향미원」이라고도 부른다)이어도 된다. 저류부(31)에는, 이러한 에어로졸원이 미리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저류부(31)가 필요없는 고체여도 된다.
공급부(32)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와 같은 섬유 재료를 꼬아 형성되는 윅(Wick)을 포함한다. 공급부(32)는, 저류부(31)와 접속된다. 또, 공급부(32)는 부하(33)와 접속되거나 또는 공급부(32)의 적어도 일부가 부하(33)의 근방에 배치된다. 에어로졸원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윅에 침투하여, 부하(33)에 의한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할 수 있는 부분까지 이동한다. 환언하면, 공급부(32)는, 저류부(31)로부터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려 부하(33) 또는 그 근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유리 섬유 대신에 다공질형의 세라믹을 윅에 이용해도 된다.
부하(33)는, 예를 들면 코일 형상의 히터이며,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한다. 또, 예를 들면 부하(33)는 정온도 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며, 그 저항값이 발열 온도에 대략 정비례한다. 또한, 부하(33)는 반드시 정온도 계수 특성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저항값과 발열 온도에 상관이 있는 것이면 된다. 일례로서, 부하(33)는 부온도 계수(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부하(33)는 윅의 외부에 감겨 있어도 되고, 반대로 부하(33)의 주위를 윅이 덮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부하(33)로의 급전은, 제어부(22)에 의해 제어된다. 공급부(32)에 의해 저류부(31)로부터 부하(33)로 에어로졸원이 공급되면, 부하(33)의 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또, 제어부(22)는, 흡인 센서(23)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한 흡인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부하(33)로의 급전을 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시킨다. 또, 저류부(31)에 저류된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 부하(33)로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원이 공급되며, 부하(33)에 있어서의 발열은 에어로졸원에 수송되기 때문에, 환언하면 부하(33)에 있어서의 발열은 에어로졸원의 승온 및 기화에 이용되기 때문에, 부하(33)의 온도는 미리 설계된 소정의 온도를 넘는 일이 거의 없다. 한편, 저류부(31)에 저류된 에어로졸원이 고갈되면, 부하(33)로의 에어로졸원의 시간당 공급량이 저하된다. 그 결과, 부하(33)에 있어서의 발열은 에어로졸원에 수송되지 않기 때문에, 환언하면 부하(33)에 있어서의 발열은 에어로졸원의 승온 및 기화에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부하(33)가 과열되고, 이에 수반하여 부하(33)의 저항값도 상승한다.
잔량 센서(34)는, 부하(33)의 온도에 근거하여 저류부(31)에 저류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추정하기 위한 센싱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잔량 센서(34)는, 부하(33)와 직렬로 접속된 전류 측정용의 저항기(션트 저항)와, 저항기와 병렬로 접속되어, 저항기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저항기는, 그 저항값이 온도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값이다. 따라서, 기지(旣知)의 저항값과 측정된 전압값에 근거하여,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이 구해진다.
또한, 상기 설명한 션트 저항을 이용한 측정 장치 대신에, 홀 소자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홀 소자는, 부하(33)와 직렬의 위치에 마련된다. 즉, 부하(33)와 직렬로 접속된 도선의 주위에, 홀 소자를 구비하는 갭 코어가 배치된다. 그리고, 홀 소자는, 자신을 관류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한다. 홀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자신을 관류하는 전류」란, 갭 코어의 중앙에 배치되어, 홀 소자와는 접하지 않는 도선을 흐르는 전류이며, 그 전류값은 부하(33)를 흐르는 전류와 동일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잔량 센서(34)는,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출력했다. 이 대신에, 저항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이나, 전류값이나 전압값 자체의 값이 아닌, 이것에 소정의 연산을 실시한 값을 이용해도 된다. 이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 대신에 이용할 수 있는 측정값은,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에 따라 그 값이 바뀌는 값이다. 즉, 잔량 센서(34)는,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출력하면 된다.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 대신에 이들의 측정값을 이용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첨가 성분 보지부(4)는, 내부에 담뱃잎의 조각이나, 멘톨 등의 향미 성분(41)을 보지한다. 또, 첨가 성분 보지부(4)는, 흡구측 및 에어로졸원 보지부(3)와 결합되는 부분에 통기 구멍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흡구로부터 흡인하면 첨가 성분 보지부(4)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여, 에어로졸원 보지부(3)에 있어서 발생한 에어로졸이 흡인됨과 함께, 첨가 성분 보지부(4)의 내부에 있어서 니코틴이나 향미 등의 성분이 에어로졸에 첨가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에 방출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내부 구성은 일례이다. 에어로졸원 보지부(3)는, 원기둥의 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원형의 단면의 중앙을 따라 공동(空洞)을 갖는 토러스(Torus)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중앙의 공동에 공급부(32)나 부하(33)가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 사용자에 대해 장치 상태를 출력하기 위해서, LED(Light Emitting Diode)나 바이브레이터 등의 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회로 구성>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회로 구성 중, 에어로졸원의 잔량의 검지, 및 부하로의 급전의 제어에 관한 부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전원(21)과, 제어부(22)와, 전압 변환부(211)와, 스위치(스위칭 소자)(Q1 및 Q2)와, 부하(33)와, 잔량 센서(34)를 구비한다. 전원(21)과 부하(33)를 접속하는, 스위치(Q1 및 Q2) 및 전압 변환부(211)를 포함하는 부분을, 본 발명에 관한 「급전 회로」라고도 부른다. 예를 들면, 전원(21) 및 제어부(22)는, 도 1~3의 본체(2)에 마련되고, 전압 변환부(211), 스위치(Q1 및 Q2), 부하(33) 및 잔량 센서(34)는, 도 1~3의 에어로졸원 보지부(3)에 마련된다. 또, 본체(2)와 에어로졸원 보지부(3)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부의 구성요소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압 변환부(211)나 스위치(Q1 및 Q2), 잔량 센서(34)의 적어도 일부를 본체(2)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에어로졸원 보지부(3)나 첨가 성분 보지부(4)를 일회용의 교환 부품으로서 구성한 경우, 이것들에 포함되는 구성품이 적으면 적을수록, 교환 부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전원(21)은, 각 구성요소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 접속되어, 회로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22)는, 스위치(Q1 및 Q2), 잔량 센서(34)와 접속된다. 또, 제어부(22)는, 잔량 센서(34)의 출력값을 취득하여, 저류부(31)에 남아 있는 에어로졸원의 추정값을 산출하거나, 산출한 추정값이나 흡인 센서(23)의 출력값 등에 근거하여 스위치(Q1 및 Q2)의 개폐를 제어한다.
