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505A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505A
KR20200036505A KR1020180116234A KR20180116234A KR20200036505A KR 20200036505 A KR20200036505 A KR 20200036505A KR 1020180116234 A KR1020180116234 A KR 1020180116234A KR 20180116234 A KR20180116234 A KR 20180116234A KR 20200036505 A KR20200036505 A KR 20200036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oxymethylene resin
polyoxymethylene
fatty acid
alkaline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병규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6505A/ko
Publication of KR2020003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2Polyacetals containing polyoxymethylene sequence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우수한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의 확보가 가능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Product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수지는 기계적 물성, 강성, 내크리프성, 내약품성, 내마찰/마모 특성, 장기 내구성 등이 우수하며, 결정화도가 높은 결정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이런 특징을 활용하여 POM은 전자기기 부품, 자동차 부품, 산업용 부품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용도가 다용하게 확대됨에 따라 수지의 고유 성질 개선에 대한 기술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폴리옥시메틸렌 수지가 가지는 우수한 내마모성과 장기 내구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기어(Gear)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기어 부품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축 사이에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 이 중 강도나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무기 필러 충진제를 포함하고 보다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내마모제를 포함하는 등의 개선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요구에 대한 일반적인 개선 방법으로는 유리섬유, 탈크 등과 같은 필러를 배합하여 폴리옥시메틸렌의 물성을 향상시키며, PTFE, Silicone, MoS2 등의 내마모제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올리는 방법이 사용된다. 허나, 필러의 형상으로 인해 마모량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시장의 요구를 충족 시키지 못하고 있다.
상기 내구성 등의 개선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에 유리섬유 및 유리섬유와 수지간의 반응성을 개선 시켜주는 물질을 첨가하여 강도 및 내열성을 보완하는 방법 (한국 특허 공개 공보 2013-0078778), 열가소성 수지와 유리섬유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배합하는 방법(한국 특허 공개 공보 10-0903029) 등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 확보에 대한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내마모성을 개선해주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최근 시장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 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우수한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의 확보가 가능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은 융점이 160 내지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 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테트라 키스 [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은 Be, Mg, Ca, Sr 및 Ba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알칼리토금속염을 포함한 탄소수 12 내지 32의 포화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는 플렛(flat)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플랫(flat)의 단면에서 곡선과 직선의 접점인 변곡점(c) 4점을 연결하여 가상의 직사각형을 도시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직사각형에서 세로변(a)의 길이가 3 내지 10㎛이고, 가로변(b)은 15 내지 30㎛이며, 유리섬유의 길이(L)는 4 내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0.01 내지 1 중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0.1 내지 2 중량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술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인장강도가 10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특정 내마모 조건(상대재: SUS304, 하중: 7kgf, 속도: 20cm/s)에서 마찰계수가 0.33 이하이고, 비마모량이 0.03mm3/N*k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성형가공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열분해 및 이로 인한 물성저하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굴곡탄성률 및 열변형온도 특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리섬유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옥시메틸렌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은 반복 단위로서 옥시메틸렌 -(OCH2)n- 기를 포함하고, 양말단이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기에 의해 봉쇄된 옥시메틸렌 단독중합체이거나, 옥시메틸렌 모노머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머쇄 중에 옥시에틸렌(-(OCH2CH2)n-), 옥시프로필렌 (-(OCH2CH2CH2)n-), 옥시부틸렌(-(OCH2CH2CH2CH2)n-) 등의 탄소수 2~10의 옥시알킬렌 단위가 랜덤하게 삽입되고, 중합체의 양말단이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기에 의해 봉쇄된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구조는 선상(線狀) 구조뿐 아니라 분기(分岐), 가교(架橋)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옥시메틸렌은 베이스 수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지의 기본적인 기계적·화학적 물성을 확보하며, 특히 내마모 성능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폴리옥시 메틸렌은 융점이 160 ~ 18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옥시메틸렌 단독중합체 및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옥시메틸렌 단독 중합체는 예를 들어, 유기 아민, 유기 혹은 무기의 주석 화합물, 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염기성 중합 촉매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중에 무수포름알데히드를 도입하여 중합하고, 중합체를 여과한 후, 