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981B1 - 의료용 나사못 - Google Patents

의료용 나사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981B1
KR101981981B1 KR1020170149468A KR20170149468A KR101981981B1 KR 101981981 B1 KR101981981 B1 KR 101981981B1 KR 1020170149468 A KR1020170149468 A KR 1020170149468A KR 20170149468 A KR20170149468 A KR 20170149468A KR 101981981 B1 KR101981981 B1 KR 10198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nductor
upper groove
medical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510A (ko
Inventor
김경태
이재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9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79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82Anch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의료용 나사못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은,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용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나사못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의료용 나사못과 결합되는 드라이버의 단부가 삽입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곽 끝단까지 형성되고,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상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벽에 도체의 일단이 노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도체가 상기 상부 홈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상부 홈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되는 나사못 헤드 및 상기 나사못 헤드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되어 연장된 상기 도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까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나사못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나사못{MEDICAL SCREW}
본 발명은 의료용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시 접촉되는 인체 조직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용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나사못은 수술, 시술 또는 치료를 위해 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장치로, 척추에 삽입되는 척추경 나사못과 치아를 대신하는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척추관 협착증이 심한 환자는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받게 된다. 이를 신경 감압술이라 하며, 주변의 뼈나 관절을 제거해 공간을 넓혀줌으로써 오랜 기간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신경 감압술을 시행하고 나면 각각의 마디가 불안정하게 되는데, 놔두면 장기적으로 여러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척추 유합술(나사못 고정술)로 척추의 상태를 안정화시켜야 한다. 이는 인접해 있는 척추뼈들을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해 고정한 뒤 뼈 이식을 통해 한 개의 통뼈로 합쳐주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의 경우,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 줄 수 있다.
최근 척추 또는 치아와 관련된 치료 또는 수술이 급증하고 있어, 의료용 삽입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수술 중 나사못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신경과 접촉하여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나, 수술 중 인체에 접촉되는 신경을 감지할 수 있는 나사못에 대한 기술은 전무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252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2024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용 나사못과 접촉되는 조직의 종류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의료용 나사못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재수술시 전기 소작기에 의해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나사못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은,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용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나사못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의료용 나사못과 결합되는 드라이버의 단부가 삽입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곽 끝단까지 형성되고,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상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벽에 도체의 일단이 노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도체가 상기 상부 홈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상부 홈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되는 나사못 헤드 및 상기 나사못 헤드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되어 연장된 상기 도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까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나사못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나사못은, 상기 수용부 내벽에서 노출된 상기 도체의 일단을 통해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상기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나사못 몸체 하단에 노출된 상기 도체의 타단을 통해 상기 인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체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노출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홈을 통해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삽입된 상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최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의 일정 면적 상에서 노출되도록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각 기둥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홈을 통해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삽입된 상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최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의 일단은, 상기 다각 기둥의 옆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체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의 밑면 상에서 노출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각형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홈을 통해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삽입된 상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못 헤드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결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드라이버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나산이 내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결속부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도체는, 상기 상부 홈이 형성된 개수만큼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노출된 일단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연장되되, 어느 하나의 상부 홈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도체의 일단은 다른 상부 홈에 삽입된 다른 도체의 일단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 상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상부 홈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도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다른 상부 홈에 삽입된 다른 도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단과 상기 나사못 몸체의 하단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못 몸체에 형성된 상기 도체가 상기 나사못 몸체의 하단에서만 노출되도록, 상기 나사못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하부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는, 상기 나사못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의 굴곡에 따라 상기 나사못 몸체의 외주면 상에 도금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라이버 하단에 돌출된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발생기 및 전류 측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 측정기는, 상기 의료용 나사못이 신경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류 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전류가 상기 도체를 통해 상기 인체로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인체의 저항과 전류 분배 되면서 귀류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용 나사못과 접촉되는 조직의 종류를 정확하게 구분하면서도, 전기소작기에 의해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나사못 헤드의 구체적인 모습 및 기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나사못 헤드에 형성된 수용부에 도체가 형성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의료용 나사못을 이용하여 신경을 감지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은 의료용 삽입 장치로, 신경에 인접한 뼈 조직에 삽입되는 골유합 나사못, 특히 척추 등에 삽입되는 척추경 나사못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의료용 나사못은 척추, 치아 또는 근육 등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생체 적합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각종 임플란트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티타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나사못 몸체(110)와, 나사못 몸체(1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나사못 헤드(120)를 포함한다.
