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260A -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260A
KR20200036260A KR1020180115693A KR20180115693A KR20200036260A KR 20200036260 A KR20200036260 A KR 20200036260A KR 1020180115693 A KR1020180115693 A KR 1020180115693A KR 20180115693 A KR20180115693 A KR 20180115693A KR 20200036260 A KR20200036260 A KR 2020003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insertion device
medical insertion
head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668B1 (ko
Inventor
김경태
임아름
한아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6Material or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1Implants for expanding or repairing the vertebral arch or wedged between laminae or pedicl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7Evaluating the spin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mas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026Conductivity or impedance, e.g. of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20/00Materials or methods for coatings medical devices
    • A61L2420/02Methods for coating medic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료용 삽입 장치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기설정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헤드;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헤드 하단의 통공과 연결되는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중공의 벽면에 제1 코팅층이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 제2 코팅층이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MEDICAL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에 전도성 소재가 도금된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나사못은 수술, 시술 또는 치료를 위해 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장치로, 척추에 삽입되는 척추경 나사못과 치아를 대신하는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척추관 협착증이 심한 환자는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받게 된다. 이를 신경 감압술이라 하며, 주변의 뼈나 관절을 제거해 공간을 넓혀줌으로써 오랜 기간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신경 감압술을 시행하고 나면 각각의 마디가 불안정하게 되는데, 이를 방치하면 장기적으로 여러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척추 유합술(나사못 고정술)로 척추의 상태를 안정화시켜야 한다. 이는 인접해 있는 척추뼈들을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해 고정한 뒤 뼈 이식을 통해 한 개의 통뼈로 합쳐주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의 경우,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최근 척추 또는 치아와 관련된 치료 또는 수술이 급증하고 있어, 의료용 나사못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수술 중 나사못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신경에 접촉하는 경우 신경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수술 중 나사못에 접촉되는 신경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처럼, 수술 중 신경을 감지하기 위해, 의료용 나사못을 통해 인체로 전류 공급이 필요하나 의료용 나사못의 외주면에 전도성 소재가 코팅되는 경우 환자의 체내로 과도한 전류가 공급되어 환자의 척추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소재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179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전도성이 높은 의료용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용 삽입 장치에 전도성 소재를 용이하게 도금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의료용 삽입 장치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기설정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헤드;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하단의 통공과 연결되는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중공의 벽면에 제1 코팅층이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 제2 코팅층이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동일한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전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환자의 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1 코팅층으로 공급된 전류가 상기 제2 코팅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의 선단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테이퍼된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팅층은, 상기 테이퍼된 빗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는, 생체 적합성 소재로 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드라이버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통공의 벽면에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헤드의 통공의 벽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의료용 삽입 장치 제조 방법은,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 중 나사부의 외주면에 코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 중 선단을 제외한 영역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버가 장착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전도성 소재가 포함된 도금액에 침지시켜, 상기 커버가 장착되지 않은 선단과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에 상기 도금액을 코팅하여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의료용 삽입 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도금액으로부터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를 분리하고,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로부터 상기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헤드로부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나사부의 선단까지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벽면과 선단에 전도성 소재가 도금되어, 나사부의 외주면으로 전류가 전달되지 않고 전도성 소재가 도금된 선단을 통해 신경을 감지하여, 과도한 전류가 환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는 중공에 전도성 소재를 기초로 한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도금층이 손상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은 나사부를 관통하는 중공과 나사부의 선단에 단일 공정으로 동일한 소재를 도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기간이 단축되고 제조 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삽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헤드로부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나사부의 선단까지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과 선단에 전도성 소재가 도금되어 나사부의 외주면으로 전류가 전달되지 않고 전도성 소재가 도금된 선단을 통해 국부적으로 환자의 신경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삽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1)는 헤드(11) 및 나사부(13)를 포함한다.
