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113A -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생체조직 이미징 - Google Patents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생체조직 이미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113A
KR20200037113A KR1020190121200A KR20190121200A KR20200037113A KR 20200037113 A KR20200037113 A KR 20200037113A KR 1020190121200 A KR1020190121200 A KR 1020190121200A KR 20190121200 A KR20190121200 A KR 20190121200A KR 20200037113 A KR20200037113 A KR 2020003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temperature
complex
biological sample
bio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585B1 (ko
Inventor
이연
김성연
강선아
박한얼
박소현
최동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3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60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2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leading to a crosslinking, either explicitly or inherent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생체시료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초기화가 가능한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의 복함체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시료의 이미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생체조직 이미징{Bioimaging technique using reversibly expandable/recoverable hydrogel dependent on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은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통한 생체조직 이미징 및 독립항에 관한 것이다.
생체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조직을 하이드로젤에 도입한 뒤 지질분자 등을 제거하여 조직을 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더 나아가 하이드로젤을 물리적으로 팽창시켜 하이드로젤에 연결된 생체분자의 상대적인 거리를 늘림으로써 이미징하는 대상의 해상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확장된 하이드로젤을 통한 이미징(Expansion microscopy) 기술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Expansion microscopy' 에서는 팽창된 하이드로젤로 인한 해상도 증가에 초점을 맞췄으며 팽창의 일방성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투명한 하이드로젤에 원하는 방식으로 자극을 가하여 젤의 크기와 부피를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가능하며 팽창된 젤에서 나타났던 한계 개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팽창된 젤에서는 빠른 속도로 전체적인 이미지를 얻기 힘든 것에 반해, 크기 조절이 가역적으로 가능한 젤에서는 빠른 속도로 전체의 모습을 얻어내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원하는 부분에서 젤을 확대시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자극에 의해 하이드로젤이 수축과 팽창이 가역적으로 가능하게 만듦으로써 기존의 하이드로젤 현미경 기술을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최근 새롭게 떠오르는 기술인 'Expansion microscopy', 즉 생체조직을 하이드로젤에 포매한 후 젤을 팽창시켜 젤에 연결된 생체물질의 물리적인 거리를 확장하여 이미징함으로써 기존의 광학현미경이 가지는 분해능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기술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하이드로젤에 온도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가역적으로 가능한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초기 상태로 회복 시 넓은 영역을 빠르게 이미징하는 장점과 팽창 시 분해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동시에 도입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의 구성을 살피는 바이오 공학 또는 의학용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하이드로젤 내에 포매된 생체 조직의 확대, 수축 이미지를 임의대로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2845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생체시료 및 상기 생체시료를 포매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시료를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생체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생체시료를 하이드로겔 단량체와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시료 이미징 방법: 복합체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복합체에 포함된 하이드로겔이 LCST 유형의 고분자인 경우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생체시료를 팽창시키는 제 2-1단계, 상기 복합체에 포함된 하이드로겔이 UCST 유형의 고분자인 경우 온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켜 생체시료를 팽창시키는 제 2-2단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제3단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생체시료 및 상기 생체시료를 포매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체시료를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생체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생체시료를 하이드로겔 단량체와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체시료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종래에 일방성 팽창만을 하고, 팽창 시 넓어진 면적과 줄어든 형광 세기로 이미지 관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가역적 회복으로 해결하고, 가역적인 팽창, 수축 과정을 거쳐 전체적인 정보를 빠르게 얻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시 팽창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부분에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효과, 온도에 따라 부피가 극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염색이나 분자의 수송에서 물리적인 자극으로 작동할 수 있어 염색 효율 개선 및 분자 전달에 이점을 제공,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하이드로겔은 온도 변화 범위를 임의로 조절하여 부피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시료는 세포 또는 조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세포"는 거의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를 말하며, 세포는 기능적 특징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세포는 분양 받은 세포주,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세포 및 이의 배양물을 제한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조직"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단위의 하나로서, 같은 형태나 기능을 가진 세포의 모임을 말하며, 다세포생물의 몸은 전체가 균질인 세포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형상·성질을 달리하는 몇 종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부분마다 같은 형태와 기능을 가지는 세포가 모여서 각 부분이 일정한 기능을 영위하도록 되어 있다. 