아세트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무수아세트산 중에서 가열하여 말단을 아세틸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무수 트리옥산, 혹은 테트라옥산과 같은 포름알데히드의 환상 올리고머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1,3-디옥솔란, 1,3-플로판디오포르말, 1,4-부탄디올포르말, 1,5-펜탄디올포르말, 1,6-헥산디올포르말, 디에틸렌글리콜포르말, 1,3-디옥세판, 1,3,5-트리옥세판, 1,3,6-트리옥소칸 등과 같은 환상 에테르를 사이클로헥산이나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 용해 혹은 현탁한 후, 삼불소화붕소 디에틸에테레이트와 같은 루이스산 촉매를 첨가하여 중합하고 불안정 말단을 분해 제거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 발명의 상기 폴리옥시메틸렌은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및 충격성의 밸런스 측면을 고려하여, 트리옥산 또는 테트라옥산의 환상 올리고머,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옥산의 환상 올리고머와 1,3-디옥솔란(1,3-Dioxolane) 공단량체의 혼합물을 양이온 랜덤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옥시메틸렌계 공중합체는 중합체의 열안정성 향상 및 성형성의 결정화도 개량의 관점에서 폴리머 총 mol 기준, 옥시 에틸렌 반복단위 0.1 내지 10 mol% 및 옥시 메틸렌 반복단위 90 내지 99.9 mol%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t-부틸페놀), 테트라 키스 [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N,N'-비스-3-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닐헥사메텔렌디아민, N,N'-테트라메틸렌-비스-3-(3'-메틸-5'-t-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피오닐디아민,N,N'-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피오닐]히드라진, N-사리티로일-N'-사리티리덴히드라진,3-(N-사리티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및 N, N'-비스[2-{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시아미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옥시메틸렌의 가공온도 등을 고려한 점에서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 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테트라 키스 [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폴리옥시메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산화방지제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힘들며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조성물에 포함되어 폴리옥시메틸렌의 슬라이드 특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평균 입경이 입도분포 50% 기준 3㎛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함량은 폴리옥시메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분산성이 우수하여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의 슬라이드 특성 개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상기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은 Be, Mg, Ca, Sr 및 Ba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알칼리토금속염을 포함한 탄소수 12 내지 32의 포화지방산인 것으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함께 사용하여 슬라이드 특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간의 상용성을 높여주며,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단독으로 쓰일 경우보다 상기 그라프트 중합체와 함께 쓰여 슬라이드 특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의 함량은 폴리옥시메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우 윤활제로서의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FA)의 발생 및 성형품의 변색 등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유리섬유
상기 유리섬유는 폴리우레탄 수지, 구체적으로는 polyester type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의 표면에 사용되는 표면처리제는 구체적으로 Polyester type 폴리우레탄 수지, Polyether type 폴리우레탄 수지, Polycaprolactone type 폴리우레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표면처리제는 유리섬유에 가하지는 마찰 등의 외부 영향으로부터 섬유를 보호하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내에서 폴리옥시메틸렌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이를 표면처리제로 처리한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미처리한 유리섬유 사용 대비 강도 등 물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는 플랫(flat)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플랫(flat)의 단면에서 곡선과 직선의 접점인 변곡점(c) 4점을 연결하여 가상의 직사각형을 도시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직사각형에서 세로변(a)의 길이가 3 내지 10㎛이고, 가로변(b)은 15 내지 30㎛이며, 유리섬유의 길이(L)는 4 내지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리섬유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섬유는 플랫(flat)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플랫(flat) 또는 원통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플랫(flat)형태도 그 중 하나이다. 플랫(flat) 형태도 전체적인 형태가 판상을 가진다 하여도 크기 등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랫(flat)형태를 가지는 유리섬유로서, 특히 플랫(flat)의 윗면과 아랫면이 평평한 면을 유지해야 하며, 플랫(flat)의 단면에서 좌우 양단의 곡선과 직선의 접점인 변곡점(c)으로서 4개의 점을 기준으로 직사각형을 도시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직사각형에서 세로변(a)의 길이가 3 내지 10㎛이고, 가로변(b)은 15 내지 30㎛이며, 유리섬유의 길이(L)는 4 내지 8mm인 것이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내에서 이외의 유리섬유 대비 표면특성을 우수하게 하여 보다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가지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술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인장강도가 100MPa 이상, 특정 내마모 조건(상대재: SUS304, 하중: 7kgf, 속도: 20cm/s)에서 마찰계수가 0.33 이하이고, 비마모량이 0.03mm3/N*k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9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코오롱플라스틱, K700)을 80℃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각각 하기 표 1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된 혼합물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의 1차 투입구로 투입하고 190℃에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단위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다.
