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240A -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240A
KR20200038240A KR1020207001788A KR20207001788A KR20200038240A KR 20200038240 A KR20200038240 A KR 20200038240A KR 1020207001788 A KR1020207001788 A KR 1020207001788A KR 20207001788 A KR20207001788 A KR 20207001788A KR 20200038240 A KR20200038240 A KR 2020003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451B1 (ko
Inventor
나오키 구사시마
가즈유키 시메자와
히로키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6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using historical data, averaging values or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국이 실제로 간섭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개시는,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LTE-Advanced(LTE-A)」, 「LTE-Advanced Pro(LTE-A Pro)」, 「New Radio(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NRAT)」,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또는 「Further EUTRA(FEUTRA)」라고도 칭함)가,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LTE는, LTE-A, LTE-A Pro, 및 EUTRA를 포함하고, NR은, NRAT, 및 FEUTRA를 포함한다. LTE 및 NR에서는, 기지국 장치(기지국)는 eNodeB(evolved NodeB), 단말 장치(이동국, 이동국 장치, 단말기)는 UE(User Equipment)라고도 칭한다. 단, 기지국 장치는, gNodeB 또는 gNB라고도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LTE 및 NR은,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형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단일의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NR은, LTE에 대한 차세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LTE와는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이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액세스 기술이다. NR은, 그러한 유스케이스들에 있어서의 이용 시나리오, 요구 조건, 및 배치 시나리오 등에 대응하는 기술 프레임워크를 목표로 하여 검토된다. NR의 시나리오나 요구 조건의 상세는,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Next Generation Access Technologies; (Release 14), 3GPP TR 38.913 V14.2.0(2017-03). <http://www.3gpp.org/ftp/Specs/archive/38_series/38.913/38913-030.zip>
현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국과 수신국 사이에서 통신 품질의 측정이 행해지지만, 현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품질의 측정은 전방위로부터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것뿐이며, 어느 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강도의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수신국이 실제로 간섭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수신국이 실제로 간섭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우면서 개량된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프로세서가,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프로세서가,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컴퓨터에,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일을 실행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컴퓨터에,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일을 실행시키고,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수신국이 실제로 간섭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우면서도 개량된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TE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TE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NR 셀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기 완결형 송신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안테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일 빔 운용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 빔 운용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를 검출 가능한 센싱 영역과, 그 센싱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빔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6은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를 검출 가능한 센싱 영역과, 그 센싱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빔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7은 단말 장치(2)가 보고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8은 단말 장치(2)가 보고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9는 단말 장치(2)가 측정한 방향마다의 평균 전력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0은 측정 구간 중의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RSSI)이 역치보다도 상회한 횟수를 방향마다 산출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를 시퀀스도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를 시퀀스도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를 시퀀스도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4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5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6은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7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서언
2. 기술적 특징
3. 응용예
4. 정리
<<1. 서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를 적어도 구비한다. 기지국 장치(1)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는, 다른 기지국 장치와 X2 인터페이스라는 수단에 의해 서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1)는, S1 인터페이스라는 수단에 의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1)는, S1-MME 인터페이스라는 수단에 의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접속할 수 있고, S1-U 인터페이스라는 수단에 의해 S-GW(Serving Gateway)에 접속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MME 및/또는 S-GW와 기지국 장치(1) 사이에서, 다대다의 접속을 서포트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는, 각각 LTE 및/또는 NR을 서포트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액세스 기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는, 각각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서포트한다. 예를 들어, RAT는, LTE 및 NR을 포함한다. 하나의 RAT는, 하나의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한다. 즉, 복수의 RAT가 서포트되는 경우, 그러한 RAT들은, 각각 서로 다른 셀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셀은, 하향 링크 리소스, 상향 링크 리소스, 및/또는 사이드 링크의 조합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LTE에 대응하는 셀은 LTE 셀이라고 호칭되고, NR에 대응하는 셀은 NR 셀이라고 호칭된다.
하향 링크의 통신은, 기지국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2)에 대한 통신이다. 하향 링크 송신은, 기지국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2)에 대한 송신이고,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하향 링크 물리 신호의 송신이다. 상향 링크의 통신은, 단말 장치(2)로부터 기지국 장치(1)에 대한 통신이다. 상향 링크 송신은, 단말 장치(2)로부터 기지국 장치(1)에 대한 송신이고,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신호의 송신이다. 사이드 링크의 통신은, 단말 장치(2)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2)에 대한 통신이다. 사이드 링크 송신은, 단말 장치(2)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2)에 대한 송신이고, 사이드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사이드 링크 물리 신호의 송신이다.
사이드 링크의 통신은, 단말 장치 사이의 근접 직접 검출 및 근접 직접 통신을 위해 정의된다. 사이드 링크의 통신은,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와 마찬가지인 프레임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링크의 통신은, 상향 링크 리소스 및/또는 하향 링크 리소스의 일부(서브셋)로 제한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는, 하향 링크, 상향 링크 및/또는 사이드 링크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셀의 집합을 사용하는 통신을 서포트할 수 있다. 복수의 셀의 집합 또는 복수의 셀의 집합에 의한 통신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라고도 호칭된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과 듀얼 커넥티비티의 상세는 후술된다. 또한, 각각의 셀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 폭을 사용한다. 소정의 주파수 대역 폭에 있어서의 최댓값, 최솟값 및 설정 가능한 값은, 미리 규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예에서는, 하나의 LTE 셀과 2개의 NR 셀이 설정된다. 하나의 LTE 셀은, 프라이머리 셀로서 설정된다. 2개의 NR 셀은, 각각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 및 세컨더리 셀로서 설정된다. 2개의 NR 셀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통합된다. 또한, LTE 셀과 NR 셀은, 듀얼 커넥티비티에 의해 통합된다. 또한, LTE 셀과 NR 셀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통합되어도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NR은, 프라이머리 셀인 LTE 셀에 의해 접속이 어시스트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탠드 얼론으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과 같은 일부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아도 된다. 스탠드 얼론으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은, 초기 접속에 필요한 기능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예에서는, 2개의 NR 셀이 설정된다. 2개의 NR 셀은, 각각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로서 설정되고,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통합된다. 이 경우, NR 셀이 스탠드 얼론으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서포트함으로써, LTE 셀의 어시스트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2개의 NR 셀은, 듀얼 커넥티비티에 의해 통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 구성>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10ms(밀리초)로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이 규정된다. 무선 프레임 각각은 2개의 하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프 프레임의 시간 간격은, 5ms이다. 하프 프레임 각각은,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의 시간 간격은, 1ms이며, 2개의 연속되는 슬롯에 의해 정의된다. 슬롯의 시간 간격은, 0.5ms이다. 무선 프레임 내의 i번째 서브프레임은, (2×i)번째 슬롯과 (2×i+1)번째 슬롯으로 구성된다. 즉, 무선 프레임 각각에 있어서, 10개의 서브프레임이 규정된다.
서브프레임은,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및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은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3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3개의 필드는,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 GP, 및 UpPTS의 합계의 길이는 1ms이다. DwPTS는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되는 필드이다. UpPTS는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되는 필드이다. GP는 하향 링크 송신 및 상향 링크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필드이다. 또한,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 및 GP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GP 및 UpPTS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TDD에 있어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은, 사이드 링크 통신을 위해 예약 또는 설정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사이드 링크는, 단말 장치 사이의 근접 직접 통신 및 근접 직접 검출을 위해 사용된다.
단일의 무선 프레임은,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및/또는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단일의 무선 프레임은,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서포트된다. 무선 프레임 구성은, 프레임 구성 타입으로 규정된다. 프레임 구성 타입 1은, FDD에만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타입 2는, TDD에만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타입 3은, LAA(Licensed Assisted Access) 세컨더리 셀의 운용에만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타입 2에 있어서, 복수의 상향 링크-하향 링크 구성이 규정된다. 상향 링크-하향 링크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10 서브프레임 각각은,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중 어느 것에 대응한다.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5 및 DwPTS는 항상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된다. UpPTS 및 그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직후의 서브프레임은 항상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된다.
프레임 구성 타입 3에 있어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의 10 서브프레임이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된다. 단말 장치(2)는, PDSCH 또는 검출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을 빈 서브프레임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소정의 신호, 채널 및/또는 하향 링크 송신이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검출되지 않는 한, 그 서브프레임에 어떠한 신호 및/또는 채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상정한다. 하향 링크 송신은,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유(專有)된다. 그 하향 링크 송신의 최초의 서브프레임은, 그 서브프레임 내의 어디에서 개시되어도 된다. 그 하향 링크 송신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완전히 전유되거나, DwPTS에 규정되는 시간 간격으로 전유되거나 어느 쪽이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 구성 타입 3에 있어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의 10 서브프레임이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예약되어도 된다. 또한,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의 10 서브프레임 각각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및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것에 대응하도록 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1)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DwPTS에 있어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1)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DwPTS에 있어서, PBCH의 송신을 제한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UpPTS에 있어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2)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UpPTS에 있어서, 일부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의 송신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송신에 있어서의 시간 간격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고 호칭되며, LTE에 있어서, 1ms(1 서브프레임)가 1TTI라고 정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TE의 프레임 구성>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TE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도면은, LTE의 하향 링크 리소스 그리드라고도 호칭된다.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에 대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LTE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LTE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TE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도면은, LTE의 상향 링크 리소스 그리드라고도 호칭된다.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에 대한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LTE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로부터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LTE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LTE의 물리 리소스는 이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슬롯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물리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표현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리소스 그리드는, 주파수 방향에 대한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시간 방향에 대한 복수의 OFDM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리소스 그리드는, 주파수 방향에 대한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시간 방향에 대한 복수의 SC-FDMA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서브 캐리어 또는 리소스 블록의 수는, 셀의 대역 폭에 의존하여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하나의 슬롯에 있어서의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타입에 따라 정해진다. CP의 타입은, 노멀 CP 또는 확장 CP이다. 노멀 CP에 있어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의 수는 7이다. 확장 CP에 있어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의 수는 6이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 각각은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칭해진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서브 캐리어의 인덱스(번호)와 심볼의 인덱스(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은 단순히 심볼이라고도 호칭된다.
리소스 블록은, 어느 물리 채널(PDSCH 또는 PUSCH 등)을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소스 블록은, 가상 리소스 블록과 물리 리소스 블록을 포함한다. 어느 물리 채널은, 가상 리소스 블록에 매핑된다. 가상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매핑된다.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소정수의 연속되는 심볼로 정의된다.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소정수의 연속되는 서브 캐리어로 정의된다.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심볼 수 및 서브 캐리어 수는, 그 셀에 있어서의 CP의 타입, 서브 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위층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미터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CP의 타입이 노멀 CP이고,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인 경우,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심볼 수는 7이고, 서브 캐리어 수는 12이다. 그 경우,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7×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0부터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동일한 물리 리소스 블록 번호가 대응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 페어(PRB 페어, RB 페어)로서 정의된다.
LTE 셀 각각에 있어서, 어느 서브프레임에서는, 하나의 소정의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 소정의 파라미터는,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물리 파라미터)이다.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는, CP 길이, 서브 캐리어 간격, 하나의 서브프레임(소정의 시간의 길이)에 있어서의 심볼 수, 하나의 리소스 블록(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 수, 다원 접속 방식, 및 신호 파형 등을 포함한다.
즉, LTE 셀에서는, 하향 링크 신호 및 상향 링크 신호는, 각각 소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나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링크 신호, 및 기지국 장치(1)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가, 각각 소정의 시간의 길이에 있어서, 하나의 소정의 파라미터에서 생성된다고 상정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로 송신하는 하향 링크 신호, 및 단말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가, 각각 소정의 시간 길이에 있어서, 하나의 소정의 파라미터에서 생성되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프레임 구성>
NR 셀 각각에 있어서, 어느 소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에서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즉, NR 셀에서는, 하향 링크 신호 및 상향 링크 신호는, 각각 소정의 시간의 길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링크 신호, 및 기지국 장치(1)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가, 각각 소정의 시간의 길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파라미터에서 생성된다고 상정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로 송신하는 하향 링크 신호, 및 단말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가, 각각 소정의 시간의 길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파라미터에서 생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소정의 파라미터가 사용되는 경우, 그러한 소정의 파라미터들이 사용되어 생성되는 신호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다중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방법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및/또는 SDM(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등을 포함한다.
NR 셀에 설정되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조합은, 파라미터 세트로서, 복수 종류를 미리 규정할 수 있다.
도 5는, NR 셀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에서는,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는, 서브 캐리어 간격, NR 셀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당 서브 캐리어 수, 서브프레임당 심볼 수, 및 CP 길이 타입이다. CP 길이 타입은, NR 셀에서 사용되는 CP 길이의 타입이다. 예를 들어, CP 길이 타입 1은 LTE에 있어서의 노멀 CP에 상당하고, CP 길이 타입 2는 LTE에 있어서의 확장 CP에 상당한다.