나사못 몸체(110)는 인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외주면에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나사못 몸체(110)의 하단부에는 태핑 나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태핑 나사(미도시)는 나사못 몸체(110)가 인체 내부에 삽입되기 전에 미리 천공 작업을 진행하고, 그에 따라 태핑 나사에 의해 확보된 구멍을 통하여 나사못 몸체(110)를 보다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료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몸체(110)는 그 끝단(하단)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못 헤드(120)는 나사못 몸체(1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나사못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못 헤드(120)는 결속부(121), 수용부(122) 및 상부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못 헤드(120)에 형성된 결속부(121)는 의료용 나사못(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라이버와 나사 결합되는 부재일 수 있다. 드라이버는 의료용 나사못(100)을 인체로 삽입하거나, 인체에 삽입된 의료용 나사못(100)을 제거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결속부(121)의 내벽은 드라이버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못 헤드(120)는 한 쌍의 결속부(1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결속부(121)는 서로 마주보면서, 나사못 헤드(120)의 상부 방향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속부(121)는 나사못 헤드(120) 외곽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못 헤드(120)에 형성된 한 쌍의 결속부(121)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드라이버와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나사못 헤드(120)는 중심부에는 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2)는 드라이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나사못 헤드(120)의 중심부가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22)는 드라이버 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라이버 단부는 육각형 모양이고, 수용부(122)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기둥 형상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수용부(122)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라이버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나사못 헤드(120)는 수용부(122)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홈(123)은 수용부(122)의 상단으로부터 나사못 헤드(120)의 외곽 방향(지름 방향)을 따라 나사못 헤드(120)의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홈(123)은 하방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나사못 몸체(110)와 나사못 헤드(120)로 구성된 의료용 나사못(100)에는 도체(1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체(130)는 의료용 나사못(100)이 인체 내에 삽입될 때 신경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체(130)는 의료용 나사못(100)의 외주면에 노출되게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도금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체(130)는 인체에 대한 적합성이 뛰어나면서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백금, 금, 은, 텅스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체(130)는 의료용 나사못(100)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의료용 나사못(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못 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나사못 헤드(120)의 수용부(122)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체(130)의 일단은 나사못 헤드(120)의 수용부(122)에 형성되어 상부 홈(123)을 따라 나사못 헤드(120)의 끝단까지 연장된 후, 의료용 나사못(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못 몸체(110)의 최하단까지 노출되도록 곧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용 나사못(100)은 수용부(122) 내벽에서 노출된 도체(130)의 일단을 통해 수용부(122)로 삽입되는 드라이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나사못 몸체(110) 하단에 노출된 도체(130)의 타단을 통해 인체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나사못 헤드(120)에 형성된 도체(130)가 일정 길이만큼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나사못 헤드(120) 및 나사못 헤드(120)에 형성되는 도체(130)의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나사못 헤드(12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나사못 헤드(12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못 헤드(120)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속부(121) 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못 헤드(120)와 결속부(121)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못 헤드(120)는 중심부에 상면이 개방된 다각 기둥 형상의 수용부(122)가 마련되며, 구체적으로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육각 기둥 형상의 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못 헤드(120)는 수용부(1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홈(123)은 수용부(122)의 일단으로부터 나사못 헤드(120)의 외곽 방향(지름 방향)을 따라 나사못 헤드(120)의 외곽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홈(1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2)로부터 결속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홈(123)의 바닥의 깊이(h2)는 수용부(122)의 바닥의 깊이(h1)보다 얕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나사못 헤드(120)에 형성된 도체(130)가 일정 길이만큼만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나사못 헤드(120) 부분에 형성된 도체(130) 중 수용부(122)의 내벽에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나사못 헤드(120)의 수용부(122) 내벽에 형성된 도체(130)는 상부 홈(123)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나사못 헤드(120)의 끝단까지 삽입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또한, 상부 홈(123)에 형성된 도체(130)는 상부 홈(123)의 최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130)는 상부 홈(123)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체(130)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홈(123)의 옆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체(130)는 상부 홈(123)의 최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을 이용한 재수술 시에 도체(130)에 의해 주변 조직, 예컨대 신경에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수실 시 전기 소작기를 사용하여 나사못 헤드(120)를 박리할 때, 도체(130)가 나사못 헤드(120)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전기 소작기의 열에너지가 도체 (130)를 통해 신경에 전달되어 도체(130)의 주변 신경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본원 발명에 따르면, 도체(130)는 상부 홈(12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못 헤드(120) 상에 연장되기 때문에, 전기 소작기가 나사못 헤드(120)와 접촉하더라도 도체(130)는 전기 소작기와 접촉되지 않아 주변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용부(122) 내벽에 형성되는 도체의 형상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못 헤드(120)의 수용부(122)를 구성하는 내벽에는 도체(130)의 일단이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수용부(122)로 삽입되는 드라이버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라이버와 의료용 나사못(100)을 이용하여 접촉된 인체가 신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체(130)는 수용부(122)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130)의 일단은 선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 일단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부 홈(123)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의 단부가 수용부(122)에 삽입되면, 내벽에 노출된 도체(130)의 일단이 드라이버 단부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의료용 나사못(100)과 드라이버와 통전될 수 있다.