헤드(11)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기설정된 크기의 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11)는 통공(113)의 벽면에 제1 코팅층(115)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11)는 측면의 일부 영역이 개방된 말굽형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말굽형태의 의료용 삽입 장치(1)가 복수개 척추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호간 연결을 위한 척추 로드가 개방된 측면을 통해 헤드(11)에 결합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헤드(11)는 상단이 개방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공간이 근위부에 형성되어 공간 벽면에 체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11)는 상단을 통해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가 삽입될 수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111)를 통해 헤드(11)와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111)는 헤드(11)와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 간 나사결합을 유도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체결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가 가이드 홈을 따라 삽입되어 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체결부는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헤드(11)는 도 2와 같이 나사부(13)가 결합하는 하단에 기설정된 크기의 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11)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113)은 나사부(13)의 상단까지 형성된 중공(131)과 연결되어 의료용 삽입 장치(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3)는 외주면에 나사산(13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3)는 헤드(11) 하단에 형성된 통공(113)과 연결되는 중공(131)이 나사부(13)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나사부(13)는 중공(131)의 벽면에 제1 코팅층(115)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3)는 외부로 노출된 선단(135)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13)는 선단(135)에 제2 코팅층(137)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3)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31)은 나사부(13)를 관통하고, 나사부(13)의 상단까지 형성된 중공은 헤드(11)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113)과 연결되어 의료용 삽입 장치(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중공(131)에는 제1 코팅층(115)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나사부(13)는 헤드(1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나사부(13)는 외주면에 나사산(13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133)은 나사부(1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통해 의료용 삽입 장치(1)가 척추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사부(13)는 나사산(133)이 형성되지 않고 테이퍼된 빗면 형태의 선단(135)을 포함할 수 있다. 선단(135)은 환자 척추로 삽입시 척추와 맞닿는 부분이 테이퍼된 빗면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좁은 영역에 집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단(135)이 척추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선단(135)이 삽입된 이후, 나사부(13)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회전과 압력을 통해 나사산(133)이 척추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나사부(13)의 삽입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13)의 선단(135)에는 제2 코팅층(137)이 형성되어 제1 코팅층(115)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환자에게 전달하거나, 공급된 전류를 기초로 환자의 신경을 감지할 수 있다.
나사부(13)는 나사산(133)이 형성된 외주면이 생체 적합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3)의 외주면은 척추에 삽입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생체 적합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생체 적합성 소재는 인간의 뼈의 주성분인 HA(Hydroxy Apatite)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헤드(11)와 나사부(13)에 형성된 제1 코팅층(115)과 나사부(13)의 선단(135)에 형성된 제2 코팅층(137)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제1 코팅층(115)과 제2 코팅층(137)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팅층(115)과 제2 코팅층(137)은 동일한 소재 또는 상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팅층(115)과 제2 코팅층(137)은 전도성 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코팅층(115)과 제2 코팅층(137)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환자의 인체로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코팅층(115)으로 전달된 전류는 제2 코팅층(137)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코팅층(115)은 나사부(13)를 관통하는 중공(131)과 헤드(11)의 통공(113)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코팅층(115)은 나사부(13)의 중공(131)로부터 헤드(13)의 통공(131)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의료용 삽입 장치(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도금용액으로 침지되는 정도에 따라 제1 코팅층(115)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코팅층(115)이 형성되는 위치는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의 형태에 기초하여, 헤드(11)에 전도성 소재가 코팅이 요구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가 나사부(13)에 형성된 중공(131)으로 삽입되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경우, 헤드(11)의 통공(113)에는 제1 코팅층(115)의 형성이 요구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제1 코팅층(115)을 나사부(13)의 중공(131)에 제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면,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가 헤드(11)의 통공(113)에 한해 제한적으로 연결되고 나사부(13)의 중공(131)으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 헤드(11)의 통공(113)에 전도성 소재를 포함한 제1 코팅층(1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금용액에 의료용 삽입 장치를 깊이 침지시켜 제1 코팅층(115)을 통공(113)에 연장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코팅층(115)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백금, 금, 은, 텅스텐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층(115)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코팅층(115)은 제2 코팅층(137)으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코팅층(137)은 나사부(13)의 선단(135)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팅층(137)은 나사부(13)의 테이퍼된 빗면에 형성되고 나사산(133)이 형성된 나사부(13)의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환자에게 삽입된 상태에서 국부적인 영역에서 환자에게 전류를 전달하거나 신경과 접촉하여 신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코팅층(115)은 의료용 삽입 장치(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코팅층이고 제2 코팅층(137)은 의료용 삽입 장치(1)의 외측에 일부 영역에 형성된 영역이며, 제1 코팅층(115)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제2 코팅층(137)으로 전달하고, 제2 코팅층(137)은 환자에게 전류를 공급하거나 환자의 신경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2)는 헤드(21)의 형태가 도 1의 도시된 일 실시 예와 상이하며 헤드(21)를 제외한 다른 특성 및 