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292A - 루프랙 - Google Patents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292A
KR20200036292A KR1020180115756A KR20180115756A KR20200036292A KR 20200036292 A KR20200036292 A KR 20200036292A KR 1020180115756 A KR1020180115756 A KR 1020180115756A KR 20180115756 A KR20180115756 A KR 20180115756A KR 20200036292 A KR20200036292 A KR 20200036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ecessed
roof rack
base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881B1 (ko
Inventor
정용우
이승열
조언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1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측벽과, 한 쌍의 제1 측벽을 연결하는 상면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에 고정되는 스텐션; 을 포함하고, 스텐션은,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베이스 부; 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제1 측벽의 종단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각각 접합되는 제1 및 제2 용착부를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측벽의 종단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베이스 부의 중심 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함몰부를 포함하는, 루프랙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루프랙{ROOF LACK}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한 화물의 이송은 차량의 트렁크를 이용하게 되는데, 트렁크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운 큰 부피의 화물이나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루프랙을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루프랙은 차량의 지붕 상면인 루프 패널(roof panel)에 고정 되고, 캠핑장비나 스키와 같은 레저장비 등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은 루프랙에 적 재시킨다. 요즘에는 레저용 차량(SUV; Sport Utility Vehicle, RV; Recreational Vehicle)의 대중화 및 캠핑 등의 레저여행의 붐과 함께 루프랙이 널리 사용되고 있 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루프랙은 레일과 스텐션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고온으로 압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냉각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휨 또는 형상변형이 발생되고, 싱크마크(Sink mark)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레일 내측 구조에 의한 외관 수축(Sink Mark)으로 제품의 상품성이 현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레일과 스텐션을 분리 제작하는 경우, 금형을 이용하여 스텐션을 사출 성형 시, 금형 내부로 수지를 유입시키는 입구인 사출 게이트에 의해 스텐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이 형성되어, 이를 작업자가 직접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을 작업자가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에 의해 레일과 스텐션의 진동 용착 시, 레일 외관 형상에 굴곡 또는 형상 무너짐이 발생하여 제품 폐기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루프랙의 레일과 스텐션을 분리 제작하여 이를 진동 용착에 의해 접합함에 따라, 레일의 수축을 방지하고, 싱크마크 형성에 따른 외관품질 불량을 미연에 차단하여 외관 품질이 확보된 루프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레일과 스텐션의 진동 용착 시,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에 의한 레일 외관 형상의 굴곡 또는 형상 무너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외관 품질이 확보된 루프랙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측벽과, 한 쌍의 제1 측벽을 연결하는 상면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에 고정되는 스텐션; 을 포함하고, 스텐션은,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베이스 부; 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제1 측벽의 종단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각각 접합되는 제1 및 제2 용착부를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측벽의 종단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베이스 부의 중심 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루프랙을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 부는, 레일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는 각각, 베이스 부의 제1면에 형성되는 용착면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함몰부는, 제1 측벽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함몰면 및 함몰면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함몰부는, 함몰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함몰부는,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고, 돌출부의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은, 함몰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은 각각, 함몰면에 대해 1 내지 90도 각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제1 측벽은 각각, 제1 두께를 갖고, 제1 측벽의 종단면에서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로 제1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측벽을 포함한다.