NR 셀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는,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서 각각 개별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NR 셀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는,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파라미터 세트 1, 파라미터 세트 0 및 파라미터 세트 2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신호가, 셀(시스템 대역 폭)에 있어서, FDM된다. 도 6에 나타낸 도면은, NR의 하향 링크 리소스 그리드라고도 호칭된다.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에 대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NR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NR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NR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NR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파라미터 세트 1, 파라미터 세트 0 및 파라미터 세트 2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신호가, 셀(시스템 대역 폭)에 있어서, FDM된다. 도 7에 나타낸 도면은, NR의 상향 링크 리소스 그리드라고도 호칭된다.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에 대한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NR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NR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NR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NR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테나 포트>
안테나 포트는, 어느 심볼을 운반하는 전반 채널을, 동일한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다른 심볼을 운반하는 전반 채널로부터 추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물리 리소스는, 동일한 전반 채널로 송신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즉, 어느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심볼은, 그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에 의해 전반 채널을 추정하고,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마다 하나의 리소스 그리드가 있다. 안테나 포트는, 참조 신호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각각의 참조 신호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번호에 의해 특정 또는 식별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 0 내지 3은, CRS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이다. 즉, 안테나 포트 0 내지 3으로 송신되는 PDSCH는, 안테나 포트 0 내지 3에 대응하는 CRS에 의해 복조할 수 있다.
두 안테나 포트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준동일 위치(QCL: Quasi co-location)라고 나타낼 수 있다. 그 소정의 조건은, 어느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심볼을 운반하는 전반 채널의 광역적 특성이, 다른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심볼을 운반하는 전반 채널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광역적 특성은, 지연 분산,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및/또는 평균 지연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포트 번호는, RAT마다 다르게 정의되어도 되고, RAT 사이에서 공통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LTE에 있어서의 안테나 포트 0 내지 3은, CRS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이다. NR에 있어서, 안테나 포트 0 내지 3은, LTE와 마찬가지인 CRS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로 할 수 있다. 또한, NR에 있어서, LTE와 마찬가지인 CRS가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0 내지 3과는 다른 안테나 포트 번호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소정의 안테나 포트 번호는, LTE 및/또는 NR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가 사용된다.
물리 채널은, 하향 링크 물리 채널,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사이드 링크 물리 채널을 포함한다. 물리 신호는, 하향 링크 물리 신호, 상향 링크 물리 신호 및 사이드 링크 물리 신호를 포함한다.
LTE에 있어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는, 각각 LTE 물리 채널 및 LTE 물리 신호라고도 호칭된다. NR에 있어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는, 각각 NR 물리 채널 및 NR 물리 신호라고도 호칭된다. LTE 물리 채널 및 NR 물리 채널은, 각각 서로 다른 물리 채널로서 정의할 수 있다. LTE 물리 신호 및 NR 물리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물리 신호로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LTE 물리 채널 및 NR 물리 채널은 단순히 물리 채널이라고도 호칭되고, LTE 물리 신호 및 NR 물리 신호는 단순히 물리 신호라고도 호칭된다. 즉, 물리 채널에 대한 설명은, LTE 물리 채널 및 NR 물리 채널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물리 신호에 대한 설명은, LTE 물리 신호 및 NR 물리 신호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
PBCH는, 기지국 장치(1)의 서빙 셀에 고유의 통보 정보인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통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PBCH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에서만 송신된다. MIB는, 40ms 간격으로 갱신할 수 있다. PBCH는 10ms 주기로 반복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SFN(System Frame Number)을 4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0에 있어서 MIB의 초기 송신이 행해지고, 다른 모든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0에 있어서 MIB의 재송신(repetition)이 행해진다. SFN은 무선 프레임의 번호(시스템 프레임 번호)이다. MIB는 시스템 정보이다. 예를 들어, MIB는 SFN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PCFICH는, 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PCFICH로 나타낸 영역은, PDCCH 영역이라고도 호칭된다. PCFICH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라고도 호칭된다.
PDCCH 및 EPDC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정보 비트의 매핑이, DCI 포맷으로서 정의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및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 그랜트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downlink assignment) 또는 하향 링크 할당(downlink allocation)이라고도 칭한다.
PDCCH는, 연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에 의해 송신된다. CCE는, 9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된다. REG는, 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PDCCH가 n개의 연속되는 CCE로 구성되는 경우, 그 PDCCH는, CCE의 인덱스(번호)인 i를 n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CCE로부터 시작된다.
EPDCCH는, 연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에 의해 송신된다. ECCE는, 복수의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된다.
하향 링크 그랜트는, 어느 셀 내의 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하향 링크 그랜트는, 그 하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어느 셀 내의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그 상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보다 넷 이상 뒤의 서브프레임 내의 단일의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DCI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다. CRC 패리티 비트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스크램블된다. RNTI는, DCI의 목적 등에 따라서 규정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RNTI는, 사양으로 미리 규정되는 식별자, 셀에 고유의 정보로서 설정되는 식별자, 단말 장치(2)에 고유의 정보로서 설정되는 식별자, 또는 단말 장치(2)에 속하는 그룹에 고유의 정보로서 설정되는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는, PDCCH 또는 EPDCCH의 모니터링에 있어서, DCI에 부가된 CRC 패리티 비트에 소정의 RNTI에 의해 디스크램블하여, CRC가 정확한지 여부를 식별한다. CRC가 정확한 경우, 그 DCI는 단말 장치(2)를 위한 DCI임을 알 수 있다.
PDSCH는, 하향 링크 데이터(Downlink Shared Channel: D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DSCH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PDCCH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PDCCH가 주파수, 시간, 및/또는 공간 다중되어도 된다. EPDCCH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EPDCCH가 주파수, 시간, 및/또는 공간 다중되어도 된다. PDSCH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PDSCH가 주파수, 시간, 및/또는 공간 다중되어도 된다. PDCCH, PDSCH 및/또는 EPDCCH는 주파수, 시간, 및/또는 공간 다중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2)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기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T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 1, 5 및 6에 배치된다. F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 및 5에 배치된다.
PSS는, 거친 프레임/심볼 타이밍 동기(시간 영역의 동기)나 셀 식별 그룹의 식별에 사용되어도 된다. SSS는, 보다 정확한 프레임 타이밍 동기나 셀의 식별, CP 길이의 검출에 사용되어도 된다. 즉, PSS와 SSS를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타이밍 동기와 셀 식별을 행할 수 있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2)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추정, 전반로 보정, 하향 링크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채널 상태 정보)의 산출, 및/또는 단말 장치(2)의 포지셔닝 측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CRS는, 서브프레임의 전 대역에서 송신된다. CRS는, PBCH, PDCCH, PHICH, PCFICH, 및 PDSCH의 수신(복조)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CRS는, 단말 장치(2)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PBCH, PDCCH, PHICH, 및 PCFICH는, C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된다. CRS는, 1, 2 또는 4의 안테나 포트의 구성을 서포트한다. CRS는, 안테나 포트 0 내지 3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송신된다.
PDSCH와 관련된 URS는, URS가 관련된 PDS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및 대역에서 송신된다. URS는, URS가 관련된 PDS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PDSCH와 관련된 URS는, 안테나 포트 5, 7 내지 14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송신된다.
PDSCH는, 송신 모드 및 DCI 포맷에 기초하여, CRS 또는 U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된다. DCI 포맷 1A는, C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되는 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DCI 포맷 2D는, U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되는 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EPDCCH와 관련된 DMRS는, DMRS가 관련된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및 대역에서 송신된다. DMRS는, DMRS가 관련된 EPDC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EPDCCH는, DM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된다. EPDCCH와 관련된 DMRS는, 안테나 포트 107 내지 114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송신된다.
CSI-RS는,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CSI-RS가 송신되는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1)에 의해 설정된다. CSI-RS는, 단말 장치(2)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 장치(2)는, CSI-RS를 사용하여 신호 측정(채널 측정)을 행한다. CSI-RS는, 1, 2, 4, 8, 12, 16, 24 및 32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안테나 포트의 설정을 서포트한다. CSI-RS는, 안테나 포트 15 내지 46 중 하나 또는 복수에서 송신된다. 또한, 서포트되는 안테나 포트는, 단말 장치(2)의 단말 장치 케이퍼빌리티, RRC 파라미터의 설정, 및/또는 설정되는 송신 모드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ZP CSI-RS의 리소스는, 상위층에 의해 설정된다. ZP CSI-RS의 리소스는 제로 출력의 전력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즉, ZP CSI-RS의 리소스는 아무것도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ZP CSI-RS의 설정된 리소스에 있어서, PDSCH 및 EPDCCH는 송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ZP CSI-RS의 리소스는 인접 셀이 NZP CSI-RS의 송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ZP CSI-RS의 리소스는 CSI-IM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ZP CSI-RS의 리소스는 PDSCH 등의 소정의 채널이 송신되지 않는 리소스이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채널은, ZP CSI-RS의 리소스를 제외하고(레이트 매칭하여, 펑쳐하여) 매핑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
PUC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PUSCH 리소스의 요구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 SR),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TB, Downlink-Shared Channel: DL-SCH)에 대한 HARQ-ACK를 포함한다. HARQ-ACK는, ACK/NACK, HARQ 피드백, 또는 응답 정보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ACK는, ACK, NACK, 또는 DTX를 나타낸다.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Uplink-Shared Channel: U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HARQ-ACK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채널 상태 정보만, 또는 HARQ-ACK 및 채널 상태 정보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PRACH는, 단말 장치(2)가 기지국 장치(1)와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RACH는, 초기 커넥션 구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처리), 핸드오버 절차, 커넥션 재구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 상향 링크 송신에 대한 동기(타이밍 조정), 및/또는 PUSCH 리소스의 요구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PUCCH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PUCCH가 주파수, 시간, 공간 및/또는 코드 다중된다. PUSCH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PUSCH가 주파수, 시간, 공간 및/또는 코드 다중되어도 된다. PUCCH 및 PUSCH는 주파수, 시간, 공간 및/또는 코드 다중되어도 된다. PRACH는 단일의 서브프레임 또는 두 서브프레임에 걸쳐 배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PRACH가 부호 다중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
UL-DMRS는, PUSCH 또는 PUCCH의 송신과 관련된다. UL-DMRS는, PUSCH 또는 PUCCH와 시간 다중된다. 기지국 장치(1)는, PUSCH 또는 PUCCH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UL-DMRS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PUSCH의 송신은, PUSCH와 UL-DMRS를 다중하여 송신하는 것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PUCCH의 송신은, PUCCH와 UL-DMRS를 다중하여 송신하는 것도 포함한다.
SRS는, PUSCH 또는 PUCCH의 송신과 관련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1)는, 상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SRS를 사용해도 된다.
SRS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심볼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즉, SRS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심볼에 배치된다. 단말 장치(2)는, 어느 셀의 어느 심볼에 있어서, SRS와, PUCCH, PUSCH 및/또는 PRACH의 동시 송신을 제한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어느 셀의 어느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그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심볼을 제외한 심볼을 사용하여 PUSCH 및/또는 PUCCH를 송신하고, 그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심볼을 사용하여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어느 셀의 어느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단말 장치(2)는, SRS와, PUSCH 및 PUCCH를 송신할 수 있다.
SRS에 있어서, 트리거 타입이 다른 SRS로서, 트리거 타입 0SRS 및 트리거 타입 1SRS가 정의된다. 트리거 타입 0SRS는,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해, 트리거 타입 0SRS에 관한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경우에 송신된다. 트리거 타입 1SRS는,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해, 트리거 타입 1SRS에 관한 파라미터가 설정되고, DCI 포맷 0, 1A, 2B, 2C, 2D 또는 4에 포함되는 SRS 리퀘스트에 의해 송신이 요구된 경우에 송신된다. 또한, SRS 리퀘스트는, DCI 포맷 0, 1A 또는 4에 대해서는 FDD와 TDD 양쪽에 포함되고, DCI 포맷 2B, 2C 또는 2D에 대해서는 TDD에만 포함된다. 동일한 서빙 셀의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트리거 타입 0SRS의 송신과 트리거 타입 1SRS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트리거 타입 1SRS의 송신이 우선된다. 트리거 타입 0SRS는, 주기적 SRS라고도 호칭된다. 트리거 타입 1SRS는, 비주기적 SRS라고도 호칭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의 구성예>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는, 상위층 처리부(101), 제어부(103), 수신부(105), 송신부(107), 및 송수신 안테나(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105)는, 복호화부(1051), 복조부(1053), 다중 분리부(1055), 무선 수신부(1057), 및 채널 측정부(1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107)는, 부호화부(1071), 변조부(1073), 다중부(1075), 무선 송신부(1077),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는, 하나 이상의 RAT를 서포트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1)에 포함되는 각 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RAT에 따라서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는, LTE와 NR로 개별로 구성된다. 또한, NR 셀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1)에 포함되는 각 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서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NR 셀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1057) 및 무선 송신부(1077)는,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서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제어부(103)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03)는, 상위층 처리부(101)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제어부(103)는, 복호화부(1051)로부터의 복호화된 신호 및 채널 측정부(1059)로부터의 채널 추정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103)는, 부호화할 신호를 부호화부(1071)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기지국 장치(1)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RAT 제어, 무선 리소스 제어, 서브프레임 설정, 스케줄링 제어, 및/또는 CSI 보고 제어에 관한 처리 및 관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는, 단말 장치마다 또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 공통으로 행해진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는, 상위층 처리부(101)에서만 행해져도 되고, 상위 노드 또는 다른 기지국 장치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는, RAT에 따라서 개별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101)는, LTE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와, NR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를 개별로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RAT 제어에서는, RAT에 관한 관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RAT 제어에서는, LTE에 관한 관리 및/또는 NR에 관한 관리가 행해진다. NR에 관한 관리는, NR 셀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의 설정 및 처리를 포함한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제어에서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RRC 파라미터), 및/또는 MAC 제어 엘리먼트(CE: Control Element)의 생성 및/또는 관리가 행해진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서브프레임 패턴 설정, 상향 링크-하향 링크 설정, 상향 링크 참조 UL-DL 설정, 및/또는 하향 링크 참조 UL-DL 설정의 관리가 행해진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은, 기지국 서브프레임 설정이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은, 상향 링크의 트래픽양 및 하향 링크의 트래픽양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은,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제어의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제어에서는,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및 채널 측정부(1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이나 채널의 품질 등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을 할당하는 주파수 및 서브프레임, 물리 채널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 및 송신 전력 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3)는,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제어의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DCI 포맷)를 생성한다.