또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은 수용부(12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하방으로 내려온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거리는 상부 홈(123)의 바닥 깊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부(122)에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 또한 전기 소작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체(130)는 수용부(122)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내벽의 전체 면적 중 일정 면적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체(130)의 일단은 수용부(1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밑면을 포함하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의 높이는 일정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높이는 수용부(122)의 높이에서 상부 홈(123)의 높이를 뺀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의 높이가 수용부(122)의 높이에서 상부 홈(123)의 높이를 뺀 높이인 경우, 도체(130)의 일단의 상단은 상부 홈(123)의 바닥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부 홈(123)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체(130)는 도 5에 도시된 도체(130)의 일단과 유사하게, 수용부(122)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내벽의 전체 면적 중 일정 면적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도체(130)의 일단은 도 5에 도시된 도체(130)의 일단과 상이하게, 수용부(122)의 밑면을 제외한 측면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밑면이 포함되지 않은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의 높이는 일정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높이는 수용부(122)의 높이에서 상부 홈(123)의 높이를 뺀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의 높이가 수용부(122)의 높이에서 상부 홈(123)의 높이를 뺀 높이인 경우, 도체(130)의 일단의 상단은 상부 홈(123)의 바닥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130)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부 홈(123)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체(130)의 일단은 수용부(122)의 바닥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체(130)의 일단은 육각형 형상이며, 육각형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부 홈(123)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의 단부가 수용부(122)에 삽입되면, 수용부(122)의 바닥에 노출된 도체(130)의 일단이 드라이버 단부의 최하단과 접촉되면서 의료용 나사못(100)과 드라이버와 통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가 도시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체(13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4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도체(130)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수용부(122) 내부에 형성된 도체(130)를 제1 도체(130_1)로 정의하고, 도 7에 도시된 수용부(122) 내부에 형성된 도체(130)를 제2 도체(130_2)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 내부에 형성된 도체(130)는 제1 도체(130_1)와 제2 도체(130_2)가 일체형으로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도체(130_2)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체(130)는 제1 도체(130_1)의 어느 한 지점과 연결된 후, 상부 홈(123)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도체(130_1)는 수용부(122)의 내벽 상에서 일정높이 이하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높이는 수용부(122)의 높이에서 상부 홈(123)의 높이를 뺀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도체(130_1) 가 수용부(122)의 높이에서 상부 홈(123)의 높이를 뺀 높이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도체(130_1)의 일단의 상단은 상부 홈(123)의 바닥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형 나사못(100)은 나사못 헤드(120)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부(122)의 내벽에 도체(13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도체(130)의 형태 및 형성 위치는 드라이버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헤드(120)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몸체(110)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나사못 헤드(120)에 복수의 상부 홈(123_1, 123_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홈(123)이 두 개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상부 홈은 사용 환경에 따라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상부 홈(123_1, 123_2)은, 수용부(122)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못 헤드(12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상부 홈(123_1)은 나사못 헤드(120)의 6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상부 홈(123_2)은 나사못 헤드(120)의 12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 홈(123_1) 및 제2 상부 홈(123_2)은 결속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상부 홈(123_1)에 삽입되는 제1 도체(130_1)와 제2 상부 홈(123_2)에 삽입되는 제2 도체(130_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도체(130_1)의 일단과 제2 도체(130_2)의 일단은 수용부(122)의 내벽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체(130_1)의 일단과 제2 도체(130_2)의 일단은 전기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2)의 내벽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도체(130)의 일단은 서로 다른 지점에서 제1 상부 홈(123_1) 및 제2 상부 홈(123_2)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못 몸체(110)의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홈(123_1)이 수용부(122)를 기준으로 6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상부 홈(123_2)이 수용부(122)를 기준으로 12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도체(130_1)와 제2 도체(130_2)는 각각의 상부 홈(123_1, 123_2)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나사못 헤드(120)의 끝단까지 연장된 후, 나사못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못 몸체(110)의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 홈(123_1) 및 제2 상부 