 구분
실시예 1 78.9 0 0 10 0 0 10 1 0.1
실시예 2 68.9 0 0 20 0 0 10 1 0.1
실시예 3 58.9 0 0 30 0 0 10 1 0.1
비교예 1 68.9 0 0 0 20 0 10 1 0.1
비교예 2 68.9 0 0 0 0 20 10 1 0.1
비교예 3 0 68.9 0 20 0 0 10 1 0.1
비교예 4 0 68.9 0 0 20 0 10 1 0.1
비교예 5 0 0 68.9 20  0 0 10 1 0.1
비교예 6 0 0 68.9 0 20 0 10 1 0.1
비교예 7 88.9 0 0 0 0 0 10 1 0.1
비교예 8 78.9 0 0 20 0 0 0 1 0.1
비교예 9 69.9 0 0 20 0 0 10 0 0.1
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코오롱플라스틱 K700, 융점이 167℃)
나: 폴리아마이드 수지 (DOMO® Engineering Plastics DOMAMID® 6)
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삼양사 3025A)
라: 유리섬유 (Nippon Electric Glass Co.Ltd. EX-2142EW, 세로변(a)이 6.8 ㎛, 가로변(b)이 25.5 ㎛, 길이(L)가 6.4mm)
마: 유리섬유 (Nippon Electric Glass Co.Ltd. T-682H, 세로변(a)이 11㎛, 가로변(b)이 11㎛, 길이(L)가 5.7mm)
바: 유리섬유 (NITTO BOSEKI CO., LTD. GLASS FIBER DIV. CSG 3PA-820, 세로변(a)이 7.9㎛, 가로변(b)이 26.5㎛, 길이(L)가 6.5mm)
사: PTFE (POLIS K301FDA, 평균 입경이 입도분포 50% 기준 5.0㎛)
아: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신원화학주식회사 HI-TECA)
자: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10)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측정 기준에 맞는 시편으로 제조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ISO 527-1/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마찰계수 및 비마모량: R&B 社의 RB 102-PD 마찰마모 시험기를 이용해 마찰계수 및 비마모량을 측정하였다(측정조건 - 상대재: SUS(304), 하중: 7kgf, 속도: 20cm/s)
4. 수축률: ISO 29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인장강도(MPa) 마찰계수 비마모량 수축률(%)
Mold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실시예 1 90 0.22 0.0158 0.86 1.25
실시예 2 105 0.27 0.0197 0.51 0.93
실시예 3 125 0.35 0.0346 0.43 0.71
비교예 1 110 0.34 0.0312 0.63 1.27
비교예 2 85 0.4 0.0468 0.89 1.1
비교예 3 115 0.42 0.0788 0.62 0.71
비교예 4 115 0.48 0.0817 0.74 0.88
비교예 5 80 0.44 0.1207 0.34 0.48
비교예 6 80 0.43 0.1001 0.34 0.54
비교예 7 58 0.17 0.0128 1.8 1.9
비교예 8 116 0.394 0.0296 0.55 0.98
비교예 9 105 0.29 0.0235 0.53 0.94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은 유리섬유의 함량 변화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고 수축률이 낮아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동일한 표면처리제가 적용되었을지라도 유리섬유의 형상이 달라짐에 따라 동일함량의 유리섬유가 적용될 경우 표면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아 마찰계수 및 비마모량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고, 비교예 3에서는 본 발명에서 언급한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유리섬유가 아닌 경우 동일함량의 유리섬유가 적용된 경우 강도가 현저히 낮고 마찰계수와 비마모량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에 비교하여 수지를 변경한 비교예 3 내지 6에서는 표면처리제와 상용성이 맞는 수지와 적용되어야 개선된 마찰계수와 비마모량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유리섬유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게 개선된 마찰계수와 비마모량을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비교예 7에서는 유리섬유를 첨가하지 않아 인장강도가 개선되지 않고 수축률 또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8은 PTFE를 첨가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마찰계수와 비마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9는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을 첨가하지 않아 마찰계수와 비마모량이 상대적으로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a) 가상의 직사각형에서 세로변
(b) 가상의 직사각형에서 가로변
(c) 플랫(flat)의 단면에서 곡선과 직선의 접점인 변곡점
(L) 유리섬유의 길이

Claims (9)

  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은 융점이 160 내지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 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테트라 키스 [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은 Be, Mg, Ca, Sr 및 Ba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알칼리토금속염을 포함한 탄소수 12 내지 32의 포화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는 플랫(flat)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플랫(flat)의 단면에서 곡선과 직선의 접점인 변곡점(c) 4점을 연결하여 가상의 직사각형을 도시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직사각형에서 세로변(a)의 길이가 3 내지 10㎛이고, 가로변(b)은 15 내지 30㎛이며, 유리섬유의 길이(L)는 4 내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0.01 내지 1 중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지방산 알칼리토금속염 0.1 내지 2 중량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표면처리된 유리섬유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인장강도가 10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특정 내마모 조건(상대재: SUS304, 하중: 7kgf, 속도: 20cm/s)에서 마찰계수가 0.33 이하이고, 비마모량이 0.03mm3/N*k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80116234A 2018-09-28 2018-09-28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36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34A KR20200036505A (ko) 2018-09-28 2018-09-28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34A KR20200036505A (ko) 2018-09-28 2018-09-28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05A true KR20200036505A (ko) 2020-04-07

Family

ID=7029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234A KR20200036505A (ko) 2018-09-28 2018-09-28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6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4833B (zh) 聚缩醛树脂组合物
EP2201065B1 (en) Polyacet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tribological properties
CA2742375C (en) Methods of making thermally resistant mineral-filled polyacetal compositions
KR100601770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US20050182200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JP3607806B2 (ja) 繊維強化導電性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KR20200036505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357026A (zh) 聚缩醛树脂组合物
KR101694904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1003810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5830951B2 (ja) 新規な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1040375A1 (fr) Resine de polyacetal ramifie
US11015031B2 (en) Reinforced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with low emissions
KR20210038203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36305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9071917B (zh) 聚缩醛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20240044169A (ko) 내열성이 개선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10037348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28189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080914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6141734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130078778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20240044170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4032944A1 (en) Method for producing oxymethyl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oxymethyl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KR20200036329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