조직은 이러한 형태 및 기능이 같은 세포의 모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체시료는 세포와 조직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생체시료는 하이드로겔에 포매하여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시료는 배양세포,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 또는 생체조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성 하이드로겔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팽창하는 UCST 유형의 하이드로겔 또는 온도 감소에 따라 팽창하는 LCST 유형의 하이드로겔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UCST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유형 하이드로젤"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팽창하고 다시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축할 수 있는, 온도의존적이며 가역적인 팽창 수축이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유형의 하이드로젤"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축하고 다시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온도의존적이며 가역적인 팽창 수축이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CST 유형의 하이드로겔은 단량체 NIPAM (N-isopropylacrylamide)을 포함하여 acrylamide, N-tert-butyl acrylamide, N,N-diethylacrylamide등을 이용하여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수축/팽창이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가능하며, 하이드로겔 종류를 선택하는 것에 따라 반응 방향을 조절하고 하이드로겔의 크기 조절이 온도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미경 이미징 시 간단한 장치로도 온도를 설정하여 부피를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0℃ 내지 80℃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가 0℃ 미만일 때 상기 LCST의 경우 팽창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온도가 80℃ 초과할 경우 상기 LCST의 경우 원래 크기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가 0℃ 미만일 경우 상기 UCST의 경우 원래 크기로 돌아갈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온도가 80℃ 초과할 경우 상기 UCST의 경우 팽창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미리 결정된 온도는 LCST의 경우 4 내지 60℃일 수 있고, UCST의 경우 4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단량체 비율을 설정하여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하이드로겔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팽창시켜 생체시료를 이미징하는 용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UCST 유형 또는 LCST 유형 중에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하이드로겔 UCST는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 팽창하고, 미리 결정된 온도범위 미만일 경우 수축하는 것일 수 있다. 하이드로겔 LCST는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 수축하고,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 미만일 경우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창된 복합체는 온도를 역으로 조절하여 팽창된 복합체를 원상태로 수축 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미리 결정된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할 수 있으며, 팽창된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원상태로 수축하였을 때 본래의 생체시료의 왜곡도가 낮은 원상태를 얻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드로겔 단량체는 N-이소 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N-isopropylacrylamide),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tert-부틸 아크릴 아미드(N-tert-butyl acrylamide),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N,N-diethylacrylamide), N-에틸아크릴아미드(N-ethylacrylamide), N-n-프로필아크릴아미드(N-n-propylacrylamide), N,N-에틸메틸아크릴아미드(N,N-ethylmethylacrylamide),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N-isopropylmethacrylamide),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N-hydroxyethylacrylamide), N-(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N-(isobutoxymethyl)acrylamide), N-털트-부틸메타크릴아미드(N-tert-butyl methacrylamide),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N,N-diethylmethacrlamide), N-에틸메티크릴아미드(N-ethylmethacrylamide), 설포베테인 메타크릴레이트(sulfobetainemethacrylate), 설포베테인아크릴레이트 (sulfobetaineacrylate), 카복시베테인메타크릴레이트(carboxybetaine methacrylate), 카복시베테인아크릴레이트(carboxybetaineacrylate), 포스포베테인메타크릴레이트(phosphobetainemethacrylate), 포스포베테인 아크릴레이트(phosphobetaineacrylate),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설포프로필)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sulfobetaine([2-(methacryloyloxy)ethyl]dimethyl-(3-sulfopropyl)ammoniumhydroxid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N-비닐아세트아미드(N-vinylacetam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LCST 유형의 하이드로젤의 경우 60℃초과한 온도에서 수축하고 4℃미만에서 팽창된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LCST 특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량체인 N-이소 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 N-isopropylacrylamide)를 기존에 하이드로젤을 구성하는 아크릴아미드(acrylamide)와 함께 도입할 수 있다. 