형태는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헤드(21)는 실린더 형상의 근위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의료용 삽입 장치에 포함되는 헤드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 예들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의료용 삽입 장치(2)의 나사부(21)는 중공(231), 나사산(233), 선단(235), 제1 코팅층(215) 및 제2 코팅층(237)을 포함하고, 중공(231)과 선단(235)에 동일한 전도성 소재로 코팅된 제1 코팅층(215) 및 제2 코팅층(2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233)은 생체 적합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을 포함하지 않아 외부로부터 전류의 공급시 환자에게 과도한 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헤드(21)의 하단에는 나사부(21)의 중공(231)과 연결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과 중공은(231)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벽면이 동일한 소재로 코팅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공 및 중공(231)의 직경이 변경되어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맞춤형 의료용 삽입 장치의 구성 및 특성과 관련되어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며,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련한 서술을 추가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은 중공 형성 단계(S1), 커버 장착 단계(S3) 및 장치 침지 단계(S7)를 포함하고, 의료용 삽입 장치로부터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형성 단계(S1)는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을 헤드와 나사부에 형성할 수 있다. 중공 형성 단계(S1)는 헤드의 하단을 관통하는 통공과 나사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각각 형성하여 헤드와 나사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중공 형성 단계(S1)는 헤드와 나사부를 결합시킨 뒤 의료용 삽입 장치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중공 형성 단계(S1)에서는 헤드의 중심에 형성된 공간의 직경을 드라이버 또는 전류 공급장치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중공 형성 단계(S1)에서는 헤드 하단의 통공의 직경을 중심에 형성된 공간의 직경 이하의 크기로부터 나사부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 이상의 크기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커버 장착 단계(S3)에서는 의료용 삽입 장치 중 나사부의 외주면에 코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 중 선단을 제외한 영역에 장착시킬 수 있다. 커버 장착 단계(S3)에서는 레지스트 테이프 접착, 레지스트 잉크 도포, 고무 마스킹재 삽입 등의 방법을 통해 부분도금을 준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장착 단계(S3)는 의료용 삽입 장치 중 나사부의 외주면에 코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장착시킬 수 있다. 커버 장착 단계(S3)는 커버가 의료용 의료용 삽입 장치 나사부의 외주면 중 외부로 노출된 선단을 제외한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 장착 단계(S3)는 일부 영역의 도금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킹제를 첨가하여 부분도금을 준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의료용 삽입 장치의 나사부의 외주면에 붓을 통해 마스킹제를 덧칠하거나, 전기분사를 통해 착화제를 포함한 마스킹제를 도포할 수 있다. 마스킹제는 도금액에 포함된 전도성 소재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침지 단계(S5)는 커버가 장착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전도성 소재가 포함된 도금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 침지 단계(S5)에서는 의료용 삽입 장치에 커버가 장착되지 않은 선단과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에 동일한 도금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도금액으로부터 의료용 삽입 장치를 분리하고, 커버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 형성 단계(S1) 내지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중공의 벽면과 나사부의 선단이 동일한 전도성 소재로 도금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해 커버 장착 단계(S3)와 장치 침지 단계(S5) 및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커버 장착 단계(S3)는 코팅되지 않은 의료용 삽입 장치 중 나사부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커버(8)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 장착 단계(S3)에서는 헤드와 선단 영역에 커버(8)를 장착시키지 않고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 장착 단계(S3)에서는 의료용 삽입 장치(1)가 침지되는 정도에 따라 커버(8)를 헤드까지 장착하여 선단만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후, 장치 침지 단계(S5)에서는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백금, 금, 은, 텅스텐 등의 소재를 포함하는 도금용액이 저장된 도금용기(9)에 커버(8)가 장착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침지시킬 수 있다. 장치 침지 단계(S5)에서는 의료용 삽입 장치의 헤드와 선단을 제외한 영역에 커버(8)가 장착된 경우에 헤드의 하단영역을 도금용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 침지 단계(S5)에서는 의료용 삽입 장치의 선단을 제외한 영역에 커버(8)가 장착된 경우에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전 영역을 도금용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이 같은 침지를 통해 커버(8)의 외측에 노출된 영역과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의 벽면에 동일한 도금용액이 코팅되어 제1 및 제2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장치 침지 단계(S5)에서 커버가 결합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침지 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이후,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도금용기(9)에 침지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회수하여 커버(8)를 분리하고, 선단과 중공에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1)를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삽입 장치의 제조방법은 나사부를 관통하는 중공과 나사부의 선단에 단일 공정으로 동일한 소재를 도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기간이 단축되고 제조 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2: 의료용 삽입 장치
11, 21: 헤드
111, 211: 체결부
113: 통공
115, 215: 제1 코팅층
13, 23: 나사부
131, 231: 중공
133, 233: 나사산
135, 235: 선단
137, 237: 제2 코팅층
8: 커버
9: 도금용기

Claims (12)

  1.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기설정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헤드;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하단의 통공과 연결되는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중공의 벽면에 제1 코팅층이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 제2 코팅층이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동일한 소재로 코팅되는, 의료용 삽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환자의 인체로 전달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1 코팅층으로 공급된 전류가 상기 제2 코팅층으로 전달되는, 의료용 삽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선단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테이퍼된 빗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층은,
    상기 테이퍼된 빗면에 형성된, 의료용 삽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생체 적합성 소재로 외주면이 형성된, 의료용 삽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드라이버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통공의 벽면에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헤드의 통공의 벽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의료용 삽입 장치.