스위치(Q1 및 Q2)는,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 등이다. 또, 스위치(Q1)는, 일단이 전원(21)과 접속되고, 타단이 부하(33)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Q1)를 닫는 것에 의해, 부하(33)에 급전하여,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2)는, 사용자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한 경우에, 스위치(Q1)를 닫는다. 또한, 스위치(Q1) 및 부하(33)를 통과하는 경로를 「에어로졸 생성 경로」 및 「제1 급전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스위치(Q2)는, 일단이 전압 변환부(211)를 개재하여 전원(21)과 접속되고, 타단이 잔량 센서(34)를 경유하여 부하(33)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Q2)를 닫는 것에 의해, 잔량 센서(34)의 출력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위치(Q2), 잔량 센서(34), 및 부하(33)를 통과하여, 잔량 센서(34)가 소정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경로를, 「잔량 검출 경로」 및 본 발명에 관한 「제2 급전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잔량 센서(34)에 홀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는, 잔량 센서(34)는 스위치(Q2) 및 부하(33)에 접속할 필요는 없고, 스위치(Q2)와 부하(33)의 사이에 있어서의 소정의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환언하면, 홀 소자 내를 스위치(Q2)와 부하(33)를 연결하는 도선이 통과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회로는, 전원(21)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경로와 잔량 검출 경로에 분기하는 제1 노드(51)와, 에어로졸 생성 경로와 잔량 검출 경로가 합류하여, 부하(33)에 접속되는 제2 노드(52)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 변환부(211)는, 전원(21)이 출력하는 전압을 변환하여 부하(33)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 등과 같은 전압 레귤레이터이며, 일정한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 변환부(211)는, 일단이 전원(21)과 접속되고, 타단은 스위치(Q2)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전압 변환부(211)는, 스위치(Q3)와, 저항기(R1 및 R2)와, 커패시터(C1 및 C2)와, 콤퍼레이터(Comp)와 기준 전압 VREF를 출력하는 정전압원을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LDO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그 출력 전압 Vout는 이하의 식 (1)로 구해진다.
Vout=R2/(R1+R2)×VREF ···(1)
스위치(Q3)는, 반도체 스위치 등이며, 콤퍼레이터(Comp)의 출력에 따라 개폐된다. 또, 스위치(Q3)의 일단은 전원(21)과 접속되어, 스위치(Q3)의 개폐의 듀티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경된다. 스위치(Q3)의 출력 전압은,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R1 및 R2)에 의해 분압되어, 콤퍼레이터(Comp)의 일방의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또, 콤퍼레이터(Comp)의 타방의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 VREF가 인가된다. 그리고, 기준 전압 VREF와 스위치(Q3)의 출력 전압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Q3)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변동해도, 소정값 이상이면, 콤퍼레이터(Comp)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아, 스위치(Q3)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콤퍼레이터(Comp) 및 스위치(Q3)를, 본 발명에 관한 「전압 변환부」라고도 부른다.
또한, 커패시터(C1)는, 그 일단이, 전압 변환부(211) 내에 있어서의 전원(21) 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는 전력을 축적함과 함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한다. 커패시터(C2)는, 그 일단이 스위치(Q3)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어, 출력 전압을 평활화한다.
이차 전지와 같은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충전율의 저하에 수반하여 전원 전압도 저하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압 변환부(211)에 의하면, 전원 전압이 어느 정도 변동하는 경우여도, 정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잔량 센서(34)는, 션트 저항(341)과, 전압계(342)를 포함한다. 션트 저항(341)의 일단은, 스위치(Q2)를 개재하여 전압 변환부(2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션트 저항(341)의 타단은, 부하(3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션트 저항(341)은, 부하(33)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압계(342)는, 션트 저항(341)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션트 저항(341)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전압계(342)는, 제어부(22)와도 접속되어 있어, 측정한 션트 저항(341)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량을 제어부(22)에 출력한다.
<잔량 추정 처리>
도 5는, 저류부(31)에 저류되어 있는 에어로졸원의 양을 추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전압 변환부(211)가 출력하는 전압 Vout은, 정수(定數)인 것으로 한다. 또, 션트 저항(341)의 저항값 Rshunt는 기지의 정수이다. 따라서, 션트 저항(341)의 양단 전압 Vshunt를 이용하여, 션트 저항(341)에 흐르는 전류값 Ishunt는 이하의 식 (2)로 구해진다.
Ishunt=Vshunt/Rshunt ···(2)
또한, 션트 저항(341)과 직렬로 접속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 IHTR은, Ishunt와 동일하다. 션트 저항(341)은, 부하(33)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값이 측정된다.
여기에서, 전압 변환부(211)의 출력 전압 Vout는, 부하(33)의 저항값 RHTR을 이용하면, 다음의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Vout=Ishunt×(Rshunt+RHTR)···(3)
식 (3)을 변형하면, 부하(33)의 저항값 RHTR은, 이하의 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RHTR=Vout/Ishunt-Rshunt ···(4)
또, 부하(33)는, 전술한 정온도 계수(PTC) 특성을 갖고 있으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33)의 저항값 RHTR은 부하(33)의 온도 THTR에 대략 정비례한다. 따라서, 부하(33)의 저항값 RHTR에 근거하여 부하(33)의 온도 THTR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33)의 저항값 RHTR과 온도 THTR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예를 들면 테이블에 미리 기억시켜 두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용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부하(33)의 온도 THTR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부하(33)가 부의 온도 계수 특성(NTC)을 갖고 있는 경우도, 저항값 RHTR과 온도 THTR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부하(33)의 온도 THTR을 추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33)에 의해 주위의 에어로졸원이 증발된 경우여도, 저류부(31)에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원이 저류되어 있을 때는, 공급부(32)를 개재하여 부하(33)에 에어로졸원이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저류부(31)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소정량 이상이면, 부하(33)의 온도는, 통상은 에어로졸원의 비점을 넘어 큰 폭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나, 저류부(31)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감소하면, 이에 수반하여, 공급부(32)를 개재하여 부하(33)에 공급되는 에어로졸원의 양도 감소하여, 부하(33)의 온도는 에어로졸원의 비점을 넘어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로졸원의 잔량과 부하(33)의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당해 정보와 산출된 부하(33)의 온도 THTR에 근거하여, 저류부(31)가 보지하고 있는 에어로졸원의 잔량(Quantity)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잔량은, 저류부(31)의 용량에 대한 잔량의 비율로서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 에어로졸원의 잔량과 부하(33)의 온도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잔량의 임계값에 대응하는 부하(33)의 온도의 임계값을 이용하여, 부하(33)의 온도가 온도의 임계값을 넘은 경우에, 저류부(31)의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부하(33)의 저항값과 온도의 사이에도 대응 관계가 있기 때문에, 부하(33)의 저항값이, 상기 설명한 온도의 임계값에 대응하는 저항값의 임계값을 넘은 경우에, 저류부(31)의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설명한 식 (4)의 변수는 션트 저항(341)을 흐르는 전류값 Ishunt뿐이기 때문에, 상기 설명한 저항값의 임계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의 임계값도 일의(一意)로 정해진다. 여기에서, 션트 저항(341)을 흐르는 전류값 Ishunt란,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과 동일하다. 따라서,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이, 미리 정해진 전류값의 임계값 미만의 값을 나타낸 경우에, 저류부(31)의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부하(33)에 흘려보내는 전류값 등의 측정값에 대해,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이 충분히 남아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정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旣定)의 범위에 측정값이 속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한지 판단할 수 있다. 기정의 범위는, 예를 들면 상기 설명한 임계값을 이용하여 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하(33)의 저항값 Rshunt를, 션트 저항(341)을 흐르는 전류의 값 Ishunt라는 1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션트 저항(341)의 전류값 Ishunt는, 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션트 저항(341)의 양단 전압 Vshunt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센서가 출력하는 측정값에는 오프셋 오차, 게인 오차, 히스테리시스 오차, 리니어리티 오차와 같은 다양한 오차가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21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저류부(31)가 보지하고 있는 에어로졸원의 잔량(Quantity) 또는 저류부(31)의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는지 아닌지를 추정함에 있어, 측정값을 대입해야 할 변수를 1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복수의 변수에 다른 센서의 출력값을 대입하는 것에 의해 부하의 저항값 등을 산출하는 것과 같은 수법보다, 산출되는 부하(33)의 저항값 Rshunt의 정밀도는 향상된다. 그 결과, 부하(33)의 저항값 Rshunt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에어로졸원의 잔량도,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6은, 잔량 추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화살표의 방향이 시간 t(s)의 경과를 나타내고, 그래프는 각각, 스위치(Q1 및 Q2)의 개폐, 부하(33)를 흐르는 전류의 값 IHTR, 산출되는 부하(33)의 온도 THTR, 에어로졸원의 잔량(Quantity)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임계값 Thre1 및 Thre2는, 에어로졸원의 고갈을 검지하기 위한 소정의 임계값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사용할 때에, 잔량 추정을 실행하여, 에어로졸원의 감소를 검지한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제어부(22)는, 흡인 센서(23)의 출력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흡인 동작을 행했는지 판단한다(도 6:S1). 본 스텝에서는, 제어부(22)는, 흡인 센서(23)의 출력에 근거하여, 부압의 발생이나 유량의 변화 등을 검지한 경우, 사용자의 흡인을 검지했다고 판단한다. 흡인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S1:No), S1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부압이나 유량의 변화를 0이 아닌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흡인을 검지해도 된다.