아크릴아미드는 세포 조직을 담는 하이드로젤의 기본 골격을 이루지만 온도에 따른 팽창률 변화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온도응답성을 보이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와 같이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N-이소 프로필 아크릴 아미드로는 원하는 온도 범위에서 팽창/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소수성이 강해 전이온도를 낮출 수 있는 N-tert-부틸 아크릴 아미드(N-tert-butyl acrylamide),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N,N-diethylacrylamide)를 추가적으로 도입하여 해결 할 수 있고, 이런 하이드로겔 단량체를 통해 적절한 범위의 온도에서 하이드로젤의 팽창/수축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단량체와 중합하는 단계는 개시제 및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개시제"는 연쇄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 열이나 빛에 의해 용이하게 라디칼을 생성하는 물질(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물 등과 반응하여 쉽게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가교제"는 사슬 모양 고분자 사슬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는 물질. 가교는 수지(樹脂)에 경도(硬度)나 탄력성 등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중합하는 단계에 개시제 및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농도를 조절하며 하이드로겔 단량체의 적절한 조성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비스아크릴아미드(bisacrylamide),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렐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노르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APS:ammonium persulfate),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persulfate;KPS) 또는 수용성 아조 개시제(WatersolubleAzoinitiator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시제의 수용성 아조 개시제는 VA-044, V-50, VA-057, VA-061, VA-086, V-501, V-70, V-65, V-601, V-59, V-40, 또는 VAm-110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시제 KPS 및 APS는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EMED:tetramethylethylenediamine) 촉진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시료 이미징 방법은 복합체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복합체에 포함된 하이드로겔이 LCST 유형의 고분자인 경우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생체시료를 팽창시키는 제 2-1단계, 상기 제 1단계 이후 상기 복합체에 포함된 하이드로겔이 UCST 유형의 고분자인 경우 온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켜 생체시료를 팽창시키는 제 2-2단계 및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제3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체는 본 발명의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일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팽창 또는 원래 크기로 회복된 상태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래 크기로 회복된 상태의 이미지는 형광 신호가 응축되어 보다 원활한 관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이용하여 종래에 일방성 팽창만을 하고,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역적인 팽창, 수축 과정을 거쳐 전체적인 정보를 빠르게 얻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다시 팽창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부분에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효과, 온도에 따라 부피가 극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염색이나 분자의 수송에서 물리적인 자극으로 작동할 수 있어 염색 효율 개선 및 분자 전달에 이점을 제공하고,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하이드로겔은 온도 변화 범위를 임의로 조절하여 부피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종래에 일방성 팽창만을 하고,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역적인 팽창, 수축 과정을 거쳐 전체적인 정보를 빠르게 얻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다시 팽창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부분에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효과, 온도에 따라 부피가 극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염색이나 분자의 수송에서 물리적인 자극으로 작동할 수 있어 염색 효율 개선 및 분자 전달에 이점을 제공하고,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하이드로겔은 온도 변화 범위를 임의로 조절하여 부피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LCST 유형 하이드로젤의 온도에 따른 팽창률 변화 및 UCST 유형 하이드로젤의 온도에 따른 팽창률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기존의 하이드로젤을 이루는 아크릴 아미드와 아크릴 아미드에 N-이소 프로필 아크릴 아미드를 첨가하였을 때, 그리고 N-tert-부틸 아크릴 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를 추가적으로 도입하였을 때 온도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팽창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LCST 유형 하이드로젤의 4℃ 내지 60℃ 온도에 따른 크기 변화, (B)는 가열과 냉각 시 각 온도에서 직선방향의 팽창률 및 (C)는 60℃와 4℃에서 반복적으로 확인한 LCST 하이드로젤의 팽창률을 나타낸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4은 세포를 LCST 하이드로젤에 포매한 뒤, 60℃와 4℃에서 관찰한 핵의 이미지(a,b,c) 및 미세소관의 이미지(d,e,f)이다.
도 5는 60℃ 상태에 LCST 하이드로젤에서의 왜곡도(A) 및 4℃ 상태에 LCST 하이드로젤의 왜곡도(B)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고온과 저온의 LCST 하이드로젤에서 미세소관의 단면 프로파일(cross-sectional profile) 비교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7은 UCST 하이드로젤의 20℃와 70℃에서 크기 변화 그래프, 20℃와 70℃에서 하이드로젤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B) 세포를 UCST 하이드로젤에 포매한 뒤, 70℃와 25℃에서 관찰한 핵의 이미지(a,b,c) 및 미세소관의 이미지(d,e,f)이다.
도 9은 (A) 저온 상태의 UCST 하이드로젤에서 왜곡도를 나타낸 그래프 및 (B) 고온 상태의 UCST 하이드로젤에서 왜곡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체시료-하이드로겔(LCST) 복합체 제조
부피의 수축/팽창이 가역적으로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사용하여 생체 조직에 도입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팽창에만 초점을 맞춘 기술에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제조하였다.
배양 세포인 Hela 세포를 사용하고, 부피의 수축/팽창은 온도 응답성 고분자를 이용하였으며 저온에서 팽창하는 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유형의 하이드로젤과 고온에서 팽창하는 UCST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유형의 하이드로젤로 온도에 따른 양방향의 하이드로젤을 사용하였다.
배양세포를 항체로 염색한 후 아크릴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에스테르(acrylic acid N-hydroxysuccinimide ester)를 이용하여 세포 조직에 하이드로젤과 중합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결합을 도입하여 전처리 하였다.
