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743A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743A
KR20200037743A KR1020197033978A KR20197033978A KR20200037743A KR 20200037743 A KR20200037743 A KR 20200037743A KR 1020197033978 A KR1020197033978 A KR 1020197033978A KR 20197033978 A KR20197033978 A KR 20197033978A KR 20200037743 A KR20200037743 A KR 2020003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link
terminal device
downlink
down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홍 첸
즈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4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829A/ko
Publication of KR2020003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48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업링크 신호의 전송 방식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가 지나치게 높은 것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엔알(New Radio, NR)/제5세대 이동 통신 기술(5-Generation, 5G) 토론에서, 다수의 전송 수신점(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또는 다수의 안테나 패널(Antenna panels) 또는 다수의 빔(beam)이 동시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방안은 하기 두 가지 큰 유형의 방안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번째 방안: 단말 장치가 단지 하나의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하고, 해당 PDCCH는 다수의 TRP/beam 상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관련 지시 정보를 지시한다. 두번째 방안: 단말 장치가 다른 TRP/beam으로부터의 다른 NR-PDCCH를 수신하고, 각 제어 채널이 하나의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의 관련 지시 정보를 지시한다.
하지만, 두번째 방안에 대하여, 단말 장치는 동일한 캐리어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PDCCH/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탐지하여야 하고, 또한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업링크 상에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여야 하여, 단말 장치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가 지나치게 높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에 대한 요구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나아가 단말 장치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업링크 신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업링크 신호의 전송 방식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가 지나치게 높은 것을 낮출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전송 수신점(TRP)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빔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TRP가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빔이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단말 장치의 리포팅 정보,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서비스 정보 및 네트워크 부하 정보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리포팅 정보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능력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의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레벨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전력 헤드룸 보고(PHR)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송신하는 바, 상기 RRC 신호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송신하는 바, 상기 MAC CE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DCI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DCI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DCI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인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DCI에 상기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 탐지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신호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 탐지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바, 상기 RRC 신호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상기 MAC CE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DCI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인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와 상기 UL grant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DCI에 상기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선택한 다운링크인 것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생성 유닛;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프로세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기가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수신 유닛;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제6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송수신기가 포함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방법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칩을 제공하는 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 중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제9 방면으로 컴퓨터 칩을 제공하는 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 중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0 방면으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상황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상황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일 예시적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다른 일 예시적 블럭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5G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에는 단말 장치(110), 제1 TRP(121)와 제2 TRP(12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TRP(121)와 제2 TRP(122)는 각각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 장치(110)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TRP(121)와 제2 TRP(122)는 독립적으로 한 단말 장치(110)를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잇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10)가 한 슬롯 내에서 각각 제1 TRP(121)와 제2 TRP(122)로부터의 PDCCH를 탐지하여, 다수의 독립적인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또한 이러한 독립적인 업링크 전송 마침 동일한 슬롯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하에서, 여러 가지 통신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TRP(121)와 제2 TRP(122)가 동일한 셀에 속하고, 또한 제1 TRP(121)와 제2 TRP(122) 사이의 연결(backhaul)은 이상적인 바, 즉 빠르게 동적으로 정보 상호작용을 진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TRP(121)와 제2 TRP(122)가 동일한 셀에 속하고, 또한 제1 TRP(121)와 제2 TRP(122) 사이의 연결은 이상적이지 않은 바, 즉 제1 TRP(121)와 제2 TRP(122) 사이에서 빠르게 정보 상호작용을 진행할 수 없고, 단지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상호작용만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제1 TRP(121)와 제2 TRP(122)가 다른 셀에 속하고, 또한 제1 TRP(121)와 제2 TRP(122) 사이의 연결은 이상적이다.
또 예를 들면, 제1 TRP(121)와 제2 TRP(122)가 다른 셀에 속하고, 또한 제1 TRP(121)와 제2 TRP(122) 사이의 연결은 이상적이지 않다.
네트워크 장치가 다른 NR-PDCCH/NR-PDSCH를 다수의 TRP로부터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바, 즉 단말 장치가 다수의 다운링크를 통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그 중에서, 각 다운링크에는 모두 전송하여야 하는 대응되는 업링크 정보가 있고, 업링크 정보에는 적어도 하기 한 가지 정보가 포함되는 바, 즉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ACK/NACK),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등 리포팅 정보 및 업링크 데이터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일 해당 단말 장치(110)가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업링크 상에서도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여야 할 때, 단말 장치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가 지나치게 높게 된다.