상위층 처리부(101)에 있어서의 CSI 보고 제어에서는, 단말 장치(2)의 CSI 보고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에 있어서 CSI를 산출하기 위해 상정하기 위한 CSI 참조 리소스에 관한 설정이 제어된다.
수신부(105)는, 제어부(10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해 단말 장치(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분리, 복조, 복호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하여, 수신 처리된 정보를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또한, 수신부(105)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는, 미리 규정된 설정, 또는 기지국 장치(1)가 단말 장치(2)에 통지한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무선 수신부(1057)는,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에 대해, 중간 주파수로의 변환(다운 컨버트),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제거,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의 제어,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는 직교 복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GI)의 제거, 및/또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에 의한 주파수 영역 신호의 추출을 행한다.
다중 분리부(1055)는, 무선 수신부(1057)로부터 입력된 신호로부터, PUCCH 또는 PUSCH 등의 상향 링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다중 분리부(1055)는,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채널 측정부(1059)에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1055)는, 채널 측정부(1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상향 링크 채널에 대한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복조부(1053)는, 상향 링크 채널의 변조 심볼에 대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1053)는, MIMO 다중된 상향 링크 채널의 분리 및 복조를 행한다.
복호화부(1051)는, 복조된 상향 링크 채널의 부호화 비트에 대해,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된 상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제어부(103)로 출력된다. 복호화부(1051)는, PUSCH에 대해서는, 트랜스포트 블록마다 복호 처리를 행한다.
채널 측정부(1059)는, 다중 분리부(1055)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전반로의 추정값 및/또는 채널의 품질 등을 측정하여, 다중 분리부(1055) 및/또는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채널 측정부(1059)는, UL-DMRS를 사용하여 PUCCH 또는 PUSCH에 대한 전반로 보상을 행하기 위한 전반로의 추정값을 측정하고, SRS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다.
송신부(107)는, 제어부(10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변조 및 다중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107)는, PHICH, PDCCH, EPDCCH, 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 및 다중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부(107)에 있어서의 송신 처리는, 미리 규정된 설정, 기지국 장치(1)가 단말 장치(2)에 통지한 설정, 또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 통지되는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부호화부(1071)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HARQ-ACK),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소정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1073)는, 부호화부(1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는, 물리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fication), 단말 장치(2)에 설정된 RRC 파라미터 등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다중부(1075)는,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여,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1077)는, 다중부(1075)로부터의 신호에 대해,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에 의한 시간 영역의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의 부가,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의 생성,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직교 변조,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부터 고주파수의 신호로의 변환(업컨버트: up convert), 여분의 주파수 성분의 제거, 전력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 송신부(1077)가 출력한 송신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109)로부터 송신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2)의 구성예>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2)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는, 상위층 처리부(201), 제어부(203), 수신부(205), 송신부(207), 및 송수신 안테나(2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205)는, 복호화부(2051), 복조부(2053), 다중 분리부(2055), 무선 수신부(2057), 및 채널 측정부(2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207)는, 부호화부(2071), 변조부(2073), 다중부(2075), 무선 송신부(2077), 및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는, 하나 이상의 RAT를 서포트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단말 장치(2)에 포함되는 각 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RAT에 따라서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05) 및 송신부(207)는, LTE와 NR로 개별로 구성된다. 또한, NR 셀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단말 장치(2)에 포함되는 각 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서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NR 셀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2057) 및 무선 송신부(2077)는,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서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제어부(203)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는, 수신부(205), 및 송신부(2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03)에 출력한다.
제어부(203)는,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5) 및 송신부(207)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03)는, 상위층 처리부(201)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위층 처리부(201)에 출력한다. 제어부(203)는, 복호화부(2051)로부터의 복호화된 신호 및 채널 측정부(2059)로부터의 채널 추정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203)는, 부호화할 신호를 부호화부(2071)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단말 장치(2)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RAT 제어, 무선 리소스 제어, 서브프레임 설정, 스케줄링 제어, 및/또는 CSI 보고 제어에 관한 처리 및 관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는, 미리 규정되는 설정, 및/또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설정 또는 통지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제어 정보는, RRC 파라미터, 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DCI를 포함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는, RAT에 따라서 개별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201)는, LTE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와, NR에 있어서의 처리 및 관리를 개별로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RAT 제어에서는, RAT에 관한 관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RAT 제어에서는, LTE에 관한 관리 및/또는 NR에 관한 관리가 행해진다. NR에 관한 관리는, NR 셀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에 관한 파라미터 세트의 설정 및 처리를 포함한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제어에서는, 자장치에 있어서의 설정 정보의 관리가 행해진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제어에서는,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RRC 파라미터), 및/또는 MAC 제어 엘리먼트(CE: Control Element)의 생성 및/또는 관리가 행해진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에서는, 기지국 장치(1) 및/또는 기지국 장치(1)와는 다른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이 관리된다. 서브프레임 설정은,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의 설정, 서브프레임 패턴 설정, 상향 링크-하향 링크 설정, 상향 링크 참조 UL-DL 설정, 및/또는 하향 링크 참조 UL-DL 설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설정은, 단말기 서브프레임 설정이라고도 호칭된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제어에서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DCI(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5) 및 송신부(207)에 대한 스케줄링에 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생성된다.
상위층 처리부(201)에 있어서의 CSI 보고 제어에서는, 기지국 장치(1)에 대한 CSI의 보고에 관한 제어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CSI 보고 제어에서는, 채널 측정부(2059)에서 CSI를 산출하기 위해 상정하기 위한 CSI 참조 리소스에 관한 설정이 제어된다. CSI 보고 제어에서는, DCI 및/또는 RRC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타이밍)를 제어한다.
수신부(205)는, 제어부(20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209)를 통해 기지국 장치(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분리, 복조, 복호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하여, 수신 처리된 정보를 제어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수신부(205)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는, 미리 규정된 설정, 또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통지 또는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무선 수신부(2057)는, 송수신 안테나(209)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에 대해, 중간 주파수로의 변환(다운 컨버트),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제거,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의 제어,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는 직교 복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GI)의 제거, 및/또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에 의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추출을 행한다.
다중 분리부(2055)는, 무선 수신부(2057)로부터 입력된 신호로부터, PHICH, PDCCH, EPDCCH 또는 PDSCH 등의 하향 링크 채널, 하향 링크 동기 신호 및/또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다중 분리부(2055)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채널 측정부(2059)에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2055)는, 채널 측정부(2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 추정값으로부터, 하향 링크 채널에 대한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복조부(2053)는, 하향 링크 채널의 변조 심볼에 대해,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2053)는, MIMO 다중된 하향 링크 채널의 분리 및 복조를 행한다.
복호화부(2051)는, 복조된 하향 링크 채널의 부호화 비트에 대해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된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제어부(203)로 출력된다. 복호화부(2051)는, PDSCH에 대해서는, 트랜스포트 블록마다 복호 처리를 행한다.
채널 측정부(2059)는, 다중 분리부(2055)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전반로의 추정값 및/또는 채널의 품질 등을 측정하여, 다중 분리부(2055) 및/또는 제어부(203)에 출력한다. 채널 측정부(2059)가 측정에 사용하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적어도 RRC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되는 송신 모드 및/또는 다른 RRC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L-DMRS는 PDSCH 또는 EPDCCH에 대한 전반로 보상을 행하기 위한 전반로의 추정값을 측정한다. CRS는 PDCCH 또는 PDSCH에 대한 전반로 보상을 행하기 위한 전반로의 추정값, 및/또는 CSI를 보고하기 위한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채널을 측정한다. CSI-RS는, CSI를 보고하기 위한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채널을 측정한다. 채널 측정부(2059)는, CRS, CSI-RS 또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산출하여, 상위층 처리부(201)로 출력한다.
송신부(207)는, 제어부(20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변조 및 다중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207)는, PUSCH 또는 PUCCH 등의 상향 링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 및 다중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부(207)에 있어서의 송신 처리는, 미리 규정된 설정, 또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설정 또는 통지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부호화부(2071)는, 제어부(203)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HARQ-ACK),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소정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2073)는, 부호화부(2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079)는, 단말 장치(2)에 설정된 RRC 파라미터 등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다중부(2075)는,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여,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2077)는, 다중부(2075)로부터의 신호에 대해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에 의한 시간 영역의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의 부가,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의 생성,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직교 변조,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부터 고주파수의 신호로의 변환(업 컨버트: up convert), 여분의 주파수 성분의 제거, 전력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 송신부(2077)가 출력한 송신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209)로부터 송신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는, 각각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통지, 알림, 설정)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은, 다양한 층(레이어)에서 행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은, 물리층(레이어)을 통한 시그널링인 물리층 시그널링, RRC층을 통한 시그널링인 RRC 시그널링, 및 MAC층을 통한 시그널링인 MAC 시그널링 등을 포함한다. RRC 시그널링은, 단말 장치(2)에 고유의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전용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 또는 기지국 장치(1)에 고유의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공통의 RRC 시그널링(Common RRC signaling)이다. RRC 시그널링이나 MAC 시그널링 등, 물리층으로부터 보아 상위층이 사용하는 시그널링은 상위층 시그널링이라고도 호칭된다.
RRC 시그널링은, RRC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실현된다. MAC 시그널링은, MAC 제어 엘리먼트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실현된다. 물리층 시그널링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상향 링크 링크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실현된다. RRC 파라미터 및 MAC 제어 엘리먼트는, PDSCH 또는 PUSCH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DCI는, PDCCH 또는 EPDCCH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UCI는, PUCCH 또는 PUSCH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RRC 시그널링 및 MAC 시그널링은, 준정적(semi-static)인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되어, 준정적 시그널링이라고도 호칭된다. 물리층 시그널링은, 동적(dynamic)인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되어, 동적 시그널링이라고도 호칭된다. DCI는, PDSCH의 스케줄링 또는 PUSCH의 스케줄링 등을 위해 사용된다. UCI는, CSI 보고, HARQ-ACK 보고, 및/또는 스케줄링 요구(SR: Scheduling Request) 등을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상세>
DCI는 미리 규정되는 필드를 갖는 DCI 포맷을 사용하여 통지된다. DCI 포맷에 규정되는 필드는, 소정의 정보 비트가 매핑된다. DCI는,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 사이드 링크 스케줄링 정보, 비주기적 CSI 보고의 요구, 또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 커맨드를 통지한다.
단말 장치(2)가 모니터하는 DCI 포맷은, 서빙 셀마다 설정된 송신 모드에 의해 결정된다. 즉, 단말 장치(2)가 모니터하는 DCI 포맷의 일부는, 송신 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송신 모드 1이 설정된 단말 장치(2)는, DCI 포맷 1A와 DCI 포맷 1을 모니터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송신 모드(4)가 설정된 단말 장치(2)는, DCI 포맷 1A와 DCI 포맷 2를 모니터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송신 모드 1이 설정된 단말 장치(2)는, DCI 포맷 0을 모니터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송신 모드 2가 설정된 단말 장치(2)는, DCI 포맷 0과 DCI 포맷 4를 모니터한다.
단말 장치(2)에 대한 DCI를 통지하는 PDCCH가 배치되는 제어 영역은 통지되지 않고, 단말 장치(2)는 단말 장치(2)에 대한 DCI를 블라인드 디코딩(블라인드 검출)에 의해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2)는, 서빙 셀에 있어서, PDCCH 후보의 세트를 모니터한다. 모니터링은, 그 세트 중의 PDCCH 각각에 대해, 모든 모니터되는 DCI 포맷에 의해 복호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는, 단말 장치(2) 앞으로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애그리게이션 레벨, PDCCH 후보, 및 DCI 포맷에 대해 디코드를 시도한다. 단말 장치(2)는, 디코드(검출)에 성공한 DCI(PDCCH)를 단말 장치(2)에 대한 DCI(PDCCH)로서 인식한다.
DCI에 대해, 순회 용장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가된다. CRC는, DCI의 에러 검출 및 DCI의 블라인드 검출을 위해 사용된다. CRC(CRC 패리티 비트)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스크램블된다. 단말 장치(2)는, RNTI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2)에 대한 DCI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2)는, CRC에 대응하는 비트에 대해, 소정의 RNTI에 의해 디스크램블을 행하고, CRC를 추출하여, 대응하는 DCI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한다.