한편, 흡인을 검지한 경우(S1:Yes), 제어부(22)는, 스위치(Q1)를 펄스폭 제어(PWM, Pulse Width Modulation)한다(도 6:S2). 예를 들면, 도 7의 시각 t1에 있어서 흡인이 검지된 것으로 한다. 시각 t1 후, 제어부(22)는, 소정의 주기로 스위치(Q1)를 개폐시킨다. 또, 스위치(Q1)의 개폐에 수반하여, 부하(33)에는 전류가 흘러, 부하(33)의 온도 THTR은 에어로졸원의 비점 정도까지 상승한다. 또, 에어로졸원은, 부하(33)의 온도에 따라 가열되어 증발되어, 에어로졸원의 잔량(Quantity)은 감소한다. 또한, 스텝 S2에서 스위치(Q1)를 제어할 때는, PWM 제어 대신에, 펄스 주파수 제어(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를 이용해도 된다.
또, 제어부(22)는, 흡인 센서(23)의 출력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흡인 동작을 종료했는지 판단한다(도 6:S3). 본 스텝에 있어서는, 제어부(22)는, 흡인 센서(23)의 출력에 근거하여, 부압(負壓)의 발생이나 유량의 변화 등이 검지되지 않게 된 경우, 사용자가 흡인을 종료했다고 판단한다. 흡인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S2:No), 제어부(22)는 S2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부압이나 유량의 변화를 0이 아닌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흡인의 종료를 검지해도 된다. 또는, 스텝 S1에 있어서 사용자의 흡인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스텝 S3의 판단과 관계없이, 스텝 S4에 진행되어도 된다.
한편, 흡인이 종료된 경우(S3:Yes), 제어부(22)는 스위치(Q1)의 PWM 제어를 정지한다(도 6:S4). 예를 들면, 도 7의 시각 t2에 있어서 흡인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것으로 한다. 시각 t2 후, 스위치(Q1)는 열린 상태(OFF)가 되어, 부하(33)로의 급전이 정지된다. 또, 부하(33)에는 공급부(32)를 개재하여 저류부(31)로부터 에어로졸원이 공급되어, 부하(33)의 온도 THTR은 방열에 의해 점차 저하된다. 그리고, 부하(33)의 온도 THTR의 저하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증발이 정지하여, 잔량(Quantity)의 감소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스위치(Q1)가 온이 됨으로써, 도 6에 있어서 점선의 각환(角丸)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S2~S4에서는,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경로에 전류가 흐른다.
그 후, 제어부(22)는, 스위치(Q2)를 소정의 기간 계속해서 닫는다(도 6:S5). 스위치(Q2)가 온이 됨으로써, 도 6에 있어서 점선의 각환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S5~S10에서는, 도 4의 잔량 검출 경로에 전류가 흐른다. 도 7의 시각 t3에 있어서, 스위치(Q2)는, 닫힌 상태(ON)로 되어 있다. 잔량 검출 경로에 있어서는, 부하(33)와 직렬로 션트 저항(341)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션트 저항(341)이 추가된 만큼, 에어로졸 생성 경로보다 잔량 검출 경로 쪽이, 경로 상의 저항값이 커지고,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은 낮아지고 있다.
또, 스위치(Q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잔량 센서(34)로부터 측정값을 취득하고, 션트 저항(341)을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한다(도 6:S6). 본 스텝에서는, 예를 들면 전압계(342)에 의해 측정된 션트 저항(341)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한 식 (2)에 의해, 션트 저항(341)의 전류값 Ishunt가 산출된다. 또한, 션트 저항(341)의 전류값 Ishunt는,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과 같다.
스위치(Q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22)는,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전류의 임계값 미만의 값을 나타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도 6:S7). 즉, 제어부(22)는,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류의 임계값(도 7:Thre1)은, 저류부(31)의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다고 판단해야 할, 미리 정해진 에어로졸원의 잔량의 임계값(도 7:Thre2)에 대응하는 값이다. 즉,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낸 경우, 에어로졸원의 잔량은 임계값 Thre2 미만의 값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Q2)가 닫힌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낸 경우(S7:Yes), 제어부(22)는 에어로졸원의 고갈을 검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도 6:S8). S6에서 측정되는 전압값 및 이것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전류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적게 되어 있기 때문에, S6에서 측정되는 전압값 및 이것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전류값이 더욱 감소하도록 본 스텝에서는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스위치(Q1) 또는 스위치(Q2)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도시하지 않은 전력 퓨즈를 이용하여 부하(33)로의 급전을 절단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또한, 도 7의 시각 t3~t4와 같이,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전류값 IHTR은 임계값 Thre1보다 커진다.
S8 이후, 또는 스위치(Q2)가 닫힌 소정의 기간에 걸쳐,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이상인 경우(S7:No), 제어부(22)는 스위치(Q2)를 연다(도 6:S9). 도 7의 t4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해,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이상이었기 때문에, 스위치(Q2)가 오프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Q2)를 닫는 소정의 기간(도 7의 시각 t3~t4에 상당)은, S2~S4에 있어서 스위치(Q1)를 닫는 기간(도 7의 시각 t1~t2에 상당)보다 짧다. 또, S7에 있어서,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 후에 흡인을 검지한 경우(S1:Yes)에 있어서의 스위치(Q1)의 개폐(S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스위칭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S6에 있어서 산출되는 전류값(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에 수렴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측정값을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기 위한 급전 회로의 제어(본 발명에 관한 「제1 제어 모드」라고도 부른다)보다, 측정값이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33)에 흘려보내는 전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급전 회로의 제어(본 발명에 관한 「제2 제어 모드」라고도 부른다)가, 측정값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된다.
이상으로, 잔량 추정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S1의 처리로 되돌아오고, 사용자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한 경우에는 도 6의 처리를 재차 실행한다.