이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링크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업링크 신호의 전송 방식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가 지나치게 높은 것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5G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어 예시적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독립적으로 하나의 단말 장치를 스케줄링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어떠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 중의 TRP를 빔(beam)으로 대응시키면, 대응되게 도 2에 도시된 응용 상황 예를 얻을 수 있는 바, 해당 상황에는 단말 장치(130)와 네트워크 장치(14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단말 장치(130)와 네트워크 장치(140) 사이에 다수의 빔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등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 중에서, 네트워크 장치(120)는 네트워크 측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임의의 실체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 통신(MTC)의 사용자 장치,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 중의 기지국(NodeB), LTE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或eNodeB), 5G 네트워크 중의 기지국 장치 등이다.
그리고, 단말 장치(110)는 임의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110)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접속 단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에는,
210: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며;
220: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230: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업링크 채널이고,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는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링크로서, 각 다운링크에 모두 송신하여야하는 대응되는 업링크 정보가 있다.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독립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독립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의 방식을 통하여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어느 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업링크 정보를 합병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즉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TRP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빔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다수의 TRP가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다수의 빔이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단말 장치의 리포팅 정보,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의 서비스 정보 및 네트워크 부하 정보이다.
그 중에서, 해당 리포팅 정보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즉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능력 정보, 해당 단말 장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능력의 정보, 해당 단말 장치의 레벨 정보 및 해당 단말 장치의 전력 헤드룸 보고(PHR)이다.
아래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구현 방식을 소개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바, 해당 RRC 신호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cell, CE)를 송신할 수 있는 바, 해당 MAC CE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RRC 신호 또는 MAC CE를 통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할 수 있는 바, 해당 제1 DCI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DCI를 통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제1 DCI를 통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단말 장치는 단지 하나의 NR-PDCCH을 수신할 수 있고, 이 NR-PDCCH는 다수의 TRP/beam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관련 지시 정보를 지시하며,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다른 TRP/beam로부터의 다른 NR-PDCCH를 수신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각 제어 채널은 다수의 TRP/beam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관련 지시 정보를 지시한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DCI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DCI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DCI를 송신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1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DCI를 송신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1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아래 단말 장치의 각도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구현 방식을 소개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네트워크 장치가 PUCCH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CSI가 포함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CSI이다.
다시 말하면,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네트워크 장치가 PUSCH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CSI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만일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한다면, 즉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 업링크 데이터를 포함시켜야 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 후, 해당 제1 지시 정보와 해당 UL grant 메시지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DCI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2 DCI에는 해당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UL grant 메시지를 해당 제2 DCI에 포함시켜 해당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 탐지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 2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와 해당 단말 장치는 기본으로 해당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제2 DCI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효과적으로 신호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을 블라인드 탐지한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효과적으로 신호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예시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며; 그 후 이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전, 제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이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해당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며; 해당 단말 장치에 해당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더욱 단말 장치의 복잡성을 낮출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단말 장치도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고, 그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 탐지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와 협상하여, 제2 DCI를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를 결정할 수 있는 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3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300)에는,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생성 유닛(310);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 유닛(3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생성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즉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전송 수신점(TRP)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빔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다수의 TRP가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다수의 빔이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해당 단말 장치의 리포팅 정보,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의 서비스 정보 및 네트워크 부하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리포팅 정보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즉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능력 정보, 해당 단말 장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의 정보, 해당 단말 장치의 레벨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전력 헤드룸 보고(PHR)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송신하는 바, 해당 RRC 신호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해당 단말 장치로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송신하는 바, 해당 MAC CE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DCI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더욱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DCI를 송신하며; 