RNTI는, DCI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규정 또는 설정된다. RNTI는, C-RNTI(Cell-RNTI), SPS C-RNTI(Semi Persistent Scheduling C-RNTI), SI-RNTI(System Information-RNTI), P-RNTI(Paging-RNTI), RA-RNTI(Random Access-RNTI), TPC-PUCCH-RNTI(Transmit Power Control-PUCCH-RNTI), TPC-PUSCH-RNTI(Transmit Power Control-PUSCH-RNTI), 일시적 C-RNTI, M-RNTI(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RNTI), 및 eIMTA-RNTI, CC-RNTI를 포함한다.
C-RNTI 및 SPS C-RNTI는, 기지국 장치(1)(셀) 내에 있어서 단말 장치(2)에 고유의 RNTI이며, 단말 장치(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C-RNTI는,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SPS C-RNTI는, PDSCH 또는 PUSCH를 위한 리소스의 주기적인 스케줄링을 액티베이션 또는 릴리즈하기 위해 사용된다. 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P-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페이징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RACH에 대한 리스폰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TPC-PUCCH-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PUCCH의 전력 제어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TPC-PUSCH-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PUSCH의 전력 제어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Temporary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C-RNTI가 설정 또는 인식되지 않은 이동국 장치에 의해 사용된다. M-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MBMS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eIMT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은, 동적 TDD(eIMTA)에 있어서, TDD 서빙 셀의 TDD UL/DL 설정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C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갖는 제어 채널(DCI)은, LAA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점유 OFDM 심볼의 설정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RNTI에 한정되지 않고, 새로운 RNTI에 의해 DCI 포맷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스케줄링 정보(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 사이드 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주파수 영역의 스케줄링으로서, 리소스 블록 또는 리소스 블록 그룹을 단위로 스케줄링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리소스 블록 그룹은, 연속되는 리소스 블록의 세트이며, 스케줄링되는 단말 장치에 대한 할당되는 리소스를 나타낸다. 리소스 블록 그룹의 사이즈는, 시스템 대역 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상세>
DCI는 PDCCH 또는 EPDCCH 등의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단말 장치(2)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액티베이트된 서빙 셀의 PDCCH 후보의 세트 및/또는 EPDCCH 후보의 세트를 모니터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란, 모든 모니터되는 DCI 포맷에 대응하는 세트 내의 PDCCH 및/또는 E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하는 것이다.
PDCCH 후보의 세트 또는 EPDCCH 후보의 세트는, 서치 스페이스라고도 호칭된다. 서치 스페이스에는, 공유 서치 스페이스(CSS)와 단말기 고유 서치 스페이스(USS)가 정의된다. CSS는, PDCCH에 관한 서치 스페이스에 대해서만 정의되어도 된다.
CSS(Common Search Space)는, 기지국 장치(1)에 고유의 파라미터 및/또는 미리 규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서치 스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CSS는, 복수의 단말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서치 스페이스이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1)가 복수의 단말 장치에서 공통의 제어 채널을 CSS에 매핑함으로써,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가 저감된다.
USS(UE-specific Search Space)는, 적어도 단말 장치(2)에 고유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서치 스페이스이다. 그 때문에, USS는, 단말 장치(2)에 고유의 서치 스페이스이며, 기지국 장치(1)는 USS에 의해 단말 장치(2)에 고유의 제어 채널을 개별로 송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1)는 복수의 단말 장치에 고유의 제어 채널을 효율적으로 매핑할 수 있다.
USS는, 복수의 단말 장치에 공통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해 공통의 USS가 설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2)에 고유의 파라미터는,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 동일한 파라미터로 설정되는 단위는, 셀, 송신점, 또는 소정의 단말 장치의 그룹 등이다.
애그리게이션 레벨마다의 서치 스페이스는 PDCCH 후보의 세트에 의해 정의된다. PDCCH 각각은, 하나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하나의 PDCCH에 사용되는 CCE의 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이라고도 호칭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PDCCH에 사용되는 CCE의 수는, 1, 2, 4 또는 8이다.
애그리게이션 레벨마다의 서치 스페이스는 EPDCCH 후보의 세트에 의해 정의된다. EPDCCH 각각은, 하나 이상의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하나의 EPDCCH에 사용되는 ECCE의 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이라고도 호칭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EPDCCH에 사용되는 ECCE의 수는, 1, 2, 4, 8, 16 또는 32이다.
PDCCH 후보의 수 또는 EPDCCH 후보의 수는, 적어도 서치 스페이스 및 애그리게이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CSS에 있어서, 애그리게이션 레벨 4 및 8에 있어서의 PDCCH 후보의 수는 각각 4 및 2이다. 예를 들어, USS에 있어서, 애그리게이션 1, 2, 4 및 8에 있어서의 PDCCH 후보의 수는 각각 6, 6, 2 및 2이다.
각각의 ECCE는, 복수의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된다. EREG는, EPDCCH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매핑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RB 페어에 있어서, 0 내지 15의 번호가 부여되는, 16개의 EREG가 정의된다. 즉, 각 RB 페어에 있어서, EREG0 내지 EREG15가 정의된다. 각 RB 페어에 있어서, EREG0 내지 EREG15는, 소정의 신호 및/또는 채널이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 이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해, 주파수 방향을 우선하여, 주기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 107 내지 110에서 송신되는 EPDCCH와 관련된 복조용 참조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EREG로서 정의되지 않는다.
하나의 EPDCCH에 사용되는 ECCE의 수는, EPDCCH 포맷에 의존하고, 다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하나의 EPDCCH에 사용되는 ECCE의 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이라고도 호칭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EPDCCH에 사용되는 ECCE의 수는, 하나의 RB 페어에 있어서의 EPDCCH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EPDCCH의 송신 방법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EPDCCH에 사용되는 ECCE의 수는, 1, 2, 4, 8, 16 또는 32이다. 또한, 하나의 ECCE에 사용되는 EREG의 수는, 서브프레임의 종류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4 또는 8이다. EPDCCH의 송신 방법으로서, 분산 송신(Distributed transmission) 및 국소 송신(Localized transmission)이 서포트된다.
EPDCCH는, 분산 송신 또는 국소 송신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송신 및 국소 송신은, EREG 및 RB 페어에 대한 ECCE의 매핑이 다르다. 예를 들어, 분산 송신에 있어서, 하나의 ECCE는, 복수의 RB 페어의 EREG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국소 송신에 있어서, 하나의 ECCE는, 하나의 RB 페어의 EREG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에 대해, EPDCCH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단말 장치(2)가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RB 페어의 세트가, 설정될 수 있다. 그 RB 페어의 세트는, EPDCCH 세트 또는 EPDCCH-PRB 세트라고도 호칭된다. 하나의 단말 장치(2)에 대해, 하나 이상의 EPDCCH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각EPDCCH 세트는, 하나 이상의 RB 페어로 구성된다. 또한, EPDCCH에 관한 설정은, EPDCCH 세트마다 개별로 행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에 대해, 소정수의 EPDCCH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까지의 EPDCCH 세트를, EPDCCH 세트 0 및/또는 EPDCCH 세트 1로서 설정할 수 있다. EPDCCH 세트 각각은, 소정수의 RB 페어로 구성할 수 있다. 각 EPDCCH 세트는, 복수의 ECCE의 하나의 세트를 구성한다. 하나의 EPDCCH 세트에 구성되는 ECCE의 수는, 그 EPDCCH 세트로서 설정되는 RB 페어의 수, 및 하나의 ECCE에 사용되는 EREG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하나의 EPDCCH 세트에 구성되는 ECCE의 수가 N인 경우, 각 EPDCCH 세트는, 0 내지 N-1로 번호가 부여된 ECCE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ECCE에 사용되는 EREG의 수가 4인 경우, 4개의 RB 페어로 구성되는 EPDCCH 세트는 16개의 ECCE를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A와 DC의 상세>
단말 장치(2)는 복수의 셀이 설정되어, 멀티캐리어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2)가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통신은, CA(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또는 DC(듀얼 커넥티비티)라고 칭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단말 장치(2)에 대해 설정되는 복수의 셀 각각 또는 일부에 적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2)에 설정되는 셀을, 서빙 셀이라고도 칭한다.
CA에 있어서, 설정되는 복수의 서빙 셀은,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과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을 포함한다. CA를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2)에 대해,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과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셀이 설정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구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가 행해진 서빙 셀, 커넥션 재구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개시한 서빙 셀, 또는 핸드오버 절차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이라고 지시된 셀이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오퍼레이션된다. 세컨더리 셀은, 커넥션의 구축 또는 재구축 이후에 설정될 수 있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오퍼레이션된다. 또한, 커넥션은, RRC 커넥션이라고도 칭해진다.
DC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를 소정의 단말 장치(2)가 소비하는 오퍼레이션이다. 네트워크 포인트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MeNB: Master eNB)와 세컨더리 기지국 장치(SeNB: Secondary eNB)이다. 듀얼 커넥티비티는, 단말 장치(2)가,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포인트에서 RRC 접속을 행하는 것이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2개의 네트워크 포인트는,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DC에 있어서, 적어도 S1-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접속되고, 코어 네트워크의 모빌리티 앵커 역할을 하는 기지국 장치(1)를 마스터 기지국 장치라고 칭한다. 또한, 단말 장치(2)에 대해 추가의 무선 리소스를 제공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가 아닌 기지국 장치(1)를 세컨더리 기지국 장치라고 칭한다.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관련된 서빙 셀의 그룹은, 마스터 셀 그룹(MCG: Master Cell Group)이라고도 호칭된다. 세컨더리 기지국 장치와 관련된 서빙 셀의 그룹은,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이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서빙 셀의 그룹은, 셀 그룹(CG)이라고 호칭된다.
DC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은, MCG에 속한다. 또한, SCG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에 상당하는 세컨더리 셀을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Primary Secondary Cell)이라고 칭한다. PSCell(pSCell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에는, PCell(PCell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과 동등한 기능(능력, 성능)이 서포트되어도 된다. 또한, PSCell에는, PCell의 일부의 기능만이 서포트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PSCell에는, CSS 또는 USS와는 다른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PDCCH 송신을 행하는 기능이 서포트되어도 된다. 또한, PSCell은, 항상 액티베이션의 상태여도 된다. 또한, PSCell은, PUCCH를 수신할 수 있는 셀이다.
DC에 있어서, 무선 베어러(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Date Radio Bearer) 및/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Signaling Radio Bearer))는, MeNB와 SeNB에 개별로 할당되어도 된다. MCG(PCell)와 SCG(PSCell)에 대해, 각각 개별로 듀플렉스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MCG(PCell)와 SCG(PSCell)는, 서로 동기되지 않아도 된다. 즉, MCG의 프레임 경계와 SCG의 프레임 경계가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MCG(PCell)와 SCG(PSCell)에 대해, 복수의 타이밍 조정을 위한 파라미터(TAG: Timing Advance Group)가 독립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단말 장치(2)는, MCG 내의 셀에 대응하는 UCI를 MeNB(PCell)에서만 송신하고, SCG 내의 셀에 대응하는 UCI를 SeNB(pSCell)에서만 송신한다. 각각의 UCI의 송신에 있어서, PUCCH 및/또는 PUSCH를 사용한 송신 방법은 각각의 셀 그룹에서 적용된다.
PUCCH 및 PBCH(MIB)는, PCell 또는 PSCell에서만 송신된다. 또한, PRACH는, CG 내의 셀 사이에서 복수의 TAG(Timing Advance Group)가 설정되지 않는 한, PCell 또는 PSCell에서만 송신된다.
PCell 또는 PSCell에서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나 DRX(Discontinuous Transmission)를 행해도 된다. 세컨더리 셀에서는, 동일한 셀 그룹의 PCell 또는 PSCell과 동일한 DRX를 행해도 된다.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 MAC의 설정에 관한 정보/파라미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셀 그룹의 PCell 또는 PSCell과 공유하고 있다. 일부의 파라미터는, 세컨더리 셀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일부의 타이머나 카운터가, PCell 또는 PSCell에 대해서만 적용되어도 된다.
CA에 있어서, TDD 방식이 적용되는 셀과 FDD 방식이 적용되는 셀이 집약되어도 된다. TDD가 적용되는 셀과 FDD가 적용되는 셀이 집약되는 경우에, TDD가 적용되는 셀 및 FDD가 적용되는 셀 중 어느 한쪽에 대해 본 개시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단말 장치(2)에 의해 CA 및/또는 DC가 서포트되어 있는 밴드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supported Band Combination)를, 기지국 장치(1)로 송신한다. 단말 장치(2)는, 밴드 조합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밴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있어서의 동시 송신 및 수신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지국 장치(1)로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의 상세>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에 PDSCH 및/또는 PUSCH의 리소스 할당 방법으로서, 복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리소스 할당 방법은, 동적 스케줄링,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 멀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및, 크로스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포함한다.
동적 스케줄링에 있어서, 하나의 DCI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 또는 EPDCCH는, 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한다.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 또는 EPDCCH는, 그 서브프레임보다 이후의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U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한다.