도 7의 시각 t5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흡인 동작을 검지하여(도 6:S1:Yes), 스위치(Q1)의 PWM 제어가 개시되고 있다. 또, 도 7의 시각 t6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흡인 동작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어(도 6:S3:Yes), 스위치(Q1)의 PWM 제어가 정지되고 있다. 그리고, 도 7의 시각 t7에 있어서 스위치(Q2)가 온이 되고(도 6:S5), 션트 저항의 전류값이 산출된다(도 6:S6). 그 후, 도 7의 시각 t7 이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원의 잔량(Quantity)이 임계값 Thre2 미만이 되어, 부하(33)의 온도 THTR이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이 저하되고, 시각 t8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2 미만의 값을 나타낸 것을 검지한다(도 6:S7:Yes). 이 경우, 에어로졸원의 고갈에 의해 에어로졸의 생성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시각 t8 이후에 있어서 사용자의 흡인을 검지해도 스위치(Q1)의 개폐를 행하지 않게 한다. 도 7의 예에서는, 그 후, 시각 t9에 있어서 소정 기간이 경과되어, 스위치(Q2)가 오프로 되어 있다(도 6:S9). 또한,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2 미만의 값을 나타낸 시각 t8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스위치(Q2)를 오프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21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그 고갈을 추정할 때, 제어에 이용하는 변수에 혼입하는 오차가 저감되어,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따른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판정 기간>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잔량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스위치(Q2)를 소정의 기간, 계속해서 온으로 하여, 잔량 센서(34)의 측정값을 취득하고 있었다. 또한, 스위치(Q2)를 닫는 기간을, 잔량 센서(34) 및 부하(33)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 시퀀스」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에어로졸원의 잔량의 판정을 행하기 위해, 잔량을 판정하기 위한 「판정 기간」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판정 기간은, 예를 들면 급전 시퀀스에 시간축에 있어서 내포되며, 그 길이는 가변으로 한다.
도 8은, 판정 기간의 길이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그래프는, 가로축이 시간 t의 경과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의 예에서는, 편의상, 스위치(Q1)의 개폐에 수반하는 전류값 IHTR을 생략하고, 스위치(Q2)가 닫힌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기간 p1은 통상 시의 급전 시퀀스이고, 왼쪽에 나타내는 전류값 IHTR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할 때의 모식적인 프로파일이다. 초기적으로는, 판정 기간은 급전 시퀀스(p1)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왼쪽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전에 수반하여 부하(33)의 온도 THTR이 상승하고, 이에 수반하는 부하(33)의 저항 부하(33)의 저항값 RHTR의 증가에 의해, 전류값 IHTR은 점감하지만,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판정 기간은 변경되지 않는다.
중앙에 나타내는 전류값 IHTR은, 판정 기간(p1) 내에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당해 급전 시퀀스의 개시로부터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낼 때까지의 기간 p2를, 후의 급전 시퀀스에 내포되는 판정 기간의 길이로 한다. 즉, 전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낸 시간에 근거하여, 후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판정 기간을 조정한다. 환언하면, 에어로졸원이 고갈될 가능성이 높을수록, 판정 기간을 짧게 설정한다. 또, 급전 시퀀스의 길이를 기준으로 급전 시퀀스(판정 기간) 내에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이 된 경우, 에어로졸원이 고갈될 가능성이 임계값(본 발명에 관한 「제2 임계값」이라고도 부른다)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에어로졸원이 고갈될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판정 기간을 급전 시퀀스보다 짧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오른쪽에 나타내는 전류값 IHTR은, 판정 기간(p2) 내에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 중에는, 저류부(31)에 보지되어 있는 에어로졸원의 양은 감소할 뿐이다. 따라서, 에어로졸원이 고갈되면, 통상, 급전의 개시로부터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낼 때까지의 기간은 짧아질 뿐이라고 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변경되는 판정 기간 내에 있어서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케이스가, 반복되는 판정 기간에 있어서 연속해서 기정수를 넘어 발생한 경우에,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다(즉, 이상)고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에어로졸원이 고갈된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량 검지 회로로의 급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도 9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왼쪽과 중앙의 전류값 IHTR의 변화는, 도 8과 동일하다. 도 9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전류값 IHTR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할 때의 프로파일과 같고, 판정 기간(p2) 내에 전류값 IHTR은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내지 않는다. 여기에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있어서는, 그 구조상, 사용자의 흡인의 방법에 따라서는, 저류부(31)로부터 공급부(32)로의 에어로졸원의 공급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이것을 제어부(22) 등에 의해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사용자가 1회의 퍼프로 상정되는 것보다도 장시간 흡인한 경우나, 상정되는 통상의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흡인을 행한 경우, 부하(33)의 주위로부터 일시적으로 통상 시보다 에어로졸원의 양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의 중앙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 기간 내에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그 후, 부사용자가 다른 흡인의 방법을 하면, 도 9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 기간 내에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도 9의 예에서는, 판정 기간 내에 있어서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케이스가, 반복되는 급전 기간에 있어서 연속해서 기정수를 넘지 않기 때문에, 저류부(31)가 저류한 에어로졸원은 고갈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판정 기간을 채용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이 고갈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판정 기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판정 동작에 있어서의 기준을 조정할 수 있어,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판정 처리의 변형예>
도 10은, 판정 기간의 설정을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어부(22)는, 도 6에 나타낸 잔량 추정 처리 중, S5~S9의 처리 대신에, 도 10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제어부(22)는, 스위치(Q2)를 온으로 한다(도 10:S5). 본 스텝은, 도 6의 S5와 같다.
또, 제어부(22)는, 타이머를 기동하여, 경과 시간 t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도 10:S11).
그리고, 제어부(22)는, 경과 시간 t가 판정 기간 이상인지 판단한다(도 10:S12). 경과 시간 t가 판정 기간 이상이 아닌 경우(S12:No), 제어부(22)는, 경과 시간의 카운트를 행한다(도 10:S21). 본 스텝에서는, 타이머 기동 또는 전회의 S21의 처리로부터의 경과 시간의 차분 Δt를 t에 가산한다.
또, 제어부(22)는,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값 IHTR을 검출한다(도 10:S6). 본 스텝의 처리는, 도 6의 S6과 같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산출한 전류값 IHTR이 소정의 임계값 Thre1보다 작은지 판단한다(도 10:S7). 본 스텝은, 도 6의 S7과 같다.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이상인 경우(S7:No), S12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보다 작은 경우(S7:Yes), 제어부(22)는, 고갈이 검지된 판정 기간의 수를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에, 1을 가산한다(도 10:S22).
그리고, 제어부(22)는, 카운터가 기정값(임계값)을 넘었는지 판단한다(S23). 카운터가 기정값을 넘었다고 판단된 경우(S23:Yes), 제어부(22)는, 에어로졸원의 고갈을 검지했다고 판단하고,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도 10:S8). 본 스텝은, 도 6의 S8과 같다.
한편, 카운터는 기정값을 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S23:No), 제어부(22)는, 급전 시퀀스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도 10:S31). 급전 시퀀스가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S31:No), 제어부(22)는 경과 시간 t를 갱신하여 S3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급전 시퀀스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31:Yes), 제어부(22)는, 판정 기간을 갱신한다(도 10:S32). 본 스텝에서는, S7에 있어서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보다 작다고 판단된 시점의 경과 시간 t를, 새로운 판정 기간으로서 설정한다. 즉, 전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측정값이 임계값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시간에 근거하여, 후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판정 기간을 조정한다. 환언하면, 전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후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판정 기간의 길이를 조정한다. 또, 현재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장래의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의 판정 기간의 길이를 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또, S12에 있어서, 경과 시간 t가 판정 기간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S12:Yes), 제어부(22)는, 급전 시퀀스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도 10:S13). 급전 시퀀스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S13:No), 제어부(22)는, 급전 시퀀스가 종료될 때까지 급전을 계속한다. 판정 기간이 경과하고, 급전 시퀀스가 경과하지 않은 상태란, 도 9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기간에 있어서, 기간 p2가 경과한 후, 또한 기간 p1이 경과하기 전이다.
한편, 급전 시퀀스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13:Yes), 제어부(22)는, 판정 기간의 길이를 급전 시퀀스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한다(도 10:S14).