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DCI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CCH)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DCI에 해당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하며; 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DCI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생성 유닛(310)은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전, 제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해당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며;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한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성 유닛(310)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송수신 유닛(320)은 송수신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400)에는 프로세서(410), 송수신기(420)와 기억장치(4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43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410)가 실행하는 코드,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각 모듈은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그 중에서 버스 시스템에는 데이터 버스가 포함되는 외, 또한 전원 버스, 제어 버스와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400)는 상기 도 3의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500)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수신 유닛(510);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5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바, 해당 RRC 신호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해당 MAC CE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DCI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1 DCI를 수신하며; 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1 DCI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해당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또한,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 중에서, 해당 송신 유닛(520)은 또한,
해당 제1 지시 정보와 해당 UL grant 메시지에 의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2 DCI에 해당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선택한 다운링크이며;
해당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2 DCI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해당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한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510)과 송신 유닛(520)은 모두 송수신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600)에는 프로세서(610), 송수신기(620)와 기억장치(6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63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가 실행하는 코드,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장치(600) 중의 각 모듈은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그 중에서 버스 시스템에는 데이터 버스가 포함되는 외, 또한 전원 버스, 제어 버스와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도 7에 도시된 단말 장치(6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적용가능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럭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식의 "한 가지", "상기"와 "해당"도 문맥 상에서 명확하게 기타 뜻을 표시하지 않은 한, 복수의 형식을 포함된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유형 셀 그룹과 제2 유형 셀 그룹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유형 셀 그룹은 이러한 용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유형 셀 그룹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또 예를 들면, 문에 의하여 결정되기는 하지만,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어 "... 할 때"는 "만일" 또는 "만약" 또는 "... 할 때" 또는 "... 응답하여 결정" 또는 "...에 응답하여 탐지"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문맥에 의하여 결정되기는 하지만, 구절 "만일...(을)를 결정하였다면" 또는 "만일... (진술한 조건 또는 사건)을 탐지하였다면"은 "결정하였을 때"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진술한 조건 또는 사건)을 탐지하였을 때" 또는 "(진실한 조건 또는 사건)을 탐지한 것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롬, 무작위 접속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56)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전송 수신점(TRP)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빔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TRP가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빔이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단말 장치의 리포팅 정보,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서비스 정보 및 네트워크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능력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의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레벨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전력 헤드룸 보고(PHR)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송신하는 바, 상기 RRC 신호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송신하는 바, MAC CE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제1 DCI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DCI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DCI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제2 DCI에 상기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6.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바, 상기 RRC 신호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MAC CE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제1 DCI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와 상기 UL grant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제2 DCI에 상기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선택한 다운링크인 것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9.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생성 유닛;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전송 수신점(TRP)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빔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다수의 TRP가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다수의 빔이 속하는 다수의 셀 사이의 상호작용 능력, 상기 단말 장치의 리포팅 정보,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서비스 정보 및 네트워크 부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정보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능력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의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레벨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전력 헤드룸 보고(PHR)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송신하는 바, 상기 RRC 신호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송신하는 바, MAC CE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3.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제1 DCI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DCI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DCI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5. 제2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바, 제2 DCI에 상기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DCI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전, 제2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4. 단말 장치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단말 장치가 다수의 업링크 채널 상에서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수신 유닛;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바, 상기 RRC 신호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MAC CE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제1 DCI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1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DCI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8. 제44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 및/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9. 