멀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있어서, 하나의 DCI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 또는 EPDCCH는, 그 서브프레임보다 소정수 이후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한다.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 또는 EPDCCH는, 그 서브프레임보다 소정수 이후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U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 소정수는 제로 이상의 정수로 할 수 있다. 그 소정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되고, 물리층 시그널링 및/또는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멀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있어서, 연속된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되어도 되고, 소정의 주기를 갖는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되어도 된다. 스케줄링되는 서브프레임의 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되고, 물리층 시그널링 및/또는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크로스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있어서, 하나의 DCI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 또는 EPDCCH는, 그 서브프레임보다 소정수 이후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한다.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 또는 EPDCCH는, 그 서브프레임보다 소정수 이후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U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 소정수는 제로 이상의 정수로 할 수 있다. 그 소정수는, 미리 규정되어도 되고, 물리층 시그널링 및/또는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크로스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있어서, 연속된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되어도 되고, 소정의 주기를 갖는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되어도 된다.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SPS)에 있어서, 하나의 DCI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단말 장치(2)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SPS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고, SPS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PDCCH 또는 EPDCCH를 검출한 경우, SPS에 관한 처리를 유효하게 하고, SPS에 관한 설정에 기초하여 소정의 PDSCH 및/또는 PUSCH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2)는, SPS가 유효할 때에 SPS를 릴리즈하기 위한 PDCCH 또는 EPDCCH를 검출한 경우, SPS를 릴리즈(무효로)하고, 소정의 PDSCH 및/또는 PUSCH의 수신을 중단한다. SPS의 릴리즈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소정수의 빈 송신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SPS는 릴리즈된다. SPS를 릴리즈하기 위한 데이터의 빈 송신은, 제로 MAC SDU(Service Data Unit)를 포함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에 대응한다.
RRC 시그널링에 의한 SPS에 관한 정보는, SPS의 RNTI인 SPS C-RNTI, PDSCH가 스케줄링되는 주기(인터벌)에 관한 정보, PUSCH가 스케줄링되는 주기(인터벌)에 관한 정보, SPS를 릴리즈하기 위한 설정에 관한 정보, 및/또는 SPS에 있어서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포함한다. SPS는,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에 의해서만 서포트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프레임 구성>
NR에서는, 물리 채널 및/또는 물리 신호를 자기 완결형 송신(self-contained transmission)에 의해 송신할 수 있다. 도 10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기 완결형 송신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자기 완결형 송신에서는, 하나의 송수신은, 선두부터 연속되는 하향 링크 송신, GP, 및 연속되는 하향 링크 송신의 순서로 구성된다. 연속되는 하향 링크 송신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DMRS가 포함된다. 그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그 연속되는 하향 링크 송신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수신, 또는 그 연속되는 상향 링크 송신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의 송신을 지시한다. 그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수신을 지시한 경우, 단말 장치(2)는, 그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그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수신을 시도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는, 그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수신 성공 여부(디코드 성공 여부)를, GP 이후에 할당되는 상향 링크 송신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송신한다. 한편, 그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의 송신을 지시한 경우, 그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상향 링크 송신에 포함하여 송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유연하게 전환함으로써,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트래픽 비율의 증감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하향 링크의 수신 성공 여부를 직후의 상향 링크 송신으로 통지함으로써, 하향 링크의 저지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단위 슬롯 시간은, 하향 링크 송신, GP, 또는 상향 링크 송신을 정의하는 최소의 시간 단위이다. 단위 슬롯 시간은, 하향 링크 송신, GP, 또는 상향 링크 송신 중 어느 것을 위해 예약된다. 단위 슬롯 시간 중에, 하향 링크 송신과 상향 링크 송신의 양쪽은 포함되지 않는다. 단위 슬롯 시간은, 그 단위 슬롯 시간에 포함되는 DMRS와 관련된 채널의 최소 송신 시간으로 해도 된다. 하나의 단위 슬롯 시간은, 예를 들어 NR의 샘플링 간격(Ts) 또는 심볼 길이의 정수배로 정의된다.
단위 프레임 시간은, 스케줄링에 의해 지정되는 최소 시간이어도 된다. 단위 프레임 시간은, 트랜스포트 블록이 송신되는 최소 단위여도 된다. 단위 슬롯 시간은, 그 단위 슬롯 시간에 포함되는 DMRS와 관련된 채널의 최대 송신 시간으로 해도 된다. 단위 프레임 시간은, 단말 장치(2)에 있어서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위 시간이어도 된다. 단위 프레임 시간은, 서브프레임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단위 프레임 시간에는, 하향 링크 송신만, 상향 링크 송신만, 상향 링크 송신과 하향 링크 송신의 조합의 3종류의 타입이 존재한다. 하나의 단위 프레임 시간은, 예를 들어 NR의 샘플링 간격(Ts), 심볼 길이, 또는 단위 슬롯 시간의 정수배로 정의된다.
송수신 시간은, 하나의 송수신의 시간이다. 하나의 송수신과 다른 송수신 사이는, 어느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도 송신되지 않는 시간(갭)으로 점유된다. 단말 장치(2)는, 서로 다른 송수신간의 CSI 측정을 평균하지 않아도 된다. 송수신 시간은, TTI라고 칭해져도 된다. 하나의 송수신 시간은, 예를 들어 NR의 샘플링 간격(Ts), 심볼 길이, 단위 슬롯 시간, 또는 단위 프레임 시간의 정수배로 정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상향 링크 RS>
NR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RS는, NR-SR-DMRS 등이 있다.
NR-SRS의 일례를 이하에 기재한다. 또한, 명기되지 않는 특징은, LTE에 있어서의 SRS와 마찬가지로 간주할 수 있다.
NR-SRS는, 서브프레임 내 또는 슬롯 내에 있어서의 마지막 심볼로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내 또는 슬롯 내에 있어서의 최초의 심볼이나 도중의 심볼로 송신되어도 된다.
NR-SRS는, 복수의 심볼로 연속적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내 또는 슬롯 내에 있어서의 마지막 수 심볼로 송신되어도 된다.
NR의 안테나에는, 디지털 안테나 구성,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 및 디지털 안테나 구성과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을 복합한 하이브리드 안테나 구성이 상정된다.
·디지털 안테나 구성
디지털 안테나 구성이란, 각 안테나 소자에 대해 디지털 회로(베이스 밴드 영역)에 의해 안테나 가중치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안테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 11에서는, 도 8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1)의 구성에 있어서의 다중부(1075), 무선 송신부(1077), 및 송수신 안테나(109)의 내부 구성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구성의 설명에 불필요한 처리는 생략되어 있지만, 도 8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은 각 부가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디지털 안테나 구성에서는, 다중부(1075)는, 프리코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프리코딩부에 있어서, 각 안테나 소자에 대해 안테나 가중치가 곱해짐으로써, 빔이 형성된다.
디지털 안테나 구성에서는, 각 안테나 소자에 대해 유연한 위상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빔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구성은 복잡하다.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다. 도 12에서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도 8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1)의 구성에 있어서의 다중부(1075), 무선 송신부(1077), 및 송수신 안테나(109)의 내부 구성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구성의 설명에 불필요한 처리는 생략되어 있지만, 도 8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은 각 부가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에서는, 무선 송신부(1077)는, 위상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위상 제어부에 의해, 아날로그 영역(RF 영역)에서 위상 회전시킴으로써, 빔이 형성된다.
아날로그 영역에서 위상을 제어하기 때문에 유연한 빔 제어는 곤란하지만, 구성은 간소하다. 일례로서, 안테나 스위칭 구성은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의 일부이다.
·하이브리드 안테나 구성
하이브리드 안테나 구성은, 디지털 안테나 구성과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을 복합한 구성이며, 아날로그 영역에 있어서의 위상 제어 소자 및 디지털 영역에 있어서의 위상 제어 소자를 겸비한다. 하이브리드 안테나 구성은, 빔 포밍의 성능과 구성의 복잡함에 관하여 디지털 안테나 구성과 아날로그 안테나 구성의 중간이 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빔 운용 방식>
NR에 있어서, 단일 빔 운용과 복수 빔 운용의 2종류의 방식이 상정된다.
·단일 빔 운용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일 빔 운용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1)는, 셀(11)을 운용하여,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2)와 통신한다.
단일 빔 운용은, 소정의 셀 커버리지에 대해 하나의 빔에 의해 운용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어서, 셀 고유의 물리 채널 또는 물리 신호는 하나의 빔에 의해 송신된다. LTE는, 단일 빔 운용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복수 빔 운용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 빔 운용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1)는, 복수의 빔 12-1 내지 12-5(빔 ID #1 내지 #5)를 형성하여, 각각의 빔의 조사 범위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2)와 통신한다.
복수 빔 운용은, 소정의 셀 커버리지에 대해 하나 이상의 빔에 의해 운용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셀 고유의 물리 채널 또는 물리 신호는 복수의 빔에 의해 송신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빔 포밍이나 하이브리드 빔 포밍에서는, 소정의 시간 인스턴스에서는 소정의 방향의 빔이 송신되고, 그 소정의 방향의 빔 이외에 송신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1)는, 시간 인스턴스를 전환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 빔이 전환되어, 광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셀 고유의 물리 채널 또는 물리 신호가 송신되는 소정의 빔은,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시간 리소스)에서 송신된다. 다른 시간 인스턴스에서는, 다른 빔이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복수 빔 운용에서는, 복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복수의 빔을 전환하여 운용된다. 이 복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복수의 빔을 전환하는 것은, 빔 스위프(beam sweep)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디지털 안테나 구성이라고 하더라도, 복수 빔 운용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빔은, 채널이나 패스, 안테나, 안테나 포트 등의 용어로 환언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빔을 사용한 송신은, 서로 다른 채널, 패스, 안테나, 또는 안테나 포트를 사용한 송신이라고 환언할 수 있다. 또한, 빔은, 가상적인 셀로서도 상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동일한 셀로부터 송신되는 서로 다른 빔을 서로 다른 가상 셀 또는 가상 캐리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적절한 빔 선택>
NR에 있어서, 시스템은,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각각 적절한 빔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의 하향 링크 송신 빔 및 단말 장치의 하향 링크 수신 빔 각각은, 적절한 빔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송신 빔 및 기지국 장치의 상향 링크 수신 빔 각각은, 적절한 빔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 장치의 적절한 하향 링크 송신 빔은, 수신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보고 또는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적절한 하향 링크 송신 빔을 얻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다음에 나타낸다. 기지국 장치는, 서로 다른 하향 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소정의 기지 신호를 복수 회 송신한다. 단말 장치는, 그 복수 회 송신된 기지 신호로부터, 수신 강도 또는 수신 품질 등에 기초하여, 적절한 하향 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고, 그 적절한 하향 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 또는 피드백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는, 적절한 하향 링크 송신 빔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그 기지 신호는, NR-SS, MRS, BRS, NR-CSI-RS, NR-DM-RS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기지국 장치의 적절한 하향 링크 송신 빔은, 기지국 장치의 적절한 상향 링크 수신 빔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단말 장치의 적절한 상향 링크 송신 빔은,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보고 또는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적절한 상향 링크 송신 빔을 얻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다음에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상향 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소정의 기지 신호를 복수 회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는, 그 복수 회 송신된 기지 신호로부터, 수신 강도 또는 수신 품질 등에 기초하여, 적절한 상향 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고, 그 적절한 상향 링크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보고 또는 통지를 행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는, 적절한 상향 링크 송신 빔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그 기지 신호는, NR-PRACH, NR-SRS, NR-DM-RS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의 적절한 상향 링크 송신 빔은, 단말 장치의 적절한 하향 링크 수신 빔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언라이센스 채널의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채널 액세스(Channel access, Listen before Talk) 프로시져는,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에서 송신을 행하는 언라이센스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해 행해진다.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서는, 1회 또는 복수 회의 채널의 센싱(sensing)이 행해진다. 그 센싱의 결과에 기초하여 그 채널이 아이들(idle, unoccupied, available, enable)인지, 또는 비지(busy, occupied, unavailable, disable)인지의 판정(빈 판정)이 행해진다. 채널의 센싱에서는, 소정의 대기 시간에 있어서의 채널의 전력이 감지(sense)된다.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의 대기 시간의 일례로서, 제1 대기 시간(슬롯), 제2 대기 시간, 및 제3 대기 시간(연기 기간), 제4 대기 시간을 들 수 있다.
슬롯(slot)은,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대기 시간의 단위이다. 슬롯은, 예를 들어 9 마이크로초로 정의된다.
제2 대기 시간에는, 1개의 슬롯이 선두에 삽입되어 있다. 제2 대기 시간은, 예를 들어 16 마이크로초로 정의된다.
연기 기간(defer period)은, 제2 대기 시간과 그 제2 대기 시간에 이어지는 복수 개의 연속된 슬롯으로 구성된다. 그 제2 대기 시간에 이어지는 복수 개의 연속된 슬롯의 개수는, QoS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우선 클래스(priority clas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4 대기 시간은, 제2 대기 시간과 그 후에 이어지는 하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된다.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는, 소정의 슬롯의 기간에 소정의 채널을 감지(sense)한다. 그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가 그 소정의 슬롯 기간 내의 적어도 4 마이크로초에 대해 검출한 전력이 소정의 전력 검출 역치보다 작은 경우, 그 소정의 슬롯은 아이들(idle)로 간주된다. 한편, 그 전력이 소정의 전력 검출 역치보다 큰 경우, 그 소정의 슬롯은 비지(busy)로 간주된다.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는,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와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가 있다.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는,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는, 복수 개의 슬롯 및 연기 기간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는, 하나의 제4 대기 시간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의 상세>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 있어서, 이하에 기재하는 수순이 행해진다.