또, 제어부(22)는, 카운터를 리셋한다(도 10:S15). 즉, 당해 급전 기간에 수반하여 규정되는 판정 기간에 있어서는, 전류값 IHTR이 임계값 Thre1 미만의 값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고갈이 검지된 판정 기간이 연속하는 수를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를 리셋하고 있다. 또한, 카운터를 리셋하지 않고, 고갈이 검지된 판정 기간의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은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S15, S8, 또는 S32 후, 제어부(22)는 스위치(Q2)를 오프로 한다(도 10:S9). 본 스텝은, 도 6의 S9와 같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가변의 판정 기간을 실현할 수 있다.
<션트 저항>
제어부(22)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흡인하지 않는 기간에 잔량 검출 경로를 기능시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추정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흡인하지 않는 기간에 흡구로부터 에어로졸이 방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스위치(Q2)를 닫고 있는 기간에 부하(33)가 에어로졸원을 증발시키는 양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잔량의 변화를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잔량 센서(34)의 측정값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따라 크게 변화할수록 분해능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이하, 션트 저항의 저항값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저류부, 공급부 및 부하에 있어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Q1은 공급부(32)의 윅의 발열량, Q2는 부하(33)의 코일의 발열량, Q3은 액체의 에어로졸원의 온도 상승에 필요한 열량, Q4는 액체로부터 기체로의 에어로졸원 상태 변화에 필요한 열량, Q5는 복사에 의한 공기의 발열 등을 나타낸다. 소비되는 에너지 Q는, Q1~Q5의 합이다.
또, 물체의 열용량 C(J/K)는 물체의 질량 m(g)과 비열 c(J/g·K)의 곱이다. 또, 물체의 온도를 T(K) 변화시키기 위한 열량 Q(J/K)는, m×C×T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소비되는 에너지 C는, 부하(33)의 온도 THTR이 에어로졸원의 비점 Tb보다 낮은 경우, 다음의 식 (6)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1은 공급부(32)의 윅의 질량, C1은 공급부(32)의 윅의 비열, m2는 부하(33)의 코일의 질량, C2는 부하(33)의 코일의 비열, m3은 액체의 에어로졸원의 질량, C3은 액체의 에어로졸원의 비열, T0은 부하(33)의 온도의 초기값이다.
Q=(m1C1+m2C2+m3C3)(THTR-T0)···(6)
또, 소비되는 에너지 C는, 부하(33)의 온도 THTR이 에어로졸원의 비점 Tb 이상인 경우, 다음의 식 (7)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4는 액체인 에어로졸원 중 증발하는 분의 질량, H4는 액체인 에어로졸원의 증발열이다.
Q=(m1C1+m2C2)(THTR-T0)+m3C3(Tb-T0)+m4H4 ···(7)
따라서, 증발에 유래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임계값 Ethre는, 다음의 식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Ethre<(m1C1+m2C2+m3C3)(Tb-T0)···(8)
도 12는, 부하(33)에 있어서 소비되는 에너지(전력량)와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의 가로축은 에너지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TPM(Total Particle Matter: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물질의 양)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33)에 있어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소정의 임계값 Ethre를 넘으면, 에어로졸의 생성이 개시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에 대략 정비례하여,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도 증가한다. 또한, 도 12의 세로축은 반드시 부하(33)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의 증발에 유래하여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이어도 된다. 또는, 흡구로부터 방출되는 에어로졸량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부하(33)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EHTR은, 다음의 식 (9)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WHTR은 부하(33)의 일률, tQ2 ON은 스위치(Q2)를 온으로 하고 있는 시간(s)이다. 또한, 스위치(Q2)는, 션트 저항의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시간만 온으로 할 필요가 있다.
EHTR=WHTR×tQ2 ON ···(9)
또, 잔량 검출 경로를 흐르는 전류값 IQ2, 부하(33)의 온도 THTR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값 RHTR(THTR), 션트 저항의 측정 전압 Vmeas를 이용하여 식 (9)를 변형하면, 이하의 식 (10)이 된다.
[수 1]
Figure pct00001
따라서, 다음의 식 (11)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하(33)에 있어서 소비되는 에너지 EHTR이, 도 12의 임계값 Ethre보다 작으면, 에어로졸은 생성되지 않는다.
[수 2]
Figure pct00002
이것을 변형하면, 다음의 식 (12)와 같이 된다. 즉, 션트 저항의 저항값 Rshunt는, 식 (12)을 충족시키는 값이면, 잔량 추정 처리에 있어서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 3]
Figure pct00003
일반적으로, 션트 저항을 추가하는 회로로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하여, 션트 저항의 저항값은, 수 10mΩ 정도의 낮은 값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로졸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션트 저항의 저항값의 하한이 정해진다. 하한값은, 부하(33)의 저항값보다 큰, 예를 들면 수Ω 정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원으로부터 저항기에 급전되는 급전 시퀀스에 있어서, 부하가 생성하는 에어로졸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가 되는 제1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션트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션트 저항의 저항값을 크게 하지 않고, 션트 저항과 직렬로, 전체의 저항값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추가하는 조정용 저항기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추가하는 조정용 저항기에 대해서는 양단 전압을 측정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도 13은, 에어로졸의 잔량 Quantity와, 부하(33)의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3의 그래프는, 가로축이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부하(33)의 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저항값을 나타낸다. 또, RHTR(TDepletion)는,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저항값이다. RHTR(TR.T.)은, 실온에 있어서의 저항값이다. 여기에서, 비트 수를 포함하는 제어부(22)의 분해능에 대해, 전압이나 전류, 나아가서는 부하(33)의 저항값이나 온도의 측정 레인지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잔량 추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부하(33)의 저항값인 RHTR(TDepletion)과 RHTR(TR.T.)의 차가 클수록,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따라 변동하는 폭이 커진다. 환언하면, 제어부(22)의 분해능이나 측정 레인지와는 별도로, 부하(33)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값의 변동폭을 크게 하는 것도, 제어부(22)가 산출하는 잔량 추정값의 정밀도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부하(33)의 저항값 RHTR(TDepletion)을 이용하여, 당해 시점에 잔량 센서(34)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검지되는 전류값 IQ2 ON(TDepletion)을 다음의 식 (1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4]
Figure pct00004
마찬가지로, 실온에 있어서의 부하(33)의 저항값 RHTR(TR.T.)을 이용하여, 당해 시점에 잔량 센서(34)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검지되는 전류값 IQ2 ON(TR.T.)을, 다음의 식 (14)로 나타낼 수 있다.
[수 5]
Figure pct00005
그리고, 전류값 IQ2 ON(TR.T.)에서 전류값 IQ2 ON(TDepletion)을 뺀 차분 ΔIQ2 ON은, 다음의 식 (15)로 나타낼 수 있다.
[수 6]
Figure pct00006
식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Rshunt를 크게 하면 전류값 IQ2 ON(TR.T.)과 전류값 IQ2 ON(TDepletion)의 차분 ΔIQ2 ON은 작아져,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식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분 ΔIQ2 ON이 원하는 임계값 ΔIthre보다 커지도록 션트 저항의 저항값 Rshunt를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수 7]
Figure pct00007
식 (16)을 저항값 Rshunt에 대해 풀면, 잔량 추정값의 분해능이 충분히 커지기 위하여, 저항값 Rshunt가 충족시켜야 할 조건은, 원하는 임계값 ΔIthre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 (17)로 나타난다. 따라서, 식 (17)을 충족시키도록 저항값 Rshunt를 설정하면 된다.