  11.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 중 나사부의 외주면에 코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 중 선단을 제외한 영역에 장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버가 장착된 의료용 삽입 장치를 전도성 소재가 포함된 도금액에 침지시켜, 상기 커버가 장착되지 않은 선단과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를 관통하는 중공에 상기 도금액을 코팅하여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액으로부터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를 분리하고, 상기 의료용 삽입 장치로부터 상기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삽입 장치 제조방법.
KR1020180115693A 2018-09-28 2018-09-28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93A KR102205668B1 (ko) 2018-09-28 2018-09-28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93A KR102205668B1 (ko) 2018-09-28 2018-09-28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260A true KR20200036260A (ko) 2020-04-07
KR102205668B1 KR102205668B1 (ko) 2021-01-21

Family

ID=7029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693A KR102205668B1 (ko) 2018-09-28 2018-09-28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284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다공성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나사못을 구비한 척추고정술용 수술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5072A1 (en) * 2007-11-13 2009-05-14 Neubardt Seth L Surgical bone screw construction
KR20100101797A (ko) 2009-03-10 2010-09-20 김정대 지혈제층이 코팅된 척추간 임플란트 및 그 코팅 방법
US7981144B2 (en) * 2006-09-21 2011-07-19 Integrity Intellect, Inc. Implant equipped for nerve location and method of use
KR20150024238A (ko) * 2013-08-26 2015-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1144B2 (en) * 2006-09-21 2011-07-19 Integrity Intellect, Inc. Implant equipped for nerve location and method of use
US20090125072A1 (en) * 2007-11-13 2009-05-14 Neubardt Seth L Surgical bone screw construction
KR20100101797A (ko) 2009-03-10 2010-09-20 김정대 지혈제층이 코팅된 척추간 임플란트 및 그 코팅 방법
KR20150024238A (ko) * 2013-08-26 2015-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KR101563420B1 (ko) * 2013-08-26 2015-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284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다공성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나사못을 구비한 척추고정술용 수술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68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420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CN101897617B (zh) 包括一个或多个电极的植入物以及相关的插入器具
US6628991B2 (en) Minimally-invasive access into the cochlea for electrode insertion and fluid delivery
US7349744B2 (en) Cochlear electrode array
US4430999A (en) Osteogenesis stimulating cathode assembly for use with an internal fixation device
US10702322B2 (en) Medical insertion apparatus
JP2005517493A (ja) 電極アレー用挿入装置
US20090099664A1 (en) Subtalar implant and kit
AU2005293248A1 (en) Cochlear implant electrode with adjustable subdivision for middle ear functions
KR102205668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A3020731A1 (en) Spinal instrumentation to enhance osteogenesis and fusion
JP2007504845A (ja) 照準装置
KR20070065275A (ko) 골고정용 장치
KR102144041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감지 시스템
KR101958083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3536272B1 (en) Medical insertion device
CN208525136U (zh) 一种用于治疗平足的距下关节制动器
KR20100002142U (ko) 골이식을 동반한 상악구치부 임플란트
Theunisse et al. Surgical planning and evaluation of implanting a penetrating cochlear nerve implant in human temporal bones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JPH10262999A (ja) 股関節に使用する人工補綴物
KR101981981B1 (ko) 의료용 나사못
TW201912119A (zh) 骨科植入物
WO2001082848A2 (en) Minimally-invasive access into the cochlea for electrode insertion and fluid delivery
US20200205857A1 (en) Device for intra medullary antibiotics perfusion
CN108451672A (zh) 一种用于治疗平足的距下关节制动器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