또한, 돌출부와 제2 측벽 사이에는 소정의 제1 공간부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루프랙은, 레일 및 베이스 부가 차체의 루프 패널과 접촉되지 않도록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패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텐션을 사출 성형 시,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에 형성되는 스텐션의 부분에 함몰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출 게이트 제거 미흡에 의해 레일과의 불필요한 용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레일 제품의 외관이 불량해 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이 레일과 용착 발생 시, 레일 외관 형상에 굴곡 또는 형상 무너짐이 발생하여 제품 폐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A-A'및 B-B'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스텐션 및 마운팅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a-a'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스텐션 및 마운팅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b-b'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1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은, 레일(100), 스텐션(200)을 포함한다. 특히, 차체와 연결되기 위한 마운팅 볼트(300) 및 레일(100)과 스텐션(200)이 루프 패널(차량의 지붕 상면)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00)은 한 쌍의 제1 측벽(110)과 한 쌍의 제1 측벽(110)을 연결하는 상면(120)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100)은 내측이 중공 영역을 갖고,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스텐션(200)은 레일의 중공 영역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110)은 각각 제1 두께(t1)를 갖고, 제1 측벽(110)의 종단면(110a)에서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로 제1 측벽(110)의 외주면을 따라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측벽(11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 보다 얇게 마련될 수 있으며(즉, t2 < t1), 예를 들어, 제2 두께(t2)는 0.5 내지 4 mm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측벽(111)은, 레일의 측벽 하단의 바깥쪽 형상을 유지 및/또는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100)은 소정 각도 기울어진 형상, 예를 들어, 틀어진 디귿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레일(100) 및 스텐션(20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예를들어, PP, PA6, PA66, ABS, PP+EPDM, PC+AB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레일(100) 및 스텐션(200)은 경량화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베이스 수지에 보강섬유가 첨가된 것으로 베이스 수지로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보강섬유로 탄소 섬유 및/또는 유리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연속섬유 강화플라스틱, 연속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연속 탄소섬유 강 화플라스틱, 단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단섬유 강화플라스틱, 탄소 단섬유 강화플 라스틱, 장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장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단섬유 강화플라스 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20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텐션(200)은 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텐션(200)은,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베이스 부(210)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210)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제1 측벽의 종단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각각 접합되는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를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측벽(110)의 종단면(110a)과 접촉하지 않도록 베이스 부(210)의 중심 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함몰부(2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함몰부(22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210)는, 레일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면(211)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212)을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는 각각, 베이스 부의 제1면(211)에 형성되는 용착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함몰부(221)는, 소정의 폭(w) 및 깊이(h1)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함몰부(221)의 폭(w)은, 3mm 내지 20mm 일 수 있으며, 깊이(h1)는, 0.1mm 내지 5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함몰부(221)는, 제1 측벽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함몰면(2211) 및 함몰면(2211)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면(2212,2213)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함몰부(221)는, 함몰면(2211)으로부터 소정 높이(h2)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부(223)를 갖는다.
특히, 돌출부(223)의 높이(h2)는, 제1 함몰부(221)의 깊이(h1)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23)는, 사출 게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면(2212,2213)은, 함몰면(2211)에 대해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측면(2212,2213)은, 함몰면(2211)과 평행하는 임의의 기준선(G)으로부터 1 내지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각각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측면(2212,2213)이, 기준선(G) 즉, 함몰면에서 1 내지 89도의 각도를 갖도록 각각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함몰부(221)의 단면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측면(2212,2213)이, 기준선(G) 즉, 함몰면에서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마련되는 경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함몰부(221)의 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함몰부(221)의 폭(w)과 깊이(h1)가 상기의 범위를 갖을 때,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함몰부는, 작업자가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을 제거 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이를 안내할 수 있어 보다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함몰부(221)를 형성 함으로써, 사출 게이트에 의한 사출 게이트 잔여 형상이 남아 있다 하더라도, 레일과 스텐션의 진동 용착 시, 제1 측벽(110)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용착열에 