(0) 연기 기간에 있어서 채널의 센싱이 행해진다. 연기 기간 내의 슬롯에 있어서 채널이 아이들인 경우, (1)의 스텝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1) 카운터의 초기값을 취득한다. 그 카운터의 초기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은, 0으로부터 충돌 창 CW까지의 사이의 정수이다. 그 카운터의 초기값은, 균일 분포에 따라서 랜덤하게 결정된다. 카운터 N에 카운터의 초기값이 세트되고, (2)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2) 카운터 N이 0보다 크고, 또한 그 카운터 N의 감산을 행할 것이 선택된 경우, 카운터 N으로부터 1이 감산된다. 그 후, (3)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3) 슬롯의 기간을 추가하여 대기가 행해진다. 또한, 그 추가 슬롯에 있어서, 채널이 감지된다. 그 추가 슬롯이 아이들인 경우는, (4)의 스텝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4) 카운터 N이 0인 경우, 이 프로시져를 정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2)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5) 연기 기간을 추가하여 대기가 행해진다. 또한, 그 추가 연기 기간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슬롯에서 비지라고 검출될 때까지, 또는 그 추가 연기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슬롯이 아이들이라고 검출될 때까지, 채널은 감지된다. 그 후, (6)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6) 채널이 그 추가 연기 기간에 포함되는 슬롯 전부에서 아이들이라고 감지된 경우, (4)의 스텝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상기 프로시져에 있어서의 (4)의 스텝의 정지 후, 그 채널에 있어서, PDSCH나 PUSCH 등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프로시져에 있어서의 (4)의 스텝의 정지 후, 그 채널에 있어서, 송신이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그 후, 송신 직전에 슬롯 및 연기 기간 전부에 있어서, 채널이 아이들인 경우에, 상기 프로시져를 행하지 않고 송신이 행해져도 된다. 한편, 그 슬롯 및 그 연기 기간 중 어느 쪽에 있어서, 채널이 아이들이 아닌 경우에, 추가 연기 기간 내의 슬롯 전부에서 채널이 아이들이라고 센싱된 후, 상기 프로시져의 (1)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의 상세>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 있어서, 적어도 제4 대기 시간의 센싱 결과, 채널이 아이들이라고 간주된 직후, 송신은 행해져도 된다. 한편, 적어도 제4 대기 시간의 센싱 결과, 채널이 아이들이 아닌 것으로 간주된 경우는, 송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충돌 창 적응 프로시져>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사용되는 충돌 창 CW(contention window)는, 충돌 창 적응 프로시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충돌 창 CW의 값은, 우선 클래스마다 유지된다. 또한, 충돌 창 CW는, 최소 충돌 창과 최대 충돌 창 사이의 값을 취한다. 그 최소 충돌 창 및 그 최대 충돌 창은, 우선 클래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충돌 창 CW의 값의 조정은,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의 (1)의 스텝 전에 행해진다. 적어도 충돌 창 적응 프로시져에 있어서의 참조 서브프레임 또는 참조 HARQ 프로세스의 공용 채널에 대응하는 HARQ 응답에서 NACK의 비율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충돌 창 CW의 값을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충돌 창 CW의 값을 최소 충돌 창으로 설정한다.
충돌 창 CW의 값의 증가는, 예를 들어 CW=2·(CW+1)-1의 식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의 상세>
언라이센스 채널에 있어서, PDSCH, PDCCH, 및/또는 EPDCCH를 포함한 하향 링크 송신을 행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 기초하여, 그 채널에 액세스하여, 그 하향 링크 송신을 행한다.
한편, 언라이센스 채널에 있어서, DRS를 포함하지만 PDSCH를 포함하지 않는 하향 링크 송신을 행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 기초하여, 그 채널에 액세스하여, 그 하향 링크 송신을 행한다. 또한, 그 하향 링크 송신의 기간은, 1 밀리초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의 상세>
언라이센스 채널에 있어서,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할 것이 지시된 경우, 단말 장치는 그 PUSCH를 포함한 상향 링크 송신 전에 제1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한다.
또한,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할 것이 지시된 경우, 단말 장치는 그 PUSCH를 포함한 상향 링크 송신 전에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한다.
또한, PUSCH는 포함하지 않지만 SRS는 포함하는 상향 링크 송신에 대해서는, 단말 장치는 그 상향 링크 송신 전에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한다.
또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지시된 상향 링크 송신의 말미가 상향 링크 기간(UL duration) 내인 경우, 그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지시된 프로시져 타입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는 그 상향 링크 송신 전에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링크 송신 종료 후에 제4 대기 시간을 사이에 두고 상향 링크 송신이 이어지는 경우, 단말 장치는 그 상향 링크 송신 전에 제2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의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NR을 사용한 언라이센스 채널에서의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에서는,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과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이 행해진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은, 지향성이 제어되지 않는 수신에 의한 채널 센싱, 또는 방향의 정보를 갖지 않는 채널 센싱이다. 방향의 정보를 갖지 않는 채널 센싱이란, 예를 들어 전방위에서 측정의 결과가 평균화된 채널 센싱이다. 송신국은, 채널 센싱에서 사용된 지향성(각도, 방향)을 인지하지 않아도 된다.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지향성이 제어된 수신에 의한 채널 센싱, 또는 방향의 정보를 갖는 채널 센싱이다. 즉, 수신 빔이 소정의 방향을 향하는 채널 센싱이다.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송신국은, 서로 다른 지향성을 사용한 1회 이상의 채널 센싱을 행할 수 있다.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을 행함으로써, 센싱에 의해 검출되는 에어리어를 좁힌다. 이에 의해, 송신국은, 간섭을 부여하지 않는 통신 링크의 검출의 빈도를 저감시켜, 노출 단말기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이하에,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과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의 차이를 열거한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과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적용되는 대역이 다르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은, 모든 주파수 공용 대역에서 적용된다.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60㎓대 등의, 주로 6㎓대 이상의 주파수 공용 대역에서 적용된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과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채널 액세스권 취득 후의 송신이 다르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은, 송신국은 브로드캐스트 송신, 또는 빔 포밍되지 않은 유니캐스트 송신을 행하기 전에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을 행한다.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송신국은, 빔 포밍된 유니캐스트 송신을 행하기 전에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을 행한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과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센싱의 전력 검출 역치가 다르다. 빔 포밍되지 않은 채널 센싱은, 전력 검출 역치가 낮다. 빔 포밍된 채널 센싱은, 전력 검출 역치가 높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RM 측정>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의 정보는, 핸드오버나 무선 리소스 제어 등을 결정할 때에 사용된다.
RRM 측정은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에서 행해진다.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RRM 측정의 측정 결과는, 기지국 장치에 보고된다.
RRM 측정에서는,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신호 전력 강도나 통신 품질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등이 측정된다. RSRP는, 주로,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통신 품질의 판단이나 패스 로스의 측정 등에 사용된다. RSRQ나 SINR은, 주로,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 품질의 판단 등에 사용된다. RSSI는, 주로, 그 무선 리소스에서의 간섭의 측정 등에 사용된다.
RSRP는, 소정의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소정의 참조 신호는, 예를 들어 SSS, PBCH와 관련된 DMRS, 소정의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되는 CSI-RS 등이다. RSRP는, 예를 들어 하나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신 전력으로서 정의된다.
RSSI는, 소정의 기간에서 측정된 총 수신 전력의 평균 전력이다. RSSI는, 서빙 셀이나 비서빙 셀, 인접 채널 간섭, 열잡음 등, 모든 수신된 전력을 포함한다. RSSI는, 1 OFDM 심볼의 수신 전력으로서 정의된다.
RSRQ는, RSRP와 RSSI의 비로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RSRQ는, RSRP를 RSSI로 나눈 값이다. 또한, RSRQ는, 전술한 값에, RSSI가 측정된 리소스 블록 수나 리소스 엘리먼트 수 등을 곱한 값으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SINR은, 소정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과, 그 소정의 기지국 장치 이외로부터의 수신 전력의 비로서 정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SI 측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의 정보는, 리소스의 스케줄링이나 물리 채널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을 결정할 때에 사용된다.
CSI 측정은, 단말 장치에서 행해진다.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CSI 측정의 측정 결과는, 기지국 장치로 피드백된다.
CSI는, CSI-RS로부터 측정된다. 단말 장치는, CSI-RS의 수신 품질로부터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채널을 추정하여, CSI를 계산한다.
CSI 측정에서는, 채널 품질이나 프리코딩 및/또는 빔, MIMO 레이어 등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RI(CSI-RS resource indicator) 등의 피드백 정보가 CSI 측정에 의해 생성된다.
CQI는, 소정의 레이어에 대한 채널 품질에 관한 정보이다. CQI는,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단말 장치는, 소정의 타깃 에러율(예를 들어 10%)을 만족시키는 MCS에 상당하는 CQI를 계산하여, 기지국 장치로 피드백한다. 기지국 장치는, 피드백된 CQI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의 MCS를 결정한다.
PMI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관한 정보이다. 단말 장치는, 상응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지정하는 PMI를 계산하여, 기지국 장치로 피드백한다. 기지국 장치는, 피드백된 PMI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RI는, 채널의 랭크에 관한 정보이다. 단말 장치는, 통신 가능한 랭크를 지정하는 RI를 계산하여, 기지국 장치로 피드백한다. 기지국 장치는, 피드백된 RI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의 레이어 수를 결정한다.
CRI는, CSI-RS 리소스에 관한 정보이다. CRI는, 소정의 빔에 관한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CSI 측정에서는, CSI 프로세스라고 칭해지는 단위로 관리 및 제어된다. 각 CSI 프로세스에는, 측정할 신호의 리소스와 측정할 간섭의 리소스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환경에 있어서의 CSI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CSI 프로세스에 서로 다른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참조 신호의 리소스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셀의 접속 전환 없이 서로 다른 기지국 장치와의 CSI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CSI 프로세스에 서로 다른 간섭 상태의 리소스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에 있어서의 CSI를 측정할 수 있다.
<<2. 기술적 특징>>
계속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송신국이 측정하는 LBT(Listen Before Talk)만으로는, 수신국이 간섭을 받고 있는지, 받고 있지 않은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특히, 이하의 두 문제를 들 수 있다. 하나는 숨겨진 단말기 문제(hidden node problem)이다. 이 숨겨진 단말기 문제는, 송신국이, 간섭을 부여하는 다른 통신 링크를 검지하지 못하여, 송신을 개시하는 문제이다. 송신국이, 간섭을 부여하는 다른 통신 링크를 검지하지 못하여, 송신을 개시하는 결과, 통신 링크가 충돌하여, 다른 통신 링크에 큰 간섭을 부여해 버리게 된다. 다른 하나는 노출된 단말기 문제(expose node problem)이다. 노출된 단말기 문제는, 송신국이, 간섭을 부여하지 않는 다른 통신 링크를 검지해 버려, 송신을 정지시키는 문제이다. 송신국이, 간섭을 부여하지 않는 다른 통신 링크를 검지해 버려, 송신을 정지시키는 결과, 공간 재사용이 낮아져, 시스템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국과 수신국 사이의 통신 품질의 측정으로서,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이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단말기에 있어서의 측정에서는, 기본적으로 전방위로부터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동작뿐이다.
그래서 본건 개시자는, 상술한 점에 비추어, 수신국이 간섭을 받고 있는지, 받고 있지 않은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에 대해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본건 개시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신국에 있어서 수신 전력 외에, 방향에 관한 정보도 측정함으로써, 수신국이 간섭을 받고 있는지, 받고 있지 않은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신국(단말 장치(2))은, 수신 전력 외에, 방향에 관한 정보도 측정한다. 즉, 수신국은, 어느 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강도의 전파가 날아들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그리고 수신국은, 그 측정 결과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기지국 장치(1) 또는 단말 장치(2))으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수신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수신국은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간섭이 강한지, 또는 약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이하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빔 링크 페어(BLP, 송신 빔과 수신 빔의 조합)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다. 구체예로서, 소정의 빔 링크 페어로 송신하였을 때, 다른 통신 링크로부터의 간섭이 크다고 인접 노드로부터의 보고가 있을 경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간섭량이 적은 빔 링크 페어로 전환함으로써 송신 빔의 방향을 바꾼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고, 숨겨진 단말기 문제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두 번째는, LBT에서 소정의 송신국으로부터의 송신을 검지한다고 하더라도, 무시하는 것이다. 구체예로서, 송신국이 인접 노드로부터의 RS의 검출 등으로 송신을 검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인접 노드의 소정의 빔으로부터의 간섭은 적다고 보고를 받을 경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그 인접 노드는 전력이 검출되지 않는 것이라고 하여, LBT를 행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비지라고 판단하는 일 없이 송신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송신국은, 불필요한 송신 기회의 저감이 없어져, 노출된 단말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5, 도 16은,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를 검출 가능한 센싱 영역과, 그 센싱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빔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이 도면들에서는, 기지국 장치 #1과 단말 장치 #1이 링크되어 있고, 기지국 장치 #2와 단말 장치 #2가 링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5는, 단말 장치 #1과 단말 장치 #2가 인접하고 있고, 단말 장치 #1이 기지국 장치 #1로부터의 빔뿐만 아니라, 기지국 장치 #2로부터의 빔을 받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단말 장치 #1은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빔을 받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기지국 장치 #1로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 #1은, 단말 장치 #1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아, 간섭이 적은 방향으로 빔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6은, 단말 장치 #1과 단말 장치 #2가 인접하고 있지 않고, 단말 장치 #1이 기지국 장치 #1로부터의 빔만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 #2가 기지국 장치 #2로부터의 빔만을 받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일 상술한 노출된 단말기 문제가 일어나면, 기지국 장치 #1은, 기지국 장치 #2로부터의 빔이 단말 장치 #1에 있어서 간섭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 장치 #2로부터의 빔의 검지에 의해 송신을 정지해 버린다. 그러나 기지국 장치 #1은, 단말 장치 #1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아, 단말 장치 #1이 다른 빔을 받고 있지 않음을 파악하면, 비지라고 판단하는 일 없이 송신을 계속할 수 있다.