LCST 유형의 하이드로젤의 경우 고온에서 수축하고 저온에서 팽창된 크기를 가지는데, 이러한 하이드로젤을 이루는 대표적인 단량체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NIPAM:N-isopropylacrylamide),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N-tert-butylacrylamide) 및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N,N-diethylacrylamide)를 조합하여 LCST 하이드로젤 조성을 결정하고, 단량체를 녹인 용액에 가교제 비스아크릴아미드(bisacrylamide)와 개시제인 과황산암모늄(APS:ammonium persulfate),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EMED:tetramethylethylenediamine)를 사용하여 생체 조직인 배양 세포와 함께 1시간 동안 젤을 중합시켜 세포 -하이드로겔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만들어진 세포-하이드로젤 복합체는 고온에서 분해, 혹은 효소를 이용한 단백질 절단 등 생체분자 사이 물리적, 화학적 상호작용을 없앰으로써 팽창을 용이하고 균일한 팽창을 얻기 위하여 적절한 분해 과정을 거친 후 증류수로 충분히 씻어주어 시료를 준비했다.
실시예 2: 온도에 따른 팽창 수축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포-하이드로젤 복합체(LCST)를 4℃ 내지 60℃각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보관하여 온도별 크기를 관찰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절한 조성의 LCST 하이드로젤에서 온도에 따라 크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온도가 높아질수록 하이드로젤의 크기가 팽창하고 온도가 상승할수록 수축하여 반복적으로 부피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현미경 관찰 실험
상기 실시예 1로 제조한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LCST)를 Hoechst 33342을 이용하여 핵을 염색하고 항체를 이용해 염색한 미세소관을 공초점 현미경(Zeiss LSM 880)을 이용하여 세포 조직을 관찰하였다.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초점 현미경으로 하이드로젤에 포매된 세포의 이미지를 얻었을 경우 온도에 따라 확대/수축된 핵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고온의 수축된 상태의 하이드로젤에서 1.22배의 원래 상태로 회복된 이미지를 보인 반면에, 온도를 낮춰 하이드로젤을 팽창시켰을 시, 2.37배까지 세포 크기가 증가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고온에서 수축하여 전체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저온에서 팽창하여 원하는 곳에 초점을 맞춰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왜곡도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체-하이드로젤 복합체(LCST)를 각 온도에서 생물조직의 뒤틀림 정도를 원래의 세포와 비교하였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온도에서 생물조직의 뒤틀림 정도를 원래의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고온과 저온 모두 4% 미만의 왜곡도로 종래대비 왜곡이 크지않은 이미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미세소관 관찰
미세소관을 LCST하이드로제로가 중합하여 복합체(LCST)를 형성하여 고온 및 저온에서 미세소관의 가닥을 관찰하였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LCST 하이드로젤에서 미세소관을 염색하여 관찰하였을 때, 고온에서 낮은 팽창률로 구분하기 어려웠던 가닥을 저온에서 팽창시킨 후에 증가된 해상도로 구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생체시료-하이드로겔(UCST) 복합체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LCST 하이드로겔 단량체 대신 UCST 하이드로겔 단량체인 포베타인 ([2- (메타 크릴로 일옥시) 에틸] 디메틸-(3- 설포 프로필)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sulfobetaine ([2-(methacryloyloxy)ethyl]dimethyl- (3-sulfopropyl) ammonium hydroxide)) 을 단량체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같은 방법으로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생체시료-하이드로겔(UCST) 복합체 온도에 따른 팽창 수축 확인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세포-하이드로젤 복합체(UCST)를 20℃ 내지 70℃각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보관하여 온도별 크기를 관찰하였다.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온도가 낮아질수록 하이드로젤의 크기가 작아지고 온도가 상승할수록 팽창하여 반복적으로 부피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생체시료-하이드로겔(UCST) 복합체 현미경 관찰 실험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세포-하이드로젤 복합체(UCST)를 Hoechst 33342을 이용하여 핵을 염색하고 항체를 이용해 염색한 미세소관을 공초점 현미경(Zeiss LSM 880)을 이용하여 세포 조직을 관찰하였다.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UCST 하이드로젤이 고온에서 직선방향으로 2배 이상 팽창됨을 확인하였다. 핵과 미세소관을 염색하여 세포를 하이드로젤에 포매하였고, 이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이미징 하였을 때 저온에서 1.11 배의 팽창률을 보인 반면, 온도를 올려 젤을 팽창시켰을 시 2.25배의 팽창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생체시료-하이드로겔(UCST) 복합체 왜곡도 실험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생체-하이드로젤 복합체(UCST)를 각 온도에서 생물조직의 뒤틀림 정도를 원래의 세포와 비교하였다.