[수 8]
Figure pct00008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온에 있어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 IQ2 ON(TR.T.)과, 에어로졸원이 고갈된 경우에 있어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 IQ2 ON(TDepletion)의 차분 ΔIQ2 ON이, 제어부(22)를 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저항값 Rshunt를 설정했다. 이 대신에,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의 비점 근방에 있어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과, 에어로졸원이 고갈된 경우에 있어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차분이, 제어부(22)를 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저항값 Rshunt를 설정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제어부(22)를 검지할 수 있는 전류차에 대응하는 온도차가 작을 수록,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대한 추정 정밀도는 향상된다.
여기에서, 제어부(22)의 분해능 및 부하(33)의 저항값을 포함하는 잔량 검출 회로의 설정이,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대한 추정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22)에 n비트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고, 기준 전압으로서 VREF를 인가하는 경우, 제어부(22)의 분해능(Resolution)은, 다음의 식 (18)로 나타낼 수 있다.
[수 9]
Figure pct00009
또, 부하(33)가 실온인 경우에 전압계(342)가 검출하는 값과,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에 전압계(342)가 검출하는 값의 차분 ΔVQ2 ON은, 식 (15)에 근거하여, 다음의 식 (19)로 나타낼 수 있다.
[수 10]
Figure pct00010
따라서, 식 (18), (19)로부터, 제어부(22)는, 0~ΔVQ2 ON의 범위에 걸쳐, 다음의 식 (20)으로 나타나는 값 및 그 정수배를 전압차로서 검지할 수 있다.
[수 11]
Figure pct00011
추가로 식 (20)으로부터, 제어부(22)는, 실온으로부터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에 있어서의 부하(33)의 온도에 걸쳐, 다음의 식 (21)로 나타나는 값 및 그 정수배를 히터의 온도로서 검지할 수 있다.
[수 12]
Figure pct00012
일례로서, 식 (21)에 있어서의 변수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 변수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크게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어부(22)는, 제어부(22)에 의한 비제어 시 및 제어 개시 시의 온도인 실온과,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를 최저한 구별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즉, 실온에 있어서의 잔량 센서(34)의 측정값과,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에 있어서의 잔량 센서(34)의 측정값이, 제어부(22)가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유의차를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와 실온의 차분 이하일 필요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충분히 있는 경우는, 부하(33)의 온도는 에어로졸원의 비점 근방으로 유지된다.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되어 있는지 더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어부(22)는, 이 에어로졸원의 비점과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어로졸원의 비점에 있어서의 잔량 센서(34)의 측정값과,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에 있어서의 잔량 센서(34)의 측정값이, 제어부(22)가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유의차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와 에어로졸원의 비점의 차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잔량 센서(34)의 측정값을,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만이 아닌, 부하(33)의 온도 센서로서도 이용하는 경우는, 제어부(22)는, 제어부(22)에 있어서의 비제어 시 및 제어 개시 시의 온도인 실온과, 에어로졸원의 비점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온에 있어서의 잔량 센서(34)의 측정값과, 에어로졸원의 비점에 있어서의 잔량 센서의 측정값이, 제어부(22)가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유의차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에어로졸원의 비점과 실온의 차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고정밀도로 부하(33)의 온도 센서로서 이용하려고 하면,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되어 가고 있는 경우와, 실제로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를 정확하게 구별하려고 한다면,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에어로졸원의 잔량이 고갈된 경우의 온도와 실온의 차분의 약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어부(22)의 비트 수를 향상시킴으로써, 환언하면 제어부(22)를 고성능화함으로써, 제어부(22)의 부하(33)의 온도에 대한 분해능은 용이하게 향상된다. 그러나, 제어부(22)를 고성능화하려고 하면, 코스트, 중량, 사이즈 등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부하(33)가 생성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가 되는 제1조건과, 에어로졸원의 잔량의 감소를 잔량 센서(34)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어부(22)가 검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충족시키도록 션트 저항의 저항값을 결정하도록 해도 되고, 양자를 충족시키는 저항값이라면 더 바람직하다. 또, 제1조건을 충족시키는 최소값과 제2조건을 충족시키는 최대값 중, 제2조건을 충족시키는 최대값에 더 가까운 값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측정 중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생성을 저감시키면서도, 잔량 검지의 분해능을 가능한 한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고정밀도뿐만 아니라 단기간에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중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생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조건과 제2조건은, 모두 부하(33)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잔량 센서(34)의 측정값인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응답성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부하(33)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응답성이 강한 경우는, 직렬로 연결한 션트 저항(341)과 부하(33)의 합성 저항에 있어서, 부하(33)가 지배적인 경우이다. 즉, 션트 저항의 저항값 Rshunt는 작은 값이기 때문에, 제2조건은 충족시키기 쉬워지지만, 제1조건은 충족시키기 어려워진다.
한편, 부하(33)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응답성이 약한 경우는, 직렬로 연결한 션트 저항(341)과 부하(33)의 합성 저항에 있어서, 션트 저항(341)이 지배적인 경우이다. 즉, 션트 저항의 저항값 Rshunt는 큰 값이기 때문에, 제1조건은 충족시키기 쉬워지지만, 제2조건은 충족시키기 어려워진다.
즉 제1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부하(33)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응답성이 기정의 상한 이하일 필요가 있다. 일방의 제2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부하(33)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응답성이 기정의 하한 이상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1조건과 제2조건의 쌍방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부하(33)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부하(33)에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의 응답성이, 기정의 상한과 하한으로 정의되는 범위에 속할 필요가 있다.
<회로의 변형예 1>
도 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구비하는 회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잔량 검출 경로가 에어로졸 생성 경로를 겸하고 있다. 즉, 전압 변환부(211), 스위치(Q2), 잔량 센서(34), 부하(33)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로졸의 생성과 잔량 추정을 1개의 경로에서 행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잔량 추정을 행할 수 있다.
<회로의 변형예 2>
도 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구비하는 회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예에서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대신에 스위칭 레귤레이터인 전압 변환부(212)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전압 변환부(212)는, 승압형의 컨버터이며, 인덕터(L1)와, 다이오드(D1)와, 스위치(Q4)와, 평활 콘덴서로서 기능하는 커패시터(C1 및 C2)를 구비한다. 전압 변환부(212)는, 전원(21)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경로와 잔량 검출 경로에 분기하기 전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2)가 전압 변환부(212)의 스위치(Q4)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경로와 잔량 검출 경로에 각각 다른 크기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레귤레이터 대신에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여도, 도 14에 있어서의 리니어 레귤레이터와 동일한 위치에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마련해도 된다.
또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경로 전체에 일정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는 잔량 검출 회로에 비해, 인가 전압에 대한 제약이 적은 에어로졸 생성 경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의 전력 손실이, 잔량 검출 경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의 전력 손실보다 작아지도록, 전압 변환부(212)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전원(21)의 축전량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22)는, 에어로졸 생성 경로보다 잔량 검지 경로 쪽이, 부하(33)를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잔량 검지 경로를 기능시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추정하고 있는 동안에, 부하(33)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경로를 기능시키는 동안에 있어서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로우 사이드·스위치(Q4)의 스위칭을 정지하여, 계속해서 온 상태로 하는 「직결 모드」(「직결 상태」라고도 부른다)로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스위치(Q4)의 듀티비를 100%로 해도 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스위칭시켰을 경우의 손실로서는, 도통손(導通損)에 더해 스위칭에 수반하는 천이손이나 스위칭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직결 모드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의 손실을 도통손으로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21)의 축전량의 이용 효율이 높아진다. 또, 에어로졸 생성 경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의 일부에 있어서만,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직결 모드로 동작시켜도 된다. 일례로서, 전원(21)의 축전량이 충분히 있고, 그 출력 전압이 높은 경우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직결 모드로 동작시킨다. 한편, 전원(21)의 축전량이 적어져, 그 출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을 행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잔량 추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승압형 대신에, 강압형 또는 승강압형의 컨버터를 이용해도 된다.