방향에 관한 정보의 종류로서, 예를 들어 각도와, 수신 빔이 있다. 단말 장치(2)는, 예를 들어 소정의 참조 신호의 AoA(Angle of Arrival)를 추정함으로써, 각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수신 빔의 방향과 각도를 결부시킬 수 있는 경우는, 단말 장치(2)는, 그 수신 빔에서 받은 전력은 대응하는 각도의 수신 전력이라고 본다. 또한, 평면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으로도 퍼지는 경우는, 단말 장치(2)는, 수신 빔의 방향을 2종류의 각도로 결부시켜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예를 들어 어느 수신 빔에서 수신한 전력은, 그 수신 빔에서 수신하였음을 통지한다. 단말 장치(2)가 수신하는 빔은 방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각도의 정보를 갖는 것과 동등해진다.
단말 장치(2)가 송신국으로 피드백할 때의 포맷에는, 각도나 수신 빔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각도의 정보는 절대 방위여도 되고, 상대 방위여도 된다. 절대 방위인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방위(동서남북 중 어느 것)를 0도로 해도 된다. 방위의 정보는, 단말 장치(2)에 내장되는, 방위를 측정하는 센서의 값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대 방위인 경우, 단말 장치(2)의 소정의 방향을 0도로 해도 되고, 서빙 셀의 방향을 0도로 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지시된 빔 링크 페어를 만드는 수신 빔의 메인 로브의 방향을 0도로 해도 된다. 서빙 셀의 방향을 0도로 하는 경우, 단말 장치(2)는, 통지된 송신국의 위치 정보와 측정된 단말 장치(2)의 위치 정보의 관계로부터 서빙 셀의 방향을 산출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그 서빙 셀에 대한 최적의 빔 링크 페어를 만드는 수신 빔의 메인 로브의 방향을 0도로 해도 된다.
단말 장치(2)가 수신 빔의 정보를 송신국으로 보고할 때에는, 소정의 수신 빔에서 수신한 전력값과 그 수신 빔에 관한 인덱스를 세트로 보고한다. 그 때, 단말 장치(2)는, 빔 링크 페어, 수신 빔 인덱스, 안테나(안테나 포트), 프리코더 인덱스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빔 링크 페어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단말 장치(2)는, 송신 빔에 결부시켜, 대응하는 수신 빔의 수신 전력을 통지해도 되고, 빔 링크 페어에 결부시켜 수신 빔을 통지해도 된다. 빔 링크 페어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단말 장치(2)는, 빔 링크 페어 인덱스를 통지해도 된다. 또한, 각 안테나 포트로부터는, 각각 서로 다른 빔에서 참조 신호가 송신된다. 송신국이 기지국 장치(1)이면, CSI-RS 안테나 포트로부터, 송신국이 단말 장치(2)이면, SRS 안테나 포트로부터, 각각 참조 신호가 송신된다. 단말 장치(2)는, 그 안테나 포트에 대응하는 최적 수신 빔에서 수신한 전력을 송신국에 보고한다. 수신 빔 인덱스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단말 장치(2)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수신 빔을 이산화한 값으로 정의한 것을 송신국으로 통지한다. 안테나(안테나 포트)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단말 장치(2)는, 안테나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사용한다. 프리코더 인덱스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단말 장치(2)는, 디지털 빔 포밍의 경우에, 송신의 빔과 수신의 빔이 동일한 구성이면, 수신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프리코더 매트릭스의 인덱스를 사용한다.
도 17, 도 18은, 단말 장치(2)가 보고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다.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90도 간격으로 네 방향이 규정되어도 되고, 도 18과 같이, 빔의 도래 방향에 대응하는 형태로 네 방향이 규정되어도 된다. 방향의 수는 도 17이나 도 18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2)에 의한 방향의 측정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방향의 측정의 설정에는, 측정 타이밍 설정, 방향의 수나 각도의 입도, 평균화 필터 계수(L3 filter coefficient), 측정할 RS의 리스트(RSRP를 측정하는 경우) 등이 있다.
측정 타이밍 설정에는, 예를 들어 측정하는 주기, 구간, 개시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포함될 수 있다. 측정 타이밍 설정은, 방향마다 개별로 설정이 가능해도 되고, 방향 사이에서 공통의 측정 타이밍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방향의 수나 각도의 입도가 설정됨으로써, 단말 장치(2)가 측정하는 수가 설정된다. 또한 평균화 필터 계수에 대해서도, 방향마다 개별로 설정이 가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BLP에 사용되는 수신 빔과 그 밖의 수신 빔의 평균화 필터 계수가 달라도 된다.
RSRP를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측정할 참조 신호의 리스트도 설정의 대상이 된다. 이 경우, 참조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설정된다. 참조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는, 예를 들어 리소스 정보(리소스 엘리먼트 매핑 설정, 서브프레임 등), 참조 신호 계열의 스크램블에 관한 정보(계열의 초기값 등), 안테나 포트, 셀 식별자(ID, identifi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송신국으로부터 방향의 측정의 설정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단말 장치(2)는, 방향에 관한 측정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방향의 측정의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 단말 장치(2)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방향에 관한 측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디폴트의 설정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단말 장치(2)에 마련된 수신 빔에 의해 측정한다고 하는 것도여도 된다. 또한, 디폴트의 설정값은, 밴드의 주파수대에 따라 변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상이, 중심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 예를 들어 6㎓ 이상의 밴드이면, 단말 장치(2)는 2가닥의 수신 빔으로 측정을 행하고, 그 소정의 주파수 미만, 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 6㎓ 미만의 밴드이면, 단말 장치(2)는 방향의 측정은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말 장치(2)는,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타이밍으로서, 측정 타이밍 설정으로 지시된 구간에서 측정해도 되고, 측정 타이밍 설정으로 지시된 구간이며, 또한 서브프레임이 하향 링크라고 지시된 구간에서 측정해도 되고, DCI(PDCCH)로 지시된 타이밍 및 구간에서 측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2)가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정보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단말 장치(2)는,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방향마다의 평균 전력값(RSSI), RSRQ 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보고한다. 단말 장치(2)는, 송신국으로는 모든 방향의 정보를 보고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측정의 결과, 소정의 역치보다도 낮은 측정 결과인 경우는, 단말 장치(2)는, 송신국으로 정보를 반환하지 않아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2)는, 소정의 역치보다도 높은 측정 결과인 방향만 정보를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1)는,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정보를 수취하지 않은 방향의 측정의 결과는 소정의 역치 이하라고 인식한다. 이에 의해, 보고에 요하는 통신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9는, 단말 장치(2)가 측정한 방향마다의 평균 전력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단말 장치(2)는, 이러한 방향마다의 평균 전력의 정보를 송신국으로 보고한다.
단말 장치(2)는,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방향마다의 히스토그램을 보고한다. 방향마다의 히스토그램을 보고할 때, 단말 장치(2)는, 측정 구간 중의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RSSI)이 역치보다도 상회한 횟수를 보고한다. 그 소정의 구간은, 측정 구간보다도 작은 구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이나 슬롯)으로 구획된다. 도 20은, 측정 구간 중의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RSSI)이 역치보다도 상회한 횟수를 방향마다 산출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0에서는, 측정 구간 중의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RSSI)이 역치보다 상회한 횟수를 「채널 점유 비율」이라고 하는 지표로 나타내고 있다. 단말 장치(2)는, 이러한 방향마다의 채널 점유 비율의 정보를 송신국으로 보고한다. 또한, 도 20은, 역치가 하나 설정된 일례에 불과하며, 복수의 역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2)가 송신국으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단말 장치(2)는, 측정 결과를 PUSCH에 포함하여 기지국 장치로 보고한다. 단말 장치(2)는, 주기적으로 송신국으로 보고해도 되고, 소정의 트리거가 발생한 타이밍에 송신국으로 보고해도 되고, 송신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송신국으로 보고해도 된다. 주기적으로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경우, 그 주기는 송신국으로부터 지시되어도 되고, 디폴트의 설정값이 사용되어도 된다. 소정의 트리거가 발생한 타이밍에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경우, 그 소정의 트리거로서는, 예를 들어 측정 결과가 역치를 상회하였거나, 또는 하회한 경우여도 된다. 또한 송신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경우, 그 지시는, 예를 들어 DCI(PUCCH)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보고와 보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2)는, 보고 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기지국 장치(1)로 다음 보고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 장치(2)는, 소정의 주기로,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기지국 장치(1)로 보고하도록 해도 된다. 단말 장치(2)가 송신국으로 보고하는 정보의 포맷은, RSRP, RSRQ, RSSI가 각각 개별의 포맷이어도 되고, RSRP와 RSSI의 조합이나 RSRP와 RSRQ의 조합이어도 된다. 이때, RSRP는 하나의 값에 대해, RSSI 또는 RSRQ는 방향의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값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는, 빔 링크 페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RSRP와, 설정된 방향에서 측정된 복수의 RSSI 또는 RSRQ를 보고한다.
단말 장치(2)는, 송신국으로 정보를 보고할 때, 평균화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측정값의 평균화를 행한다. 단말 장치(2)는, 측정을 행할 때, 단말 장치(2)의 위치 및 배향이 크게 바뀌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위치의 변화가 소정의 범위에 있고, 또한 배향의 변화가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계속 평균화된다. 단말 장치(2)는, 측정을 행할 때, 단말 장치(2)의 배향이 크게 바뀐다고 해도, 방위의 기준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는, 계속 평균화된다. 한편, 단말 장치(2)의 위치가 크게 바뀐 경우, 단말 장치(2)의 배향이 크게 바뀌어, 단말 장치(2)가 방위의 기준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는, 단말 장치(2)는, 평균화를 행하지 않고, 그때까지의 측정값을 리셋한다. 또한, 위치가 크게 바뀐 경우란, 단말 장치(2)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이다. 또한, 배향이 크게 바뀐 경우란, 단말 장치(2)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이다.
단말 장치(2)는, 송신국으로 정보를 보고할 때, 단말 장치(2)의 케이퍼빌리티, 예를 들어 실장되어 있는 안테나의 개수나 빔의 구성 등의 정보를 피드백해도 된다. 송신국은, 단말 장치(2)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아, 그 단말 장치(2)에 대한 측정 시의 방향, 수, 각도의 입도나, 측정 시의 방향의 기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피드백할 케이퍼빌리티에 관한 정보로서, 안테나 개수, 안테나의 형상, 메인 빔의 로브 폭, 빔이 퍼지는 방향, 구성 가능한 최대 빔 수, 삼차원 방향으로 빔이 퍼지는지 여부 등의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정보를, 송신국으로 피드백해도 된다. 단말 장치(2)는, 안테나의 형상을 피드백할 때에는, 적어도 하나가 지향성을 갖는지 여부(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인지 패널 안테나인지)의 정보를 피드백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빔이 퍼지는 방향을 피드백할 때에는, 서로 다른 빔 사이의 감각,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빔 사이의 각도 차의 정보를 피드백해도 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를 시퀀스도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1에 나타낸 것은, 단말 장치(2)가 RRM 측정을 행할 때의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이다.
단말 장치(2)는, RRM 측정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를 기지국 장치(1)로 송신한다(스텝 S101). 기지국 장치(1)는, RRM 측정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로부터, 단말 장치에 RRM 측정의 설정을 행한다(스텝 S102).
단말 장치(2)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수신한 RRM 측정의 설정에 기초하여, RRM 측정을 행한다(스텝 S103). 여기서의 RRM 측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신 빔마다의 측정이다. 그리고 단말 장치(2)는, 스텝 S103에서의 RRM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 장치(1)로 보고한다(스텝 S104).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로부터 받은 RRM 측정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빔을 포함하는 통신 리소스를 결정하고(스텝 S105), 단말 장치(2)와의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스텝 S106). 여기서의 통신 리소스의 결정에는, 빔의 방향의 결정도 포함된다.