도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저온과 고온에서의 얻어진 이미지는 계산을 통해 3% 근처(저온 약 3.1%, 고온 약 2.7%)의 왜곡도를 보임을 확인하였고, 각 온도에 따른 세포 팽창을 관찰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를 종합하면, LCST와 UCST 하이드로젤을 통해 온도에 따른 생체 분자의 면적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팽창에 집중한 하이드로젤에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하이드로젤의 수축과 팽창이 생체 조직의 수축과 팽창된 이미지를 얻는 기술에 가역적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뇌를 비롯한 동물의 다양한 조직에 확장 적용이 가능하고, 수축/팽창된 크기에 따른 이미징의 장점뿐만 아니라 물리적 자극으로의 하이드로젤 수축/팽창을 이용해 물질 수송 부분을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생체시료; 및
    상기 생체시료를 포매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는 세포 또는 조직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하이드로겔은 미리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팽창하는 UCST(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유형의 하이드로겔 또는 온도 감소에 따라 팽창하는 LCST(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유형의 하이드로겔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0℃ 내지 80℃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하이드로겔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를 팽창시켜 생체시료를 이미징하는 용도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된 복합체는 온도를 역으로 조절하여 팽창된 복합체를 원상태로 수축시키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7. 생체시료를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생체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생체시료를 하이드로겔 단량체와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는 배양세포,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 또는 생체조직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는 미리 결정된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수축으로 생체조직을 이미징하는 용도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0℃ 내지 80℃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단량체는 N-이소 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N-isopropylacrylamide),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tert-부틸 아크릴 아미드(N-tert-butyl acrylamide),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N,N-diethylacrylamide), N-에틸아크릴아미드(N-ethylacrylamide), N-n-프로필아크릴아미드(N-n-propylacrylamide), N,N-에틸메틸아크릴아미드(N,N-ethylmethylacrylamide),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N-isopropylmethacrylamide),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N-hydroxyethylacrylamide), N-(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N-(isobutoxymethyl)acrylamide), N-털트-부틸메타크릴아미드(N-tert-butyl methacrylamide),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N,N-diethylmethacrlamide), N-에틸메티크릴아미드(N-ethylmethacrylamide), 설포베테인 메타크릴레이트(sulfobetainemethacrylate), 설포베테인아크릴레이트 (sulfobetaineacrylate), 카복시베테인메타크릴레이트(carboxybetaine methacrylate), 카복시베테인아크릴레이트(carboxybetaineacrylate), 포스포베테인메타크릴레이트(phosphobetainemethacrylate), 포스포베테인 아크릴레이트(phosphobetaineacrylate),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설포프로필)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sulfobetaine([2-(methacryloyloxy)ethyl]dimethyl-(3-sulfopropyl)ammoniumhydroxid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N-비닐아세트아미드(N-vinylacetam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단량체와 중합하는 단계는 개시제 및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비스아크릴아미드(bisacrylamide),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렐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노르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APS:ammonium persulfate),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persulfate;KPS) 또는 수용성 아조 개시제(WatersolubleAzoinitiators)를 포함하는 것인, 생체시료-하이드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16. 생체시료 이미징 방법:
    복합체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복합체에 포함된 하이드로겔이 LCST 유형의 고분자인 경우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생체시료를 팽창시키는 제 2-1단계
    상기 복합체에 포함된 하이드로겔이 UCST 유형의 고분자인 경우 온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켜 생체시료를 팽창시키는 제 2-2단계
    상기 2-1 단계 또는 상기 2-2 단계 이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제3단계.