의한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돌출부(223)와 제2 측벽(111) 사이에는 소정의 제1 공간부를 갖을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23)와 제2 측벽(111) 사이에는 소정의 제1 공간부를 갖기 때문에, 진동 용착 시, 제2 측벽의 내주면과 맞닿지 않게 되어, 용착열에 의한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 함몰부(221)는 후술할, 제1 내지 제3 부재(240,250,260)가 배치되지 않는 각각의 부재의 사이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2 부재(250)와 제3 부재(260) 사이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제1 함몰부(221)를 배치함으로써, 스텐션 및 루프랙의 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의 평면도, 정면도, 하면도를 나타낸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A-A'및 B-B'단면도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텐션(200)은 레일(100)의 소정 영역과 접합되고, 차제와 연결되기 위한 마운팅 볼트(300)가 결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텐션(200)은 레일(100)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면(211) 및 제1면(211)의 반대방향의 제2면(212)을 갖고,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베이스 부(2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210)는, 제1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1 측벽(110)의 종단면(110a)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각각 접합되는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의 상부 측 일면(제1면측의 일면) 이 제1 측벽의 종단면(110a)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합되며, 접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 측의 단면 형상은, 일 예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의 일부가 용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의 길이(L)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와 제1 측벽의 종단면(110a) 적어도 일부 영역은, 진동 용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223)는, 제1 함몰부(221)에 의해, 제1 측벽의 종단면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접합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진동 용착이란, 열 가소성 수지 2개를 제품간에 가압을 하면서 일방향(단방향) 진폭으로 진동을 주어(예를 들어, 상측 지그에 진동을 줌) 접촉 부위에서 발생되는 마찰열로 수지를 용융시키고, 충분한 용융을 얻은 후 진동을 멈추면 제품이 정렬되고, 계속 가압하면서 냉각하여 굳힘으로써, 융착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텐션(200)은, 베이스 부(210)의 제1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레일의 상면과 소정 영역 접합되고, 마운팅 볼트(300)와 결속되도록 마련된 제1 부재(240)를 포함하고, 제1 부재(240)는, 레일의 상면과 인접한 종단면(240a)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24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재(240)는, 소정의 폭(w1) 및 길이(L1)를 갖는다.
상기 제2 함몰부(241)는, 레일(100)의 상면과 인접한 종단면(240a)에서 폭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이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함몰부(241)는, 제1 부재(240) 폭 방향 두께가 과다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고, 일 예로, 제2 함몰부(241)의 폭 (241w)은 5 내지 20mm 일 수 있고, 높이(241h)는 5 내지 25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240)는, 상기 베이스 부(210)의 제2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마운팅 볼트(300)와 결속되도록 마련된 마운팅 부(2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볼트(300)는 차체의 루프 패널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부(245)는, 상기의 마운팅 볼트(300)가 삽입되어 결속되도록 마운팅 볼트와 대응하도록(동일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240)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상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종단면(240a)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를 포함하며,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는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 사이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보강리브(24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는, 0.5 내지 5 mm의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리브(2433)는 일 예로, 3개가 서로 소정간격 떨어져 한 쌍의 제1 접합리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보강리브(2433)는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를 보강 및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텐션(2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부재(240)와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고, 레일의 상면과 소정 영역 접합되도록 마련된 제2 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부재(250)는, 베이스 부의 제1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부(25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250)는, 레일의 상면과 소정 영역 접합되도록 마련되며, 소정의 폭(w2) 및 길이(L2)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부재의 폭(w1) 및 길이(L1)는, 제2 부재의 폭(w2) 및 길이(L2)와 각각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부재(250)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상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종단면(250a)에서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는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 사이에 배치된 제4 접합리브(2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250)는,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 사이에서, 중공부(251) 내로 돌출 형성된 제2 보강리브(253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보강리브(2535)는, 제2 부재(250)의 중공부(251)의 내주면에서 베이스 부(210)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4 접합리브(2533)와 제2 보강리브(2535)는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스텐션 및 마운팅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스텐션 및 마운팅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와 제2 측벽(111) 사이에는 소정의 제2 공간부(s)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는 제2 측벽(111)에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제2 공간부(s)의 폭(w3)은, 0.1 내지 4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와 제2 측벽(111) 