홈(123_2)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도체(130_1) 및 제2 도체(130_2)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 몸체(110)의 최하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못 몸체(110)의 최하단부는 도체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며, 제1 도체(130_1)와 제2 도체(130_2)는 의료용 나사못(100) 상에서 연결되지 않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은 나사못 몸체(110)에 하부 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홈(115)은 나사못 몸체(11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홈(115)은 나사못 몸체(110) 및 나사산(111)의 표면으로부터 나사못 몸체(110)의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체(130)는 나사못 몸체(110)에 형성된 하부 홈(115)에 도금 방식 또는 끼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나사못(100)을 이용하여 신경을 감지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나사못(100)은 드라이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는 전류 발생기(300) 및 전류 측정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류 발생기(300)는 도체 부재(130)를 통해 인체로 흘려보내는 전류를 발생시킨다. 전류 발생기(300)와 도체 부재(130)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드라이버(200)를 매개로 하여 전류 발생기(300)와 도체 부재(130)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류 측정기(400)는 전류 발생기(300)에서 발생된 전류가 인체의 저항과 전류 분배되어 전류 측정기(400)로 흐르는 전류량(즉, 전류 중에서 인체로 흐르지 않은 전류의 전류량)을 측정한다.
즉, 전류 발생기(300)에서 전류를 인체로 인가하면, 일부의 전류가 인체로 흘러들어가고 나머지 전류가 전류 측정기(400)로 돌아가게 되는데, 전류 측정기(400)로 돌아온 전류량을 측정하여 인체로 흐른 전류량을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류가 흘러들어간 인체 내 조직의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저항값과 이미 알고 있는 조직의 종류에 따른 고유 저항값을 비교하여 전류가 흘러들어간 조직이 신경인지 근육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인체로 흘러들어간 전류는 다리와 같이 의료용 나사못(100)이 삽입되지 않은 인체의 특정 부위에 장착된 그라운드 부재(500)를 통해 인체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이후, 해당 전류는 그라운드 부재(500)와 연결된 복귀 부재(510)를 통해 전류 발생기(300)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에 개시된 구성을 이용하여 신경을 감지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나사못 헤드(120)에 형성된 한 쌍의 결속부(121)와 드라이버(200)에 형성된 나사산을 나사 결합시켜, 의료용 나사못(100)에 드라이버(2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나사못 헤드(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122)로 드라이버(200)의 단부가 삽입되며, 수용부(122) 내벽에 노출된 도체(130)의 일단과 드라이버(200)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드라이버(200)를 회전시켜 의료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몸체(110)를 인체(예를 들어, 척추 뼈)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나사못 몸체(110)의 하단부에 노출 형성된 도체(130)가 신경에 접촉하게 되면, 전류 발생기(300)에서 발생된 전류가 신경을 통해 새어 나가게 되면서, 전류 측정기(400)에서 감지되는 전류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사못 몸체(110)가 신경에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나사못 몸체(110)에 신경이 접촉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 나사못 몸체(110)가 신경에 접촉하지 않도록 다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체 내부에 삽입된 의료용 나사못(100)을 제거하는 재수술 과정에서, 전기 소작기를 이용하여 의료용 나사못(100)의 나사못 헤드(120)를 박리하게 된다. 이때, 도체(130)는 상부 홈(12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못 헤드(120) 상에 연장되기 때문에, 전기 소작기가 나사못 헤드(120)와 접촉하더라도 도체(130)는 전기 소작기와 접촉되지 않아 주변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의료용 나사못
110: 나사못 몸체
111: 나사산
120: 나사못 헤드
121: 결속부
122: 수용부
123: 상부 홈
130: 도체

Claims (15)

  1.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용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나사못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의료용 나사못과 결합되는 드라이버의 단부가 삽입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곽 끝단까지 형성되고,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상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벽에 도체의 일단이 노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도체가 상기 상부 홈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상부 홈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삽입되어 연장 형성되는 나사못 헤드; 및
    상기 나사못 헤드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되어 연장된 상기 도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까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나사못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체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노출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홈을 통해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삽입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나사못은,
    상기 수용부 내벽에서 노출된 상기 도체의 일단을 통해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상기 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나사못 몸체 하단에 노출된 상기 도체의 타단을 통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의료용 나사못.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최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의 일정 면적 상에서 노출되도록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각 기둥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홈을 통해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삽입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최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부터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도체의 일단은,