<기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과열하는 대상은, 니코틴이나 기타 첨가재료를 포함하는 액체의 향미원이어도 된다. 이 경우, 첨가 성분 보지부를 통과시키지 않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가 흡인한다. 이러한 향미원을 이용하는 경우도, 상기 설명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잔량을 정밀도 좋게 추정할 수 있다.
또, 제어부(22)는, 스위치(Q1 및 Q2)를 동시에 온으로 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에어로졸 생성 경로와 잔량 검출 경로가 동시에 기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 스위치(Q1 및 Q2)의 개폐 상태를 전환할 때에는, 양자가 오프가 된 데드 타임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2개의 경로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데드 타임에 있어서 부하(33)의 온도를 가능한 한 저하시키지 않도록, 데드 타임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행하는 1회의 퍼프에 대해서 잔량 추정 처리를 1회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1회씩이 아닌 복수 회의 퍼프에 대해서 1회의 잔량 추정 처리를 교대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에어로졸원 보지부(3)의 교환 후에는 에어로졸원의 잔량은 충분하기 때문에, 소정 횟수의 퍼프 후에, 잔량 추정 처리를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에어로졸 생성 경로보다 잔량 검지 경로 쪽이 통전의 빈도가 적어지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과도한 잔량 추정 처리가 억제되어,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만 실행되기 때문에, 전원(21)의 축전량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본체
21: 전원
211: 급전 회로
212: 급전 회로
22: 제어부
23: 흡인 센서
3: 에어로졸원 보지부
31: 저류부
32: 공급부
33: 부하
34: 잔량 센서
341: 션트 저항
342: 전압계
4: 첨가 성분 보지부
41: 향미 성분
51: 제1 노드
52: 제2 노드

Claims (30)

  1.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상기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보다 적어지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변환부가 정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측정값을 취득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전 회로는, 상기 측정값을 출력하지 않는 제1 급전로와, 상기 측정값을 출력하는 제2 급전로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전 회로는, 상기 부하에 대해서 직렬의 위치에 마련되고, 자신을 관류(貫流)하는 전류값 또는 자신에게 인가되는 전압값을 상기 측정값으로서 출력 가능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측정값을 취득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급전 회로는, 상기 센서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를 접속하는 제1 급전로와, 상기 센서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를 접속하는 제2 급전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급전로와 상기 제2 급전로가 동시에 기능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급전로에 포함되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측정값을 취득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급전 회로는,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제1 급전로와 상기 제2 급전로에 분기하는 제1 노드와, 상기 제1 급전로와 상기 제2 급전로가 합류하여 상기 부하에 접속되는 제2 노드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로는, 상기 제1 급전로보다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상기 제1 급전로보다 상기 제2 급전로 쪽이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급전로보다 상기 제2 급전로 쪽이, 통전 시간이 짧아지도록, 상기 제1 급전로 및 상기 제2 급전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급전로보다 상기 제2 급전로 쪽이, 통전 빈도가 적어지도록, 상기 제1 급전로 및 상기 제2 급전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1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보다, 상기 부하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감소하도록, 상기 제2 급전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장치의 단부에 마련되고, 또한 에어로졸을 방출하기 위한 흡구단(吸口端)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흡구단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방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급전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부하가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2 급전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니어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2 급전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센서의 사이에 마련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부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급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과 상기 제1 노드의 사이에 마련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급전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의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이, 상기 제2 급전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의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급전로를 기능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직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旣定)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부하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9.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여,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보다 적어지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상기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 또는 상기 향미원의 잔량을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으로서,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여,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 또는 상기 향미원의 잔량을 추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22. 정전압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상기 정전압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상기 정전압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회로와,
    상기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상기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보다 적어지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3.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정전압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여,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며,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보다 적어지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상기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에어로졸원 또는 상기 향미원의 고갈을 검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5.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여,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에어로졸원 또는 상기 향미원의 고갈을 검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상기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1 제어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1 제어 모드보다 상기 측정값의 변화량이 큰 제2 제어 모드로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7.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여,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하는 급전 회로에 의한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1 제어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1 제어 모드보다 상기 측정값의 변화량이 큰 제2 제어 모드로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전원과,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 급전 회로와,
    상기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당해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지 않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9.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거나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여,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하를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측정값을 취득하고,
    전원과,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출력 가능한 전압 변환부를 구비하는 급전 회로에 의한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상기 측정값이 목표값 또는 목표 범위를 포함하는 기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 범위에 수렴시키지 않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30. 청구항 19, 청구항 23, 청구항 25, 청구항 27,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또는 청구항 2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추정 방법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07006400A 2017-10-24 2017-10-24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322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8392 WO2019082280A1 (ja) 2017-10-24 2017-10-24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エアロゾル源又は香味源の残量の推定方法、及びこれらの方法をプロセッサ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01A true KR20200038501A (ko) 2020-04-13
KR102322385B1 KR102322385B1 (ko) 2021-11-04

Family

ID=6624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00A KR102322385B1 (ko) 2017-10-24 2017-10-24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00899B2 (ko)
EP (1) EP3701814A4 (ko)
JP (1) JP6905073B2 (ko)
KR (1) KR102322385B1 (ko)
CN (1) CN111246755B (ko)
RU (1) RU2752771C1 (ko)
WO (1) WO2019082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5144B2 (ja) * 2018-03-23 2021-07-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112933A1 (en) 2018-09-18 2020-03-26 Airgraf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vaporizer security and traceability management
US10822123B2 (en) 2018-10-16 2020-11-03 Airgraf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filling a prepackaged container
DE102019113645B4 (de) * 2019-05-22 2020-12-03 Hauni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r Regelung der Verdampfung eines Verdampfers in einem Inhalator
KR102278593B1 (ko) * 2019-07-29 2021-07-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1016994A1 (zh) * 2019-08-01 2021-02-04 深圳葭南科技有限公司 用于更好还原烟油口感的电子烟控制方法及电子烟
US12063981B2 (en) 2019-08-13 2024-08-20 Airgraf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heating carrier material using a vaporizer
CN110584207A (zh) * 2019-09-03 2019-12-20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气雾产生装置、发热组件和存储组件
KR102323785B1 (ko) 2019-11-18 2021-11-09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전압 감지 및 제어 회로
KR102350596B1 (ko) * 2020-01-16 2022-01-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6761913B1 (ja) * 2020-03-10 2020-09-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KR102427856B1 (ko) * 2020-04-13 2022-08-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22015339A (ja) * 2020-07-08 2022-01-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JP6833093B1 (ja) 2020-07-09 2021-02-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6864141B1 (ja) * 2020-07-09 2021-04-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69411B1 (ja) * 2020-09-07 2021-05-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GB202014915D0 (en) * 2020-09-22 2020-11-0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JP6890203B1 (ja) * 2020-09-30 2021-06-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KR102457797B1 (ko) * 2020-12-21 2022-10-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CN214151517U (zh) * 2020-12-30 2021-09-07 江门摩尔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及其加热电路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481A (ja) 1989-12-01 1991-10-16 Philip Morris Prod Inc フレーバ送出物品
JP2000041654A (ja) 1998-08-04 2000-02-15 Japan Tobacco Inc 電気式香味生成物品加熱制御装置
JP2005525131A (ja) 2001-07-31 2005-08-25 クリサリ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蒸発した液体を発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1515093A (ja) 2008-03-25 2011-05-19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式エーロゾル発生システムにおいて煙成分の形成を制御する方法
JP2012027350A (ja) 2010-07-27 2012-02-09 Olympus Corp プリズム光学系、プリズム光学系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プリズム光学系を用いた撮像装置
JP2013509160A (ja) 2009-10-29 2013-03-1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加熱器が改善された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JP2014501107A (ja) 2010-12-24 2014-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液体気質の消費を取り扱う手段を有する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14501106A (ja) 2010-12-24 2014-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消耗品を無効化する手段を備えた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14501105A (ja) 2010-12-24 2014-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液体基質の減少判定手段を有する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15507476A (ja) 2011-12-30 2015-03-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内のエアロゾル形成基材の検出
JP2015531600A (ja) 2012-09-11 2015-11-0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ヒーターを制御して温度を制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60102293A (ko) * 2013-12-23 2016-08-29 팍스 랩스, 인크. 기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021550A (ja) 2015-07-10 2017-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421A (en) 1991-03-11 1998-03-10 Philip Morris Incorporated Protective and cigarette ej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RU2172551C2 (ru) * 1995-01-13 2001-08-20 Аутотроникс Инжиниринг Интернэшнл Лимитед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JP2005255078A (ja) * 2004-03-15 2005-09-22 Yazaki Corp 車両用ヒータ制御装置
CA2797975C (en) * 2010-04-30 2017-06-06 Blec, Llc Electronic smoking device
EP4397344A3 (en) 2010-08-24 2024-10-02 JT International SA Inhalation device including substance usage controls
MX356624B (es) * 2011-03-09 2018-06-06 Chong Corp Sistema de entrega de medicamento.