사이에는 소정의 제2 공간부(s)를 갖으므로,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가 제2 측벽에 용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레일의 외관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1 공간부는 제2 공간부 보다 더 큰 공간부를 갖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 부(210)는, 제1 부재(240)와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사이에, 제1 측벽(110)의 종단면(110a)이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에 각각 안착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경사면(230)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230)에 의해 제1 부재와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 및 제2 부재와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면(230)은, 각각의 측벽(110)과 인접하는 제1 및 제2 부재(240,250)의 외주면과,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를 연결하는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30)은 제1 및 제2 용착부(220a,220b)의 폭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230)은, 제1 측벽(110)의 내주면 측 끝단부의 모서리(110b)가 제1 및 제2 용착부와 연결되는 경사면(230)의 모서리(230b)에 안착되도록 위치를 안내하여 제1 측벽의 종단면이 제1 및 제2 용착부에 각각 안착되고, 즉, 레일이 제1 및 제2 용착부의 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정 위치란, 제1 측벽(110)의 내주면 측 끝단부의 모서리가, 제1 및 제2 용착부와 연결되는 경사면(230)의 모서리에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레일이 스텐션 상에서 정 위치에 안착됨에 따라 레일과 스텐션의 용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제1 부재(240)는, 제1 측벽(11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측벽(110)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제1 부재(240)의 외주면은, 제1 측벽(11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부재의 폭(w1)은, 레일 내주면의 폭(중공영역의 폭)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의 상단 면은 레일(100) 상면(120)의 내주면과 맞닿게 접촉되어 접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의 일부가 용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의 길이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제1 접합리브(2431)와 레일 상면의 내주면은 진동 용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부재(250)는, 제1 측벽(11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측벽(110)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제2 부재(250)의 외주면은, 제1 측벽(11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즉, 제2 부재의 폭(w2)은, 레일 내주면의 폭(중공영역의 폭)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의 상단 면은 레일(100) 상면(120)의 내주면과 맞닿게 접촉되어 접합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 일부가 용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2 및 제3 접합리브(2531,2532)의 길이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4 접합리브(2533)의 상단 면은 레일(100) 상면(120)의 내주면과 맞닿게 접촉되어 접합될 수 있으며, 제4 접합리브(2533)의 일부가 용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4 접합리브(2533)의 길이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지 제4 접합리브(2531,2532,2533)와 레일 상면의 내주면은 진동 용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용착부(220a, 220b) 및 제1 내지 제3 접합리브(2431,2531,2532)는 각각 진동 용착에 의해 레일과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접합리브(2533) 또한, 진동 용착에 의해 레일과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리브(2535)는 스텐션의 제품 보강 및 진동 용착 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보강리브(2535)는, 제2 부재(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보강리브(2535)의 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의 제2면(212)에는, 제2 보강리브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보강리브(2536)가 베이스 부의 제2면(212)에서 돌출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 리브 들에 의해, 레일과 스텐션의 진동 용착 시 압력을 지지할 수 있으며, 스텐션의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루프랙 제품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텐션(200)은 레일의 상면과 소정 영역 접합되고, 베이스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3 부재(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부재(260)는, 전술한 제2 부재(250)와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제2 부재(250)와 구조와 기능이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부재(2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텐션(200)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부재(240,250,260)가 각각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제1 내지 제3 부재(240,250,260)가 베이스 부(210) 상에 복수 개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240)는 제1 간격(d1)으로 베이스 부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2 부재는(250)는 제1 부재(240)의 양측에 각각 제1 간격(d1)보다 작은 제2 간격(d2) 떨어져 제1 부재(24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3 부재(260)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1 부재(240) 사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체 마운팅 볼트(300)와 결속되는 제1 부재(240)의 양측에 제2 부재(250)를 배치함으로써, 제1 부재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제3 부재(260)를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함으로써, 루프랙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간격(d2)은, 10 내지 100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용착을 하기 위해 제품을 용착 지그에 로딩시킬 때, 상기와 같은 간격 범위(10 내지 100mm)에서, 파트 당 제품 길이를 축소시켜 안착성(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위치산포 영향을 제한하여 안정적으로 용착 경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은 레일(100)의 제2 측벽(111)의 종단면(111a)과 스텐션의 베이스 부의 제2면(212)이 차체의 루프 패널과 접촉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패드(4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패드(400)는, 마운팅 부(245)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운팅 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 의 관통홀(410)을 포함한다.