    상기 다각 기둥의 옆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나사못.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내벽의 밑면 상에서 노출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각형 형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홈을 통해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삽입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헤드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결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드라이버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나산이 내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나사못.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결속부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나사못.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도체는, 상기 상부 홈이 형성된 개수만큼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노출된 일단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나사못 헤드의 끝단까지 연장되되,
    어느 하나의 상부 홈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도체의 일단은 다른 상부 홈에 삽입된 다른 도체의 일단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 상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상부 홈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도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다른 상부 홈에 삽입된 다른 도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단과 상기 나사못 몸체의 하단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몸체에 형성된 상기 도체가 상기 나사못 몸체의 하단에서만 노출되도록, 상기 나사못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하부 홈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나사못.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상기 나사못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의 굴곡에 따라 상기 나사못 몸체의 외주면 상에 도금되거나 부착되는, 의료용 나사못.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라이버 하단에 돌출된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나사못.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발생기 및 전류 측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 측정기는,
    상기 의료용 나사못이 신경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류 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전류가 상기 도체를 통해 상기 인체로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인체의 저항과 전류 분배 되면서 귀류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의료용 나사못.
KR1020170149468A 2017-11-10 2017-11-10 의료용 나사못 KR10198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68A KR101981981B1 (ko) 2017-11-10 2017-11-10 의료용 나사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68A KR101981981B1 (ko) 2017-11-10 2017-11-10 의료용 나사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10A KR20190053510A (ko) 2019-05-20
KR101981981B1 true KR101981981B1 (ko) 2019-05-24

Family

ID=6667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68A KR101981981B1 (ko) 2017-11-10 2017-11-10 의료용 나사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9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1848A (zh) 2008-02-21 2011-01-19 一体化智能公司 为神经定位而装备的植入物及其使用方法
US20110144702A1 (en) 2004-04-20 2011-06-16 Spineco, Inc. Implant device
US20160038205A1 (en) * 2014-08-07 2016-02-11 Jeffrey Scott Smith Pedicle screw with electro-conductive coating or portion
KR101599603B1 (ko) 2013-08-26 2016-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29B1 (ko) 2007-05-31 2008-12-08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척추경 나사못 모듈
KR101020247B1 (ko) 2010-10-28 2011-03-0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경 나사못 체결용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4702A1 (en) 2004-04-20 2011-06-16 Spineco, Inc. Implant device
CN101951848A (zh) 2008-02-21 2011-01-19 一体化智能公司 为神经定位而装备的植入物及其使用方法
KR101599603B1 (ko) 2013-08-26 2016-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US20160038205A1 (en) * 2014-08-07 2016-02-11 Jeffrey Scott Smith Pedicle screw with electro-conductive coating or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10A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03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US11253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sacroiliac joint fusion
CN101951848B (zh) 为神经定位而装备的植入物及其使用方法
US20160310189A1 (en) Devices and method of achieving bone fusion
US20160128599A1 (en) Handheld emg stimulator device with adjustable shaft length
US10172658B2 (en) Medical insertion apparatus
JP7202694B2 (ja) 医療手技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
RU2708319C2 (ru) Медицинская система
KR101981981B1 (ko) 의료용 나사못
Davis et al. Can triggered electromyography be used to evaluate pedicle screw placement in hydroxyapatite-coated screws: an electrical examination
US20110060240A1 (en) Medical device for use with neuromonitoring equipment
KR101855743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KR101958083B1 (ko) 의료용 삽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146717A1 (en) Probes For Surgical Access System
KR20200036260A (ko) 의료용 삽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6963775B2 (ja) 棘突起間インプラント
Davis et al. Pedicle screw electrical resistance: hydroxyapatite coated versus non-coated
BR112017021168B1 (pt) Sistema médico destinado a penetrar em uma estrutura anatômica de um pac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