KR1020190121200A 2018-09-28 2019-09-30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생체조직 이미징 KR102368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62 2018-09-28
KR20180116562 201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13A true KR20200037113A (ko) 2020-04-08
KR102368585B1 KR102368585B1 (ko) 2022-03-03

Family

ID=7027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200A KR102368585B1 (ko) 2018-09-28 2019-09-30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생체조직 이미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9221A (zh) * 2022-03-25 2022-07-15 南方科技大学 一种蛋白质组学样品前处理装置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440316A (zh) * 2023-03-30 2023-07-18 华南理工大学 具有双重温度响应功能的抗菌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735325A (zh) * 2023-08-03 2023-09-12 成都理工大学 保持弃渣土体原状结构的取样及抗剪强度测试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887A (ko) * 2022-09-26 2024-04-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배율의 세포 확대 분석을 위한 세포 필름, 이의 제조용 조성물 및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241A (ko) * 2012-08-09 2015-04-22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현미경적 분석을 위한 생물학적 표본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조성물
JP2017511883A (ja) * 2014-02-21 2017-04-27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膨張顕微鏡法
KR101912845B1 (ko) 2016-03-22 2018-10-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다중 자극 반응성을 가진 환원성 aba 타입 삼중 블럭 공중합체의 자가-조립된 고분자 전해질 복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응용
JP2019511914A (ja) * 2016-02-25 2019-05-09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チ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臨床組織標本を膨張させ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241A (ko) * 2012-08-09 2015-04-22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현미경적 분석을 위한 생물학적 표본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조성물
JP2017511883A (ja) * 2014-02-21 2017-04-27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膨張顕微鏡法
JP2019511914A (ja) * 2016-02-25 2019-05-09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チ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臨床組織標本を膨張させるための方法
KR101912845B1 (ko) 2016-03-22 2018-10-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다중 자극 반응성을 가진 환원성 aba 타입 삼중 블럭 공중합체의 자가-조립된 고분자 전해질 복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응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uning the Size of Thermoresponsive Poly(N-Isopropyl Acrylamide) Grafted Silica Microgels’, N. Nun 등, Gels. 3(3), pp.1~13(2017.09.17.)*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9221A (zh) * 2022-03-25 2022-07-15 南方科技大学 一种蛋白质组学样品前处理装置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440316A (zh) * 2023-03-30 2023-07-18 华南理工大学 具有双重温度响应功能的抗菌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735325A (zh) * 2023-08-03 2023-09-12 成都理工大学 保持弃渣土体原状结构的取样及抗剪强度测试方法
CN116735325B (zh) * 2023-08-03 2023-10-27 成都理工大学 保持弃渣土体原状结构的取样及抗剪强度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85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585B1 (ko) 온도에 따라 가역적 팽창/초기화가 가능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생체조직 이미징
Beningo et al. Flexible polyacrylamide substrata for the analysis of mechanical interactions at cell-substratum adhesions
Choi et al. Basic principles of hydrogel-based tissue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US10059990B2 (en) In situ nucleic acid sequencing of expanded biological samples
JP6456969B2 (ja) 膨張顕微鏡法
US8999378B2 (en) Porous electroactive hydrogels and uses thereof
Cheng et al. Bilayer hydrogel mixed composites that respond to multiple stimuli for environmental sensing and underwater actuation
Karagiannis et al. Expansion microscopy: development and neuroscience applications
Holmes et al. Exploration of polymethacrylate structure–property correlations: Advances towards combinatorial and high-throughput methods for biomaterials discovery
Lee et al. Three-dimensional confocal microscopy indentation method for hydrogel elasticity measurement
KR101927637B1 (ko) 다층 하이드로젤 자가 접힘을 이용한 생체 로봇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010798A1 (en) Microgel particles for use in 3d printing and 3d cell growth medium and related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KR20160126299A (ko) 그래프트형 광감응성 수화겔, 이를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Dao et al. Self-Assembling Peptide—Polymer Nano-Objects via Polymerization-Induced Self-Assembly
CN106866876A (zh) 一种光透明化生物组织的包埋剂、包埋方法及应用
DiSalvo et al. Characterization of tensioned PDMS membranes for imaging cytometry on microraft arrays
Dutta et al. Imaging switchable protein interactions with an active porous polymer support
Takahashi et al. Tough, permeable and biocompatible microfluidic devices formed through the buckling delamination of soft hydrogel films
Cumming et al.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aqueous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4-hydroxybutyl acrylate produces highly thermoresponsive diblock copolymer nano-objects
US2021034899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o reversibly compressible tissue-hydrogel hybrids
Kang et al. Expansion Microscopy with a Thermally Adjustable Expansion Factor Using Thermoresponsive Biospecimen–Hydrogel Hybrids
Chen et al. Expansion tomography for large volume tissue imaging with nanoscale resolution
Zhao et al. Improved determination of subnuclear position enabled by three-dimensional membrane reconstruction
JP6975427B2 (ja) 培地用高分子ゲル、培地、細胞の培養方法及びキット
KR102118807B1 (ko) 3차원 오가노이드 제조용 형상변화형 하이드로젤 몰드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