10: 루프랙
100: 레일
200: 스텐션
300: 마운팅 볼트
400: 패널

Claims (10)

  1. 한 쌍의 제1 측벽과, 한 쌍의 제1 측벽을 연결하는 상면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에 고정되는 스텐션; 을 포함하고,
    스텐션은,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베이스 부; 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제1 측벽의 종단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각각 접합되는 제1 및 제2 용착부를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측벽의 종단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베이스 부의 중심 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함몰부를 포함하는, 루프랙.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는, 레일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갖고,
    제1 및 제2 용착부는 각각, 베이스 부의 제1면에 형성되는 용착면을 갖는, 루프랙.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함몰부는, 제1 측벽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함몰면 및 함몰면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루프랙.
  4. 제 3항에 있어서,
    제1 함몰부는, 함몰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루프랙.
  5. 제 4항에 있어서,
    제1 함몰부는,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고,
    돌출부의 높이는, 제1 함몰부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된, 루프랙.
  6. 제 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면은, 함몰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루프랙.
  7. 제 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면은 각각, 함몰면에 대해 1 내지 90도 각도를 갖는, 루프랙.
  8.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측벽은 각각, 제1 두께를 갖고, 제1 측벽의 종단면에서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로 제1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루프랙.
  9. 제 8항에 있어서,
    돌출부와 제2 측벽 사이에는 소정의 제1 공간부를 갖는, 루프랙.
  10. 제 1항에 있어서,
    루프랙은, 레일 및 베이스 부가 차체의 루프 패널과 접촉되지 않도록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루프랙.
KR1020180115756A 2018-09-28 2018-09-28 루프랙 KR10227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756A KR102271881B1 (ko) 2018-09-28 2018-09-28 루프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756A KR102271881B1 (ko) 2018-09-28 2018-09-28 루프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292A true KR20200036292A (ko) 2020-04-07
KR102271881B1 KR102271881B1 (ko) 2021-07-01

Family

ID=7029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756A KR102271881B1 (ko) 2018-09-28 2018-09-28 루프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522B1 (ko) * 1995-12-22 1998-12-15 김태구 자동차 루프 랙의 장착구조
KR20100081083A (ko) * 2009-01-05 2010-07-14 (주)몰드피아 사이드바
KR20150045617A (ko) * 2013-10-21 2015-04-29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522B1 (ko) * 1995-12-22 1998-12-15 김태구 자동차 루프 랙의 장착구조
KR20100081083A (ko) * 2009-01-05 2010-07-14 (주)몰드피아 사이드바
KR20150045617A (ko) * 2013-10-21 2015-04-29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81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010B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US8714627B2 (en) Spoiler
US20140333077A1 (en) Bumper back beam being equipped with a fiber composite reinforcing material with hollow section inside and a bumper having the same
EP1623880B1 (en) Shock absorber of car
CZ305313B6 (cs) Vyztužený konstrukční díl
JP2020519522A (ja) 車体構造に組付けるためのストレージビン
JPWO2009019938A1 (ja) Ea材
KR102105944B1 (ko) 차량용 루프랙
KR20200036292A (ko) 루프랙
KR20190037452A (ko) 차량용 루프랙
US20200300326A1 (en) Bracket for anti-vib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racket for anti-vibration device
KR102462011B1 (ko) 루프랙
KR100978358B1 (ko) 사이드바
US11299102B2 (en) Roof rack for vehicle
JP4916019B2 (ja) 樹脂成形品の振動溶着構造
KR20180114350A (ko)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66115B1 (ko) 루프 랙의 진동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 랙의 제조방법
KR101627952B1 (ko) 부재의 접합 구조
US11718238B2 (en) Roof rail with divider wall configured to resist clamping force
CN112351872A (zh) 复合体
KR20210076537A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20190088620A (ko) 차량용 루프랙
JP2004106765A (ja) リアスポイラー
WO2020067767A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US11110875B2 (en) Vehicle frame tie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