제44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업링크 채널 중의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때,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및 하기 정보, 즉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 정보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업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지시 정보와 상기 UL grant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다수의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DCI에 상기 UL grant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어느 한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제2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각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선택한 다운링크이며;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2 DCI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의 품질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다운링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97033978A 2017-08-10 2017-08-10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KR20200037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2254A KR20220165829A (ko) 2017-08-10 2017-08-10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6844 WO2019028745A1 (zh) 2017-08-10 2017-08-10 传输数据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54A Division KR20220165829A (ko) 2017-08-10 2017-08-10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743A true KR20200037743A (ko) 2020-04-09

Family

ID=65273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78A KR20200037743A (ko) 2017-08-10 2017-08-10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KR1020227042254A KR20220165829A (ko) 2017-08-10 2017-08-10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54A KR20220165829A (ko) 2017-08-10 2017-08-10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570798B2 (ko)
EP (1) EP3621379A4 (ko)
JP (1) JP7178368B2 (ko)
KR (2) KR20200037743A (ko)
CN (2) CN114745793B (ko)
AU (1) AU2017427013B2 (ko)
BR (1) BR112019026510A2 (ko)
CA (1) CA3063498A1 (ko)
MX (1) MX2019014944A (ko)
RU (1) RU2748162C1 (ko)
SG (1) SG11201910586WA (ko)
WO (1) WO2019028745A1 (ko)
ZA (1) ZA201908120B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351445T3 (en) * 2008-10-20 2015-10-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carrier Aggregation
CN106788903A (zh) * 2010-01-15 2017-05-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ue支持多载波能力的方法和系统
US9083501B2 (en) 2010-04-0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of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ple carriers
TW201210292A (en) * 2010-05-06 2012-03-01 Htc Corp Method of handling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2582075A4 (en) * 2010-06-09 2015-10-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SUPPORTS
JP5654621B2 (ja) 2010-06-14 2015-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ためのユーザ機器、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の方法
US9077498B2 (en) * 2010-09-29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20120113827A1 (en) 2010-11-08 2012-05-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ynamic simultaneous pucch and pusch switching for lte-a
CN102082645A (zh) 2010-12-30 2011-06-01 电子科技大学 载波聚合下harq的ack/nack反馈方法
EP2503835A1 (en) * 2011-03-23 2012-09-26 Panasonic Corporation Resouce assignment for single and multiple cluster transmission
KR20120120775A (ko) *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723592B2 (en) * 2011-10-13 2017-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method and evolved node B for receiving uplink signal
CN103209483B (zh) * 2012-01-12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EP2839707A4 (en) * 2012-04-19 2015-12-09 Ericsson Telefon Ab L M SIGNALING FOR UPLINK SURVEYS
WO2014107904A1 (en) * 2013-01-14 2014-07-17 Broadcom Corpor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triggering
JP6289818B2 (ja) * 2013-05-09 2018-03-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211420B (zh) 2015-01-29 2021-06-0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基站、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DE112015006784T5 (de) * 2015-08-07 2018-04-19 Intel IP Corporation UCI für die Carrier Aggregation
US10985807B2 (en) * 2015-08-11 2021-04-20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CN114698121A (zh) 2015-08-11 2022-07-01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JP6762303B2 (ja) * 2015-08-31 2020-09-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US10440737B2 (en) 2015-09-18 2019-10-0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that clears configured uplink grant in response to a timer, base station device that considers a configured uplink grant cleared in response to a timer,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orresponding to same
BR112018005722A2 (pt) * 2015-09-23 2018-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ositivo de terminal, dispositivo de rede, método de envio de sinal de referência enlace ascendente, e método de recepção de sinal de referência enlace ascendente
KR102364679B1 (ko) 2016-01-13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기지국
US11388750B2 (en) * 2016-01-29 2022-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djusting downlink LBT parame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WO2018001113A1 (zh) * 2016-06-29 2018-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WO2018141246A1 (en) * 2017-02-03 2018-08-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network coordination schemes
JP6852813B2 (ja) * 2017-06-14 2021-03-31 ソニー株式会社 Csi報告提供の可否を決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0731112B (zh) * 2017-06-15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可靠通信的多发送接收点协作的方法和设备
US20180368188A1 (en) * 2017-06-15 2018-12-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EP3679679A2 (en) * 2017-09-08 2020-07-15 Convida Wireless, LLC Communications management using down link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45793A (zh) 2022-07-12
SG11201910586WA (en) 2020-02-27
CN114745793B (zh) 2023-11-28
ZA201908120B (en) 2021-04-28
WO2019028745A1 (zh) 2019-02-14
EP3621379A4 (en) 2020-07-15
CN110622594A (zh) 2019-12-27
BR112019026510A2 (pt) 2020-07-14
MX2019014944A (es) 2020-02-19
KR20220165829A (ko) 2022-12-15
AU2017427013B2 (en) 2023-02-09
JP2020535668A (ja) 2020-12-03
US11570798B2 (en) 2023-01-31
JP7178368B2 (ja) 2022-11-25
EP3621379A1 (en) 2020-03-11
US20200229218A1 (en) 2020-07-16
AU2017427013A1 (en) 2019-12-05
CA3063498A1 (en) 2019-12-05
RU2748162C1 (ru)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6376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63402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860007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5286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880058B2 (en)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US11394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WO2020168577A1 (zh) 传输上行反馈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697044A1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WO2021046778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191625A1 (en) Service-based harq enabling mechanism
KR20200117983A (ko) 정보 전송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00037743A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EP3300550B1 (en) Determination of feedback timing
US202300990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4193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1232277A1 (en) Multi-user packet data addressing techniques
JP2020535669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