단말 장치(2)로부터 RRM 측정의 측정 결과의 보고를 받은 기지국 장치(1)는, X2 인터페이스나 Xn 인터페이스 등으로 접속되는 다른 인접 기지국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 사이에서 협조 리소스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를 시퀀스도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2에 나타낸 것은, 단말 장치(2)가 RRM 측정을 행할 때의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이다. 도 22에는, 기지국 장치(1)의 인접 기지국인, 다른 기지국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 장치(1)의 인접 기지국인, 다른 기지국 장치(1)는, 단말 장치(2)로부터 받은 RRM 측정의 측정 결과를 전송한다(스텝 S111). 기지국 장치 사이의 정보의 내용은, 측정의 결과를 그대로 전송해도 되고, 측정의 결과를 가공하여 전송해도 된다. 측정의 결과를 그대로 전송하는 경우,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1)는, 고정밀도의 리소스 제어가 가능해진다. 측정의 결과를 가공하여, 즉, 측정의 결과의 일부만을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 사이의 정보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측정의 결과를 가공하는 경우는, 정보를 전송할 대상인 인접 기지국 장치로부터 간섭을 강하게 받는 방향만을 전송해도 되고, 기지국 장치가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정보를 전송해도 된다. 또한, 인접 기지국은, RRM 측정을 행한 단말 장치(2)의 위치 정보도 부수하여 기지국 장치(1)로 전송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1)는,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RRM 측정의 측정 결과를 받으면,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RRM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빔을 포함한 통신 리소스를 결정하고(스텝 S112), 단말 장치(2)와의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스텝 S113).
기지국 장치(1)는, 인접 기지국에 RRM 측정의 측정 결과를 요구해도 된다. 인접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요구를 받아, RRM 측정의 측정 결과를 전송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를 시퀀스도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3에 나타낸 것은, 단말 장치(2)가 RRM 측정을 행할 때의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의 동작예이다. 도 23에는, 기지국 장치(1)의 인접 기지국인, 다른 기지국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 장치(1)는, 인접 기지국에 대해, RRM 측정의 측정 결과의 전송을 요구한다(스텝 S121). 기지국 장치(1)의 인접 기지국인, 다른 기지국 장치(1)는, 스텝 S121의 요구에 따라서, 단말 장치(2)로부터 받은 RRM 측정의 측정 결과를 전송한다(스텝 S122).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 사이의 정보의 내용은, 측정의 결과를 그대로 전송해도 되고, 측정의 결과를 가공하여 전송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 기지국은, RRM 측정을 행한 단말 장치(2)의 위치 정보도 부수하여 기지국 장치(1)로 전송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1)는,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RRM 측정의 측정 결과를 받으면,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RRM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빔을 포함한 통신 리소스를 결정하고(스텝 S123), 단말 장치(2)와의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스텝 S124).
또한,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은 CSI에도 적용할 수 있다. CSI 프로세스는, 참조 신호 측정 리소스와 간섭 측정 리소스 외에, 빔에 관한 설정도 관련지을 수 있다. 일례로서, CSI 프로세스 0에는, 0번째 빔 링크 페어가 관련지어지고, CSI 프로세스 1에는, 첫 번째 빔 링크 페어가 관련지어진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CSI 프로세스 0에는, 수신 빔 0이 관련지어지고, CSI 프로세스 1에는, 수신 빔 1이 관련지어진다. 또한, 오버헤드 삭감을 위해, 복수의 CSI 프로세스에서 공통의 정보는, 각각 피드백하지 않아도 된다. 복수의 CSI 프로세스에서 공통의 정보는, 예를 들어 RI(Rank Indicator) 등이다.
또한, 이 방향에 관한 정보는 포지셔닝(위치 추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가 실시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제어부(103)가 실행해도 되고, 단말 장치(2)가 실시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제어부(203)가 실행해도 된다.
<<3. 응용예>>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는,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 중 어느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스몰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 등의, 매크로셀보다도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여도 된다. 그 대신에, 기지국 장치(1)는,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1)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함)와,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 장치(1)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 모바일 라우터 혹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이러한 단말기들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이어도 된다.
<3.1. 기지국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4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eNB(8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갖는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eNB(800)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4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00)는 단일의 안테나(81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20)는,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여도 되고,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레이어의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전송한다. 컨트롤러(821)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821)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유입 제어(Admission Control) 또는 스케줄링(Scheduling)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당해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연계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를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안테나(810)를 통해,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베이스 밴드(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각 레이어(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컨트롤러(821) 대신에, 상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어도 되고,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혹은 블레이드여도 되고, 또는 상기 카드 혹은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2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4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의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24에 나타낸 eNB(80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위층 처리부(101), 제어부(103), 수신부(105) 및/또는 송신부(107)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는 RF 회로(827)),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어 정보 요구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제3 제어 정보를 송신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동작들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장되어도 된다. 이러한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 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에 상기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9)는, 안테나(81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25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eNB(8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갖는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 파이버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위해 사용된다. eNB(830)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40)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는 eNB(830)가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30)는 단일의 안테나(84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RRH(860) 및 안테나(840)를 통해,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8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통해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을 통한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구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을 통한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64)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의 RF 회로(864)를 포함해도 된다.
도 25에 나타낸 eNB(83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위층 처리부(101), 제어부(103), 수신부(105) 및/또는 송신부(107)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또는 RF 회로(864)),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어 정보 요구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제3 제어 정보를 송신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동작들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장되어도 된다. 이러한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에 상기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9)는, 안테나(840)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3.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6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하나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이어도 되고,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 상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원 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6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6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16)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해, 도 26에 나타낸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26에 나타낸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위층 처리부(201), 제어부(203), 수신부(205) 및/또는 송신부(207)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 및/또는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어 정보 요구를 송신하여 대응하는 제3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동작들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장되어도 된다. 이러한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에 상기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9)는, 안테나(916)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27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하나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여도 되고,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해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 상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37)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원 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위해 사용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7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해, 도 27에 나타낸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으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27에 나타낸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위층 처리부(201), 제어부(203), 수신부(205) 및/또는 송신부(207)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 및/또는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및/또는 프로세서(921)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어 정보 요구를 송신하여 대응하는 제3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동작들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장되어도 된다. 이러한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에 상기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9)는, 안테나(937)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하나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로 출력한다.
<<4.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향에 관한 정보도 측정함으로써, 수신국이 간섭을 받고 있는지, 받고 있지 않은지를 송신국이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장치(1) 및 단말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반드시 시퀀스도 또는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흐름도로서 기재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처리되어도 되고, 병렬적으로 처리되어도 된다.
또한, 각 장치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를, 상술한 각 장치의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작 가능하다. 또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도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능 블록도로 나타낸 각각의 기능 블록을 하드웨어로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구간에서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을 행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로서, 상기 수신 빔마다의 히스토그램을 보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수신 빔마다의 히스토그램으로서, 상기 수신 전력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횟수의 히스토그램을 보고하는, 상기 (3)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통신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통신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상기 통신 제어부는, 자장치의 케이퍼빌리티를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에 앞서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장치의 케이퍼빌리티로서 안테나 개수, 안테나의 형상, 메인 빔의 로브 폭, 빔이 퍼지는 방향, 구성 가능한 최대 빔 수, 삼차원 방향으로의 빔의 이동의 가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보고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11)
상기 통신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수신 전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통신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수신 전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빔의 방향의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케이퍼빌리티로서 안테나 개수, 안테나의 형상, 메인 빔의 로브 폭, 빔이 퍼지는 방향, 구성 가능한 최대 빔 수, 삼차원 방향으로의 빔의 이동의 가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취득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프로세서가,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제어 방법.
(15)
프로세서가,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제어 방법.
(16)
컴퓨터에,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일을 실행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컴퓨터에,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일을 실행시키고,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 기지국 장치
2: 단말 장치

Claims (17)

  1.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구간에서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을 행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로서, 상기 수신 빔마다의 히스토그램을 보고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수신 빔마다의 히스토그램으로서, 상기 수신 전력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횟수의 히스토그램을 보고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자장치의 케이퍼빌리티를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에 앞서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장치의 케이퍼빌리티로서 안테나 개수, 안테나의 형상, 메인 빔의 로브 폭, 빔이 퍼지는 방향, 구성 가능한 최대 빔 수, 삼차원 방향으로의 빔의 이동의 가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보고하는, 통신 장치.
  10.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수신 전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수신 전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빔의 방향의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케이퍼빌리티로서 안테나 개수, 안테나의 형상, 메인 빔의 로브 폭, 빔이 퍼지는 방향, 구성 가능한 최대 빔 수, 삼차원 방향으로의 빔의 이동의 가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취득하는, 통신 장치.
  14. 프로세서가,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통신 제어 방법.
  15. 프로세서가,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제어 방법.
  16. 컴퓨터에,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일을 실행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의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컴퓨터에, 셀룰러 방식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일을 실행시키고,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복수의 수신 빔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 빔마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의 정보를 취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01788A 2017-08-10 2018-07-19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63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4990 2017-08-10
JPJP-P-2017-154990 2017-08-10
PCT/JP2018/027148 WO2019031190A1 (ja) 2017-08-10 2018-07-19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240A true KR20200038240A (ko) 2020-04-10
KR102663451B1 KR102663451B1 (ko) 2024-05-09

Family

ID=6527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788A KR102663451B1 (ko) 2017-08-10 2018-07-19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77760B2 (ko)
EP (1) EP3667947A4 (ko)
JP (1) JP7409086B2 (ko)
KR (1) KR102663451B1 (ko)
CN (1) CN110999125B (ko)
WO (1) WO20190311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105A1 (ko) * 2021-09-30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58914A1 (en) * 2018-04-13 2021-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ous beam discovery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536456B (zh) * 2018-05-25 2022-03-25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956649B2 (en) * 2018-07-28 2024-04-09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for remote interference management
US11812449B2 (en) * 2018-08-10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beam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signaling
CN110912653B (zh) * 2018-09-18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13965924A (zh) * 2018-09-29 2022-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指示方法及装置
US11191039B2 (en) * 2019-04-26 2021-1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system capable of using shared frequency,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shared frequency, and base station
US11381298B2 (en) * 2019-06-28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based beam measurement resource activation
EP4002909A1 (en) * 2019-07-19 2022-05-25 Ntt Docomo, Inc.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451979B2 (en) * 2019-08-14 2022-09-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testing optimiz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WO2021192306A1 (ja) * 2020-03-27 2021-09-3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
US11838080B2 (en) * 2020-06-12 2023-12-05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sidelink relaying that uses multiple transmit receive points
EP4020823A1 (en) * 2020-12-22 2022-06-29 INTEL Corporation A distributed radiohead system
US20230073817A1 (en) * 2021-09-07 2023-03-09 Qualcomm Incorporated Jammer detec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1062A1 (en) * 2015-12-17 2017-06-22 Intel IP Corporation Method of load balancing in 5g cellular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6830B2 (ja) 2003-11-27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情報交換方法
US9787371B2 (en) 2008-11-12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channel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2064377B1 (ko) * 2012-05-09 2020-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75664A1 (en) * 2013-04-23 2014-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uplink in a beam forming system
WO2014191490A1 (en) 2013-05-28 2014-12-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ata collection in network management layer coverage and capacity optimization
KR102171561B1 (ko) * 2014-04-07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187855B1 (ko) * 2014-07-31 2020-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US9681309B2 (en) 2014-08-05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exploiting asymmetric capabilities for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in mm-wave access systems
EP3188548A1 (en) * 2014-09-23 2017-07-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millimetre wave honeycomb communication method
EP3198919B1 (en) * 2014-09-26 2019-12-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minimization of drive testing
EP3205040B1 (en) * 2014-10-10 2018-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dynamic csi feedback
KR102363547B1 (ko) * 2014-11-26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6108504A1 (ko) * 2014-12-30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확장 영역에 있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98518B2 (en) * 2015-01-29 2019-12-0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80248601A1 (en) * 2015-03-16 2018-08-30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7017369A (ja) 2015-06-26 2017-01-1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US10389509B2 (en) * 2015-07-30 2019-08-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Multi-user, full duplex in-b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410795A4 (en) * 2016-01-26 2019-01-23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181891B2 (en) * 2016-05-26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WO2017221202A1 (en) * 2016-06-23 2017-12-28 Nokia Technologies Oy Beam change
EP4274346A3 (en) * 2016-12-22 2024-0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1062A1 (en) * 2015-12-17 2017-06-22 Intel IP Corporation Method of load balancing in 5g cellular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0112* *
3GPP R4-1706788* *
3GPP RP-171137* *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Next Generation Access Technologies; (Release 14), 3GPP TR 38.913 V14.2.0(2017-03). <http://www.3gpp.org/ftp/Specs/archive/38_series/38.913/38913-030.z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105A1 (ko) * 2021-09-30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190A1 (ja) 2019-02-14
EP3667947A4 (en) 2020-09-09
EP3667947A1 (en) 2020-06-17
JPWO2019031190A1 (ja) 2020-07-02
JP7409086B2 (ja) 2024-01-09
US20200245173A1 (en) 2020-07-30
CN110999125B (zh) 2023-09-12
CN110999125A (zh) 2020-04-10
US11277760B2 (en) 2022-03-15
KR102663451B1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451B1 (ko)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120374B2 (ja) 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JP705601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77140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
JP7209456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95463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10332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719547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34943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9742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US11877277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KR20190101973A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029993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30021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30158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713495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43988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713050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7195479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
WO2019031135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