JP6187936B2 (ja) * 2011-04-22 2017-08-30 チョン・コーポレーション 薬剤送達システム
EP2770859B1 (en) 2011-10-27 2018-12-05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aerosol production
US8820330B2 (en) * 2011-10-28 2014-09-02 Evolv, Llc Electronic vaporizer that simulates smoking with power control
US10031183B2 (en) 2013-03-07 2018-07-24 Rai Strategic Holdings, Inc. Spent cartridg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9423152B2 (en) 2013-03-15 2016-08-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US20140299137A1 (en) * 2013-04-05 2014-10-09 Johnson Creek Enterprises, LLC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66121A1 (zh) * 2013-04-12 2014-10-16 Liu Shuigen 具有温控功能的加热装置和温控方法以及烟草蒸发器
US20140338685A1 (en) 2013-05-20 2014-11-20 Sis Resources, Ltd. Burning prediction and communications for an electronic cigarette
US11202470B2 (en) 2013-05-22 2021-12-21 Njoy, Inc.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nicotine aerosol delivery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549573B2 (en) 2013-12-23 2017-01-24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WO2015192084A1 (en) * 2014-06-14 2015-12-17 Evolv, Llc Electronic vaporizer having temperature sensing and limit
JP6099056B2 (ja) 2014-07-04 2017-03-22 学校法人加計学園 ガスセンサ及びガスセンサアレイ
CN106307614A (zh) * 2015-06-17 2017-01-11 深圳市新宜康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温度控制方法、控制电路及可控温电子烟雾化芯
US10874139B2 (en) 2015-07-07 2020-12-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or device including capsule containing pre-vapor formulation
US10524505B2 (en) 2015-08-06 2020-01-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 for measuring a vapor precursor level in a cartomizer of a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US10582726B2 (en) 2015-10-21 2020-03-10 Rai Strategic Holdings, Inc. Induction charging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0918134B2 (en) 2015-10-21 2021-02-16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suppl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20170112194A1 (en) 2015-10-21 2017-04-27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chargeable lithium-ion capacito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0575561B2 (en) 2015-11-17 2020-03-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customizable identification resistance
SG10202108578XA (en) 2016-02-11 2021-09-29 Juul Labs Inc Securely attaching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US10912333B2 (en) 2016-02-25 2021-02-09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205987969U (zh) * 2016-08-17 2017-03-01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电子烟及其供电电路
US10349674B2 (en) * 2017-07-17 2019-07-16 Rai Strategic Holdings, Inc. No-heat, no-burn smoking article
PL3692828T3 (pl) 2017-10-18 2024-01-03 Japan Tobacco Inc. Urządzenie wytwarzające składniki inhalacyjne
WO2020092741A1 (en) 2018-11-02 2020-05-07 Blackship Technologies Develo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micro-vaporizer use authorization
WO2021062053A2 (en) 2019-09-25 2021-04-01 Juul Labs, Inc. Vapor prediction model for a vaporizer device
CA3163092A1 (en) 2019-11-26 2021-06-03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responsive inhalation detection
US11666101B2 (en) 2020-07-15 2023-06-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ing engine control circuits and non-nicotine electronic vaping devices including the same
JP6865879B1 (ja) 2020-09-07 2021-04-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電源装置
JP6882585B1 (ja) 2020-09-07 2021-06-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481A (ja) 1989-12-01 1991-10-16 Philip Morris Prod Inc フレーバ送出物品
JP2000041654A (ja) 1998-08-04 2000-02-15 Japan Tobacco Inc 電気式香味生成物品加熱制御装置
JP2005525131A (ja) 2001-07-31 2005-08-25 クリサリ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蒸発した液体を発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1515093A (ja) 2008-03-25 2011-05-19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式エーロゾル発生システムにおいて煙成分の形成を制御する方法
JP2013509160A (ja) 2009-10-29 2013-03-1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加熱器が改善された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JP2012027350A (ja) 2010-07-27 2012-02-09 Olympus Corp プリズム光学系、プリズム光学系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プリズム光学系を用いた撮像装置
JP2014501107A (ja) 2010-12-24 2014-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液体気質の消費を取り扱う手段を有する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14501106A (ja) 2010-12-24 2014-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消耗品を無効化する手段を備えた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14501105A (ja) 2010-12-24 2014-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液体基質の減少判定手段を有する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15507476A (ja) 2011-12-30 2015-03-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内のエアロゾル形成基材の検出
JP2015531600A (ja) 2012-09-11 2015-11-0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ヒーターを制御して温度を制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60102293A (ko) * 2013-12-23 2016-08-29 팍스 랩스, 인크. 기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501805A (ja) 2013-12-23 2017-01-19 パックス ラブズ, インク. 気化装置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021550A (ja) 2015-07-10 2017-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1814A1 (en) 2020-09-02
EP3701814A4 (en) 2021-06-30
WO2019082280A1 (ja) 2019-05-02
KR102322385B1 (ko) 2021-11-04
CN111246755B (zh) 2023-05-12
US11800899B2 (en) 2023-10-31
JP6905073B2 (ja) 2021-07-21
RU2752771C1 (ru) 2021-08-03
CN111246755A (zh) 2020-06-05
US20200237010A1 (en) 2020-07-30
JPWO2019082280A1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47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03850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잔량 추정 방법, 및 이 방법들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JP6889345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方法をプロセッサ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TWI772332B (zh) 霧氣產生裝置
JP7300482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6695470B1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エアロゾル吸引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TW201916817A (zh) 霧氣產生裝置、霧氣產生裝置的控制方法、霧氣源或香味源之殘餘量的推測方法及使處理器實行此等方法的程式
TW201916818A (zh) 霧氣產生裝置、霧氣產生裝置的控制方法及使處理器實行此方法的程式
EA044769B1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EA040068B1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